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6·25전쟁 납북피해자에 대한 배·보상 문제

        제성호 북한연구소 2023 북한학보 Vol.48 No.2

        Since the announcement of the “Fact-finding Report on the Damage from North Korea's Abduction during the Korean War” in June 2017, interests in the Korean War Abductees issue have significantly grown less. In this situation, no relief measures (medical assistance, living assistance, compensation, etc.) have been implemented for the families of war abductees. This is very unfair considering the equity with other victims of the past wrongdoings, such as victims of post-Korean war abduction perpetrated by North Korea and victims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Considering this,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present “Act on Finding the Truth of the Damage from North Korea’s Abduction during the Korean War and Restoring Honor of the Victims(Wartime Abductees Act)” as soon as possible to promote an equitable and phased solution for victims of wartime kidnapping. Step-by-step solution or managing here means that 4,777 people who were already notified of a written decision about the wartime abduction by submitting reports to the Korean War Abduction Fact-finding Committee and resuming fact-finding activities later after that relief measures to remedy the damage of the other victims of wartime abduction. Besides, in theory,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plan either to enact a new law to implement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the so-called Enforced Disappearance Prevention Convention)” or to amend the existing “Framework Act for the Settlemet of Past Wrongdoings” of 2005, and enact a separate law on the compensation for the victims of those past affairs. But the author thinks that such alternatives are unlikely to be realized. 2017년 6월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보고서』 발표 이후 6·25전쟁 납북자 문제에 대한 관심은 현저히 줄어들었다. 이런 상황에서 전쟁납북자 가족들에 대한 구제조치(의료지원금, 생활지원금, 보상금 등)는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는 전후납북자들이나 제주4·3사건 피해자 등 다른 과거사 피해자들과의 형평성을 고려할 때 심히 부당한 처사이다. 이 점을 고려할 때 조속히 전시납북자법을 개정하여 전쟁납북피해자들을 위한 형평적 해결과 단계적 해결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단계적 해결이라 함은 우선 6·25전쟁납북진상규명위원회에 신고하여 전시납북자 결정서를 통보받은 4,777명에 대해 피해구제를 실시하고, 나머지 9만 1천여 명에 대해서는 추후에 진상규명 활동을 재개하여 피해구제를 하자는 것을 의미한다. 이론상 강제실종방지협약 이행법률 제정방안, 과거사정리법 개정 및 별도의 보상법 제정방안도 고려할 수 있으나, 필자는 실현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였다.

      • 「북한의 6.25전쟁인식과 통일을 위한 유산 청산」

        조성훈(Cho Sung-hun) 한국선진화정책학회 2010 선진화 정책연구 Vol.3 No.2

        본고는 북한에서 바라보는 한국전쟁 기원, 전쟁의 성격, 승리한 전쟁론 등을 통해서, 이러한 논리가 전후에도 지속되고 있음에 주목했다. 북한 측은 한국전쟁이 미국의 면밀하고 계획적인 준비에 의해서 일어났고, 미국에 대항하여 북한을 수호하고 남한을 해방하려 했다는 ‘정의의 조국해방전쟁론’을 내세웠다. 그들은 미국이라는 외세를 물리쳤다는 승리사관을 북한체제를 유지시켜 온 동력으로 활용했다. 한 탈북자의 지적처럼, 북한 주민이 평양 전승기념관과 신천박물관을 역사의 유물로 남겨두기 전까지는 전쟁을 일으킨지 60주년이 지났으나 그들의 6.25전쟁에 대한 인식의 전환은 쉽지 않을 것이다. 전쟁으로 비롯된 적대의식을 해소시키고 한반도에서 평화공존을 모색하기 위해 실현 가능한 방안으로 우선 북한에 있을 납북자와 국군포로의 해결이 급선무이다. 이들의 규모와 생존자의 수를 가장 잘 알고 있는 북한당국은 냉전시대의 대결논리가 아닌 진정한 남북간 화해협력과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그들이 문제를 냉전시대의 희생자들이라는 인식 위에 그들의 존재를 인정하고 생존확인과 상봉, 교환가능한 포로규모 등을 논의하는데 적극 나서야 한다. 또한 남북통일을 장기적 과제로 두고, 한반도에서 불안한 군사적 대결을 극복하고 평화공존을 굳건히 하기 위해 남북한 불가침협정을 체결하는 우선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불가침협정의 체결이 한반도의 평화체제가 수립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나, 이를 통해 평화체제로의 이행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rough North Korea's recognition about Korean war, its nature, and victory view. this paper found these logics were served during and even after the war. North Korea alleges the Korean war occurred by the United States' well preparations and they fought to defend their fatherland and to liberate South Korea under the righteous national liberation war. They utilized to maintain its regime by the theory defeating United States, the foreign power. As a defector pointed out, until War Victory Memorial in Pyongyang and the Sinchon Museum were leaved a relic of history, though 60 years have passed after North Korea invaded, but their recognition toward Korean war will not be easy to change. A solution to resolve the animosity stemed from the war and to seek peaceful coexistence for the liquidation of the war heritage is the solution of abductees and unreturned ROK POWs issues. North Korea, well aware of the number of their survivors should acknowledge their existence and discuss their identification, reunions, and exchanging scales for the true North-South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on humanitarian issues beyond the Cold War logic of the confrontation. In addition, the two Koreas, having a long-term challenges to unification problems, could seek a nonaggression pact to overcome a unstable military confrontation first and to insure peaceful coexistence on the peninsula. It is necessary for North and South to prepare the transition to a peace regime by signing of a nonaggression treaty not guaranteeing a peace regime,.

      • 김정일 시대의 일본인 납치문제와 관련한 외교정책 결정요인: 로즈노우(Roseneau)의 “예비이론(pre-theory)”의 관점에서

        허선혜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공공정책연구소 2015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Vol.1 No.1

        From 1977 to 1983, for a period of six years, North Korean government agents had abducted Japanese citizens from Japanese territories. On September 17, 2002, Japanese Prime Minister Junichiro Koizumi visited North Korea to meet Kim Jong-il. In a talk with Koizumi, Kim admitted to the abductions of 13 Japanese citizens by North Korean agents and issued an oral apology.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DPRK seemed to normalize after the initial talk in 2002, it fell short of expectation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North Korea’s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with regards to the issues related to the abduction of Japanese citizens, using Roseneau's pre-theory. The study mainly discusses situations which occurred after the Japan-DPRK talk in 2002 and its aftermath. Several potential factors that influenced North Korea’s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First, Kim's personal preferences about practical diplomacy led himself to admit to kidnappings with expectations for the normalization of Japan- DPRK relations. Furthermore, the DPRK’s strong desire to avoid international isolation, as a systemic variable,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admitting to the abductions. Finally, severe economic difficulties in North Korea have forced him to admit to the abductions.

      • KCI등재

        일본인납치문제와 일본의 대북정책 - 평양선언과 스톡홀름 합의를 중심으로 -

        다나카 유키,김유은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41 No.-

        이 논문은 일본인 납치자 문제에 대한 평양선언과 스톡홀름 합의의 차이점 및 이행 중단 배경과 재개,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일본 정부가 대북제재법을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고찰하였다. 북한의 계속된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일본이 더욱 강화된 독자제재를 취함으로써 두 합의는 제 기능을 하지 못했지만,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첫째, 평양선언에서 북한은 일본인 납치를 인정하였고 스톡홀름 합의에서는 이 문제가 아직도 미해결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본은 납치자 해결 노력 과정에서 외국환 및 외국무역법, 특정선박입항금지법, 북조선인권법의 개정 또는 제정을 통해 독자적 제재 및 완화 수단을 확보하였다. 셋째, 스톡홀름 합의는 평양선언과 달리 납치자 문제를 북한의 핵 및 미사일 문제와 분리하여 다루었다. 일본이 두 합의를 추진한 배경에는 일본 국민의 이 문제에 대한 지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집권자들의 국내적 정치상황의 고려도 작용하였다. This paper depicts differences between the Pyongyang Declaration and the Stockholm Agreement and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suspension of the implementation and resumption; also, it considers how Japanese government has made use of North Korea Sanction Acts in the process of the effort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abduction. While the two agreements could not work properly because Japanese government took strengthened measures against North Korea that continues both nuclear tests and missile launchings, they are significant on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n the Pyongyang Declaration, North Korea formally recognized the abduction of Japanese citizens, and the Stockholm Agreement confirmed that this problem was still unsolved. Second, Japan secured its own means of sanctions and mitigation through the revision or the enactment of Foreign Exchange and Foreign Trade Act, Act on Special Measures concerning Prohibition of Entry Specified Ships into Port, Act on Handling of Abduction Issues and Other Human Right Issues Related to North Korean Authorities. Third, contrary to the Pyongyang Declaration, the Stockholm Agreement dissociated the problem of the abductions from both North Korea’s nuclear and the missile issue, so it dealt with only the former. Japanese government promoted both agreements in the consideration of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as well as great attention of the people.

      • KCI등재

        6·25전쟁 납북자의 납북동기 분석에 관한 실증적 연구

        김명호(Myung-Ho Kim)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6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6 No.3

          There has been a lot of interest in how people were abducted to North Korea in the Korean war; but, without enough research and material, no positive fruit of research has been collected yet.   This research made database of the lists of the abducted in the four relevant documents which has been found so far. The analysis of the data shows that 81, 731 of the 94717 persons listed in the four documents, except 12,986 counted double, were abducted to North Korea. Analysis was made of the basic data of the abducted, and also of how they were abducted with questionnaires from the bereaved families.   In the research the Query analysis of Access was used for basic data of the abducted. Crosstabs of SPSS, ver. 12 was used for the abduction motives. It was revealed that people in South Korea were abducted by order of Kim, Ill Sung from North Korea.

      • KCI등재

        <총론> 2007년도 검정 합격 일본 역사교과서의 한일관계 기술과 문제점

        정재정(Chung Jae-Jeong) 한일관계사학회 2008 한일관계사연구 Vol.30 No.-

        일본의 역사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은 우리의 역사인식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계기이고,한일관계 나아가서 동북아시아의 국제관계를 바르게 풀어 가는 작업이다.교과서는 특성상 통설이나 정설로 인정된 학설을 기반으로 기술되기 때문에 교과서 내용의 오류를 지적하는 것은,일본학계의 통설이나 정설에 대한 우리학계의 異議제기이며,이것은 한일 양국의 역사 연구와 역사대화를 통해 해결해가야 하는 과업이다. 2007년도 검정에 합격한 역사교과서들의 한일관계사 기술은 2001년도 이래 조금씩 개선되고 있으며,상호이해의 지평을 넓혀가려는 노력이 진척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그러나 아직 양국간에 역사인식의 차이가 남아 있으며,때로는 오히려 더 나빠진 기술도 발견할 수 있다.이것은 주로 최근 일본의 우경화에 따라 침략행위에 대한 반성 대신 그 책임을 이웃나라에 돌리는 메이지시기의 역사인식이 재생산되고 있는 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국과 일본이 역사갈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역사대화를 통해 역사교과서 記述을 개선하는 작업을 계속할 필요가 있다. An analysis of Japanese history textbooks provides an opportunity to check the historical perspectives held by Koreans. It may also constitute a process by which the bilatera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or the relations between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can be encouraged to move in more beneficial directions. A textbook for high school students ought to make statements based on generally accepted facts or theories. Raising objections concerning contents in a textbook sometimes means that the views of Korean scholars differ from what has generally been accepted among Japanese scholars. This matter requires engagement in joint studies of the history involving the two countries and historical dialogue. Statements about the history of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MEXT) in 2007 show that improvements have been made since 2001, when controversy over the inclusion of distorted facts in Japanese textbooks swept China, Korea, and Japan, along with efforts to expand the grounds for mutual understanding. However, there remains a gap in the historical perspectives held by the people in the two countries. This may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Japan has in recent years tended to turn back towards the historical perspectives that were prevalent during the Meiji period, unburdening themselves of their responsibility for the invasion of neighboring countries on to the shoulders of their victims. Both Korea and Japan should make continued efforts to improve the statements in their history textbooks by engaging in historical dialogue through various channels to overcome these historical conflicts.

      • KCI등재

        한국전쟁 개시 이후 남한 정계인사들의 월북·납북에 관한 고찰

        기광서 평화문제연구소 2019 統一問題硏究 Vol.31 No.1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situation of South Korean abducted politicians and politicians-defectors to North Korea immediately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their activities in North Korea. Capturing Seoul on June 28, 1950, North Korean authorities sought to create a psychological base for winning the war by bringing in South Korean political figures and other famous people to their side. ‘Self-surrendered’ political figures were asked to reflect on their mistakes in the newspapers and broadcasts and to rejec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owever, as UN troops landed in Incheon, many of them were moved to North Korea or abducted there. Their motivation to move to North Korea was the possibility of being punished for cooperation with North Korean authorities. After moving to North Korea for the first time, these political figures did not do much, but in the mid-1950s when "peaceful reunification" had come out in South Korea, they formed Council for the Promotion of Peaceful Unification in North Korea. Although the organization was influenc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policies, it also showed its own characteristics, such as advocating neutral unification. Due to the dissonance within the organization and the disruption of inter - Korean relations, the organization failed to fully demonstrate its function, and as members grew older, they took the path of natural decline. The leader of this organization, Cho So-ang tragically took his own life by throwing himself into a river. 이 논문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 남한 정계인사들의 월북 및 납북, 그리고 그들의 북한 내 활동을 당시 언론 기사와 러시아문서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본 글이다. 북한 당국은 서울을 점령하면서 남한 정계 인사들을 비롯한 저명인사들을 자기의 편으로 끌어들여 전쟁 승리를 위한 심리적 기반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그들은 신문과 방송에 나와 ‘자신들의 과오’를 반성하고 남한 정부를 거부하도록 요구 받았다. 그러나 유엔군의 인천 상륙에 따라 전세가 역전되면서 이들 중 상당수는 월북하거나 납북되었다. 북한측에 협력한 데 대한 처벌 가능성도 이들의 월북 동기로 작용하였다. 월북 후 처음 이들은 별다른 활동을 하지 않았으나 1950년대 중반 남쪽에서 ‘평화통일론’이 나오자 월북 정계인사들은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를 결성하여 통일운동을 도모하였다. 재북평통은 북한 당국의 방침에 영향을 받기는 했지만 중립화 통일론을 주창하는 등 독자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재북평통은 조직 내부적인 불협화음과 남북관계의 불통에 따라 자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했고, 회원들이 연로화되면서 자연적인 쇠퇴의 길을 걸었다. 월북 정치인의 대표격인 조소앙은 강물에 몸을 투신함으로써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하였다.

      • KCI등재

        일본 아베 정권의 대북정책: 현황과 전망

        조은일 ( Cho Eunil ) 한일군사문화학회 2019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7 No.-

        향후 일본 아베 정권의 대북정책은 변화할 것인가. 본고는 2차 아베 정권의 대북정책의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전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베 정권의 대북정책에 변화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 것은 2018년 6월 싱가포르 선언 이후 남북미 관계가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긍정적 방향으로 움직이면서부터다. 아베 정권은 거시적으로는 미국의 대북정책의 틀에서 북한 비핵화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고 있으며, 미시적으로는 남북관계 진전 정도를 관찰하면서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아베 정권의 대북정책은 국교정상화, 북한 핵·미사일 문제, 일본인 납치문제 등의 세 이슈가 포괄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즉, 일본은 북한 핵·미사일 문제와 납치문제가 포괄적으로 해결되면 북일간 국교정상화 협의가 진전될 것이라는 도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급변하는 대외 환경에서도 매우 천천히 변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체제가 지속적으로 추진되더라도 아베 정권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대북제재를 강화하는 압력을 지속하고자 한다. 나아가 미국이 인도·태평양 전략을 내세우면서 중국과의 전략적 경쟁을 주도하는 과정에서 지역 안보정세는 불안정한 과도기적 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유인하기 위해 미국의 대한반도 영향력이 약화되어서는 안된다고 본다. 따라서 아베 정권은 미국이 대북 관여 가능성을 열고 있는 상황에 유념하여 적극적인 정책 변화를 모색해야 할 시점에 와있다. 2002년 북일 정상회담이 북일관계의 새로운 협력의 전기를 마련했던 것처럼, 아베 정권은 북한과의 대화를 모색하면서 관계변화를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Will the Abe administration’s North Korea policy chan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be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to forecast how it will change in the future. The Abe administration’s North Korea policy began to change after the Singapore summit between the U.S. President Donald Trump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in June 2018, as the relationship among South Korea, the U.S. and North Korea moved toward a positive direction for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eace regime. The Abe administration is broadly seeking to solve the denuclearization issue in the framework of the U.S.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specifically looking at the possibility of dialogue with North Korea in tandem with the change of inter-Korean relations. Japan’s North Korea policy is intertwined with normalization,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threats, and abduction of Japanese citizens. In other words, Japan has a tendency to change very slowly even in a rapidly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 because it has a scheme that Japan-North Korea normalization will advance if both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issues and abduction issues are resolved in a comprehensive manner. In this context, even if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peace regime continue, the Abe administration intends to continue the pressure to strengthen sanctions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until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is achieved. In addition, the U.S. is promoting the Indo-Pacific strategy in the midst of the regional instability in the process of leading the strategic competition with China. In this situation, Japan does not think that the U.S. should be weakened to influence the regional stability in order to fully induc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herefore, the Abe administration should look for positive policy changes, keeping in mind the U.S. engagement with North Korea. As Japan-North Korea summit in 2002 provided the new cooperation between the two, it would be better for the Abe administration to pursue a policy change toward North Korea while seeking dialogue with it.

      • KCI등재

        아베정치와 북일 관계 : 납치문제의 정치화, 북핵위협의 안보화

        윤대엽 ( Dae-yeob Yoon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일본공간 Vol.30 No.-

        2012년 12월 위기돌파내각을 표방하며 출범한 아베 내각은 2020년 9월까지 최장기 집권을 통해 경제회생, 사회안전, 안보개혁 등 포괄적인 국가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퇴임연설에서 직접 언급한 것처럼 납치문제는 미완의 통한으로 남았고 북핵위협에 대응하는 대북정책도 제재와 대화, 대화와 제재, 대화 없는 압박, 조건 없는 대화 등 변화가 계속되었다. 아베 내각의 대북정책을 결정한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아베-김정은 시기 납치문제, 북핵위협이 어떻게 일본의 국내정치와 연계되어 대북정책에 영향을 미쳤는지 검토한다. 본 연구의 핵심 주장은 세 가지다. 첫째, 김정은 체제에 대한 미국과 국제사회의 대응이 지체되는 가운데 아베 내각은 납치문제를 정치화하고 북한에 접근했다. 둘째, 2016년 이후 북핵문제가 악화되고 트럼프 정부가 최대한의 압박으로 대응하자 아베 내각은 북핵위협을 안보화하고 자위대를 부가하는 개헌전략으로 활용했다. 셋째, ‘대화와 압박,’ ‘대화 없는 압박’, 그리고 ‘조건 없는 대화’ 등 아베 내각의 대북전략의 변화는 납치문제, 북핵문제를 국내정치와 연계하는 아베정치의 결과다. The Abe cabinet, which was launched under the goal of a crisis-breaking cabinet, has promoted comprehensive national reforms such as economic revitalization, social safety, and security reform. However, as Prime Minister Abe mentioned in his resignation speech, the abduction issue remained unresolved, and the North Korean policy continued to change between sanctions, dialogue and pressure. What factors determined the Abe cabinet’s North Korea policy? This study examines how the abduction issue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were linked to Japan’s domestic politics and affected North Korea policy. There are three main arguments of this study. First, while the U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response to the Kim Jong-un regime was delayed, Abe’s cabinet politicized the abduction issue and approached North Korea. Second, as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orsened after 2016 and the Trump administration responded with maximum pressure, the Abe cabinet used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s a constitutional amendment strategy. Third, changes in the Abe cabinet’s strategy toward North Korea, such as “dialog and pressure,” “pressure without dialogue,” and “dialog without conditions,” are the result of Abe’s politics that link the abduction issue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ith domestic politics.

      • KCI등재

        전후 납북자 문제의 법제도적 과제

        박정원 평화문제연구소 2011 統一問題硏究 Vol.23 No.2

        납북자 문제는 남북 간 현안이 되었으며, 납북피해자 (납북자 및 그 가족)에 대한 인권보호 및 지원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입법이 이루어졌다. 특히 납북자가족이 납북자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법적 소송을 제기하는 상황에서 납북자문제에 관하여 법제도적 대응방안이 요청된 것이었다. 이후 전후 납북자 및 그 가족에 대한 지원입법과 함께 전시 납북자명예회복을 위한 입법적 조치도 마련되었다. 이러한 입법조치로 납북자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부의 의지와 노력이 현실화될 수 있었다. 그렇지만 모든 문제들을 해결할 수없었으며 새로운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대두하고 있다. 납북자문제 해결을 위한 입법적 대응에 대해 개관하고, 우리의 국내법적 대응에서 나아가 보다 근본적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찾고자 한다. 납북자문제의 법제도적 과제를 분석하고, 나아가 북한의 납북 행위와 이로 인한 피해에 대해 국제적 차원의 문제를 제기하여 국제적 관심을 환기하는 동시에 이와 관련한 법제도적 접근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납북자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정부와 민간, 국제사회의 역할을 조명함으로써 전후 민간인 납북자문제를 제도적으로 해결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납북자문제는 그 원인이 북한에 있는 만큼 북한과의 납북에 대한 책임소재 및 권리회복차원의 협상이 요구되고 있다. 납북자문제는 정치적 문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정책적 사안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며, 인권차원에서 국내적 차원은 물론이거니와 국제적 차원의 대응도 적극 고려하여야 한다. 납북자문제는 정부 당국과 함께 인권차원의 국내외적 문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서의 해결방안에 대한 접근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대두된다. 여기에는 정부 당국과 인권 단체 등의 역할이 요청되고 있다. 납북자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보다 국제적인 연대를 구축하는 동시에 국제사회의 법제도적 체제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유용한 접근방법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introdues legal methods applicable in solving the abduction problem, By moving past our domestic legal remedies and looking for alternative measures to address more fundamental problems related to the issue. In other words, it will analyze the legal challenges of the abduction problem, and move forward to focus on the international problems that result from the damages caused by North Korea’s abductions, thereby garnering att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le seeking the appropriate legal solutions. By highlighting the roles of governments,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civil society, this approach will be helpful in institutionally solving the problem of people abducted after the war. To prevent North Korea’s abductions and to hold North Korea accountable, a different approach is needed. To perceive the abduction issue as a universal human rights issue and make it an international matter of concern is desirable. There may be many ways to end this problem. What has been considered in this paper is only a part of them-legal support for post-war abduction victims and an institutional approach on an international scale. There still remains the problem of post-war abductees. The Act on Support of Post-War Abduction Victims is a new step towards solving this problem. Current discussion at the National Assembly on revising related legislation is also a process of seeking a constructive solution. The abduction issue is caused by North Korea.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regarding the responsibility of abductions and restoration of rights should take place. In that sense the abduction issue is a political one, thus a policy approach is much needed. In addition, the human rights approach must be extended from the domestic to the international plane. The abduction issue includes many human rights issu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roles of the government, human rights organizations and NGOs are critical.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coalition and utilization of international legal institutions would be helpful. Since submitting the abduction issue t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quires much legal judgments and scrupulous procedural approach, systematic preparation should take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