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토리텔링의 서사 문화와 서사표현교육론 : TV 방송 매체의 일상성을 중심으로

        김근호 ( Keun Ho Kim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3 No.-

        이 연구는 다매체 시대 주목받고 있는 스토리텔링의 서사 문화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서사표현교육의 내용을 모색한다. 오늘날 다매체의 발달은 인간의 이야기 욕망이 일상에서 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TV, 라디오, 인터넷 등에서 확인되는 이야기 소통과 향유 현상은 그 증거이다. 교육은 이야기 욕망의 일상성에 주목해야 하며 이야기 욕망의 일상성을 서사교육의 한 차원으로 유목화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서사표현교육에서 매체 언어의 문제를 검토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서사교육 특히 서사표현교육 논의는 언어의 문제에 있어서 다소 제한적이다. 다매체 시대에 인간의 언어는 구어와 문어의 폐쇄적 활동을 넘어 `멀티미디어 리터러시(multimedia literacy)`가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새로운 표상의 수단인 매체 언어를 국어교육의 내용으로 적극 도입해야 한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다매체 시대에서 주목받고 있는 스토리텔링의 서사 문화를 교육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서사표현교육의 내용을 제시하였는데, <영화 대 영화>, <이야기 발전소>, <돌발영상> 등의 매체 자료를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의 서사 문화를 검토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매체 제작의 기술과 함께 참여의 미학, 그리고 매체의 자기 비평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는 교육적 관점에서 접근했던 것이며, 따라서 교육의 구도로 재개념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지닌다. 이에 따라 스토리텔링 서사 문화에 대한 서사표현교육의 내용을 `서사 텍스트 제작 중심 활동`, `소통에 대한 참여 중심 활동`, `문화 맥락의 성찰 중심 활동` 등으로 설정하였다. 물론 이 세 가지는 실현되는 과정에서 서로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 모든 문제를 가로지르는 것은 윤리적 주체이다. 이 연구에서 스토리텔링의 서사표현교육의 내용으로 특히 소통에의 참여와 문화 맥락의 성찰을 강조한 것은 교육의 근본인 윤리성 때문이다. 인간이 매체를 통해 자기를 표현하고 소통하고 그리고 성찰하는 과정에는 자기 점검이 전제되어야 한다. 즉 매체 활동에는 주체의 몰입과 거리두기가 상호 작용해야 한다. 인간이 보다 행복해지고 자유로워지는 데에 매체의 주체는 윤리적이라야 한다. 다매체 시대 스토리텔링의 서사표현교육에서 행위의 공공성과 성찰성은 강조되는 것이 마땅하다. In this paper I have investigated the narrative culture of storytelling in the multimedia age and have searche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of narrative expression. Nowadays,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helps us to actualize the narrative desire. The narrative communication and enjoyment seen in the TV, radio, Internet, etc. Education should keep an eye on the ordinariness of narrative desire, to itemiz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t. However, above all, I argued the problem of the media language in the education of narrative expression. Until now, the theoretical history of the narrative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shows the limitation in the language. Human language in the multimedia age must be the multimedia literacy beyond the oral and the written language. I investigated the narrative cultural structure of storytelling in multimedia, centering on the TV broadcasting media. I examined the `Movie vs Movie`, the `storytelling club Eyagee Baljeonso`, and the `Dolbalyeongsang(Pop-Up)`. In these material, I discovered the technical production of narrative media text, the aesthetics of participation in the narrative field, and the self criticism of the narrative media text. These can be reconceptualized into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narrative expression of multimedia. I established three edcational contents. First, the activity of focusing on producing of the narrative text. Second, the activity of focusing on participating in the narrative field. Third, the activity of focusing on reflecting of the narrative culture. These items should be harmonized with each other. But I emphasized the ethical subject of narrative expression in the multimedia age. Fundamentally, the education contains the ethics all the time. Human should follow the self-criticism in expressing, communicating, and reflecting of the narrative activity. Therefore, the education of narrative expression in the multimedia age should be based on the publicity and reflectivity of the narrative activity.

      • KCI등재

        국제이해교육 자료로서 다문화 그림동화가 갖는 의의와 상호문화적 감수성 증진

        선주원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6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1 No.1

        This article was prepared to discuss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leverage using picture books multi-cultural. In this article, defining the multi-cultural person, multi-cultural background, multi-cultural contents, in the picture books that have been created for the purpose of uplifting the aspect of the multi-cultural values ​​and culture through such as the contents. Then,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by promoting the epic imagination in the interpretation to the course, children readers, the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the batter, obviously that to cultivate a world citizen consciousness in this process did. In addition, children readers as grand ego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s revealed that there is understanding and cross-cultural sensitivity enhancement and closely related to the culture of diversity. Then, after examining the concepts and educational content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clearly the significance that has as a teaching tool for multi-cultural picture books of title 5 is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Understanding the diversity and universality of the culture” did. 이 글에서는 다문화 그림동화를 활용한 국제이해교육의 내용 마련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이를 위해 그림동화의 개념과 가치를 살펴본 다음, 다문화 그림동화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 글에서는 다문화 그림동화를 다문화적 인물, 배경, 내용 등을 통해 다문화적 가치와 문화 양태를 고양하려는 목적에서 창작된 그림동화로 규정하였다. 그런 다음 다문화 그림동화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서사적 상상력을 증진함으로써 어린이 독자들은 타자에 대한 배려와 이해를 하며, 이 과정에서 세계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서사적 자아로서 어린이 독자가 다문화 그림동화를 이해하는 것은 문화 다양성 이해와 상호문화적 감수성 증진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밝혔다. 그런 다음 국제이해교육의 개념과 교육내용을 살펴본 후, 다섯 편의 다문화 그림동화들이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교육 자료로서 갖는 의의를 ‘문화 다양성과 보편성 이해’의 측면에서 밝혔다.

      • 도덕이야기하기 수업을 적용한 다문화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 편견과 타인배려를 중심으로 -

        정선정 ( Jung Sun Jung ) 인구교육센터 2014 인구교육 Vol.7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재량활동과 수업에서 도덕이야기하기 수업을 적용한 다문화교육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양적 연구 주도-질적 연구 준주도 연구법이라는 연구 설계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도덕이야기하기 수업의 교수 · 학습 원리를 고찰하였으며 도덕이야기하기 수업에 근거하여 다문화교육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수업을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다문화교육 전 · 후 검사를 실시하여 편견과 타인배려가 두 집단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여 분석하여 도덕이야기하기 수업을 적용한 다문화 교육을 통한 가치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통계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는 내용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자료에 대한 삼각검증법을 활용하여 관찰법, 면담법, 문헌분석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만 실시하였고 아동에게 직적접인 실천 기회를 제공하는 등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적, 질적 연구를 결과를 바탕으로 6영역의 편견을 줄이고 3영역의 타인배려를 증진시키는 통합적 도덕성을 발전시키기 위한 다문화 교육의 한 가지 방법으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ulti-cultural education method applying Narrative Moral Storytelling during discretionary activities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o achieve the objectives, it is conducted based on Dominant Quantitative - Less Dominant Qualitative Design. For the study,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discipline of Narrative Moral Storytelling was investigated and the pla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Narrative Moral Storytelling was designed to be applied to the real classes. Quantitative research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pplying Narrative Moral Storytelling. It was conduc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prejudice and caring distributed to the group before and after the test was administer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PSS 12.0 was used for statistical works, and t-test was also conducted. There are limits of this study. It was conducted only in normal children, do not provide direct opportunity to practice to them, and it was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excluded family members and culture area. Nevertheless, it will have its significance as a wa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morality to reduce the prejudice of six areas and to promote the consideration for others based on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 KCI등재

        개별논문 : 판소리 사설의 디지털서사화 방안

        장미영 ( Mi Young Jang ) 판소리학회 2005 판소리연구 Vol.20 No.-

        이 글은 한국의 전통 판소리를 디지털콘텐츠의 창작 원천으로 원형콘텐츠화 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연구이다. 판소리 사설에는 한국에서 계승되어 내려온 유·무형의 문화적 요소가 다양하고도 풍부하게 들어 있다. 문화 산업은 경제적 가치 외에도 문화적 정체성이나 가치관, 세계관의 표상을 창출해내기도 하는 만큼, 이에 비추어 볼 때, 전통 판소리 사설은 한국 문화의 상징 산업으로 확대할 수 있는 좋은 자료라 할 수 있다. 판소리는 시각을 위주로 하는 공연 서사이자, 공연 내용의 장면과 상황을, 보여주기가 아닌 말로 서술하는 구술 서사이다. 그러면서도 판소리는 다분히 음악성을 중시하는 청각 위주의 소리 서사이며, 한 사람의 창자가 여러 가지 역할을 대행하는 메타 서사이기도 하다. 또 현대의 판소리는 소리에 담긴 뛰어난 문학성을, 채록된 사설을 통해 따로 향유할 수 있는 문자 서사로서의 의미도 크다. 판소리의 복합적이고 다매체적인 특성을 십분 살리기 위해서는 채록된 판소리 사설 중심의 문자 텍스트 자료, 소리 중심의 음성 자료, 관련 그림이나 사진, 만화 등의 이미지 자료, 판소리 공연 장면을 녹화한 동영상 자료 등, 네 가지 형태의 자료를 수집하여 4층렬(4-tiers)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4층렬 DB란 4가지 유형의 자료를 상호 연계(문자□음성□이미지□동영상)하여 멀티미디어적인 속성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4층렬 자료는 상호 일치·연계될 수 있도록 동기화(synchronization)한다. 4층렬 DB를 통합할 수 있는 관리 체계의 구조화를 위해서 각각의 데이터를 XML 형식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 하여 저장·운영한다. 이어 판소리에 등장하는 캐릭터와 사건은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부분으로 구분하여 정리한다. 이러한 작업은 작품을 새롭게 재배열함으로써 기존 플롯과는 다른, 새로운 플롯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것은 일방향적이고 단선적인, 즉 언어예술작품을 읽는 종이 독법의 관례로부터 이탈(Out of the language Rut)가능성을 도모하는 것으로, 채록된 판소리 사설을 문자로 읽을 때 야기될 수 있는 단편적인 `독서 습관`을 벗어나 시각적·입체적이면서도 복합적이고도 유연한 독법이 가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업이다. 본고에서는 판소리뿐만 아니라 이야기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모든 언어예술을 소비하는 사람들이, 즉 목가적인 취향의 문학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의 언어예술작품에 대한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는 방안을 찾으려 했다. 그 방안의 하나로 이 글에서는 전통적인 문자 독법을 탈피하여 다른 매체적 가치로의 전환이 용이하게끔, 해체 방식을 기반으로 한 통합과 융합의 전략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way to use traditional Pansori for prototype contents as a source of creative digital contents. Pansori narratives include tangible and intangible inherited Korean cultural elements. As cultural industry create not only economic value but also cultural identity, one`s values and world view, traditional Pansori narratives can be good sources of Korean symbolic cultural industry. Pansori is an oral narrative telling scenes and situations rather than showing as well as a performance narrative focused on optic. In addition, Pansori is a musicality centered sound narrative and also a meta narrative which a singer plays multi roles. And modern Pansori is meaningful in a way of text narrative which contains excellent literacy and the words of a song.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4-tier Database putting 4 types of data (text data, sound data, image data, motion data) together in order to employ the mixed and multi-media characteristics of Pansori. It gives multi-media character by connecting 4 types of data called the 4-tier Database. Such a 4-tier data becomes synchronized by getting mutual consistency and connection. Each data will be saved and operated in an XML type database in order to construct the management system which can unite 4-tier Database. And characters and incidents will be arranged in the parts of Audio, Video and Text types. Such operation will make the possibilities to change an existing plot to a new one by rearranging works. This is a trial of the possibility of getting out of the language Rut of a paper reading method which is one-way and unidimensional. And also it leads visual, multi-dimensional, mixed and soft reading method rather than simple `reading habit` which can result from reading a Pansori narrative. This study tries to find an easy way to approach language-art works produced by the people with various purposes in various areas not only by the people with pastoral taste. As one of the methods, this thesis studies the possibility of synthesis based on the reconstruction in order to ease the shift from the traditional text reading to other types of media value.

      • KCI등재

        다문화 교육에서 다문화 공간의 교육적 의미 탐색

        박승규(Seung-Kyu Park)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2 문화 역사 지리 Vol.24 No.2

        이 논문은 다문화에서 ‘다문화 공간’의 교육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 가운데 하나가 문화에 대한 의미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화를 ‘인간의 전체적인 삶의 양식이자’, ‘인간이 거기-있음(being-there)’의 문제로 정의했다. 그것을 통해 인간이 어디에서 어떤 삶의 양식을 갖고 있는지를 물을 수 있었고, 다문화에서 공간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양한 문화에서 생산하는 ‘이야기(narrative)’를 통해 ‘결과에 대한 교육’이 아니라, ‘과정에 대한 교육’이 중요함을 역설하였다. 사회적 소수자와 동일자 간의 관계가 독립적인 주체로서의 관계로 복원되어야 함을 말하였다. 나아가 이같은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다문화 교육은 외국인과 결혼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사회적 소수자를 대상으로 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inquires into significance of ‘multi-cultural space’ in multi- cultural education. One of the controversial poi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hat it has unclear definitions on culture. As an effort to improve the problem, culture is in this paper defined as a matter of ‘general ways of human life’ and ‘man’s being-there’. Using this new definition of culture, the ways and the places of human lives could be investigated and significance of space in multi-culture was interpreted. Explorations on ‘narrative’ stemming from the diverse circumstances of cultur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f processes’ rather than that of ‘education of outcomes’. Relations between social minority and Us are stated to be restored into the relationship of independent subjects. In addition,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is definition of multi-culture contends that subjects which have been confined to aliens and international female spouses should be extended to include social minority.

      • KCI등재

        다문화 소설에 형상화된 이주 여성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소설교육

        선주원 ( Ju Won Seo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2 국어교육 Vol.0 No.138

        This paper examined about the other life and the narrative identity of immigration women represented in multi-cultural novel, making the object text with Jeong do Sang`s ≪brier flower≫ and Gong Seon Ok`s <garibong love song>. The immigration women are in the situation denying or frustrating the being sense by the money as a ``stark-naked being``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In this situation, chung Sin of the character in a ≪brier flower≫, molds the narrative identity and orients the humaneness in the continuing time through the storytelling method by remembering the past experience. The other side, Jang Myung Hwa of the character in a <garibong love song>, shows the aspect failing the being by the orientation about the money. This shows vividly the life condition and the life process of the immigration women in the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The researcher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ympathetic reading for the right reading about the narrative identity of immigration women represented in the multi-cultural novel. And the method of sympathetic reading for the right comprehension about the narrative identity of immigration women are the relation making, reciprocal self about the work world, self-reflecting connecting the work world with real life.

      • KCI등재

        서사구조 겹쳐 읽기를 통한 다문화 문학교육

        오정훈 ( Jeong-hun Oh ) 배달말학회 2016 배달말 Vol.58 No.-

        본고에서는 다문화 시대의 문학교육의 방안으로 고전소설에 해당하는 ‘취교전’과 ‘채봉감별곡’을 겹쳐 읽음으로써, 두 문화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인식을 통해 문화에 대한 근원적 편견을 해소하고 두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문화적 경험과 인식에 있어 친근성이있는 취교전을 토대로, 낯선 문화적 요소를 담고 있는 또 다른 소설인 채봉감 별곡을 접하게 함으로써 베트남 이주민들이 그들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으리라 본다. 한편 한국인에게는 채봉감별곡과 함께 제시되는 취교전을 통해 채봉감별곡과 유사한 내용적 문화적 요소를 확장해 나감으로써 문화의 동등성과 다양성을 실질적인 차원에서 깨닫는 계기가 될 수 있다.우리 문학 교과서에 소수자의 문화와 가치 인식이 담긴 문학작품을 싣고그것을 교육하고자 하는 시도는, 소수자에게 이국땅에서 느낄 수 있는 소외감을 해소하고 그들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안겨다 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아울러 주류문화로 자부하는 한국인들에게도 문화에 대한 근원적 인식전화의 계기가 될 것이며 다수자가 소수자의 삶과 문화를 수용하고 적응해가는 초석이 되리라 본다. 이를 위해 유사한 성격의 작품을 동시에 제시하고 이를 다양한 관점에서 겹쳐 읽게 하는 문학교육은 지금의 현장 교육에서 적극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방법적 요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writing intended to dissipate the underlying prejudice against cultures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common point and difference between two cultures, and to give a momentum for broadening the range of the understanding of two cultures by doing inter-textual reading of the two workswhich belong to a classical novel as a cultural teaching methodology. Also, this writing intended to deepen Vietnamese immigrants’ understanding of thecultural traits of Korea without losing pride in their cultures by getting them to come into contact with another novel including unfamiliar culture elements on the basis of a work which is familiarity to their cultural experience and perception. Meanwhile, for Koreans, this writing intended to arrange for an opportunity for them to awaken the cultural parity & diversity at a practicallevel by expanding the similar content, cultural elements through Vietnamese novels suggested along with ‘Chaebonggambyeolgok’. This writing thinks that the attempt to contain the literary works including a minority’s perception of culture and value in our literature texts, and to teach them will be a great opportunity for a minority to resolve a sense of alienation which they might feel in a foreign land, and to bring them self-respect for their cultures.

      • KCI등재

        해이수 소설의 여행ㆍ디아스포라ㆍ다문화의식

        이미림(Lee Mi-rim) 국어국문학회 2010 국어국문학 Vol.- No.155

        One of characteristics in the recent Korean literature is journeyㆍpost-frontierㆍmulti-cultural narratives. Hae I-su's literature is the journey narrative that allows othernessㆍdiversity to be speculated.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faced unemployment crisis, a sense of burden for school expenses, and irregular-job situation, manage otherness-basedㆍdiaspora-based life while making a journey to Australia, Africa, and Nepal, and making overseas studying life and immigrant life. Travelers, immigrants, foreign workers, and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main characters in novel, spend busy and hard daily life as Homo Sacer, who escaped from the protection of the law while receiving racial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mid a flow of the wholly global capital and imperialism. This phenomenon is not specially different even in Korean society. These people can not help being marginal man, minority, Diaspora, and nomad. Key words in Hae I-su's novel are journey(migration) and anxiety. This anxiety implies the existential anxiety called a pursuit for the original ego, and the socially economic anxiety that was produced by jungle life in winner takes all, which is led by neo-liberalism. His novel makes it suggested a right of otherness, ethics of otherness, and human rights of otherness through anxious life of other people like immigrant, guide, foreign worker, adopted child, and Oriental woman. In a sense of having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critical mind of our era, which calls over earnestness that needs to realize multi-culturalism, not single culturalism, along with philosophy in the otherness and the ethics in the otherness through life of main character, who endures agony of diaspora amid the multi-cultural society without multi-culture, Hae I-su's literature has historical value.

      • KCI등재

        다문화텍스트의 교양교육에의 활용방안

        차성연(Cha, Seong-yeon),윤송아(Yoon, Song-ah) 한국문학회 2015 韓國文學論叢 Vol.70 No.-

        본고는 지금까지의 다문화 교육이 타자에 대한 위계화된 시선을 내면화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인식의 문제가 다문화 교육 분야에서 좀 더 조심스럽게 다루어져야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고자 한다. 다문화 교육이 궁극적으로 다양한 타자가 서로를 이해 존중하며 모두가 동등한 시민의 자격으로 함께 더불어 살아갈 공동체를 형성해나가는 데 목적이 있다고 한다면, 암암리에 자신을 주류로 인식하면서 타자를 하위계층으로 대상화하는 시선을 내면화한 여러 교육 프로그램 및 정책에 대한 비판은 반드시 제기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이 문제가 깊이 있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에 대해 고심어린 논의가 오고 가는 시점에서 그 방향을 모색하는 한 방법이기도 하다는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고는 다양한 다문화텍스트를 활용하여 교양교육의 지향점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교양교육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은 ‘다양성’에 대한 수용에 그쳐서는 안 되고 타자에 대한 윤리교육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먼저 ‘타자에 대한 자기 감정의 확인 및 성찰’을 진행하고, ‘연민’이나 ‘혐오’와 같은 개인 감정이 사회적 차원에서 어떻게 정치적 의미를 획득하게 되는지를 분석하는 활동들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서사 텍스트를 활용하여 타자에 대해 ‘상상’적으로 공감하면서 동등한 ‘세계시민’으로서의 윤리를 함양할 수 있는 데에 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시도해보았다. 이 과정들은 단계적 순서에 의해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나 , , 등 다양한 교양교육 과정에 유동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고에서 제시한 활용 방안은 개인 감정의 사회적 의미, 감정의 정치학 및 실천의 영역을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지, 정의, 행위의 측면을 아우르는 융합적 교양교육의 모델이 될 수 있으며, 세계시민으로서의 윤리적 태도에 대한 교육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다문화교육 및 교양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고 본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point out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up to now has internalized the hierarchical recognition of others and to propose the need that such a problem of recognition should be more cautiously dealt with in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sing that the purpos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form a community where lots of different people ultimately understand and respect each other and all of us live together, it is essential to raise criticism on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ies which internalized the trend of regarding others as a lower class, secretly recognizing self as the majority. Especially,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that this problem not only needs to be dealt with in details in General education in a university, but also becomes a method for searching a direction at the point of time of being under in-depth discussion about the direction of General education. Accordingly, this paper looked into a method able to put the intention point of General education into practice by utilizing a variety of multi-cultural text. This paper, first of all, dealt with‘confirmation and reflection of self emotion to others’ in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should not accept only‘diversity’, but become ethical education for others, and did activities of analyzing how individual emotion such as ‘sympathy’ or ‘hatred’ gets to obtain a political meaning from social standpoints. In addition to that, this paper made attempt so that we, sympathizing with others through imagination with regard to others utilizing narrative text, can go forward to the extent to which we can build up ethics as equal‘global citizen’. These processes do not proceed by order by stages but can be fluidly utilized in various courses of General education including or , , , etc. The us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come a model amalgamative General education covering aspects of recognition, justice and acts in that it includes social meanings of individual emotion and politics and practice of emotion, and also can become a good example of proposing the directivity of multi-cultural and General education in that it amis for an education toward an ethical attitude as global citizen.

      • KCI등재후보

        『완득이』의 서술전략과 영화화 연구

        황영미(Hwang, Young-Mee) 돈암어문학회 2011 돈암어문학 Vol.- No.24

        이 논문은 텍스트에 대한 분석은 내용과 형식 모두에서 논의되어야만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하였다. 이 논문은 불량한 어투로 말하는 고등학생의 입과 눈을 통해 서술하는 소설 『완득이』의 서술상황이 시점 면에서 독특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담임선생님을 ‘똥주’라고 명명하며 그를 싫어하는 어투를 지닌 1인칭 서술자인 완득이는 사실상 이 세상 누구보다도 담임선생님을 믿고 따르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서술자는 웨인 부우드에 의하면 ‘믿을 수 없는 서술자’라고 말할 수 있다. ‘믿을 수 없는 서술자’란 서술자 자신의 어떤 특별한 치우침이나 오류로 내포작가의 규범에 맞지 않을 뿐 아니라, 이러한 서술자의 서술은 믿을 수 없기 때문에 독자는 내포작가와 담합을 하여 서술자의 서술을 반어적으로 읽게 된다. 『완득이』의 서술전략의 핵심은 바로 이런 점이다. 소설 『완득이』는 이한 감독에 의해 동명으로 영화화되어 2011년 10월 20일에 개봉했다. 개봉 6주 만에 500만이 넘는 관객을 동원하였다. 이 글은 원작에 비교적 충실한 <완득이>에서의 카메라의 객관적 시점이 ‘믿을 수 없는 일인칭 서술’을 어떻게 구현하는지에 대해 살폈다. This paper is starting forward the position that analysis about "text" must be discussed by both "content" and "form".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unique point of view-novel 『WanDeuki』, especially narrative condition through mouth and eyes of highschool student who has very poor his way of talking. First-person narrator, WanDeuki, named his head-teacher "Ttongju" and hate him with a very poor way of talking but virtually he believes his head-teacher more than anyone else in this world. Therefore, these narrators, according to Wayne C. Booth, can be a "incredible narrative". "Incredible narrator" means any particular bias or error of narrator and it is not conform to the norms of the implied author. Also, because description of these narrators can not be believed, readers who have the collusion with the implied author is going to read the narrator"s narration ironically. The core narrative strategy of Kim Ryeo Ryeong is this. Novel 『WanDeuki』 was filmed as the same name by director Lee Han and released on 20 October 2011. Released in 6 weeks was mobilized over 5,000,000 viewers and in the future more will be expected to watch that movie. There are several times that "Incredible narrative" is used in Korea literature, but it is much less filming of original that is written by this kind of narration. This article is focused on how they are implemented the "incredible narrative", relatively faithful to the original, in film <WanDeuki> on the camera"s objective view-point. In addition, novel and film both in terms of subjects noted that the multi-cultural text. Protagonist of the novel 『WanDeuki』"s mother is Vietnamese, but Filipinos in the movie. And head-teacher, LeeDongJu, gives foreign workers the shelters and the better conditions of life. The steps that Wandeuki"s acceptation of his foreign mother, show that the aspect about absolutely hospitality on foreigners who became a member of the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