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opic Sentiment Analysis in Chinese News

        Ouyang Chunping,Zhou Wen,Yu Ying,Liu Zhiming,Yang Xiaohua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media and Ubiquitous Vol.9 No.11

        Sentiment analysis in news is different from normal text sentiment analysis. News usually have a specific topic, a focus semantic emotion, therefore, this paper, based on the principal of using Emotion Dependency Tuple (EDT) as the basic unit of news emotion analysis, resolves topic sentiment analysis in news into three progressive sub-problem, namely, topic sentence recognition, EDT extraction and topic sentiment analysis. We use an improved TF-IDF and cross entropy to extract feature set of topics. Then, based on space vector model, calculate the topic association of a sentence and extract topic sentence. Finally, we construct topic sentence based on EDT and complete clustering of news topic sentiment. This method is evaluated using COAE2014 dataset, and differential means shows that our results close to the best results. This shows that the topic based EDT could effectively improve performance of sentiment analysis in news.

      • KCI등재

        한국신문의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양상의 차이와 이유 연구

        오대영(Day-Young Oh)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1 No.1

        21세기 들어 아시아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한국과 아시아 국가 사이에 인적, 물적 교류도 크게 늘고,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접어들면서 아시아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올바른 이해가 더욱 중요해졌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신문의 아시아에 대한 보도양상이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 4개 신문이 2011년에 보도한 1786개의 국제뉴스 내용을 분석해서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양상의 차이와 이유를 알아봤다. 보도량에서는 아시아(45.7%)보다 서구(54.3%)뉴스가 많았다. 아시아 뉴스에서는 부정적인 뉴스가 가장 많았으나, 서구뉴스에서는 부정적인 뉴스가 가장 적고 중립적 또는 긍정적인 뉴스가 가장 많아 한국신문은 아시아보다 서구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태도를 보였다. 국제뉴스를 도덕ㆍ정의, 정치, 경제ㆍ과학, 사회, 외교ㆍ국방, 인간적 흥미, 인물 등 7개의 주제로 분류했다. 주제별 보도량을 보면 아시아에 대해서는 외교ㆍ국방, 도덕ㆍ정의, 정치 등 경성기사를 많이 보도했다. 서구에 대해서는 경성기사 이외에 인간적 흥미, 인물 등 연성기사도 많이 보도해 아시아보다는 다양한 뉴스를 전달했다. 경성기사에서는 부정적인 태도가 가장 많았고, 연성기사에서는 긍정 또는 중립적인 태도가 가장 많았다. 그 결과 한국신문의 국제뉴스는 아시아에 대해 부정적이고, 서구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태도를 나타내게 됐다. 미디어, 정부, 민간조직, 개인, 자료 등 5개의 핵심 정보원 가운데 미디어만이 서구와 아시아에 대한 보도태도의 차이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아시아 미디어 정보원은 서구 미디어보다 아시아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를 많이 했다. 서구 미디어 정보원은 아시아에 대해서는 부정적, 서구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보도를 많이 했다. 그런데 한국신문은 동아시아를 제외한 지역의 뉴스에서는 전적으로 서구미디어를 핵심 정보원으로 활용했다. 이에 따라 한국신문의 국제뉴스는 서구중심적이 되고, 아시아에 더 부정적인 보도를 많이 하게 되었다. 한국신문의 서구와 아시아에 대한 보도양상은 많이 보도한 주제와 외국 미디어 정보원 의존 형태에 따라 달라졌다. 한국신문은 특파원 등을 활용한 직접 취재, 인터넷을 이용한 아시아 매체활용 확대 등으로 아시아에 대해 다양한 뉴스를 전달해야 한다는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Asia is developing rapidly in 21st century.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Asian countries have greatly increased. Korea entered the multicultural society. It became important for Korean people to understand Asia more correctively. Korean media can play a key role for this. In this point, I analyzed 1786 news contents reported in 2011 by four Korean newspapers(Chosun Ilbo, Dong-A Ilbo, Hankyoreh newspaper, Kyungh Kyunghyang Daily News), to see differences of Asia and West news aspect and its reason, focusing on news topic, amount of news, news tone and foreign media sources. In amount of news, the percent of West(54.3%) was higher than that of Asia news(45.7%). In news tone, negative news were the most in Asia news, but the least in West news. Korean newspaper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 West than Asia. 1786 news were classified into seven topics(morality and justice, politics, economics and science, society, diplomacy and national defense, human interest, people). In news amount of seven topics, Korean newspapers reported hard news like morality and justice more than soft news like human interest about Asia. However they reported many soft news about West besides hard news. In news topics and tone, hard news showed negative tone most and soft news showed neutral or positive tone most. As a result, Korean news showed the negative attitude to Asia and the positive to West. Among five main sources(media, government, private organization, individual and material), only media source affected the differences of news attitude to Asia and West. Asia media source took the more positive attitude to Asia than West. West media took the negative attitude to Asia most and the neutral attitude to West most. Korean newspapers used West media as main sources in the news of all areas except East Asia. As a result, Korean newspapers showed the West-centered-attitude and reported the negative news more than neutral and positive about Asia.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newspapers had better increase Asia news in diverse spheres by the direct reporting of the correspondent and the more use of Asia media through the internet.

      • KCI등재

        뉴스 매체 신뢰도의 결정요인에 대한 시기별·매체별 비교 분석

        오정호(Jeongho Oh)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2

        본고의 연구 목적은 뉴스 매체 신뢰도의 결정요인을 시기별로, 그리고 매체별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갈수록 세분화되는 온라인 뉴스 미디어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뉴스 매체 신뢰도의 결정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2010년, 2015년, 2019년 자료에 근거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과 매체를 달리해도 일관된 방향으로 효과를 나타내는 결정요인으로는 일반적 신뢰 성향을 반영하는 기타 직업군 대한 신뢰를 들 수 있다. 이 외에 정치적 신뢰를 반영하는 정치인·공직자 신뢰, 뉴스 매체 노출, 주관적 사회 계층도 다소 일관성을 유지하는 결정요인이다. 둘째, 매체를 달리해도 일관된 방향으로 효과를 나타내는 결정요인으로는 뉴스 주제 관심도, 새로운 온라인 매체를 언론으로 인정하는가의 여부, 뉴스 출처의 확인을 들수 있다. 셋째, 시간과 매체를 달리하면 다소 상이한 효과를 나타내는 결정요인으로는 수용자의 정치적 이념 성향과 언론인에 대한 평가를 들 수 있다. 넷째,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거나 경시되었던 결정요인은 주관적 사회계층, 뉴스 주제 관심도, 언론인 평가, 언론 인정 여부, 뉴스 출처 확인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모든 뉴스 매체에 적용되는 결정요인으로는 주관적 사회 계층, 언론인에 대한 평가, 뉴스 주제의 관심도가 있다. 특히, 언론인의 영향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온라인 뉴스 매체의 신뢰가 낮아진다는 효과, 경성 주제보다 연성 주제의 관심이 높을수록 온라인 뉴스 매체의 신뢰가 높아진다는 효과 등은 주목할 만한 결과다. 그리고 온라인 뉴스 매체에만 적용되는 결정요인으로는 새로운 매체를 언론 매체로 인정하는 태도와 뉴스 출처의 확인이 있는데, 이 결정요인들은 모든 유형의 온라인 뉴스 매체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determinants of news media trust by period and by media. In order to analyze the determina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data from 2010, 2015, and 2019.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ust in other occupational groups, which reflects generalized trust, showed a consistent effect in different times and media. In addition, trust in politicians and public officials, which reflect political trust, exposure to news media, and subjective social class showed somewhat consistent effects at different times and media. Second, the determinants that show the effect in a consistent direction even with different media include interest in news topics, a dummy variable indicating whether or not new online media is recognized as news media, and online news authorship verification. Third, the determinants that show different effects when time and media are changed include the audience"s political ideological tendencies and the evaluation of journalists. Fourth, determinants that were not addressed or neglected in previous studies include subjective social class, interest in news topics, evaluation of journalists, whether new online media are recognized as news media, and online news authorship verification. Among these, determinants applied to all types of news media include subjective social class, evaluation of journalists, and interest in news topics.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influence of journalists, the lower the trust of online news media. Also noteworthy is the analysis result that the higher the interest in soft topics than in hard topics, the higher the trust of online news media. And the determinants applied only to online news media include a dummy variable indicating whether or not new online media is recognized as news media and online news authorship verification. These determin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rust in all types of online news media.

      • KCI우수등재

        Latent Dirichlet Allocation 기법을 활용한 해외건설시장 뉴스기사의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

        문성현,정세환,지석호 대한토목학회 201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8 No.4

        해외건설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현지 시장의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수익성 창출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뉴스기사 데이터는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관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시장의 상황을 파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좋은 데이터이다. 텍스트의 형태로 존재하는 대량의 뉴스기사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내용을 요약하는 과정에서 인력, 비용, 시간의 소모를 줄이기 위해 텍스트마이닝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뉴스기사에 다양한 주제가 공존한다는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보 추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방법론을 사용하여 토픽 모델링을 수행했다. 문서 집단에 존재하는 주제의 개수가 10개라고 가정했을 때, 이용자들의 편의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2번 주제)와 아프리카 지역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민간 차원의 지원(4번 주제) 등의 주제 집단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이 문서 집단의 주제를 구분함으로써 더욱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요약 결과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Sufficient understanding of oversea construction market status is crucial to get profitability in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 Plenty of researchers have been considering the news article as a fine data source for figuring out the market condition, since the data includes market information such a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 Since the text data exists in unstructured format with huge size, various text-mining techniques were studied to reduce the unnecessary manpower, time, and cost to summarize the data.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extract the needed information from the news article because of the existence of various topics in the data. This research is aimed to overcome the problems and contribute to summarization of market status by performing topic modeling wit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With assuming that 10 topics existed in the corpus, the topics included projects for user convenience (topic-2), private supports to solve poverty problems in Africa (topic-4), and so on. By grouping the topics in the news articles, the results could improve extracting useful information and summarizing the market status.

      • KCI등재

        제주지역 TV방송 뉴스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이지현 ( Ji Hyeun Lee ),고영철 ( Young Churl Ko ) 한국지역언론학회 2008 언론과학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제주지역 지상파 TV방송뉴스 토픽의 주제 및 정보원 유형의 다양성 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약 7개월의 걸친 표집기간 가운데서 체계적인 표집방법을 통해 추출한 2주간 분량의 세 개의 지상파TV방송의 저녁 뉴스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방송뉴스에서 가장 많이 다루는 주제는 행정/지자체, 경제/산업, 범죄/사고, 정치등과 관련된 뉴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환경과 공해, 복지/보건, 스포츠 관련 뉴스의 보도비율은 매우 낮았다. 둘째, 제주지역 방송뉴스 중에 다른 방송사에서 다루지 않는`독특한 뉴스`의 비율이 `중복된 뉴스`의 보도비율보다 곱절 더 많았다. 즉 전체 뉴스 중 `독특한 뉴스`의 비율이 전체 뉴스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했으며, 제주지역 세 개 방송사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한 지역내의 경쟁 방송사들간에 보도내용이 차별화될수록 지역사회의 여론이 그만큼 다양해진다는 점을 고려하다면, 이 같은 결과는 제주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아주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보아진다. 셋째, 취재원의 유형과 수에서는 다양성을 찾아볼 수가 없었다. 제주지역방송뉴스는 뉴스 아이템 1건당 평균1.47개의 취재원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 세 개 TV방송 모두가 취재원으로 지방행정기관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기업/경제인, 교육기관, 중앙정부, 법원/경찰 등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뉴스의 취재원이 사회지배계층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는 것이 본 연구에서도 재차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ventional practice of TV broadcasting news reporting in the Cheju Island region, and its characteristics. Towards this end, following the selection of three kinds of research issues, the contents of two weeks`evening news obtained from three different broadcasting systems, which were sampled over a period of seven months using a systematic sampling method,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ppear to be the most covered topics in regional TV news are the administration/self-governing local governments, the economy/industry, crimes/accidents, and politics. On the other hand, the reporting on the following areas appear to be far too low: the environment and pollution, welfare/health, and sports. (2) The ratio of unique news, which other broadcasting systems do not have, is double the ratio of the repeated news in the TV broadcasting news programs aired in Cheju Island. In other words, unique news account for more than two-thirds of the total news.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three broadcasting systems in Cheju Island. Given the fact that the public opinions in a local community become diversified as the competing broadcasting systems in the region differentiate their reporting contents, it may be argued that such results are desirable for the development of Cheju Island. (3) No diversity was found in the types and number of news sources. TV news broadcasting in Cheju Island appears to involve an average of 1.47 news sources per news item. Moreover, the local public authorities appear to be the favorite news source of the three TV broadcasting systems in Cheju Island, followed by enterprises/businesspeople, educational institutes, the central government, and courts/police, in this order. Furthermor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sources of broadcasting news predominantly focus on the governing classes in the society.

      • KCI등재

        지상파TV 뉴스의 다양성 및 중복성에 관한 연구

        정수영(Soo-Young Jung),구지혜(Jihae Goo) 한국방송학회 2010 한국방송학보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다매체 다채널 환경 하에서의 지상파TV 뉴스의 내용적 특징을 밝혀내고, TV뉴스의 다양성과 중복성이 지니는 새로운 함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2009년에 방송된 KBS, MBC, SBS의 저녁 종합뉴스 프로그램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총 1,942개 뉴스 항목의 주제와 취재원, 채널 간 의제 중복도에 관한 실증 분석을 하였다. 〈연구 문제 1〉은 지상파TV 3사의 저녁 종합뉴스 프로그램에서 보도된 뉴스의 주제 및 취재원의 다양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뉴스 주제는 사건/사고, 법조/검찰/비리, 국제/해외 뉴스가 많았다. 취재원의 경우, 정부/행정기관과 익명/불분명 유형이 가장 많았는데, 방송 3사 간에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 할 수 있었다. 뉴스 주제별 취재원 분포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정치/행정 뉴스에서는 익명/불분명 취재원 비중이 높았고, 일반인 취재원은 연성뉴스에 치중되어 있는 등, 취재원의 편중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문제 2〉는 뉴스 의제의 채널 간 중복도를 살펴보고, 채널 간 중복 유형에 따른 주제 및 취재원 분포의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채널 간 중복도는 ‘단독보도’ 37.3%, ‘2사 중복’ 15.3%, ‘3사 중복’ 47.4%였다. 중복 유형별 뉴스 주제 및 정보원 분포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뉴스 매체로서의 지상파TV가 지니는 사회적 위상과 뉴스 채널 간의 배타적 시청이라는 특성을 결부시켜 보면, 지상파TV는 공적 영역의 뉴스를 보편적으로 전달해야 한다는 전통적 가치와 원칙에 보다 충실해야 한다. 의제 중복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의제 중복성을 단지 획일화로 규정 하거나 뉴스의 개별성 또는 독특성을 다양성으로 규정하는 기존의 해석과 논의의 틀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 un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errestrial TV News under multimedia multichannel environment, investigated TV news’ diversity and duplication possessed the new implications. And we analyzed a total of 1942 news items and source, channel -agenda of duplication rate about evening news program aired on KBS, MBC, SBS in 2009. Research question 1 is analyzing diversity of the terrestrial TV 3’s evening news program reported news subjects and sources. In the results, most of news topics are events/accidents, legal/prosecution/corruption, international and foreign news. For the sources, the government/administrative agencies and anonymous /unknown type took the majority, and in each of three broadcast st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 range of news topics’ source distribution had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ource bias phenomenon has been observed in politi cal/administrative news had a large part of anonymous/unknown sources, and the public sources focused on soft news. Research question 2 is the checking of duplication rate on news agenda among each channel and investigating of the subjects for channels of duplication types or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s distribution. The results showed that duplication rate of channels were 37.3%, 15.3%, and 47.4% for exclusive coverage, Duplication in two broadcasting stations, and duplication in 3 stations respectively. News subject of duplication type and sources distribution was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our findings, since the terrestrial TV channels of news agenda duplication is inherent in the side of social agenda formation and consensus,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need to escape the existing interpretation and framework that terrestrial TV channels of news agenda duplication terms as standardization, and individuality or uniqueness of the news represent diversity

      • KCI우수등재

        온라인 환경에서의 뉴스프레임 형성

        양정애(JungAe Yang),김은미(Eun-mee Kim),임영호(Yung-Ho Im) 한국언론학회 2012 한국언론학보 Vol.56 No.1

        This study aims at empirically investigating how writing news stories differs, depending on who wrote them, in the online news ecosystem. For thorough comparisons, four distinct news topics were carefully selected based on their news attributes (hard vs. soft news, and figure-centered vs. issue-centered), and all the related online posts (news reports, blog posts, etc.)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five typical generic news frames. Major findings from a content analysis with 1998 posts were as follows. First, news websites, of traditional press, broadcasting, and news agency in particular, mainly reported hard news, whereas blogs and online communities focused on soft news. It is also remarkable that Internet-based news outlets posted hard and soft news in similar proportions. Second, hard news stories were heavily featured with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and conflict frames, but soft news stories were more frequently framed in human interest and morality. Lastly, traditional news organizations preferred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and conflict frames; human interest and morality frames had a slight edge in blog and online community posts; none of the five generic frames were dominant in the news reports of online news sites.

      • KCI우수등재

        뉴스와 소셜 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기반 가짜 뉴스 탐지 방법론

        현윤진(Yoonjin Hyun),김남규(Namgyu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18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3 No.4

        최근 가짜 뉴스가 분야를 막론하고 전 세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현대경제연구원에서는 이러한 가짜 뉴스로 인한 피해 규모가 연간 약 30조 9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하였다. 정부에서는 “가짜 뉴스 찾기”를 주제로 “인공지능 R&D 챌린지” 대회를 개최하여 가짜 뉴스를 가려낼 인공지능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첫 걸음을 내딛고 있으며, 민간 차원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팩트 체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학계에서도 가짜 뉴스를 탐지하기 위한 시도가 전문가 기반, 집단지성 기반, 인공지능 기반, 시맨틱 기반 등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조작의 정밀도가 높을수록 뉴스 자체에 대한 분석만으로 진위 여부를 식별하기가 더욱 어렵다는 한계를 경험하고 있으며, 가짜 뉴스 탐지 모델의 정확도가 과평가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짜 뉴스 탐지 모델 정확도의 공정성을 확보하고, 뉴스의 내용뿐만 아니라 해당 뉴스에 대한 반응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한 광범위한 소셜데이터를 활용하여 뉴스의 진위 여부를 판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Recently, fake news has attracted worldwide attentions regardless of the fields. The Hyundai Research Institute estimated that the amount of fake news damage reached about 30.9 trillion won per year. The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to develop artificial intelligence source technology to detect fake news such as holding “artificial intelligence R&D challenge” competition on the title of “searching for fake news.” Fact checking services are also being provided in various private sector fields. Nevertheless, in academic fields, there are also many attempts have been conducted in detecting the fake news. Typically, there are different attempts in detecting fake news such as expert-based,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nd semantic-based. However, the more accurate the fake news manipulation is, the more difficult it is to identify the authenticity of the news by analyzing the news itself. Furthermore, the accuracy of most fake news detection models tends to be overestima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rst propose a method to secure the fairness of false news detection model accuracy. Secondly, we propose a method to identify the authenticity of the news using the social data broadly generated by the reaction to the news as well as the contents of the news.

      • KCI등재

        뉴스 소비의 새로운 인식: 뉴스파인즈미(News-Finds-Me)와 전통매체를 통한 뉴스 소비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장근(Lee, Jang Geun),강재원(Kang, Jae Wo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뉴스를 소비하는 개인이 의도적으로 뉴스를 찾아보는 행위 없이도 사회적으로 중요한 쟁점들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뉴스파인즈미(News-Finds-Me; NFM)의 개념을 하나의 뉴스 소비 형태로 보고 소셜미디어(SNS)의 이용, NFM 인식, NFM 만족도, 전통매체를 통한 뉴스 이용의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또한, 뉴스의 주제를 경성/연성으로 구분한 후 NFM 인식과 NFM 만족도에 뉴스 주제별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인터넷 사용량이 높은 20-30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먼저 SNS 이용량은 NFM 인식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NFM 인식은 전통매체를 통한 뉴스 이용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FM 뉴스 만족도는 NFM 인식과 전통매체를 통한 뉴스 이용의도와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NFM 인식이 높고, NFM 뉴스 만족도가 높은 경우 전통매체를 통한 뉴스 이용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경성뉴스 이용은 NFM 인식과 부(-)적 관계를 나타낸 것과 반대로 연성뉴스 이용은 NFM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NFM 뉴스 만족도의 경우 뉴스 주제에 상관없이 모두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이 나타났다. This study considers "News-Finds-Me" (NFM), the concept that individuals who refrain from intentionally searching for news can continue to obtain information on socially important issues without intentionality, and its relationships with SNS usage, NFM perception, NFM satisfaction, and using traditional media. Categorizing news topics as either "hard" or "soft", we examined the influence news topics had on NFM perception and NFM satisfaction. Through a survey targeting those in their 20-30s, a cohort with high internet usage, this study found that as SNS usage increases, NFM perception increases, and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news-finding intentionality in traditional media. Furthermore, NFM satisfaction was found to indirectly influence NFM perception and intentionality in traditional media. Lastly, while the degree of influence on NFM perception depended on whether the news topic was considered hard or soft new, both categorie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s for NFM satisfaction.

      • KCI등재

        가짜뉴스 연구 메타분석

        남승헌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Meta-analysis of Fake News ResearchSeunghun Nam Abstract: This paper researched fake news papers published so far in order to analyze a comprehensive trends by year. This research conducted a comprehensive meta- analysis on fake news papers. Meta-analysis was conducted in a diagnostic method and subtopic method that intensively studied a specific theory, concept, or methodology. The number of journal articles, the nature of academic journals, and the researcher's major were analyzed by year, and the trend was identified by analyzing the research topics. In addition, in-depth meta-analysis was conducted regarding regulation and improvement plans. As many of the published papers are focused on regulatory or policy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re may be controversy over various side effects (such as freedom of expression or excessive legislation). It seems desirable for future research to be conducted more 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or self-regulation than legal regulations or policies. Key Words: Fake News, Fake News Research Topic, Trend of Fake News, Regulation of Fake news, Improvement Plan of Fake News 가짜뉴스 연구 메타분석남 승 헌* 연구 목적: 이 논문은 지금까지 나온 가짜뉴스관련 논문에 대해 연도별로 경향성을 분석한 종합적인 연구를 위하여 서술하였다. 연구 방법: 진단형적인 방법과 더불어 특정 이론이나 개념, 또는 방법론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소주제형의 방법으로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연도별로 논문편수, 학술지의 성격, 연구자의 전공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주제들에 대해 분석하여 경향을 파악했다. 그리고 규제 방안, 규제 개선안에 대해 심도 있는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발표된 논문의 상당수가 규제나 정책연구에 치중되어 있어 여러 가지 부작용들(표현의 자유나 과잉입법 등)에 대해 논란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는 법적인 규제나 정책보다는 교육이나 자율규제에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진다. 핵심어: 가짜뉴스, 가짜뉴스 연구주제, 가짜뉴스 경향성, 가짜뉴스 규제, 가짜뉴스 개선안 □ 접수일: 2022년 8월 28일, 수정일: 2022년 9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서울예술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부교수(Professor, Seoul Institute of the Arts, Email: nsh0624@seoularts.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