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아 중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예수의 영향력과 파급효과 분석

        임병학(Leem Byung-Hak)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1 로고스경영연구 Vol.9 No.1

        사회 네트워크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은 네트워크에서 행위자들 간 상호작용, 연계성, 역할 등의 유형을 찾아내어 네트워크 내에 보이지 않는 흐름을 가시화 시키는 시스템 접근법의 연구방법이다. 행위자 (actor)는 네트워크에서 개인 혹은 조직이고, 관계 (relation)는 행위자들 간 연결을 의미한다. 사회 네트워크 분석은 분석 초점에 따라 자아 네트워크 (ego network), 양자 네트워크 (dyadic network), 전체 네트워크 (whole network)으로 구분된다. 사회 네트워크 관점에서 예수는 자신의 네트워크의 중심에 있는 “부름과 따름”에 의한 12명의 제자들과 자아 중심 네트워크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4복음서를 기반으로 자아중심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예수와 제자 간 영향력이 얼마나 되는지 측정하여, 그 영향력의 파급효과를 예측하는 데 목적을 둔다. 예수는 전반적은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었으며, 제자들 중에서는 안드레, 빌립, 요한이 높은 매개 중심성을, 안드레 와 요한이 높은 위세 중심성을, 나다나엘, 다대오, 작은 야고보가 높은 군집 계수를 보이고 있다. 이 지표들을 기반으로 예수의 파급효과가 될 수 있는 제2차 이웃의 평균 연결정도는 친밀한 네트워크보다 2배 이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Social Network Analysis finds a kind of interactions. ties. and roles among actors in network and visualizes an invisible flow within network. Actor may be person, or organization in network, and relation be tie between actors.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analyzing social network, social network is divided into ego-network, dyadic network, and whole network.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network, Jesus centered on network forms an ego-centered network with 12 disciples by “calling and following”. This study builds an ego-centered network based on 4 gospels. measures influence of Jesus and His disciples, and then estimates His ripple effect.

      • KCI등재

        석박사 졸업자의 혁신성과에 지도교수의 발명자 네트워크가 미치는 효과

        추기능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3 지식재산연구 Vol.8 No.1

        Research networks of academic adviso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knowledge transfer from advisor to students while in school, and after graduation. The paper focuses on the role of human networks of academic advisors in the viewpoint of the knowledge transfer, from advisors to students, and from ex-student to employing organization after graduation. Untill recently, literature on networks just describes the properties of networks. On the contrar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network quality on the innovative performance of individuals active in networks. This paper builds up inventive networks using patent co-authorship data during 1993~2002, including 437 professor inventors and their 5,842 ex-students which successfully receive their Master or Ph.D. degrees. Since a single network measure reflects only one aspect of network structure, this paper constructs a composite index by integrating three different measures of network structure based on the methodology proposed by Parag et al.(2010). Using negative binomial regressions, this paper shows that network quality of academic advisors enhances innovativeness of their former students. Among individual measures, network size, which refers to the number of nodes connected to an individual inventor, has significant and positive sign of coefficient estimates.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number of collaborative partners of an academic advisor is the most notable feature of a network structure which affect innovative performance of former students. 대학교수가 형성하는 연구 네트워크는 지도학생의 재학 중 지식습득에 영향을미칠 뿐 아니라, 졸업한 후의 혁신성과에도 영향력을 지니는 네트워크 자산이다. 본 연구는 지도교수로부터 지도학생에게로, 더 나아가 졸업한 지도학생이 몸 담게되는 새 조직으로의 지식전파라는 관점에서, 지식이전에 있어서의 지도교수의 인적 네트워크의 역할에 주목한다. 네트워크 관련 문헌들은 주로 네트워크를 기술(記述)하는데 그쳤으나, 본 논문은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또는 네트워크의 질(network quality)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특허의 공동발명자료(patent co-authorship data)를 이용해 발명자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으며, 1993년∼2002년 동안에 특허를 낸 적이 있는 발명자인 대학교수 437명과 이들 교수들의 지도를 받은 5,842명의 대학원 졸업자로 구성된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개별 네트워크 지수는 네트워크 구조의 한 측면만을 측정하고 있으므로 복합지수(composite index)로서 네트워크의 질(network quality)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네트워크의 질(network quality)의 측정지표인 복합지수(composite index)가 유의한 정(+)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네트워크의 질은 혁신성과를 향상시키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네트워크 구조를 측정하는 개별 지표 중에서는 네트워크의 크기가 유의한 양(+)의 값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지도교수가 얼마나많은 사람들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지가 석박사 졸업생의 혁신성과에 영향력을 미치는 중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 필리핀한인총연합회의 네트워크 특성

        지충남 한국시민윤리학회 2008 한국시민윤리학회보 Vol.21 No.2

        필리핀 한인들의 대표단체인 한인회의 네트워크는 첫째, 산하단체를 포함해 여러 한인단체와 활성화 된 강한연대를 갖고 있었다. 둘째, 외국인 단체 네트워크는 주로 친선, 의료, 봉사 차원에서 교류하고 있었지만, 연대단체가 소수에 불과하며, 약한연대이다. 셋째, 정부기관의 네트워크는 한국 대사관, 필리핀 이민청, 경찰청에 집중되어 있으며, 강한연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넷째, 재외동포재단과 강한연대를 구축하고 있는 반면 모국의 단체와는 단기성 교류가 많은 약한연대이다. 다섯째, 모국의 중앙 정부기관, 지방정부와 네트워크가 있었지만, 약한연대로 평가할 수 있다. 한인회의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단체 간 네트워크는 강한연대 또는 약한연대가 혼재(混在)되어 있었다. 강한연대의 형성 요인으로 민족적 동질성, 신뢰의 구축, 이해관계의 일치, 편익의 증대 등이며, 약한연대는 형식적 교류, 지리적 제약 등으로 나타났다. 한인회의 네트워크 발전을 위한 함의는 첫째, 네트워크의 확산이다. 한인단체에 집중된 네트워크에서 탈피하여 지역의 주류단체와의 네트워크 확대에 적극성을 보여야 한다. 특히 필리핀에서 반한감정을 해소하고 차단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네트워크 확산에 집중하여야 한다. 둘째, 지속적인 네트워크의 유지이다. 단체 간 네트워크 필요성이 약화된다면, 이는 일회성 그리고 형식적 네트워크로 종결될 가능성이 많다. 한인회는 일시적인 필요 또는 보여주기 위한 네트워크가 아닌, 단체 간 이해관계가 일치된 네트워크 구축에 전력해야 한다. 셋째, 한인회 중심의 협력 네트워크의 모색이다. 한인사회의 대표성을 지닌 한인회를 중심으로 동포 간 또는 단체 간 유기적인 협력 네트워크의 구축은 단체 발전의 필수 요건이다. The results of examination in characteristics of the United Korean Community Association in the Philippines(UKCA)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etwork of UKCA, a representative Korean community association in Philippines, was in active and strong solidarity with a variety of Korean community associations including their umbrella organizations. Secondly, it was found that foreigner association networks share social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primarily in favor of friendship, medical care and community services, but there were just a few and weakly consolidated associations. Thirdly, it was found that governmental agency networking converged mainly on Korean Embassy in Philippines, Bureau of Philippines and Philippine Police, and there was a strong solidarity formed among those agencies. Fourthly, it was found that UKCA created strong solidarity with overseas Korean foundations but maintained weak solidarity with related associations in homeland on the basis of short-term exchanges. Fifthly, it was found that UKCA had a weak network wi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gencies in homeland. According to analysis on networking of UKCA,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mbination of strong and weak solidarity relationships formed in a network of associations. Notably, it was found that national identity, established reliability, identical interests and higher benefits were contributors to creation of strong solidarity in networking of UKCA, whereas both formal exchanges and geographical limitations were contributors to weak solidarity. In the interest of developing networks of UKCA,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expand the networking. It is necessary to more positively focus on extending networks into local major community associations beyond conventional networks converged on local Korean community. Particularly, it is important to be more committed to extending local networks as a part of relieving and preventing anti-Korean sentiment in Philippines. Secondly, keep networking on regular basis. If networking needs become compromised among local community associations, networking efforts are likely to end up with temporary and formal networking results. It is required for UKCA to make its best efforts to build up a united local community network to meet interests of all associations, rather than create any ostentatious local community networking to meet temporary needs. Thirdly, explore possible cooperation networks based on Korean community associations.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building a coordinated network in local Korean community and society on the basis of UKCA will become prerequisite to development of local Korean societies.

      • KCI등재

        동아시아 망제정치: 21세기 미국의 군사안보 네트워크 전략

        고봉준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3 평화학연구 Vol.14 No.3

        Recent strategic thinking of the U.S. does reflect a perspective of network politics. One of the prominent scholars in the U.S. posits that now the measure of power is connectedness, emphasizing that war, diplomacy, business, society, and religion are all networked. This article tries to explain changes in U.S. security-military strategies by employing the perspective of network politics. Toward this end, this article, first, discusses some of the main concepts of network power, and introduces social-network theory and actor-network theory to address main characteristics of GPR and missile defense network of the U.S., respectively. The main argument of this article is, since the ordering of international relations follows the way the network politics perspective describes, it is necessary for us to face up to the reality of current events in which various actors and issues are mutually connected. Then, we should also properly understand structures of the networks we belong to and ponder ways of utilizing a niche for networking as a middle power within the networks. And the chance of success in the work can be largely increased by adopting proper approaches of network politics. 최근 미국의 전략적 고민에는 네트워크 세계정치에 대한 인식이 반영되어 오고 있다. 연결성(connectivity)을 극대화할 수 있는 미국의 고유한 능력이 21세기도 미국의 세기로 만들 것이라는 주장의 핵심에는 전쟁, 외교, 비즈니스, 미디어, 사회, 종교 등 세계의 모든 부분이 이미 네트워크화하였고, 권력의 척도는 바로 연결(con- nectedness)에 있다는 시각이 자리하고 있다. 이 글은 최근 미국 군사안보 전략의 변화의 모습을 네트워크 세계정치론의 관점을 도입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권력 정치의 특징적인 모습에 대해 논의하고, 미국이 동아시아에서 구상하고 있는 군사안보 네트워크를 정의하기 위해 사회-네트워크이론(social- network theory)과 행위자-네트워크이론(actor- network theory)을 각각 원용하여 미국의 해외주둔미군재배치(Global Posture Review: GPR)와 미사일방어 네트워크 구축을 정리한다. 이 글의 핵심 주장은 만약 국제정치의 조직 원리가 네트워크적 방식을 따른다면 다양한 행위자들과 많은 이슈 영역들의 연계가 중요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구조로서의 네트워크를 보다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동시에 중견국으로서 네트워킹이 가능한 부분을 찾아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고민이 필요하고, 그 성공 가능성은 네트워크적 관점의 적절한 적용을 통해 증진될 수 있다는 것이다.

      •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Agent Model for One-way Data Transfer System

        Young-Chul Oh,Mi-Ran Han,Yongtae Shin,Jong-Bae Kim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Smart Home Vol.9 No.10

        In order to protect an internal system from malicious attacks outside, a trial of separating a network logically and physically is made these days. Still, physical network separation is vulnerable to social engineering hacking. For the reason, main organizations in charge of national infrastructure facilities need to establish a safer network. The control system of the organizations is separated from business network and is being operated in a closed environment, however, their hacking accidents, such as data leakage by security USB loss and virus infection over the internet, occurred. In the circumstance, it is hard to ensure that the control system being separated from business network is safe. If control information in a business network is sent to a control system without any control, it is possible to cause massive damage to the national system. Accordingly, this thesis proposes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The proposed system receives and processes information which is sent to a business network from a control system, but does not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of a business network. In this way, under any circumstances, it is impossible to access an infrastructure system via an internal control network from an outside network,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otect national infrastructure facilities safely.

      • KCI등재

        종단 네트워크 측정 및 분석

        임현정(Lim, Hyunjung),김종민(Kim, Chong Mi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8 교육평가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네트워크 분석 기법인 stochastic actor-oriented models(SAOM)을 적용하여 종단 네트워크를 측정 및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경기도 소재 한 개 초등학교의 5학년 전체 111명(남: 56, 여: 55)을 2년 간 총 4회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측정 전 시점에서 친구 네트워크가 도움 네트워크보다 밀도, 평균연결정도, 총 연결 수는 높았다. 집중도는 5학년 시기 도움 네트워크가 친구 네트워크보다 낮았지만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도움 네트워크가 친구 네트워크보다 상호적 연결의 비율은 낮고, 비대칭 연결의 비율은 높게 나타나 도움 네트워크의 두 행위자 간 역할의 구분이 보다 명확하게 구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종단 네트워크의 내생효과(밀도, 호혜성, 전이적 삼자관계, 순환적 삼자관계) 분석 결과는 친구 및 도움 네트워크에서 모두 유의하였으며, 두 네트워크에서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셋째, 선택효과 분석 결과, 친구 및 도움 네트워크에서 같은 학급이 거나 같은 소그룹에 소속될 경우 네트워크를 선택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같은 소그룹 소속여부는 같은 학급 소속여부보다 네트워크 선택에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와 학업성취도 요인은 활동성, 대중성, 유사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는데, 친구 및 도움 네트워크에 각각 다른 영향력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향효과 분석 결과에서 친구 네트워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도움 네트워크의 변화는 숙달목표 지향성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longitudinal networks and analyze these using stochastic actor oriented model(SAOM). We collected longitudinal networks data from 5th grade students (boys: 56, girls: 55, N=111) among four classes in one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The data of friend networks and help networks were measured four times from 5th through 6th grades over a period of two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he density of friendship networks was at a higher level compared to help networks, whereas the centralization of friendship networks was at a lower level than help networks over time. Second, friendship networks showed a higher numbers of mutual ties and a lower numbers of asymmetric ties compared to help networks from T1 to T4. Third, the ‘maintain’ of networks was less than the ‘emerge’ or ‘dissolve’ in help networks from T1 to T3. Fourth, endogenous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ween friendship networks and help networks. The same classrooms and the same cohesive sub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friendship networks and help networks. Fifth, the mastery goal was positively related to help networks in activity. the performance avoidance goal was negatively related to help networks. But the performance approach goal was positively related to friendship networks in activity. Sixth, the performance approach goal was negatively related to friendship networks in popularity. Seventh, the mastery goa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a similarity effect of friendship networks. Finally, the influence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help networks.

      • 네트워크 중립성과 방송통신위원회의 규제 근거

        이주연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1 Law & technology Vol.7 No.1

        네트워크 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대역 통신 네트워크 사업자가 네트워크에 과다한 트래픽을 유발하는 P2P 등 일부 통신에 대한 통제 권한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반면 네트워크 사업자가 일부 네트워크 통신을 제한하는 것은 네트워크 중립성에 위배된다는 주장도 있다. 네트워크 중립성은 모든 인터넷 콘텐츠가 모든 네트워크 사업자에 의해 동등하게 처리되고 어떠한 차별도 없어야 한다는 개념으로 ① 비차별성, ② 상호접속성, ③ 접근성을 그 내용으로 한다. 네트워크 중립성 원칙을 받아들여야 할지에 대해 찬반 논란이 있으나, 네트워크 시장이 과점시장에 가깝고 네트워크에 공공재적 성격이 있음을 감안할 때 네트워크 중립성 원칙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먼저 콘텐츠의 내용을 근거로 통신을 제한하는 것은 심층 패킷 조사를 전제로 한 것인데, 이는 검열금지 원칙에 어긋나며 네트워크 이용자의 사생활과 자유를 침해하고, 어떤 내용이 적법한지에 대해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 중립성에 위배된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사업자가 이용자의 접속을 끊어버리거나 우선순위를 두어 전송속도를 제한하는 것도 이용자와의 서비스 제공계약에 따른 의무를 불이행하는 것이고 네트워크 중립성에 위배된다. 과다한 트래픽의 문제는 서비스의 질에 따라 요금에 차등을 두고 그로부터 얻은 수익으로 투자하여 대역폭을 활용, 확대하는 방향으로 해결해야 한다. 최근 미국에서는 네트워크에서 P2P 통신을 제한한 Comcast사에 대해 FCC(미국연방통신위원회,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가 중립성 원칙을 위반했다는 명령을 내렸고, 이 명령에 대해 콜럼비아 주 항소법원의 판결이 있었다. 항소법원은 FCC가 Comcast사를 규제할 법적인 권한을 도출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Comcast사의 손을 들어 주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방송통신위원회가 통신규제를 맡고 있는데, 전기통신사업법,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이 방송통신위원회의 규제 권한에 대해 규정하고 있는 동시에 네트워크 중립성 원칙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 Concerns of network congestion provoked an argument that Network Providers should begranted to restrict file-sharing technologies-like peer to peer networks- which bring about heavytraffic load on their broadband network. But some people oppose to it on the basis of networkneutrality principle. ‘Network neutrality’is a principle that all internet traffic should be treatedequally. It consists of ①Non-discrimination, ②Interconnection, ③Acccess rules. It is difficult toexclude the network neutrality principle completely because broadband network has acharacteristic of public property as well as private property of network providers and its marketstructure is close to oligopoly. First, restricting ‘illegal’of ‘harmful’communication is madepossible by “Deep Packet Inspection”. But it can be against the Constitution and the networkneutrality principle because there aren’t any established criteria to judge what is illegal and harmful.Next, blocking access to network or regulating transmission speeds on the basis of priority is abreach of service providing contract. Prioritizing communications as an internal, unopened policymight result in a violation of the network neutrality. Instead, network congestion problem should besolved in a way to charge extra to a mass-scale communication and to expand current bandwidthand to make better use of it. Recently in US, FCC found that Comcast corporation had oversteppedits network management authority by blocking BitTorrent traffic. As Comcast appealed, UnitedStates Court of Appeals for the District of Columbia ruled that FCC had failed to draw a legal basisto regulate the behavior of Comcast. In Korea,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takes a role toregulate the field of communication and some acts like Telecommunication business act, Internetmultimedia broadcasting act, Utilization of digital network and protection of information act seem tosupport network neutrality principle and provide the legal basis of Korea CommunicationsCommission’s regulation on network providers.

      • KCI등재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시니어 기술창업교육참여자들의 네트워크 활성화 사례 연구

        고세욱(Koh, Sei-Uk),박상혁(Park, Sang-Hyeok),박정선(Park, Jeong-Seon)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지 Vol.1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주도하에 진행되고 있는 시니어 대상 창업교육과정 참가자들의 교육 전‧후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함에 있다. 본 연구는 경남 G대학에서 주관한 시니어기술창업교육을 수료한 대상자 60명을 선발하여 교육 전‧후 친밀도를 분석하고, 참여자들간의 전략적 제휴 정도를 포함하는 관계변화를 분석하였다. 경남 G대학의 시니어기술창업교육은 기술교육과 더불어 참여자 네트워크 형성에 초점을 두어 액션러닝을 기반한 교육을 기획, 진행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상자들 간의 관계에 대해 설문(있다/없다)을 진행하고, 데이터를 수집 및 정제하여 사회네트워크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중심성은 네트워크 내 영향력을 분석할 수 있는 요소이다. 중심성이 높다는 것은 네트워크 내에서 업무와 관련한 영향력과 명성도가 높다는 것과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첫째,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교육전과 교육후 친밀도 기반 네트워크 변화를 분석하고 통계적으로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둘째, 창업교육 수료생이라는 대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창업단계에서 네트워크 내의 참여자 간에 이루 어질 수 있는 전략적 제휴 정도를 분석하였다. 셋째, 전략적 제휴를 기반으로 분석한 자료에서 네트워크 중심성이 높은 대상자들을 추출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추가적으로 확보한 구체적 사례로 서베이 연구를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친밀도 기반 네트워크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인터뷰 결과, 농업기반 창업의 초기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전략적 제휴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전략적 제휴 네트워크에서 중심성이 높은 참여자들은 모두 경남 G대학의 시니어기술창업스쿨 교육과정 중 형성된 네트워크를 창업단계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무형자산으로 생각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시니어를 위한 창업교육프로그램 설계와 창업활성화를 위한 전략의 설계 방향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r network activation through analyzing pre - and post - social networks of the participants in senior technology start-up education. We selected 60 people who completed the senior technology start-up education which was supervised at Gyeongnam G university, analyzing not only density (intimacy) before and after education but also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including the degree of strategic alliances among the participants. Senior start-up education at Gyeongnam G University is characterized by action learning focusing on the formation of network among participants as well as technical education. We conducted the questionnaires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s’ answers of yes or no, gathered and refined the data, analyzing the social network centrality. Network centrality measures the degree of influence in the network. The high centrality means that i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at the influence and reputation associated with work in the network are also high. Specifically, we first analyzed the change of intimacy-based network before and after education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Secondly, we analyzed the degree of strategic partnership (alliances) that can be carried out among participants in the network at the start-up stage. Thirdly, in the data analyzed on the strategic alliance, we selected to interview the people of high network centrality. We complemented the analyses and results of survey data with the concrete examples of interviews. As the result of survey data analyses, changes in intimacy-based network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we were able to confirm the cases of strategic alliances that can be done in the early stages of farm foundation by the interviews. All participants of high centrality in the strategic alliances network regarded the network formed in the senior technology start-up education program as an absolutely necessary intangible asset at the inception stag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network. The results would imply the desirable directions for designing the start-up education program for seniors as well as the strategy of activating start-ups. Last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우수등재

        가상팀의 지식네트워크, IT 활용,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신경식(Kyung Shik Shin),서아영(A Young Suh) 한국경영학회 2009 經營學硏究 Vol.38 No.1

        A virtual team is defined as a group of people that works across space, time, and organizational boundaries with links strengthened by the divers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media. By forming virtual teams, people can easily collaborate with other people and acquire information and knowledge from anywhere and at anytime. However, managing virtual teams is far more challenging than managing traditional teams because ad hoc virtual teams may engage in a lower level of social interacts and supports than their counterparts in face-to-face environments. The problem of how to manage social relationships among virtual team members to increase their performance is considered to be very pivotal and still remains unsolved. Through the lens of social net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specific questions: (1) to what extent should ad hoc virtual teams maintain internal cohesion; (2) whether do virtual team members’ external bridging ties guarantee the higher level of team performance; and (3) how does IT play the role in balancing and harmonizing internal cohesion and external bridging ties for increasing the performance of a virtual team. We investigate these questions with the specific type of social networks; the knowledge networks which contain knowledge or task-related intelligence in the networks. These knowledge networks contain the collective competencies that enable organizational members to produce products and services.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knowledge networks of virtual teams on their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to manage knowledge network among members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a virtual team.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hree-fold. First, we conceptually clarify the properties of knowledge networks that individuals maintain within and outside their work groups: network density and group-level structural holes. Next, by integrating social network theory and CMC related theories, we develop a theoretical framework linking knowledge networks, IT use, and team performance. Third, we examine the interplay among the research constructs and elucidate a complex phenomenon in relations to the forming and managing knowledge networks of a virtual team, which is in short supply in the current literature.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with 172 consultants and 42 virtual teams in 5 global consulting companies in Korea. The study found that increasing network intra-group network density was crucial for better team performance. On the contrary, increasing extra-group structural holes decreased the team performance, contradicting the prevailing wisdom. The most important standpoint is that the effect of knowledge network of virtual teams varied along the level of IT use that is related to communal CMC such as group ware or group decision support systems (GD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how to manage knowledge network by integrating social network theory and computer-mediation communication theory, and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knowledge network and IT use in the context of virtual tea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at optimal knowledge network configurations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a virtual team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IT use.

      • KCI등재

        지역사회서비스 전달 네트워크 거버넌스 유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시 자치구를 중심으로

        이주헌,박치성 한국행정학회 2010 韓國行政學報 Vol.44 No.3

        A search for an efficient and integrative social service delivery network has continued in the field of welfare administration, and an interest in network-based service delivery has exploded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questions of who and how to manage or govern the networks have never been seriously taken up.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patterns of network-based service delivery, based on the models of network management addressed by Provan and Kenis,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despite the high level of institutional similarity, the two local governments of Song-pa Gu and No-won Gu actually have dissimilar service delivery network systems. This study identifies two types of network management models in social service delivery networks, of which the network administrative organization (NAO) model represents Song-pa Gu, while the No-won Gu network is defined as a mixed model of the NAO model and the lead-organization mode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rgues that the 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of social service delivery would not be effective at the local level, and service delivery by network without consideration of local context would easily fall into the implementation trap. 사회서비스전달부문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전달의 효과성 증진과 서비스의 통합적 제공노력은 지난 10여 년간 지속되어 왔다. 하지만, 네트워크의 필요성에 대한 규범적인 담론의 정착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가 어떻게 관리되고, 누가 그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많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노원구와 송파구의 사회서비스전달네트워크를 대상으로 각 자치구의 서비스전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관리자를 파악하고, 그 관리역할을 분석함으로서 Provan과 Kenis가 제시한 네트워크 거버넌스 모형의 이론적, 실증적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전달네트워크는 제도적인 동질성에도 불구하고, 자치구별로 매우 다른 구조적 특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각 네트워크 관리자의 특성과 역할도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원구의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유형은 네트워크 관리조직(NAO) 모형과 내부주도조직 유형의 혼합으로 분류되었으며, 송파구의 경우는 내부주도조직유형으로 정의되었다. 분석결과 지역사회의 특성에 따라 이에 적합한 사회서비스전달 네트워크 거버넌스 유형이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역사회를 무시한 탈맥락적이고 일률적인 네트워크 관리 내지 거버넌스 정책을 만드는 것은 크게 효과적인 결과를 가져오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이론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Provan과 Kenis가 제시한 이론모형이 어느 정도 설명력을 보여주고 있지만, 네트워크 거버넌스 이론모형이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되기는 어렵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