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다문화 수용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가정 유아-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혜금 ( Hye Gum Kim ),임양미 ( Yang Mi Lim ) 대한가정학회 2015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3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ulti-culture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on young child-teacher relationships. The teachers’ attitude towards multi-culture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 analysis as a mediator between multi-culture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Participants were 295 teachers and 295 young children between 3 and 5 years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Incheon, Ulsan, Gyeonggi,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multi-culture acceptability,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 towards multi-culture educa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obel test with SPSS ver. 18.0 and AMOS ver. 2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scale of multi-culture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generall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loseness and conflict in the subscale of young child-teacher relationships. Second, teacher’s multi-culture acceptability directly influenced the young child-teacher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impact of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on young child-teacher relationship was mediated perfectly by the multi-culture education attitud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promote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s and that can be changed to positive teacher relationships.

      • KCI등재

        다문화 교육을 위한 철학적 모색 ― 칸트의 세계시민론을 중심으로

        정용수 대동철학회 2016 大同哲學 Vol.74 No.-

        우리나라에서 다문화 현상은 일상적인 현상이다. 한국은 다문화사회로 진입한지 벌써 30년 이상의 시간이 흘렀다. 탈북이주민, 노동이주민, 결혼이주민 등 다양한 양상의 다문화 현상만큼 다문화 현상에서 생겨나는 문제들도 다양하다 하겠다. 이러한 다문화 현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교육이 절실하다. 다문화 교육이란 다문화 감수성이나 다문화 역량을 키우는 것이라 하겠다. 인간과 문화에 대한 보편적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 다문화 교육의 요점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다문화 교육에 대해 철학적인 접근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칸트의 입장을 빌려와서 시민화와 도덕화를 통해서 세계시민적 신조를 길러내어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 것이 다문화 교육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라고 필자는 주장한다. 세계시민주의가 다문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의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것이다. 다문화의 문제는 우리 사회에서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하고 보편적 가치를 구현하는 것을 통해서 해결될 수 있다. 이에 칸트의 교육학강의에 나오는 시민화와 도덕화의 교육을 적용함으로써 다문화교육을 완성할 수 있다. 시민화는 이주민(guest)의 사회적 적응과 관련해서, 도덕화는 각기 이주민과 원주민(host)의 도덕적 각성에 도움을 주는 개념이라고 나는 주장하고 있다. In Korea, multi-culture situations are ordinary status. Korea moved in the multi-culture society 30 years ago. Many problems occur in multi-culture situations as if multi-culture situations are various, for example renegades from north-Korea, emigrants for job, emigrants for marriage, etc. Multi-culture education is very important so as to solve this problems in multi-culture situations. Multi-culture education is to increase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capacity. To realize universal value of human and culture is key point of multi-culture education. This paper aims to grope for philosophical approaching to multi-culture education. For the success of this approaching, I borrow Kant's view of education. I claim that to cultivation talent of world citizens by implanting cosmopolitan creed through civilization(Zivilisierung) and morali- zation(Moralisierung) is to realize the value of multi-culture education. Cosmopolitanism will make the key of multi-culture education which is solve problems of multi-culture situation. Multi-cultural problems will be solved by recognizing value of diversity and realizing universal value in society. In this conditions, multi-culture education will be helped civilization and morali- zation in Kant's Vorlesung ber Pdagogik. I argue that civilization belongs to social adaptation of guest and moralization belongs to moral awakening of guest and host.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

        최성환(Sung-hwan Choi),이진아(Jin-a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에서 개방적인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고찰이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 직면하여 과거 혈연중심의 단일민족주의와 서구문화에 대한 편향적 태도에서 벗어나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세계를 인식하고, 다인종?다문화 세계에 살아갈 청소년 세대들을 위한 새로운 다문화 교육이 요청되고 있다. 음악을 포함한 문화예술 활동은 다양한 문화적 유산과 자원이 서로 평등하게 공존하고 소통할 수 있으며, 다양성이 인정되고 실현될 수 있는 연결고리로 작용할 수 있다.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는 “다양성이 없이는 인류가 진정으로 살아갈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서 여러 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해야 한다. 또한 민족 전통 속의 정체성과 잠재력을 북돋워 특수성을 유지하면서 타문화와 교류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화예술활동은 다문화 사회에서 타문화의 이해와 공존을 위한 가장 자연스럽고, 쉽게 융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이다. 그동안 한국 다문화교육에서는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지원이나 구체적 방법론 보다는 다른 활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음악교육부분에서는 우리문화의 정체성 확립을 연관된 한국 전통음악에 대한 내용은 부족하였다. 무조건적 동화를 지향하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이 아니라 한국의 다문화사회에서 사회의 통합, 소통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을 포함한 음악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의 고유한 사회적 배경과 한계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한국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시대흐름에 맞는 음악을 추구하는 문화교육’의 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먼저 문화예술교육의 위상과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한계점을 살펴본 다음, 문화의 본질과 관련된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우리의 정체성과 관련된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전망과 더불어 한국 전통음악의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한 다문화사회에서의 음악의 역할과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교육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하려한다. 한국 전통음악은 다문화사회에서 다른 문화권의 음악과 함께 이해되고 발전시켜야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단순히 한국 전통음악을 소개하고 교육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넓게는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세계화라는 불가피한 변화 속에서 한국 전통음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콘텐츠화’ 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This study is about the rol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at multi-cultural society. Facing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we need to be free from deflective attitude about Western culture and nationalism and recognize the world from the position of multiculturalism. So new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youth generation who will live in the multi-racial?multi-cultural world is required. Culture, art and music could naturally occupy as the tool of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cultural heritage and resources co-exist without discrimination. Levi-Strauss claimed that human race cannot truly live without diversity. We should preserve diversity of various cultures in multi-cultural society. Also by encouraging potential and identity for their uniqueness within ethnic tradition, we should create a new culture interchanging of various cultur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meantime did not have enough contents which are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of our culture. Music education course for the communication and unity of society is in nee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lti-culture is also essential. Additionally more detailed methods to reflect enough in the textbook and Korean traditional music’s directivity in multi-cultural society are necessary. This study attempts to look very closely at the status of culture, education of arts and the limitation of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the music education that’s related to essence of a culture and our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Lastly, the study suggests the role of music in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comb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sian music together with the brightness of future and directiv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be worthy when it is understood and developed together with music of other culture in multi-cultural society. Furthermore by accepting education theory of multiculturalism the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so that the significance of culture art education where the coadaptation of traditional music of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done systematically with keep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usic. Making cont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also very important in Korean music market of the flow of globalization.

      • KCI등재

        현대시에 나타난 ‘다문화(多文化)’의 양상들 -김수영, 김정환, 유 하의 시를 중심으로-

        김수이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7 No.4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effects of multi-culture(its acceptance attitude) on test formation of Korean literature by multi-cultural phenomena/symptoms represented in the middle and late 20th century. This becomes literary and, at the same time, cultural work which re- constitutes the previous history of Korean multi-culture through literary works. There are poets such as Kim Su-young, Kim Jeong-hwan, Yu ha who show self-conscious and characteristic recognition of ‘multi-culture' in their poems in the middle and late 20th centuries. First of all, Kim Su-young intends to offset the limping of Korean modern politics·history by cultural appropriation through positive rediscovery and restor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subordinate culture. While Kim Su-young attempts ‘cultural appropriation of politics·history, Kim Jeong-hwan attempts ‘political·historical appropriation of culture'. At this time, the subject of Kim Su-young's appropriation is Korean history and culture, he reaches affirmation toward Korean culture by way of historial experiences of multi-culture. Meanwhile, the subject of Kim Jeong-hwan's appro- priation i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of other country that urge America, Korea, Japan, etc. to new colonization. Kim Jeong-hwan strictly awakens to and criticizes violence and un-ethicality of other culture/ multi-culture in violent reality under the rule of military dictatorship. Yu ha clearly realizes the reality in which other culture(/multi-culture) in 1990s became the subject of popularity and consumption under ‘cultural economic appropriation' phenomena. The cultural way of reading of reflecting on ‘economic phenomena of culture' conducted across the society in the name of popularity is highly political. Thus, Yu ha's political independence of culture is concentrated on bringing a charge against the deception and fiction of capitalistic system and the political system parasitic on it. The recognition of other culture(/multi-culture) showed by Kim Su-young, Kim Jeong-hwan and Yu Ha respectively reflects the current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paradigm and develops coping with the paradigm. The Korean society and literature in the middle 20th century formed peculiar scenery through various processes to cope with other culture(/multure-culture), and has established the site for happy co- existence with other culture(/multure-culture). 이 논문은 20세기 중·후반의 시에 나타난 ‘多文化’의 樣相 및 症狀을 분석함으로써, 한국문학의 텍스트 형성에 ‘多文化’(에 대한 수용 태도)가 끼친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문학작품을 통해 한국의 多文化의 前史를 재구성하는, 文學的인 동시에 文化的인 작업이 된다. 20세기 중·후반의 시에서 ‘多文化’에 대한 自覺的이며 특징적인 認識을 보여주는 시인들은 김수영, 김정환, 유 하이다. 김수영이 ‘政治·歷史의 文化的 專有’를 시도한 데 비해, 김정환은 ‘文化의 政治·歷史的 專有’를 도모한다. 김수영은 多文化의 歷史的 經驗을 經由해 韓國文化에 대한 肯定에 이르는 반면, 김정환은 軍部獨裁 治下의 暴壓적인 현실 상황에서 다른 문화/多文化의 暴力性과 非倫理性을 批判하는 데 집중한다. 유 하는 1990년대에 다른 문화/多文化의 ‘經濟的 專有에 대한 批判的 省察’을 통해 다양한 국적의 문화가 유행과 소비의 대상으로 화한 現實을 告發한다.

      • KCI등재

        다문화사회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논의와 그 적용의 적절성 고찰

        장사형 ( Chang Sha-hyung ) 한국교육철학회 2017 교육철학 Vol.62 No.-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matter of “Multi-culture” which has been a critical issue in recent society in Korea, to discuss various concepts and policies that are being applied in different researches or educational fields, and to investigate if the nature of those concepts are appropriate in deed. The discussion on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suffers the lack of process of any serious discussion socially or professionally regarding its nature and direction, rather creating a regulation on multi-cultural policy just so that our society can adopt to changes and to overcome issues that resulted from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due to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This phenomena, therefore, causes various contradictions through the lack of consistency on directions and systematic coherence created by absence of discussion and agreements between theorists and activis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is suitable for our society and what really is true multi-cultural education. A precise examine and analysis is a prerequisite of understanding the reality and education on multi-cultural society. Compared to the Americas and Europe where multi-cultural society has been developed for quite some time, Korea has been focused on only size of the immigrants, despite the fact that the process of forming a multi-cultural society is very different in many aspects. As a result, the concept “multi-culture” has been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word “family”, contradicting the original meaning of the “multi-culture”, and the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remained under the limit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assisting culture adaption for few immigrants. A proper understanding and adapt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ism is required in order to implement proper and appropriate multi-cultural education. A synthetic and concrete/specific ver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oposed, not simply based on charity or welfare policy, rather based on deep understanding, caring and respect of race, region, class or religion of others and create social integration and balance of cultural dissolution.

      • KCI등재후보

        다문화시민성을 위한 스토리텔링 활용 문화교육 방안

        김영순,윤희진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0 언어와 문화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cultural education method for multi-cultural citizenship using storytelling of native culture. As the expansion of the multi-culture society, interest in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rising. It is important that understanding one's own culture with first priority in order to understanding other culture under condi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own's culture is played an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other culture. Then this study proposes the native culture storytelling as method of understanding own's culture. This storytelling can provide interesting education to learners for the native culture. Furthermore, through the storytelling learners would expect their life naturally achieving their own culture. It is seems to be understanding other culture intersubjective critically in basis of understanding their culture. This will expect enhancing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cultural education method for multi-cultural citizenship using storytelling of native culture. As the expansion of the multi-culture society, interest in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rising. It is important that understanding one's own culture with first priority in order to understanding other culture under condi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own's culture is played an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other culture. Then this study proposes the native culture storytelling as method of understanding own's culture. This storytelling can provide interesting education to learners for the native culture. Furthermore, through the storytelling learners would expect their life naturally achieving their own culture. It is seems to be understanding other culture intersubjective critically in basis of understanding their culture. This will expect enhancing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 KCI등재

        창의성의 환경으로서 한국다문화의 사회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10명의 한국다문화 관련자의 의견을 중심으로

        문윤수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1 社會科學硏究 Vol.37 No.3

        Creativity is the most important to college students. but the creativity dose not work to them in Korean society. Therefore, this gap makes the students very difficult to create. Thus, this study has proposed in order to make good use of Korean multi-culture as social environment of Creativity to reduce the gap in the dimension of society. First, we examined precedent discussions which were evaluated to be similar to this discussion. But most of them diagnosed Korean multi-culture as conflict negatively. Second, multi-culture was re-conceptualized as the theory of creativity positively. Third, Korean multi-culture was interpreted intuitionally. Fourth, creativity and multi-culture were related in theory. fifth, the practicability so far was checked by opinions from the people concerned through open survey. The scholars as the people evaluated the practicability positively, at the same time they emphasized to add precondition. but the natives as the people evaluated the practicability negatively, they emphasized that executing the precondition is not easy to Korean multi-culture. As a result, Korean society must have multi-culture with the unaided eye, but there is no openness as idea. In other words, openness come to the fore to make good use of Korean multi-culture as social environment of Creativity to Korean. 한국학생들에게 가장 요구되는 사고는 바로 창의성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 논의는 창의성을 한국다문화에 대입하여 그 활용 가능성을 탐색했다. 우선 첫 번째, 유사한 선행논의들을 살폈는데, 대부분의 논의가 한국다문화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래서 두 번째, 창의성차원에서 다문화를 재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한국다문화가 현재 한국사회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직관적으로나마 정리하였다. 네 번째는 창의성과 다문화의 긴밀한 관계를 이론적으로 기술하였다. 마지막 다섯 번째, 다문화 관련자들로부터 얻은 설문을 통해 지금까지의 가능성을 살폈는데, 대부분의 다문화 연구자들은 긍정하면서도 그에 따르는 ‘전제조건’을 명료하게 제시해 주었다. 그러나 다문화 현지인들은 그 가능성을 부정하였는데, 그 부정은 다문화 연구자가 제시하는 전제조건이 그리 간단히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알게 했다. 결국 겉으로 보기에는 한국도 다문화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거기에는 ‘개방성’이라는 핵심적인 이념이 빠져있고, 그런 이유로 한국다문화를 창의성의 사회환경으로 활용하려는 가능성은 희박했다.

      • KCI등재

        다문화 개념 재정립과 소통의 배움 원리

        김성길 한국성인교육학회 2013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6 No.1

        Recently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society come to us as a social trend that integrates people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 multi-cultural society is one consisting of people from a variety of national, linguistic, religious and cultural backgrounds. Multi-cultural education helps learners develop a positive self-concept by providing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needed to function effectively in a pluralistic democratic society. This study aims to redefine the basic direction of multi-culture concept and to help understanding the inter-experience concept in the view of the science of erudition. To demonstrate these goals, this study checks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concepts concerned with multi-culture,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multi-culture, and proposes the inter-experience concept, tha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the multi-culture education. By doing so, this study wishes to find the provability and potential of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Korean society. 다문화사회는 공동체의 다양한 문화와 가치, 태도를 형성하고 구성원간의 특성을 인식하며 상호 공존과 협력을 강조하는 사회다. 다문화교육은 학습자들이 스스로 자아 정립과 사회적 관계 형성 과정에서 자신이 속한 문화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에 대해서도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익히고 경험하는 교육을 말한다.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변화하고 있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가 어떤 모양새의 다문화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다시 말해서, 지금 이야기되고 있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는 문화(culture)라는 모(母)개념에서 태어난 자(子)개념인지, 아니면 다문화(多文化) 나름의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한 개념인지에 대한 제대로 된 자리매김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제기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 다문화 개념의 한계를 분석하고, 문화 속 다문화 개념을 정리한 후,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의 핵심요소인 소통의 개념을 배움학적 원리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 초등ㆍ중등교사들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운영 방안 연구

        최항석(Choi, Hang-Seok),차미정(Cha, Mi-Jeung)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3

        이 논문은 현장교사의 운영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초등ㆍ중등교사들에 대하여 다문화교육 중요성 인식과 다문화적 효능감에 관련된 상황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위한 실제지도와 자녀지도를 위한 교사들의 태도에 관해 알아보았다. 연구문제에서는, 초등ㆍ중등교사들 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조사를 통해 학교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을 알아보고자 초등ㆍ중등 교사의 다문화교육 중요성에 관한 인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다문화교육의 효율적인 지도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를 파악하였다. 결과에서는 첫째, 초등ㆍ중등교사들의 경우 교사경력 별, 다문화가정 자녀의 지도 유ㆍ무에는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과 다문화적 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경우 교사연수 유ㆍ무에는 영향이 없었지만, 중등교사의 경우는 교사연수 유ㆍ무가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과 다문화적 효능감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지도에 대해서는 담임교사의 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일 전담교사로 적합한 사람을 선정한다변, 다문화가정에 대해 관심과 이해도가 높은 자원봉사자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행ㆍ재정적 지원을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알맞은 교재ㆍ교수 학습자료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며,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해서는 학교에 적응하고 친구를 만들 수 있는 방법들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ncludes a research of how teachers(elementary and midd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 also states several ways to efficiently prepare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most desired way of education. This paper made a diagnosis of teachers' current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get a thorough view of the current situation. This includes checking the instructors' awareness of the possible clash between children of a multi-culture family and a children from a local family, which cannot be ignored for a successful multi-cultural education process. This paper also analyze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etween instructors experienc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not. Most teachers were not experienced of getting edu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but they showed a thorough recognition and a high potential efficiency.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class is the most important instructor for foreign children. An appropriate teacher in charge for such students appeared to be instructors who deeply understands and cares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amilies. In order for students from other culture to adapt well, the education system must not exclude such students, and should provide not only administrative but also financial support. The education system should prepare appropriate textbooks, teaching materials, and especially the plans to help make harmony between local and foreign students. Foreign students must be guaranteed of easy access of such support, and moreover the system should give the instructors more chance to get educated of multi-cultural teachings. The teachers need education first in order for them to teach better. Also, for Korean society to adjust itself well 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government, the educator, and the citizens must understand multi-culture well and they all must work as a team. This requires sustaining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eachers must get educated before they educate, and the government and the citizens as one should form a respectful atmosphere for foreigners.

      • KCI등재

        다문화교육에 있어서 박물관의 역할 -「지구촌민속교육박물관」의 전시와 연계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최문성 ( Moon Seong Choi ),김순자 ( Sun Za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9

        교육은 형식적인 학교교육과 비형식적인 교육을 통해 통합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이행됨에 따라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는「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을 통해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다문화 교육요소 반영"할 것을 권고한 이후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 개념을 범교과 주제에 포함시켰으며,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는 "다문화교육 기반 구축", "교사 연수 등 다문화교육 저변 확대"를 통해 다각적인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졌다. 그 동안 시행된 이러한 다문화교육이 많은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온 것도 사실이나 학교교육이 지닌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역의 평생교육기관인 박물관과연계할 것이 강조되고 있다. 학교교육과 연계된 박물관을 통한 다문화교육은 "다문화 체험"을 통해 인간과 문화를 체험하고 다문화사회에 요구되는 더불어 더 잘 살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는 「지구촌민속교육박물관」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내용을 분석하고, 더불어 더잘 살 수 있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박물관교육의 역할에 관해 탐색 해보는 것이다. 먼저, 지구촌민속교육박물관의 박물관의 전시와 교육프로그램에 반영된 다문화교육내용을 분석하기 위해「문화」,「다양성」,「정체성」,「평등」,「반편견」,「협력」의 6가지 분석 준거로 분석할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2장에서는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박물관연계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제 3장에서는 지구촌 민속교육박물관의 전시와 연계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제 4장에서는 3장의 분석.논의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박물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교육을 위한 박물관연계교육프로그램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을것이다. Integrated education is happening through formal school education and informal education. Although that implem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has many positive effects until now,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museum, the loc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to compensate the limitations of schoo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museum connected with school education can give the opportunityof an experience of human being and culture through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improve attitude and ability of living a better life together, which are required in multi-cultural society. Thus, this study analyzed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Folk Education Museum of Global Village」, which can be described as multi-cultural museum, and explores on the role of museum educ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f living a better life together. First of all, we will analyzed criterions of 「culture」, 「diversity」, 「identity」, 「equality」, 「anti-prejudice」, and「cooperation」for analyzing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reflected in the exhibition of Folk Education Museum of Global Village and education progra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Chapter 2 discusses the transition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need to museum-associated education. Chapter 3 analyzes and debates the exhibition of Folk Education Museum of Global Village and museum -associated - education program. Chapter 4 presents the role of desirable museu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analyzes and discussion in chapter 3. As a result, this study will be able to give a desirable direction of the museum-associated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