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손수연 ( Soo Yeon Shon ),이기숙 ( Ki Sook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행수준을 살펴보아 5세 누리과정의 시행과 정착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5세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대상은 총 828명으로 유치원 교사 437명과 어린이집 교사 391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5세 누리과정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행 및 지원에 대한 인식보다 관심 및 적절성에 대한 인식을 더 높게 하고 있었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인식정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의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국공립 유치원과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인 경우, 학급이 단일연령으로 구성된 경우 교사의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5세 누리과정을 익숙하게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법, 내용, 자료, 이론적 근거 및 성격, 목표, 평가의 순으로 실행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어린이집인 교사인 경우, 국공립 유치원과 국공립 어린이집 및 직장/법인 어린이집인 교사인 경우, 단일 연령 학급 교사인 경우 5세 누리과정 실행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5세 누리과정 인식정도가 높은 교사의 실행수준이 높았다. 관심 및 적절성 인식정도보다 실행 및 지원 인식정도에 따른 5세 누리과정 실행 수준의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Korea`s Common Curriculum for age 5, the Nuri Curriculum, mandated by President Lee in 2011, began implementation in 2012. Of necessity, the Nuri is in a phase in which pre-and in-service training need to be worked out regarding implementation, support, monitoring as well as in-depth comprehension of goals and conten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factors involved in assisting teachers in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its goals, content and strategies. To do this, we need to know how teachers perceive the Nuri curriculum and the level of their use of it at this time. We designed our research to look fo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which would influence a teacher`s perceptions and use as well. The subjects are 828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hich have adopted Nuri curriculum in Seoul. Data on teacher perceptions and their level of use of Nuri were obtained from a survey using mail, email, or fax from July to October in 2012. For analysis of the data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test,onewayANOVA,andScheffeposttestwereused as needed for individual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Teachers perceived Nuri curriculum for age 5 positively, and their perception was higher in attention and adequacy than in implementation and support. The degree of their percep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Teachers with the highest regard for Nuri curriculum had more teaching experience and level of education, worked at public kindergartens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taught same-age classes. 2) Results show that teachers were implementing Nuri curriculum skillfully. Their level of use from highest to lowest were in method, educational content, materials, theoretical supports, characteristics, aims and evaluation. The levels were different from other variables except class management types. The levels were higher if teachers had longer teaching experience and a higher education level, worked at daycare centers, public kindergartens, public daycare centers, and workplace or corporate daycare centers, and same-age classes. The levels were different from domain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teaching experience, level of education, institute type, establishment type, class management type, and same/mixed age classes. 3) Teachers who had highly perceived the curriculum showed a higher performance level. Especially, if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 for attention and adequacy was high, there were differences in aims and theoretical support and characteristics among the subordinate domains of the level. If teachers had highly perceived implementation and support, they performed differently in the domains of materials and aims. Moreover, results reveal a great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perception in the level of use of the Nuri curriculum. The degree of perceiving implementation and support, as compared to the degree of perceiving attention and adequacy was vastly different. The level of use for Nuri curriculum was different from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degree of perceiving the curriculum. Especially, results reveal a large difference in teachers` perceiving implementation and support, which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upport for implementing Nuri curriculum. Therefore, support plans which tak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into consideration are needed. Recommendations based on this research: First of all, arrange support system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nd requests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o implement age-specific Nuri curricula starting from 2013. Second, supplement teacher training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perception for Nuri curriculum because the results show differences in program evaluation and level of use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 of Nuri curriculum for age 5. Third, for the most complete and positive implementation of this Nuri curriculum, parent education and well-thought out public relations are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parents` perceptions for complete implementation of Nuri curriculum.

      • KCI등재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교육과정적 이해와 실행

        김윤희,황해익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four different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stablished by different types of founders about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which was the first common national curriculum, and their implementation of it from a perspective of curriculu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our teachers who respectively worked in a public kindergarten, a private kindergarten, a public daycare center and a private daycare center. Non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gather data during a 40-week period of time from March through December 2012, when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was carried out for the first time, and additional related data were collected. Al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make an interpret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eachers A and C understood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from ‘a hermeneutical perspective’ that focused on the objects of education. Teachers B and D, on the other hand, Interpreted the curriculum from ‘a perspective of technical rationality’ that mainly focused on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Second, Teacher A looked at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from ‘a perspective of text’ and utilized it as a main material when she mapped out teaching plans. Teachers B, C and D, however, looked at it from ‘a perspective of substance’ and utilized the Nuri curriculum manual for age 5 as a main material, rather than the curriculum itself, when they drew up teaching plans. As a consequence, it has been discussed that the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as a curriculum is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본 연구는 기관유형과 설립유형이 다른 유아교육기관 4곳의 유아교사들이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수준 공통과정인 ‘5세 누리과정’을 교육과정적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실행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5세 누리과정’이 최초로 시행된 2012년 3월부터 12월까지 40주 동안 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유아교사 4명을 대상으로 비참여관찰, 심층면담, 관련자료 등을 수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와 C교사는 교육목표에 관심을 기울이는 ‘해석학적 관점’, B와 D교사는 교육내용과 방법에 주로 관심을 가지는 ‘기술적 합리성 관점’에 근거하여 ‘5세 누리과정’을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A교사는 ‘텍스트관’에 의거해 ‘5세 누리과정’을 주(主)자료로 활용하여 교육계획을 수립하였고, B, C, D교사는 ‘실체관’에 의거해 ‘5세 누리과정’보다 ‘5세 누리과정 지도서’를 주(主)자료로 활용하여 교육계획을 수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아교사들의 교육과정 이해가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초등학교교육과정 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양승희 한국보육학회 2014 한국보육학회지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ontinuity of educational contents in the Nuri curriculum for age 3 to 5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revised in 2009. To analyze the age/grade which the Nuri curriculum for age 3 to 5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re the most related,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s-old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or first and second grade were chosen as analysis objects. The continuity of the Nuri curriculum for 3-years-old and 4-years-old was analyzed based on appropriate and specific contents for each age.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contents of the Nuri curriculum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through the method of literatur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ents in‘Physical exercise & health’category (total 33 elements) continued achievement standards of‘Integrated subject’(14 in‘Disciplined-life’, 2 in ‘Intelligent-life’, and 3 in‘Pleasant-life’) and 19 among 25 elements in‘Communication’ category were linked to the subject, Korean’s achievement standards (6 in Listening& Speaking, 1 in Reading, 1 in Writing and 3 in literature). The 29 contents of‘Social Relationship’area were connected to‘Integrated Subject’(13 in‘Disciplined-life’, 13 in‘Intelligent-life’and 9 in ‘Pleasant-life’) and 2 in Korean. A specific content was connected to various achievement standards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lso, in‘Art activity’ field (total 20), there were continuity with‘Integrated subject’(17 in‘Pleasant-life’) and 13 elements in ‘Expression of Arts’ were related to 25 achievement standards in Integrated subject’s expression part. Lastly, it was figured out that‘Nature Inquiry’(total 30 contents) had connection with‘Integrated subject’(2 in ‘Disciplined-life’and 9 in‘Intelligent-life’) and 12 accomplishment criterions in Mathematics. In conclusion, only 40 among total 137 contents in the Nuri curriculum did not have any continuity. Details in each category are as follows; 19 among 33 contents in Physical exercise & health, 6 among 25 in Communication, 5 among 29 in Social relationship, 3 among 20 in Art activity and 7 among 30 in Nature Inquiry had no relationship wi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본 연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초등학교교육과정 2009개정 교육과정 교육내용 연계성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 2학년군 교육과정 교육내용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세부내용과 초등학교 1, 2학년군 교과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전체 137개 세부내용 중 97개가 초등학교 1, 2학년군 교육과정 교육내용과 연계되었으며, 40개가 미연계된 교육내용으로 분석되었다. 신체운동·건강 영역 세부내용 33개는 통합교과(바른 생활 14개, 슬기로운 생활 2개, 즐거운 생활 3개) 주제의 성취기준과 연계되어 있었으며, 미연계된 교육내용은 19개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영역 세부내용 25개 중 19개가 국어(듣기·말하기 6개, 읽기 1개, 쓰기 1개, 문학 3개) 내용 성취기준과 연계되며 미연계된 교육내용은 6개로 분석되었다. 사회관계 영역 세부내용 29개는 통합교과(바른생활 13개, 슬기로운 생활 13개, 즐거운 생활 9개), 국어 2개의 주제·내용 성취수준과 연계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한 가지 세부내용에 여러 가지 초등학교 1, 2학년군 교육과정 성취기준이 연계되었고, 미연계 교육내용은 5개로 나타났다. 예술경험 영역 세부내용20개 중 17개가 통합교과(즐거운 생활) 주제의 성취기준과 연계 되었으며, 미연계 교육내용은 3개이었다. 그러나 예술경험 영역 중 예술적 표현하기의 세부내용 13개는 통합교과(즐거운생활)의 표현부분 성취기준 25개와 연계가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연탐구 영역 세부내용 30개 중 23개가 통합교과(바른 생활 2개, 슬기로운 생활 9개), 수학 12개와 연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연계 교육내용은 7개로 나타났다.

      • KCI등재

        5세 누리과정 실행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이경선 한국보육학회 2013 한국보육학회지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teachers in Nuri curriculum for age 5. Specifically, type of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For the purpos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1. What are the child teachers’awareness about implementation Nuri curriculum for age 5?2. Are there different from child teachers’implementation Nuri curriculum for age 5 The subject were 148 child teachers who work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hich adopted Nuri Curriculum for age 5 in Busan and Daegu. To achieve the aims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on a survey using, mail, e-mail and visiting for one month, June, in 2013. The data was analysed by SPSS 13.0 program.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were used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hild teachers thought what difficult to run among 5 areas on Nuri curriculum were nature inquiry, art experience, communication, social relations area in order. Second, what is much to run areas of the Nuri curriculum were communication, social relations,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area in order. Finally, there was on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 about difficult to run communication area according to type of center.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을 담당하고 있는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영역별 어려움, 중요도, 실행정도,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조사하고, 이러한 인식에 어린이집과 유치원교사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부산과 대구지역에서 5세 누리과정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교사 66명과 유치원교사 82명으로 총 148명이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세 누리과정 실행에서 어렵다고 인식하는 영역은, 자연탐구영역, 예술경험, 의사소통, 사회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5세 누리과정에서 영역별로 가장 많은 수업을 하는 영역은 의사소통, 사회관계, 신체운동·건강영역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간의 영역별 어려움에 대한 차이는 의사소통영역으로 나타났다. 넷째, 5세 누리과정의 실행의 장애요인 간에 차이가 나타난 항목은‘특별활동운영으로 인해 1일 3-5세 활동이 어렵다’,‘누리과정이 교사의 자율성을 제한한다’,‘교구교재 준비가 힘들다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을 토대로 원인을 규명하여 교사의 전문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STEAM 요소 분석

        송윤나(Yun Na Song),박희숙(hee suk Park)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5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활동의 STEAM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STEAM 현황을 알고, 이에 적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발전을 돕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교육과학기술부(2012)가 발행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권에서 제시된 총 696개의 활동으로, STEAM 활동을 알아보고 STEAM 요소(내용요소 및 지향요소)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세 누리과정에 제시된 STEAM 활동이 과학(S), 기술·공학(T/E), 수학(M)과 같은 이공계 영역간의 융·통합 형태보다는 예술(A)과 이공계 영역간의 융·통합 형태로 주로 나타났으며 5세 누리과정의 STEAM 활동은 결합되는 내용요소간의 수가 많을수록 적게 나타났다. 둘째, 5세 누리과정의 본 활동이 STEAM 내용요소간의 융·통합 형태인 STEAM 활동으로 제시되기 보다는 단순히 분과적인 형태로 주로 나타났으며 누리과정에서 STEAM 내용요소 가운데 예술(A) 영역이 고르게 제시되기 보다는, 언어예술과 미술예술 활동이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5세 누리과정 중 STEAM 지향요소에서 창의적 설계의 분석결과 ‘지식의 산출과정’은 ‘작품·제품의 산출과정’과 비교했을 때 ‘지식의 산출과정’에 편중되어 나타나고 있었으며 5세 누리과정 중 STEAM 지향요소에서 감성적 체험의 분석결과 조작적 경험, 브레인스토밍, 토의활동, 바깥활동의 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 STEAM factor of activity proposed by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 book for ages of 5 years old. This study establish research programs as follows: First, what is activity of STEAM of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Second, what is element factor of STEAM of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Third, what is aim factor of STEAM of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This study investigate STEAM activity for 696 activities of 〈activity method〉 proposed by 11th book of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 book] for ages of 5 years old and analyze how STEAM factor such as content and aim factor work. We divide research problems as depending on research problem and compute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EAM activity proposed by Nuri curriculum appears as the combination of art(A), science(S) and technology/engineering(T/E) rather than that of only science and tedmology/engineering. Second, the more the number of combinatorial content factor is, the less STEAM activity appears. Compared to M*A type which appear most frequently, S*T/E A*M type which is combined all STEAM factor appears 27 times less. Third, content factor appear simply as a separate form rather than as a combination form in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Fourth, art(A) element of content factor is not fairly presented. Art(A) element of physical and musical factor tend to appear less than that of linguistic and fine artistic factor. Fifth, when Greative Design of STEAM aimed factor is considered, compared to the result as a work and a product, there is a tendency to appear as that of a knowledge. Sixth, the order of frequency of appearance is as follows: practical experience, brainstorming, discussion activity, and outdoors activity.

      • KCI등재후보

        2013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전래동요 지도내용 고찰

        서화니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3 국악교육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ing contents of children’s folk songs in Nuri curriculum in order to suggest appropriate directions when teachers plan and practice them. To achieve the purpose, firstly the contents in Age 3 to 5 Nuri Curriculum reference book were analyzed. Secondly, teaching principles of teaching activities related to children’s folk songs in Age 3 to 5 Nuri Curriculum Teacher’s book were explored. Thirdly, the activities related to children’s folk songs were selected in Age 3 to 5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 then teaching contents, methods, and elements of Nuri Curriculum of them were analyzed. The children’s folk songs related to contents were represented in the Communication section, Social Relation section, and Aesthetic Experience section. Children’s folk songs are including play culture as well as song culture of children from the earliest times. To meet the origins of children’s folk songs such as spontaneity, practicability, improvisation, and modification, teachers need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for children to arouse their sensitivity and create new songs and play culture.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에게 2013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전래동요 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교사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개발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와 교사용 지침서, 연령별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전래동요 지도내용을 고찰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3~5세 연령별누리과정 해설서의 전래동요 관련 내용을 고찰하였고, 둘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에 제시되어 있는 전래동요 관련 교육내용의 교육원리를 탐색하였으며, 셋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전래동요 관련 활동들을 선정하여 활동내용, 활동방법, 누리과정 관련요소등을 탐구하였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에 제시된 전래동요 관련 내용은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영역 등에서 제시되었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에 제시된 전래동요와 관련된 지도지침과 유의점 및 연령별 활동을 살펴보면,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재미있고 쉬운’, ‘우리말의 반복적 운율’, ‘아름다운 우리말 경험’, ‘부모나 할머니 등 세대 간의 연결’ 등에 대한 지도 지침이 제시되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령별 활동 예시가 부적절하게 제시되었고, 사회관계 영역에서는 ‘전통놀이와 문화에 친숙함을 가질 수 있도록 풍부한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는 내용’이 강조되어 있지만 이는 전통문화에 담겨있는 정신의 구현 보다는 단순히 옛 것을 유아들에게 다양하게 제시하면되는 것으로 이해 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예술경험 영역의 ‘음악적 요소 탐색하기’, ‘음악으로표현하기’ 등에서는 그 접근에 있어서 아이들이 자신의 노래를 만들어 부르는 가창의 주체로서의창작이 아니라 노래를 다양한 방법으로 바꿔 부르도록 하는 내용만이 강조되어 있다. 더불어 ‘전통예술 감상하기’에는 전통예술을 감상함에 있어서 ‘역동적 체험’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예시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전래동요 관련 활동은 총20가지로 연령별로 3세 8가지, 4세 3가지, 5세 9가지였다.

      • KCI등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관심도와 실행경험

        김영희 ( Young Hee Kim ),김수향 ( Soo Hyang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경험을 알아보고 국가가 시행하는 공교육의 출발인 누리과정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위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담당하는 울산광역시 공·사립 유치원 교사 486명을 대상으로 2013년 6월 20일부터 7월 31일까지 설문조사(리커트 5점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관심도는 대체로 높았고, 적절성 여부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행경험에서는 유치원교사들은 누리과정을 대체로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행을 위한 현 지원정도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행에서 장애요인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행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각 하위항목으로 살펴볼 때 유치원 교사들은 누리과정의 교수 학습자료, 교수법,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동료교사들과 협력 방안과 관련하여 관심도가 높았다. 교사들은 누리과정을 유아의 수준, 활동내용, 활동수준, 교사용 지도서의 용이성 등으로 볼 때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실행 및 지원수준에서는 누리과정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누리과정 관련 교사연수는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실행의 장애요인은 교사를 위한 현직 연수나 워크샵 부족을 들었고, 지원요구에서는 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교재교구지원이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별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력과 경력이 많을수록, 사립 보다는 공립유치원 교사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관심도는 높았고, 실행경험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각 교사들의 개인적 특성을 반영한 지원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indergarten teachers’stage of concerns and experience in implementing and to identify helpful implications for enforcement and settlement of Nuricurriculum for 3-5 age. The subject of current study were 486 teachers who work at kindergartens which adopted Nuri curriculum for age 3-5 in Ulsan. The revised questionnaire(Likert’s 5-point scale) was distributed from June 20. 2013 to July 31. 2013.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stage of concerns was generally high, the relevance was positive. About experience in implementing, kindergarten teachers carried out Nuri curriculum in general. they recognized that the support was dissatisfaction, the obstructive factor was low, and the requent of support was necessary. The kindergarten teachers were interested in teaching materials, instructional method., the impacts of children and cooperative measures of Nuri curriculum. They perceived that the level of infant, the contents and level of activity, and the friendliness of teacher’s guide was adequate. They perceived that the importance of implementation and the requirement of support was important, but the training in Nuri curriculum was not enough. Teachers attribute the difficulty of implement to insufficiency of training and workshop, and they perceived that the support of teaching material and tools were needed to be taken first priori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variables of teacher’s perceptions by teachers’ background. That is, the teachers’ stage of concerns recognition about Nuri curriculum for age 3-5 was high and the experience in implementing was positive in case of higher education, more work experience, and national and public preschool.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 support program reflecting the teacher’s characteristic for right settlement of Nuri curriculum for age 3-5.

      • KCI등재후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에 제시된 인성교육그림책 분석

        박정화,김수향 한국아동부모학회 2020 아동부모학회지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인성교육 그림책을 분 3~5 석하여 유아인성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이다 이에 따라 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 3~5 지도서에 수록된 그림책 편 중 인성교육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그림책 권을 년 278 228 2018 12 1 2019 5 30 . 3~5 6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분석하였다 분석 준거는 세 누리과정 가지 인성 덕 목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 과 그 하위내용 생활주제 전달매체 장르이다 분석결 ( , , , , ,) , , , . 과 첫째 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인성교육 그림책은 연령별로 세 , 3~5 4 (87 ), 3 (71 ) 5 (70 ) . 3~5 편 세 편 세 편 순으로 수록되어 있었다 그리고 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인 성교육 그림책에 포함된 인성교육 덕목은 존중 편 협력 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87 , 64 , 나눔 편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가지 인성덕목의 하위요인으로 분석한 결과는 협력의 5 .6 ‘ ’ 40 , ‘ ’, ‘ 긍정적인 상호의존성이 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나눔의 나눔 참여하기 효의 조부 모 지역사회에 대한 효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 ’ . , 3~5 제시된 인성교육 그림책은 나와 가족에 편으로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었고 교통기관에 ‘ ’ 33 , ‘ ’ 10 . , 편으로 가장 적게 수록되어 있었다 전달매체는 시청각의 플래시 동화가 가장 많았고 제 니보교육용 로봇 등은 편으로 나타났다 그림책의 장르는 환상동화 편으로 가장 많았고 1 . 79 , 역사동화가 편으로 가자 적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유아인성교육의 지침이 되는 것이 5 .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인성교육 그림책이다 따라서 인성교육 그림책 내용의 인 . 성덕목에 관심을 가져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character education of infants by analyzing of the picture book of character education presented in the teacher’s guide for Nuri curriculum for aged 3-5 years. Accordingly, the analysis of 228 picture books on character education from December 2018 to May 2019 included in the teaching guidelines for the Nuri Curriculum from ages 3-5years. Characterized education pictorials, delivery media and genres were expressed in numbers and percentages, and the content analysis of picture books was conducted. The picture book of character education was analyzed based on six virtues: consideration, respect, cooperation, sharing, order, filial dut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228 picture book in character education present by the Nuri Curriculum for ages 3-5years resulted were the four-year-olds include 84 volumes, while the third-year-olds have 71 and the fifth-year-olds have 70 volumes. And six virtues of character education were shown in 87 films of respect and five films of sharing. A sub-factor analysis of the six character virtues shows that the ‘positive interdependence’ of cooperation is the most common with 40. There was no ‘participation in sharing,’ ‘filial duty's grandparents, filial piety to the community Second, character education picture books were most frequently included in 33 books in ‘my family & me’ and 10 in ‘traffic agency’. And the delivery media had the largest number of flash fairytales in audio-visuals, and the first installment of the robot for Zenibo education appeared. The genre of picture books was the most popular with 79 fantasy stories, and there were only five historical stories. In conclusion, it is a picture book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guidance book for teachers of Nuri curriculum, which is a guide for education of infants and children. Therefore, on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haracter virtues of picture books in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성교육 그림책 분석

        박수연 ( Su Yeon Park ),김수향 ( Soo Hyang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성교육 그림책의 생활주제, 장르, 내용을 분석하여 유아성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에 따라 2015년 3월 20일부터 2015년 11월 30일까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제시된 그림책을 분석하였다. 분석준거로 생활주제는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기초하였고, 장르는 고문숙외 3인(2013)의 ‘그림책 장르’ 분류를 기초로 하였다. 성교육 내용분석은 보건복지부, 인구보건복지협회(2011)의 ‘보육교사를 위한 유아 성교육 매뉴얼’ 준거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세는 ‘나와 가족’, ‘건강과 안전’, ‘환경과 생활’, ‘우리나라’, ‘봄 여름 가을 겨울’ 5개 생활주제에서 나타났고, 장르에서 정보그림책 2편, 생활동화 3편, 환상동화 3편, 전래동화 1편이었고, 성교육 내용에서 ‘인간발달’에 2편, ‘성과 안전’에 2편, ‘관계와 성 역할’에 4편, ‘생명존중’에 1편이 제시되어 총 9편이 나타났다. 둘째, 4세는 ‘나와 가족’, ‘건강과안전’, ‘우리나라’, ‘동식물과 자연’ 4개의 생활주제에서 나타났고, 장르에서 정보그림책 2편, 생활동화4편, 환상동화 1편, 전래동화 1편, 성교육 내용에서는 ‘인간발달’에 3편, ‘성과 안전’에 3편, ‘관계와 성역할’에 1편, ‘생명존중’에 1편으로 총 8편이다. 셋째, 5세는 ‘나와 가족’, ‘건강과 안전’, ‘생활도구’, ‘우리나라’, ‘동식물과 자연’, ‘환경과 생활’ 6개 생활주제에서 나타났고, 장르에서 정보그림책 2편, 생활동화4편, 환상동화 2편, 성교육내용에서 ‘인간발달’에 6편, ‘성과 안전’에 3편, ‘관계와 성 역할’에 6편, ‘생명존중’에 1편으로 총 16편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성교육 그림책은 총 33편으로 누리과정 교육과정 전체 그림책(284편)의 약 9%정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누리과정에서 유아 성교육 그림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sex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analyzing the life themes, genre, and contents of picture books on sex education presented by teachers`` guidance manual for the Nuri Curriculum for ages 3 to 5yea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results were on the Nuri curriculum for age 3. Life theme consisted of ‘my family & me’, ‘health & safety’, ‘the environment & life’, and ‘four seasons’. The genres consisted of ‘two books on information pictures’, ‘three books on life fairy tales’, ‘three books on fantasy fairy tales’, and ‘one book on transmitted fairy tales’. There were 9 picture books on sex educations consisting of ‘two books on human development’, two books on sex & safety’, ``four books on relationship & sex role’, and ‘one book on life respect’. The second results were for the Nuri curriculum for age 4. Life theme consisted of ‘my family & me’, ‘health & safety’, ‘my country’, and ``lives & nature``. The genres consisted of ‘two books on information pictures’, ‘four books on life fairy tales’, ‘one book on fantasy fairy tales’, and ‘one book on transmitted fairy tales’. There were 8 picture books on sex educations consisting of ‘three books on human development’, ‘three books on sex & safety’, ‘one book on relationship & sex role’, and ‘one book on life respect’. The third results were for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Life theme consisted of ‘my family & me’, ‘health & safety’, ‘life instrument’, ‘my country’, ‘lives & nature’, and ‘the environment & life’. The genres consisted of ‘two books on information pictures’, ‘four books on life fairy tales’, and ‘two books on fantasy fairy tales’. There were 16 picture books on sex educations consisting of ‘six books on human development’, ‘three books on sex & safety’, ‘six books on relationship & sex role’, and ‘one book on life respect’. From the results, the public should be concemed about the books on early child sex education in the Nuri Curriculum.

      • KCI등재

        3-5세 누리과정 시행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만족도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문연심(Yean Sim Moon),양성숙(Seong Suk Ya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5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9

        본 연구는 3-5세 누리과정 시행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만족도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향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안정적 운영과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원장 125명과 보육교사 55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3-5세 누리과정 시행에 대한 만족도 하위요인 중 지침 및 정책에서 원장보다 보육교사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직장어린이집의 만족도가 다른 유형의 어린이집보다 높았고,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효능감에서 기관유형과 경력과 연령이 많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교사의 만족도와 효능감 전체간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족도의 하위변인에서 편성과 운영에 대한 만족도가 효능감 전체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본 연구를 통해 3-5세연령별 누리과정 시행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 만족도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and teachers’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about conducting NURI curriculum for 3-5 year-olds. This study aims to seek suggestion about stable settlement for conducting NURI curriculumfor 3-5 year-old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The subjects were 125 directors and 554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the guide and policy, among the sub-factors of satisfaction about conducting NURI curriculum for 3-5 year-olds, teachers showe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directors. Employer-supported day care center showed higher satisfaction level compared to other types of child care centers. It was shown that more work experience and higher academic background teachers showed a difference of satisfaction about conducting NURI curriculum for 3-5 year-olds. 2) It was shown that employer-supported day care center, more experience and age, higher academic background showed a difference of teacher efficacy. 3) Between teachers’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about conducting NURI curriculum for 3-5 year-old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Particularly,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atisfactio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related the whole teacher efficacy.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and teachers’ satisfaction and teachers’ efficacy for conducting NURI curriculum for 3-5 year-o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