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당약화론’과 국민경선제 지속성

        채진원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20 동향과 전망 Vol.- No.109

        In the meantime, the opposition to the open primary has insisted on the soᐨ called “Party Weakness of Theses on the Open Primary” that the open primary weakens the identity of the party by involving ordinary voters and citizens rather than party members. this article raises the question that it is necessary to tentatively confirm the experiences of 15 years from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to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on the basis of theoretical discussion on whether the open primary is really causing political weaknes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e that candidates through open primary are candidates for political parties that have a competitive edge by receiving a rational choice of voters rather than nonᐨopen primary candidates as an example of the past 15 years of presidential elections and parliamentary elections and indirectly, that open primary does not weaken ‘network party model’ through open primary continu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reviewed in Chapters Ⅲ and Ⅳ,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open primary on competitiveness of the open primary that lasted for 15 years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open primary is introduced and vice versa. this persistent difference in results over the last 15 years is a rational choice for openᐨprimary candidates to elect a candidate who is more competitive than the nonᐨopen primary for voters, it is very likely that the current status has been maintained. as a result of this persistence, it can be deduced that the “Party Weakness of Theses on the Open Primary” is an inadequate claim on the empirical level as well as theoretical level. 그동안 국민경선제를 반대하는 측에서는 국민경선제가 당원이 아닌 일반 유권자와 시민들을 참여시킴으로써 정당의 정체성을 약화시킨다고 하는 이른바 ‘국민경선제 정당약화론’을 주장해 왔다. 이 글은 국민경선제가 정말로 정당 약화를 초래하는 것인지에 대해 이론적인 논의에 기초하여 16대 대선부터 19대 대선까지 15 년간 지속되고 있는 경험을 잠정적으로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문제로 제기한다. 이 글의 목적은 국민경선제도를 통한 후보가 비국민경선제의 후보보다 유권자들의 합리적인 선택을 받음으로써 본선 경쟁력이 있는 정당의 공천 방식이라는것을 지난 15년간의 대선과 총선의 경험 사례로 확인하고, 국민경선제의 지속성을 통해 국민경선제도가 ‘네트워크정당’의 정체성을 약화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설명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제3장과 제4 장에서 검토한 것처럼 15년간 지속된 국민경선제도의 본선 경쟁력 효과는 국민경선제를 도입한 경우가 그 반대의 경우보다 확연하게 결과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 15년간의 이런 지속적인 결과의 차이는 유권자들에게 국민경선제도가 비국민경선제도보다 본선 경쟁력이 있는 후보를 선출할 수 있는 합리적선택 방식이고, 이것의 지속성에 따라 정당의 지지기반도 확대되거나 최소한 현상유지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런 지속성의 결과를 볼 때, ‘국민경선제 정당약화론’ 은 이론적인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경험적 차원에서 적절하지 않은 주장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는 점이다.

      • KCI우수등재

        국민경선제 도입에 따른 젠더효과 분석

        김현희(Kim Hyun Hee),오유석(Oh Yoo Seok),박인혜(Park Inn Hea) 비판사회학회 2017 경제와 사회 Vol.- No.116

        본 연구는 2014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국민경선제 또는 상향식 공천제가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에 어떠한 결과를 초래할 것인가에 대해 여성정치인의 경험을 중심으로 다음의 질문에 답하고자 하였다. ① 한국 사회에서 실시하려고 하는 국민경선제는 과연 민주적이고 공정한가?; ② 여성정치인들은 왜 국민경선제가 그들에게 불리하다고 생각하는가?; ③ 여성 정치인들이 불리하다고 판단하는 근저에는 어떠한 기제들이 작동하고 있는가? 우리의 결론은 국민경선제가 정당민주주의가 발전하지 않은 정치후진국에서는 민주적이고 공정한 제도가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 여성정치인의 관점에서 보면, 현재의 국민경선제는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국민경선 과정에서 남성지역위원장의 독점적인 영향력, 현직 효과, 정당의 공적 가부장제적 특성 등이 여성정치인에게 불리하게 작용한다. 둘째, 남성 중심주의와 강한 연고주의문화가 국민경선제의 효과를 방해한다. 셋째, 국민경선이 국민들의 관심과 이해의 부족으로 인해 경선 자체가 후보의 동원선거, 조직선거의 양상으로 흐르게 되고, 이와 비례해 결국 돈이 많이 드는 선거가 되어 여성에게 불리하다. 또한 공천 절차나 규칙들이 매우 가변적이고, 관료제적 방식으로 운영되지 못함으로써 정보력이 약한 여성들은 정치권에 진입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성별 불균형의 한국 정치구조 속에서 국민경선제라는 제도의 형식적 민주성이나 공정성은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 국민경선제가 갖는 본래의 취지인 민주성, 개방성, 분권성을 충분히 구현하기 위해서는 정당 민주화가 저조한 한국의 현실적 여건과 부합하는 국민경선제 모델을 탐색하고 개발해서 그것을 정착시켜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impacts of open primary or bottom-up nomination process of party candidates on expansion of political representativeness of women, based on the experiences of women politicians in the 2014 local election. This paper tries to answer following questions like, 1) Is the open primary system which Korean society is about to introduce, fair or democratic? 2) Why do many women politicians consider open primary disadvantageous against women? 3) What kind of mechanism works as basis on which women think unfair? Our conclusion is that open primary may not be a democratic or fair system for politically less developing countries which do not have full fledged party democracy. From the women politicians’ perspective, the current open primary system implemented in Korea contain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factors like, monopolistic influence of male chairperson of party’s regional committee, incumbency advantage, intraparty patriarchal management, to list a few, work against women politicians. Second, culture of male chauvinism and strong nepotism hinders the positive impacts of open primary. Third, due to the lack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on the open primary, primary itself shapes up to be mobilization campaign and organization election by candidates, and thus leads to spend more money for campaigns, leaving more disadvantageous against women candidates. Fourth, the candidate selection procedures or rules, which are too much abruptly changeable and aren’t managed under bureaucratic mechanism, make more difficult for women who have relatively weak information network in the political arena. Therefore, under the severe gender power imbalance in Korean political system, open primary doesn’t bring genuine democratic property and fairness as institution and only touches its mere formality. In order to realize the real intent of open primary, such as democratic property, openness, and decentralization, it is imperative to explore, develop and establish an open primary model suitable to Korean situation which has poor party democratization.

      • KCI등재후보

        미국의 프라이머리(예비선거) 제도에 관한 연구

        이상돈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法學論文集 Vol.34 No.3

        So-called ‘open primary’ has been a hotly discussed topic in Korea recent years. Though politicians in both sides have been talked about the open primary, there has never been serious concern of its possible conflict with the political party’s right for the self-determination and self-regulation which i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is article analyze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primary elect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decisions of the U.S. Supreme Court. Primary replaced the caucus as a mechanism to select parties’ candidate during late 1890’s and early 1900’s. Most states adopted ‘closed primary’, and later many states adopted ‘open primary’. Some states, notably the State of Washington adopted ‘blanket primary’ which allows people to vote for any body in any party. As blanket primary permits so-called ‘split vote’ and ‘cross-voting, it raised controversies. Political parties argued the blanket primary violates their rights of association guaranteed by the First Amendment of U.S. Constitution. The State of California later adopted the blanket primary only to be declared unconstitutional by the U.S. Supreme Court in 2000. After the U.S. Supreme Court decision, the State of Washington changed its primary system to ‘top two primary’ which has been first invented by the State of Lousiana. The U.S. Supreme Court decided the new kind of non-partisan primary as constitutional in 2008. Then the State of California adopted the top two primary in 2010 which will be used from the election of 2012. The State of Louisina also decided to use this system again in 2010. This is a very interesting phenomenon in the U.S. primary system. The articles concludes that ‘top two primary’ is very ideal for Korea as the system is non-partisan and run by the government. It is especially meaningful as a tool to curtail the parties’ bosses’ undue influence which is a major problem in Korean politics.

      • KCI등재

        개방형 경선과 여성대표성

        이정진(Lee, Jeongjin),민태은(Min, Tae Eun) 한국정치정보학회 2015 정치정보연구 Vol.18 No.3

        2016년 총선을 앞두고 국회에서는 모든 국민이 참여하고 선거관리위원회가 경선관리를 담당하는 개방형 경선을 법제화하려는 논의가 정개특위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개방형 경선은 공정하고 투명한 공천방식을 보장하는 대안으로 논의되고 있지만 정당의 자율성을 약화시키고 당원의 권한과 역할을 축소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거비용 증대 등으로 여성을 비롯한 정치적 약자들에게 불리한 제도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개방형 경선의 법제화를 둘러싼 논의를 살펴보고 미국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여성 대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국 사례는 개방형 경선이 선거자금 동원력이 약하고 정치적 네트워크가 취약한 여성 후보에게 불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개방형 경선을 실시하더라도 여성 대표성을 유지하기 위해 여성후보의 전략공천, 지역구 여성후보 공천 비율 확대, 여성추천보조금제 강화 등의 제도적 보완책과 더불어 여성 후보자 발굴을 위한 정당 차원에서의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장기적으로 헌법에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선언적 조항을 명기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at impact the legalization of open primaries would have on women representation within legislatures ranging from the National Assembly to local ones. For the purpose, we analyze the contents of recently introduced bills on open primaries. We also examine the studies on the case of the U.S. where primaries have been held since the early 1900. Studies on gender and electoral sucess find that women face more competitions in primaries with fellow partisans to be nominated as a candidate for their party. In other words, women candidates face more obstacles in running in primaries. Thus, we suggest that to secure women representation under open primaries, institutional countermeasures, such as strategic nomination for women, expansion of women proportion in candidate nomination and the reform of subsidy program for the nomination of women in political parties, need to be prepar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parties, should make more efforts to recruit and cultivate women politicians. Lastly, in the long term, it deserves careful consideration to constitutionally stipulate the equal representation of women.

      • KCI등재

        경선제도에 따른 유권자 선택의 변화

        장승진(Seung-Jin Jang) 한국정당학회 2012 한국정당학회보 Vol.11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정치권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완전국민경선제, 즉 오픈 프라이머리의 도입이 한국정당정치에 끼칠 변화를 가늠해보는 것이다. 특히 기존에 공천개혁을 다룬 많은 연구들이 정당 조직이나 후보자들의 특성 및 전략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던 것에 반해, 본 논문은 완전국민경선제의 도입이 유권자들의 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 것인가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2008년 미국 대선 경선을 사례로 삼아 개방적 예비선거(open primary)와 폐쇄적 또는 수정형 예비선거(closed or modified primary) 사이에 유권자들의 경선참여 및 후보선택 결정요인들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본다. 경험적 분석을 통해 폐쇄적 또는 수정형 예비선거에 비해 개방적 예비선거하에서는 (1) 예비선거 참여 요인에 있어서 정당일체감의 영향력은 감소하는 반면 정치적 관심도의 영향력은 증가하며, (2) 유권자들의 후보선택에 있어서 이념과는 무관한 요인들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한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changes in Korean party politics that the introduction of open primary is expected to bring about. In particular, while previous studies of candidate-selection reforms tend to focus on party-asorganization or the characteristics and strategies of candidates, this paper emphasizes the effect that the introduction of open primary has on the behavior of voters. To this end, using the case of primary elections in the 2008 U.S. presidential election, we analyze how turnout and candidate choices in primary elections are differently influenced between open primaries and closed or modified primarie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in open primaries, (1) the influence of partisanship on turnout decreases but that of political interests increases and (2) the factor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with political ideology become relatively more important in voters’ candidate choices.

      • KCI등재

        한국의 개방형 프라이머리제도가 주요 계열 정당에 미친 장기적 영향에 대한 예비적 고찰

        박지선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23 현대정치연구 Vol.16 No.1

        This preparatory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long-term effect of open primaries on major political parties in Korea. After considering the previous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 primaries and partie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two mainstream parties in the Republic of Korea have managed the open primaries and how they have changed in their three aspects: the party as an organization, in government, and in the electorate. This article highlights the tendency of democratic parties to focus more on open primaries with electoral votes, while conservative parties use closed primaries with opinion polls, especially during presidential elections. It was also found that, since the open primaries were introduced in the early 2000s, the democratic parties have comparatively strengthened all three aspects of political parties. These results imply that electoral votes rather than opinion polls may strengthen the party as an organization and the party in the electorate.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20년간 한국 주요 정당의 공직 후보 선출제도의 개방성 차이가 정당에 미친 장기적 영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연구는 2000년대 초 개방형 프라이머리제도 도입 이후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에 있어서 보수당계와 민주계 정당의 프라이머리제도의 발전 및 차이, 그리고 양 계열정당의 변화 (조직 수준, 정부 내 수준, 유권자 내 수준)를 살펴보고, 기존 이론을 바탕으로 동 제도가 정당조직에 끼친 장기적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분석 결과 특히 대통령 선거에 있어서 민주당계는 일반유권자 참가 투표가, 보수당계는 당원투표와 함께 여론조사가 상대적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세 정당 수준에서 보수 계가 상대적으로 약화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일반유권자에의 한 투표가 여론조사에 비하여 조직 및 유권자 내 정당에 있어 장기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끼쳤 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 KCI등재

        국민참여경선의 헌법적 근거 : 미국의 헌법담론을 중심으로

        차동욱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2 공공정책연구 Vol.29 No.1

        우리의 개방적 예비경선제도인 국민참여경선의 도입은 포괄정당의 불가피한 제도적 동반자라는 측면보다는 정당민주주의의 활성화와 참여민주주의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평가하는 것이 더욱 일반적이다. 이렇게 일반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개방적 예비경선제도를 지속성 있게 확립하려는 노력은 부족했다. 개방적 예비경선제도가 우리의 정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의미가 있는 것이라면 그것이 헌법적으로도 보호받아 지속될 수 있는 근거를 고민해 보았어야 한다. 정당민주주의가 헌법 규정에 의해 보호받는 가치라면 정당민주주의를 확립시킬 수 있는 개방적 예비경선제도 역시 그것을 지속시켜야할 당위성, 즉 헌법적 가치를 찾는 노력이 있었어야 했다. 이 글은 그 동안 부족했던 개방적 예비경선제도의 헌법적 가치의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개방적 예비경선제도를 그에 대한 헌법적 가치의 탐구 없이 정치적 선택의 문제로만 인식했을 때 그 의미가 축소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2012년 대선을 앞 둔 한국에서의 논쟁을 분석하고, 예비경선의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미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예비경선의 장단점을 검토한다. 그리고 예비경선에 대한 미국에서의 헌법적 담론을 연방대법원의 판결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 그러한 미국에서의 헌법적 담론이 한국의 상황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논의한다. It is common perception that the purpose of introduction of open primary to the Korean party politics is to harmonize the party politics with participatory democracy. If the newly institutionalized open primary is anticipated to upgrade Korean politics, diverse endeavor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the system’s legitimacy. The first effort that should be put in is to find the constitutional basis of the open primary in our political and legal system. This essay investigates experiences of open primary in American politics and related constitutional discourses on the system.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integrity of political party and voter’s right to the freedom of political association is in the center of the controversy on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open primary. This essay defines the constitutional right to the freedom of political association as the constitutional basis of the open primary in Korean political system.

      • KCI등재

        미국의 프라이머리(예비선거) 제도에 관한 연구 : 미국의 프라이머리의 발전과 관련 판례, 그리고 그것이 우리나라에게 주는 정책적 함의

        李相敦(Lee, Sang-Don) 中央大學校 法學硏究所 2010 法學論文集 Vol.34 No.3

        So-called 'open primary' has been a hotly discussed topic in Korea recent years. Though politicians in both sides have been talked about the open primary, there has never been serious concern of its possible conflict with the political party's right for the self-determination and self-regulation which i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is article analyze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primary elect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decisions of the U.S. Supreme Court. Primary replaced the caucus as a mechanism to select parties' candidate during late 1890's and early 1900's. Most states adopted 'closed primary', and later many states adopted 'open primary'. Some states, notably the State of Washington adopted 'blanket primary' which allows people to vote for any body in any party. As blanket primary permits so-called 'split vote' and 'cross-voting, it raised controversies. Political parties argued the blanket primary violates their rights of association guaranteed by the First Amendment of U.S. Constitution. The State of California later adopted the blanket primary only to be declared unconstitutional by the U.S. Supreme Court in 2000. After the U.S. Supreme Court decision, the State of Washington changed its primary system to 'top two primary' which has been first invented by the State of Lousiana. The U.S. Supreme Court decided the new kind of non-partisan primary as constitutional in 2008. Then the State of California adopted the top two primary in 2010 which will be used from the election of 2012. The State of Louisina also decided to use this system again in 2010. This is a very interesting phenomenon in the U.S. primary system. The articles concludes that 'top two primary' is very ideal for Korea as the system is non-partisan and run by the government. It is especially meaningful as a tool to curtail the parties' bosses' undue influence which is a major problem in Korean politics.

      • KCI등재

        원발개방각녹내장 및 고안압증 환자에서 오미데네팍이소프로필 0.002%의 단기간 효과와 안전성

        김정수,김정림 대한안과학회 2023 대한안과학회지 Vol.64 No.9

        Purpose: To analyze the short-term efficacy and safety of omidenepag isopropyl 0.002% (w/v) in patients with primary open-angle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Methods: Data on 36 patients with primary open-angle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treated with omidenepag isopropyl 0.002% (w/v) from January 2021 to May 2022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We investigated whether the drug lowered the intraocular pressure (IOP) at 1 and 3 months compared to baseline. Possible side effects were sought at each visit.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59.2 years at the time of treatment. Of the 36 patients, 33 had primary open-angle glaucoma and 3 had ocular hypertension. The baseline IOP was 15.9 ± 3.6 mmHg, which significantly decreased to 13.7 ± 2.8 and 13.4 ± 2.9 mmHg at 1 and 3 months, respectively, following instillation of omidenepag isopropyl 0.002% (w/v) (both p < 0.01). Twelve patients (29.2%) experienced side effects including hyperemia, ocular pain, and itching but only two (5.5%) stopped using the medication. Conclusions: In the short-term, ominedepag isopropyl 0.002% (w/v) is effective and safe in patients with primary open-angle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 KCI등재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론의 헌법적 검토

        정만희(Jeong, Man-Hee)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東亞法學 Vol.- No.69

        본고에서는 한국의 정당정치개혁과 당내민주주의의 핵심과제를 의미하는 정당공천과정의 민주화를 위한 방안으로 최근 제기되고 있는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론에 대하여 헌법상 정당조항과의 관련 하에 그 위헌성 문제를 검토하고 바람직한 민주적 정당공천제도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정당의 공직선거후보자추천제도의 개혁방안으로 미국의 예비선거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그 필요성이 인정되지만 그 구체적 유형으로서 오픈 프라이머리를 법제화하는 것은 헌법상 보장된 정당의 자유와의 관계에서 위헌성 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우리 헌법체계에 있어서 정당의 자유는 미국의 경우보다 훨씬 강한 보장을 받고 있다고 할 것이므로 오픈 프라이머리와 같이 정당의 자유와 당원의 결사권을 크게 제한하는 제도의 도입은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정당의 민주적 공천제도의 확립을 위해서는 당원의 비밀투표에 의한 상향적 경선방식을 원칙으로 하면서, 선거과정의 공정성과 민주성을 위한 일반 유권자의 참여는 정당과 당원의 자율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제한적으로 인정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미국의 상당수의 주에서 채택하고 있는 당원 중심의 폐쇄형 예비선거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정당의 자유 침해의 문제가 제기되지 않으나 완전개방형 예비선거를 법제화하는 것은 위헌성을 면하기 어렵다고 본다. 현행 공직선거법상 정당의 민주적 공천제도를 확립을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정당의 공천절차에 관하여 당원중심의 비밀투표의 원칙을 강행규정으로 명확히 하고 그 위반에 대한 법적 제재를 규정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정당의 예비선거과정에 일반 유권자의 참여를 인정하는 경우에도 정당은 당원수의 확대를 위한 노력을 전제로 하여 일반 국민의 경선참여를 확대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introduction of the open primary system, relating to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of political parties and then suggests a desirable the democratic system for party nomination because democratic process of party nomination is a core task of intra-party democracy, and changing this process would reform party politics in Korea. Although would be possible to introduce the U.S. primary system as a means of reforming the process of candidates nomination from each party for public elections, doing so could violate the freedom of each political party to legalize an open primary. We should be cautious about introducing the open primary system because it restricts the freedom of political parties and party members’ rights of association because the Korean constitution currently protects these freedoms more than the U.S. constitution does. Thus, in order to establish a democratic system for selecting candidates, Korea should instead opt for a bottom-up, secret-ballot election system where members of each party can vote for their preferred candidate. In addition, any reform should restrictively allow the participation of general voters within each party in a way that does not infringe upon their freedoms. Therefore, it would be unconstitutional to legalize a completely open primary, not a closed primary as is enforced in most states of the U.S. To improve the candidate nomination system in Korea,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at the process of party nomination is a compulsory provision, and to enact a legal remedy when the provision is violated under the current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f there is a reason to allow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voters in the primary system, it would be in an effort to increase participation of party members in the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