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이동성, 그리고 사인주의

        김평호(Pyungh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8 No.-

        이동전화는 언제 어디서나 소통을 가능케 한다는 뜻에서 이동성의 통신매체이며, 또한 개인적 통신수단을 넘어, 사적 공간을 의미하는 개개인의 독립적인, 그리고 배타적인 소통행위의 영역을 만들어 낸다는 의미에서 사인주의적 매체이다. 이동전화에서 볼 수 있는 이같은 이동성과 사인주의적 성격을 우리는 대체로 이동전화의 기술적 특성, 또는 편리함 정도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성은 이동 그 자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사인주의 또한 사인주의 그 자체가 목표는 아니다. 이동성과 사인주의에는 우리로 하여금 그렇게 생활하고 생각하게끔 요구하는 특정한 정치경제적, 사회적 조건들이 존재한다. 이동전화는 우리에게 이같은 이동적이며 사인주의적인 방식의 삶을 강제하는 오늘날의 사회적 질서체계를 상징하는 정보통신 매체이다. The mobile phone is a medium of mobility in the sense that it makes possible anytime, anywhere communications. It is also a medium of privatism as it opens for the users an exclusive communication space that marks private territoriality. These two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mobile phone are usually interpreted as part of its technical properties and convenience it provides to the users. But mobility is offered not just for the sake of mobility, nor privatism is for the sake of privatism. There are certain social and political economic conditions that enhance and even force us to be mobile and private. The mobile phone symbolizes this kind of world order in which mobility and privatism condition our social life-world.

      • KCI등재

        이동적 사사화 개념의 재활성화를 위하여

        홍성일(Sungil, Hong),이수엽(Suyub, Lee),박근서(Keun-Seo Park)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2 No.2

        증강현실 게임 <포켓몬 고> 열풍이 한국에도 몰아쳤다. 이전에도 증강현실 기술은 존재했지만 <포켓몬 고>에 이르러서야 증강현실은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파급력을 획득할 수 있었다. 이는 기술과 사회의 복합적인 변증법적 관계를 지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레이먼드 윌리엄스는 1970년대 초 당시의 뉴미디어 텔레비전을 소재로 기술과 사회 및 문화에 관한 선구적 통찰을 선보인 바 있으며 그의 유명한 개념인 이동적 사사화에 집약되었다. 1990년 후반 영국의 문화연구자들 또한 윌리엄스의 영향 하에 워크맨 사례 연구를 선보였는데, 이는 최근의 스마트폰 게임 <포켓몬 고> 현상을 예견한 것이었다. 그러나 스마트폰 게임 <포켓몬 고>가 텔레비전, 워크맨과 달랐던 것은 능동적 수용자를 이윤의 필요조건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이를 면밀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동적 사사화 개념의 발본적 혁신이 필요하며 사사화 개념의 다의성을 입체적으로 살릴 필요성이 있다. South Korea is in the grip of the augmented reality game, Pokemon GO fever. The technology of augmented reality, which emerged long time ago, only now has achieved its far-reaching power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game, Pokemon GO. This shows the complex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society, and culture. It was the early 1970s when Raymond Williams got unerringly at the complex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society, and culture by examining television, the then new media, and summarized his ideas in the concept of mobile privatization. With reference to his ideas, a group of British Cultural Studies researchers explored the media, Walkman in the late 1990s. Based on the ideas and concepts advanced by Williams and British Cultural Studies researchers, this study also understands Pokemon GO as a phenomenon of mobile privatization. However, this study recognizes that Pokemon GO is from the other media such as television and Walkman in that the former expects active audiences or users to make its own profits. To this extent, this study argues that the notion of mobile privatization needs to be revised to incorporate its polysemic quality in it.

      • KCI등재

        디지털TV의 양식성

        임종수(Jongsoo Lim) 한국언론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1 No.2

        이 글은 디지털TV의 양식성을 디지털 미디어의 문화 테크놀로지적 특성으로 부터 고찰해 그것이 어떤 형식과 존재, 수용의 측면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본다. 이는 궁극적으로 텔레비전 양식의 핵심 키워드였던 흐름이라든가 유동성의 사사화가 디지털TV 국면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해명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디지털 미디어의 재매개 논리를 접속과 분리를 함의하는 임베디드니스 개념으로 제시한 후 이 개념이 디지털TV의 형식, 존재, 수용에 어떻게 작동하는지 논의한다. 디지털TV는 기존의 텔레비전 시스템, 즉 텔레비전 방송사 채널-네트워크-수상기로부터 벗어나 여타의 미디어들과 결합된(혹은 배태된) 상태(embedded)로 형식화되고, 그런 만큼 사회 곳곳으로 침투해 존재하며(embedding), 그로 인해 시공간적 구속성으로부터 탈피된 상태(disembedded/disembedding), 다시 말해 시공간적 자율성이 극대화된 수용행태를 보편화시키고 있다. 이로써 흐름은 플랫폼의 흐름이 아닌 플랫폼,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을 넘나들며, 그러면서 그 안에서 개인화된 흐름으로 재구성되고, 유동성의 사사화는 가족단위를 넘어 개인화의 차원, 다시 말해 가족화가 아닌 개인화된 유동성의 차원으로 재구성된다. 디지털TV의 이 같은 변화는 기존 텔레비전의 흐름과 유동성의 사사화가 개인화와 미디어화의 지평에서 재고될 것을 요구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gital TV modality on a basis of cultural technology of digital media, and then explains how this cultural technology would be deployed in terms of form, existence and reception of digital TV. This work ultimately aims at elucidation for how flow and mobile privatization, which has been a core cultural mode of television, would be changed in digital TV. For this work, this paper brings up the remediation logic of digital media to the concept of embeddedness signifying connection and separation, after then discusses how this embeddedness of digital media would be functioned in form, existence and even reception of digital TV. Digital TV is now making his own status differentiated with traditional television system; forming his platform as embedded with some other media, out of traditional channel-network-device structure, existing as embedding here and there in our society, maximizing a state of disembedded/disembedding in reception of TV, the time-space autonomy for using TV. With this, we insist that flow ought to be reconstructed as that of crossing the platform, network and device, much more individualized flow in those environment. That is much more contrasted with the flow within traditional TV platform, now severely weakened. Mobile privatization is also reconstructed as a dimension of individualization beyond family unit, as it were, not dimension of domesticity but individualized mobility. These changes of digital TV modality request to reconsider flow and mobile privatization of television on the horizontal of individualization and mediatization.

      • KCI등재

        Enhancing Security in Mobile IPv6

        Hero Modares,Amirhossein Moravejosharieh,Rosli Bin Salleh,Jaime Llore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 ETRI Journal Vol.36 No.1

        In the Mobile IPv6 (MIPv6) protocol, a mobile node(MN) is a mobile device with a permanent home address(HoA) on its home link. The MN will acquire a care-ofaddress (CoA) when it roams into a foreign link. It thensends a binding update (BU) message to the home agent(HA) and the correspondent node (CN) to inform them ofits current CoA so that future data packets destined for itsHoA will be forwarded to the CoA. The BU message,however, is vulnerable to different types of security attacks,such as the man-in-the-middle attack, the sessionhijacking attack, and the denial-of-service attack. Thecurrent security protocols in MIPv6 are not able toeffectively protect the BU message against these attacks. The private-key-based BU (PKBU) protocol is proposed inthis research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someexisting MIPv6 protocols. PKBU incorporates a method toassert the address ownership of the MN, thus allowing theCN to validate that the MN is not a malicious node. Theresults obtained show that it addresses the securityrequirements while being able to check the addressownership of the MN. PKBU also incorporates a methodto verify the reachability of the MN.

      • KCI등재

        사교육금지정책과 계급이동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장수명(Jang, Soomyung),한치록(Han, Chirok),여유진(Yeo, Eugene) 한국사회정책학회 2016 한국사회정책 Vol.23 No.1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12차 자료를 활용하여 과외금지정책이 계급이동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교육금지정책은–사교육비를 집중적으로 지출하고 교육정보가 집중된 중상층 이상에서 사교육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클 가능성으로 인해–사회이동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가설이다. 오즈비와 이중차분방법을 이용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 사교육을 금지한 과외금지 세대가 그 이전 세대에 비해 세대간 계급 이동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학교 평준화의 중첩된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과외금지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세대 간 이동이 더 높았다. 다만, 과외금지 해제 이후 세대의 세대간 이동을 과외금지세대와 비교하기에는 자료에 한계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추후 추가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한편 계급이동은 단순히 하나의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기보다는 중학교 평준화 정책, 과외금지,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적자본축척 효과의 장기성을 감안할 때 교육정책의 기간과 지속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이들 정책의 영향에서 확인된다.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s of the major educational policies, focusing on the private tutoring prohibition policy(PTPP), on the intergenerational class mobility(ICM) by using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1st-12th surveys. Because private tutoring(shadow education) can be effective for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of above middle classes that spend most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and have more information on education, the private tutoring prohibition policy can increase the intergenerational mobility. This study confirms this possibility. Even when the overlapping effect of the middle school equalization polity is controlled for, there is still high effect of the PTPP. We think that we still need to examine the level of intergenerational mobility with PTPP cohort with that of later cohorts in the future. We also emphasize the compositive effect of the several consistent policies such as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qualization polices and the PTPP and length and continuity of the policies for the higher mobility.

      • KCI등재

        모바일 승선신고시스템 개선을 통한 해양수색구조 강화방안 연구

        정해상,윤종휘,이성찬,김충기 해양환경안전학회 202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9 No.4

        해양 조난사고가 발생하면 해양경찰은 수색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조난자의 수와 신원을 파악하는 등 사고 현황을 조사한다. 선장은 출항 시 선원과 승객의 신분을 포함한 명부를 첨부하여 관할기관에 신고서를 제출하도록 명시되어 있지만 승선자들이 수기로 승선자명부를 작성하면서 대기 시간이 길어지고 조난사고 발생 시 이러한 내용을 즉시 파악하기 어렵다. 승선 신청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해양수산부에서 앱을 개발하였지만, 활성화되고 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 이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모바일 승선신고 제도를 활성화하여 조난사고 시 조난자의 초기 위치와 조난시각을 신속히 확보하고 조난신고 접수 사실을 문자로 통보하여 조난자에게 심적 안도감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이 정보 이용을 통해 해양경찰을 포함하여 주변에 있는 민간 선박과 함께하는 민관협력 형태로 신속히 구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 클라우드 서비스에서의 개인정보 침해 유형 및 관계 법령에 대한 소고

        김한가희 ( Han Ga Hee Kim ),이지헌 ( Ji Hun Lee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法學硏究 Vol.23 No.1

        국민의 절반 이상이 스마트 폰을 사용하면서, 스마트폰을 통한 각종 서비스 이용은 개개인의 일상이 되었다. 스마트 폰 기술의 발달로 인해 PC를 통해 이루어졌던 각종 서비스가 스마트 폰 앱 또는 웹을 통해 가능해졌는데, 클라우드 서비스 역시 그러한 서비스의 일종이다. 문제는 스마트 폰 및 통신망 이용을 통한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지면서 개인 정보의 유출 가능성이 점점 심화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점차 시장이 확대되고 있고 서비스 자체가 개인과 밀접한 정보를 저장하는 업무인 만큼 그 보안가능성 및 침해 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최근 앱에 의한 스마트폰 정보 및 개인정보의 유출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피해를 입은 개인이 많을뿐더러 그 피해액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통한 클라우드 서비스 또한 스마트폰용 앱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됨으로써, 과거와 달리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인정보 유출 경로가 늘어났다. 대표적으로 스마트 폰 자체의 하자로 인한 유출, 통신망 침입자 및 악성코드로 인한 유출, 클라우드 서비스업자의 과실로 인한 유출로 나눌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기존의 계약관계와 다른 특징이 있어 독립된 법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어 왔으나, 외국에서는 가이드라인 및 지침으로 이를 규제할 뿐 법률로 규율하지는 않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개인정보보호를 다루고 있는 법은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 있는데, 최근 방송통신위원회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안?을 입법예고한 바 있다. 따라서 이들을 비교·분석하면서 앞으로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법의 규율을 받게 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입법 예고된 클라우드법 제정안이 적용될 경우의 문제점 또한 검토해 보도록 한다. Various mobile services in smart phone are common for individual person as a majority of people becomes to use smart phone. Due to the development in technology, several services, which only were able to access in personal computer. are possible in smart phone through mobile app or web. Cloud service is one of these services. A problem is that the leaks of private data are deepening as the movement of big data becomes possible by using smart phone and communication network. Particularly, Cloud service which is more related in private data should be carefully managed by business operator. Recently, there are several cases of leaks on private data. Damages are growing and compensation for damages also become enormous. Cloud service in app has possibility on the infringement of data by network invaders. Furthermore, the phenomena of these problem in mobile cloud service is more various than other services. Although there were some arguments on Act of Cloud Computing for recent development in cloud service market and the danger of data infringement, still there is no independent law on cloud computing service in foreign country and Korea. The laws related in private data in present Korean law is ``Private Data Act`` and ``Communication Network Act``. However, as the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noticed ``Cloud Computing Act`` recently, it is also discussed in this article. If ``Cloud Computing Act`` is ena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the relation between ``Cloud Computing Act`` and other laws can be the problem. Therefore, expecting on these problem and finding solution are needed in the present situation.

      • KCI등재

        모바일 환경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개선 연구

        최희식,조양현,Choi, Heesik,Cho, Yanghyun 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5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1 No.3

        Recently, number of tablet or Smartphone users increased significantly in domestic and around the world. But viol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leakage, misuse and abuse are constantly occurring by using mobile devices which is very useful in our society. Therefore, in this paper it will talk about the problems in the network environment of the mobile environment such as tablet and Smartphone, Mobile Malware, hacking of the public key certificate, which could be potential threat to mobile environment. This thesis will research for people to use their mobile devices more reliable and safer in mobile environment from invasion and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n order to use Smartphone safely, users have to use Wi-Fi and Bluetooth carefully in the public area. This paper will research how to use App safely and characteristic of risk of worm and Malware spreading. Because of security vulnerabilities of the public key certificate, it will suggest new type of security certification. In order to prevent from the information leakage and infect from Malware in mobile environment without knowing, this thesis will analyze the improved way to manage and use the mobile device.

      • SCOPUSKCI등재

        Privatization in Emerging Markets

        Aizenman, Joshua 세종대학교 국제경제연구소 2000 Journal of Economic Integration Vol.15 No.1

        This paper shows two examples where privatization may lead to large efficiency gains by changing the menu of taxes. First, social security privatization increases the equity position of the middle class, inducing the median voter to internalize a higher fraction of the costs of high taxes on capital, thereby reducing the capital tax rate. Second, reducing the public sector involvement in import competing activities is shown to lower the public sector's benefits from protection, reducing thereby the equilibrium tariff rate. These indirect effects of privatization described in the paper are external to the privatized activity. (JEL Classifications: F13, H21)

      • KCI등재

        MVPN 서비스 제공을 위한 효율적이고 안전한 핸드오버 메커니즘

        우현제(Hyunje Woo),김경민(Kyoungmin Kim),이미정(Meejeo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4 No.1

        MVPN(Mobile Virtual Private Network)은 이동단말을 사용하는 이동근무자가 지역적 제한없이 VPN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동 VPN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VP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MIP(Mobile IP) 프로토콜과 IPsec 기반 VPN 기술의 공존이 필요하다. 그런데 MIP와 IPsec 기반 VPN GW(Gateway)를 함께 사용하게 되면 등록 실패나 빈번한 IPsec 터널 재 설립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IETF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VPN GW의 외부에 홈 에이전트(x-HA)를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동일한 외부네트워크 내에서의 이동에 대한 핸드오버 지연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MN(Mobile Node)이 위치한 외부네트워크 내에 x-HA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방안도 제안되었다. 그러나 동적으로 x-HA를 할당하는 방안은 세션 키의 노출이나 네트워크 간 이동 시의 긴 핸드오버 지연 발생과 같은 문제를 가진다. 이에 본 논문은 이동 VPN 사용자의 핸드오버 지연시간을 최소화하고 핸드오버로 인한 데이타 손실을 줄이면서 보안을 강화하는 새로운 MVPN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에 제안된 방안과 비교하였다. Mobile Virtual Private Network (MVPN) provides VPN services without geographical restriction to mobile workers using mobile devices. Coexistence of Mobile IP (MIP) protocol for mobility and IPsec-based VPN technology are necessary in order to provide continuous VPN service to mobile users. However, Problems like registration failure or frequent IPsec tunnel re-negotiation occur when IPsec-based VPN Gateway (GW) and MIP are used together.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ETF proposes a mechanism which uses external home agent (x-HA) located external to the corporate VPN GW. In addition, based on the IETF proposal, a mechanism that assigns x-HA dynamically in the networks where MN is currently located was also proposed with the purpose to reduce handover latency as well as end-to-end delay. However, this mechanism has problems such as exposure of a session key for dynamic Mobility Security Association (MSA) or a long latency in case of the handover between different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VPN protocol in order to minimize handover latency, enhance the security in key exchange, and to reduce data losses cause by handover. Through a course of simulation, the performance of proposed protocol is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ch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