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및 향후 법규강화를 고려한 북미 시험 절차에 따른 천정강도 시험 특성에 관한 고찰

        임종수(Jongsoo Lim),이광규(Kwangkyu Lee),심일섭(Ilseop Sh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6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Recent US agency data show that nearly 24,000 occupants are seriously injured and 10,000 occupants are fatally injured in approximately 237,000 non convertible vehicle rollover crashes that occur each year. Compared to other crash events, such as frontal, side, and rear impacts, the roll over crashes present a greater risk of fatal or serious injury. So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 proposes to upgrade the safety standard on roof crush resistance (FMVSS 216) in several ways. To cope with the enhanced requirements in advance, firstly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roof strength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KMVSS 92 and FMVSS 216, and look into the proposed standard. And also we investigate whether our current cars can meet the strengthened requirements before a seated 50% tile male dummy is contacted to any roof component. Finally we suggest a modified 2nd moment of area to evaluate the rigidity of B-Pillar structure quantitatively.

      • KCI등재

        교양 다큐멘터리 콘텐츠의 지속적인 활용방안 연구

        임종수(Jongsoo Lim) SBS 2011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9 No.1

        이 연구는 디지털 쌍방향성과 트랜스미디어 현상이 고양되는 컨버전스 미디어 시대, 교양 다큐멘터리 장르의 지속적인 활용을 위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미디어의 다양한 분화와 발전에도 불구하고 콘텐츠는 이러한 변화를 견인해가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따라서 무엇보다 컨버전스 미디어 환경에서 콘텐츠의 유연한 생산모델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방송콘텐츠의 재매개와 상품화 전략, 교양 콘텐츠의 긴꼬리 경제학과 구성주의 지식 패러다임의 적용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양 다큐멘터리의 거시, 미시 콘텐츠 전략 모델을 제안할 것이다. 이를 위해 문화기호학과 문화원형에 바탕을 둔 문화콘텐츠론을 분석도구로 삼는다. 그 결과 이 연구는 방송제작상의 문화기호학적 단계와 각 단계별 노동행위를 설명한다. 이는 최초의 기획에서 콘셉트 설정, 제작 이후 콘텐츠 상품으로서 지식콘텐츠와 문자 콘텐츠, 그리고 관련 주제와 연관된 UCC 등이 상호조합된 종합 지식콘텐츠의 창출과정을 포함한다. 이들 종합 지식콘텐츠는 콘텐츠 이용자의 현실적인 요구에 답함으로써 문제해결 능력을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시대의 콘텐츠 존재양식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has intended to propose the model for continual usage of documentary contents in convergence media age, flourishing digital interactivity and transmedia. There were variety of media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nevertheless, media contents could not be at head of this transition. So, most of all, it’s needed a flexible production model suited convergence media environment. From this problematic,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s the remediation and commoditizational strategy of broadcasting contents, the availability of long-tail economy and constructional knowledge paradigm in documentary genre. Afterwards, we can propose macro and micro contents model of documentary contents. In this work, cultural contents theory on the basis of cultural semiology and cultural archetype will be the analytical tool. As a result, this study explains the cultural semiological steps in broadcasting production, and labor action plan in each steps. The model includes process of, from a initial planning to concept creation, knowledge contents and text after production, and ucc related subject. Moving image, text, ucc construct complex knowledge contents. These complex knowledge contents, in ubiquitous age, could be told the mode of contents which provide everyday-solution, as they answered the needs of user in everyday life.

      • KCI등재

        HLKZ-TV, 텔레비전과의 조우

        임종수(Jongsoo L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7 언론과 사회 Vol.15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텔레비전이었던 HLKZ-TV 시절(1956~1959), 텔레비전이 우리사회에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 텔레비전이 어떤 문화적 가능성과 미학적 관점에서 인식되고 실천되었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이를 위해 HLKZ-TV가 함의했던 물질적 대상으로서 오브제이자 문화생산물의 매개체로서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었다. 당대의 문헌을 토대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텔레비전은 갑작스런 박래품으로 등장하여 라디오적 특성으로부터 보여주기를 위한 매개체로서 진화해 왔다. 그런 텔레비전은 공공적 매체의 속성과 사적 매체의 속성을 동시에 보이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사적 공간의 개방성과 폐쇄성의 실험을 통해 폐쇄된 공간을 점유하는 매체로 정착했다. 텔레비전만의 고유한 문화적 양식으로서 이러한 사적 매체로서의 특수성은 텔레비전의 미학적 시도로 이어졌다. 이로부터 향후 근대화 과정의 동시병행적으로 진행된 텔레비전 시대의 전개가 바로 이 시기의 텔레비전 문화와 상호 조응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Encountering the television is core theme in the field of media and cultural studies, especially in historical approach. This study explores how the television was accommodated, what kind of cultural potentiality and aesthetic standpoint was perceived and practiced in the first TV broadcaster period, HLKZ-TV(1956 -1959). Although initiated by Hwang Tae-Young, Korean engineer, HLKZ-TV was officially Korea Office RCA Distributor(KORCAD) signifying an overseas branch of RCA. We can much more read the meaning of encountering the TV from this unique history of Korean broadcasting. For our study, this article focused on significances as not only material object but also as medium of cultural text involved in HLKZ-TV. Article utilized the references of technical journal, newspaper, and weekly, monthly life magazine in those days. From this exploring, we could find that television has evolved as showing medium gotten out of the radio specificity, afterward emerged surprisingly imported goods. That television simultaneously proved to have attributes of public goods and private goods, and ultimately settled down the medium occupying the closed space through the experiment of openness and closure of private space. These characteristics of private medium as an uniquely cultural mode of television were connected a trial of aesthetic of television. After all, we could reason that deployment of television age which was simultaneously unfolding modernization was corresponding with television culture of these days.

      • KCI등재

        오토마타 미디어

        임종수(Jongsoo L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8 언론과 사회 Vol.26 No.4

        추상기계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자동화된 AI 미디어가 대거 출현하고 있다. 그 형식도 그래픽 대화 형식인 넷플릭스와 각종 SNS 이후 최근 인간의 목소리를 가진 인공지능 스피커로 다변화하고 있다. 이로써 미디어가 미디어화에서 소프트웨어화, 알고리즘화 단계를 넘어 인간을 닮은 기계-행위자 오토마타가 되고 있다. 그들은 인간과 적극적으로 대화하는 사교성을 보여 준다. 콘텐츠의 플레이는 그런 오토마타와의 적극적인 대화의 결과다. 따라서 기계-인간 간 구술적 커뮤니케이션 양식에 대한 이해는 사회적인 것에 기계가 광범위하게 개입하는 포스트휴먼 시대의 중요한 사회과학적 연구 주제다. 하지만 급증하는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 담론에도 불구하고 오토마타 미디어에 대한 이해는 일천하다. 이 글은 오토마타 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모델, 구체적으로는 인간과 대화하기 위한 기계적 논리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기계 행위자-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디어공학을 넘어 사회공학을 이끄는 기술의 이해야말로 포스트 미디어의 문화기술적 해명의 첫 출발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20세기 미디어는 물론 생각하는 기계의 존재 양식에 대한 이론적 출발이었던 정보이론을 소환한다. 섀넌(C. Shannon)과 위버(W. Weaver)의 수학적 커뮤니케이션 모델과 위너(N. Wiener)의 사이버네틱스 피드백 루프는 이를 지지하는 핵심 개념이다. 이를 통해 작금의 21세기 미디어를 설명하는 개체화와 정보적 분기의 위치와 그 중요성을 제언한다. With the advancement of abstract machine technology, there are a lot of automated AI media interacting with humans. The formation of these media, after Netflix and lots of SNS which is a graphical dialogue type, has recently diversified into artificial intelligent speakers with human voices. These AI media becomes a machineᐨactor automata that resembles human beings beyond mediatization, softwarization, and algorithmification. They demonstrate sociability that actively communicates with humans. The play of content is the result of active dialogue with such automata. Thus, the understanding of oral communication styles between human and machine is an important social science research theme in the post-human era, in which the machine intervenes extensively in the social. However, despite the explos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ost-human discourse, we have only short knowledge about automata medi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mark the communication mode of machine actor-media by understanding the communication model of them, specifically the mechanical logic structure for communicating with human beings. The technical understanding that yields social engineering beyond media engineering is the first step explaining cultural technology of post media. To this end, we summon Information Theory which was the theoretical starting point for the existence form of the thinking machine. C. Shannon and W. Weaver’s Mathematical Communication Model and N. Wiener’s Cybernetics feedback loops are key concepts supporting this.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individuation and informational turn in describing the 21st century media.

      • KCI등재

        ‘쇼’를 하라

        임종수(Jongsoo L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9 언론과 사회 Vol.17 No.4

        이 글은 영상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가시성에 대해 연구한다. 연구는 영상 모바일의 사용이 가져오는 주체와 타자, 타자가 처한 맥락 등에 대한 정서적ㆍ인식론적 측면과 수용상에 나타나는 표현적ㆍ실천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론적 자원으로 대표적인 영상미디어인 텔레비전과 그것의 디지털화에 따른 인간 감각에 관한 연구, 근대사회의 시공간 개념의 재구성 등이 영상 모바일의 측면에서 재해석되었다. 여기에서 가시성과 재매개, 시공간의 장소귀속성 탈피와 재장소화, 인격성 미디어, 영상 모바일 콘텐츠 표현양식과 실천전략 등이 중요하게 논의되었다. 이들 연구와 개념은 문화 테크놀로지에 의한 (후기)근대사회의 삶의 양식의 변화라는 점에서 영상 모바일 현상을 설명하는 데 함의를 제공해 주었다. 이상의 개념적 틀을 통해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영상 모바일은 애잔함이나 그리움과 같은 정서교감을 불러일으키는 강력한 공존감과 재장소성을 실현하고 있었다. 영상 모바일은 시공간적 재장소화를 통해 일상을 시각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했으며, 이는 더 나아가 시각적 유대감과 파트너십, 주체의 존재론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기제로 활용되고 있었다. 영상 모바일은 특유의 미디어 풍부성으로 인해 고유한 표현적ㆍ실천적 전략을 요구하고 있었다. 영상 모바일은 영상을 통한 호출로 권력작용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This paper researches the visibility the interpersonal visual communication having the notice nowaday, owing to omnipresence of visual mobile phone. Article examined the aspect of the emotional and the cognitive in the subject and others, in the situatedness to others, brought about by using the visual mobile phone, and the aspect of the expressive and practical strategy in the process of using the visual mobile phone. As theoretical sources, there were trials of reinterpretation, at the side of visual mobile phone, of the television the conspicuous visual media, studies on human sense for digitalization, and reconstruction of time and space in modem society. Here, we have importantly discussed the visibility and remediation, disembedding and reembedding, personality media, mode of address in visual contents, and the strategy of practice when using the visual mobile phone. These studies and concepts have provided the implications which explained the phenomena of the visual mobile phone, in that ways of life by cultural technology in post-modem age. Through this conceptual framework, this study could find following results; Visual mobile phone was actualizing the strong co-presence and reembedding giving rise to pathetic or nostalgia. Visual mobile phone made it hold in common everyday life through time and space reembedding, more over, this commonality could be used the mechanism maintaining visual bond, partnership and the ontological securi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Visual mobile phone need unique strategy of expression and practice due to especially peculiar media richness. Visual mobile phone has been accomplished power-effect through the uinque visual calling.

      • KCI등재

        수용자의 탄생과 경험: 독자, 청취자, 시청자 : 다중 미디어 시대의 기막에 관한 시론적 연구

        임종수(Jongsoo Lim)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0 언론정보연구 Vol.47 No.1

        이 글은 수용자의 탄생과 그를 둘러싸고 존재했던 수용자의 정체성 논의, 그들의 고유한 경험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미디어 수용자, 그들은 누구이고 어떤 고유한 경험적 실체를 가지고 있는가? 이들 각기 다른 수용자에는 어떤 흐름이 존재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수용자를 이해함은 물론 근대성을 규명하는 좋은 방법 중의 하나이다. 근대사회는 이른바 ‘읽고’, ‘듣고’, ‘보는’ 수용자들의 인지와 경험이 개인적 삶은 물론 사회적 담론과 의미결정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먼저 서구사회에서 오랫동안 유지해 왔던 미디어 수용자에 대한 담론을 살펴본다. 그런 다음 우리 사회에서 독자, 청취자, 시청자의 탄생과정과 경험, 그 의미를 살펴본다. 논의 시기는 일제 식민시기에서 조국 근대화 프로젝트가 나름 성과를 보이고 텔레비전이 전성기에 이르던 1970년대까지가 될 것이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는 미디어 수용자의 다중 미디어 이용성, 다시 말해 수용자들이 일상의 매체에 어떤 궤적으로 서로 접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여기에서 다층적 미디어 소비에 있어 수용자-문화자본의 위계화와 개인화의 논리를 설명할 것이다. This paper would like to speak about the births of audiences, reader-listener-viewer, the identity discourse and their unique experiences. Who are the media audiences, and what do they keep the specific experimental reality? What flow do they have? Answering to this question, it will be a good way to not only understand the audiences but also examine the modernity closely. Because cognition and experiences of audiences reading, listening, viewing in modern society have intimately connected with social discourse and meaning determination as well as individual ways of life. Firstly, this paper examines the discourse of media audiences in western society keeping with for a long time. Next, we will consider the births, experiences and the meanings of reader, listener, viewer in our society. Periodically, it would be from Japanese Colonial Era, 1910-1945 to 1970s, when the national-modernization project had nearly accomplished and come to the television golden age. Especially, it will be a core period when each medium was firstly emerged and had popularity. This study will ultimately turn toward argue upon the multiple media usability, how the audiences have articulated with these media. Here, we will explain the logic of the audience-cultural capital hierarchy, individualization in multiple media consumption.

      • KCI등재

        ‘탈언론’ 미디어의 등장과 그 양식, 그리고 공공성

        임종수(Jongsoo L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6 No.6

        이 글은 미디어화가 추동한 미디어의 ‘탈언론’ 현상을 진단하고 그에 따른 공공성 개념의 새로운 지평에 대해 살펴본 소고이다. 지난 10여 년간 미디어는 전통적인 언론ᐨ미디어에서 비언론ᐨ미디어로 진화해 왔다. 비언론ᐨ미디어는 알고리즘과 데이터, 그리고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결합한 계산가능성과 자동화의 미디어이다. 비언론ᐨ미디어는 미디어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쏟아내는 데이터를 읽어 들여 계산해 낸 결과로 수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알고리즘 미디어이다. 계산가능성과 자동화는 비언론적 알고리즘 미디어가 콘텐츠를 분류·추천·제시하는 의사결정을 내리게 하는 근간이다. 이로써 알고리즘 미디어는 최적화와 사사화, 확산성을 기본 논리로 하면서 사회적 소통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알고리즘 미디어가 작동하는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식별된 시민성과 실현하는 시민성의 민주주의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연구와 토론, 실천이 요구된다. 이 글은 비언론ᐨ미디어로서 알고리즘 미디어의 등장과 그 존재양식을 설명하고, 그것이 필연적으로 개인의 사적 정보라는 공공재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포획된 시민으로부터 자유로운 사회적 공공성이 실현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 글은 2011년 한국언론정보학회의 학술대회 대주제였던 “탈언론 시대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오마주이기도 하다. This article examines beyond press/broadcast phenomenon provoked by mediatization and considers the new horizon of publicness accordingly. Over the past decade, precisely from smart media revolution, media have evolved from traditional press-media to nonpress-media. Nonpress-media leading a beyond press/broadcast are the one of computability and automation where algorithms, data, and networks are organically combined. Nonpress-media are algorithmic media which interacts with the audience as a result of reading and calculating the data that its media user produces in real time. Computability and automation are the trunk for nonpress algorithmic media which decide to classify, recommend, present. Algorithm media performs social communication by operating on the logic of optimization, privatization and spreadability. Therefore, a whole new form of research, discussion, and action is needed on the discriminated and actualizing citizenship democracy in the communication in which the algorithmic media operates. This paper explains the emergence and existence mode of algorithmic media as nonpress-media, and then insists that social publicness free from captured citizenship should be realized because it is inevitably based on public goods which are personal information of individuals. It is also an hommage on “Communication in the Era of Beyond Press/Broadcast” which was the grand theme in an autumn conference of KACIS Korean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2011.

      • KCI등재

        지역방송의 글로컬 콘텐츠 기획과 표현 전략에 관한 연구

        임종수(Jongsoo Lim),김영수(Young-Soo Kim) SBS 2013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1 No.1

        글로벌 시대 지역방송의 콘텐츠 생존전략은 무엇인가? 지역의 특수성과 글로벌의 보편성을 연결해 내는 글로컬은 그 대안의 하나다. 이 연구는 최근 KNN에서 방송한 <위대한 비행>을 방송콘텐츠의 글로컬화라는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지역방송콘텐츠 글로컬화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본다. 최근 지역적 특수성과 세계적 보편성을 담은 다큐멘터리가 속속 제작되고 있는데, <위대한 비행> 역시 이 같은 맥락에서 제작된 것이다. 이는 지역 및 글로벌 주체 간의 협력적 네트워크, 제작시스템의 개방, 의미 있는 글로컬 기획이 일정정도 뒷받침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구체적으로 글로컬 콘텐츠화 수준과 상태를 살펴보기 위해 <위대한 비행> 제작 과정에서의 콘텐츠 기획과 표현전략을 살펴봤다. 분석결과 제작진이 글로컬을 실현하기 위한 기획단계를 정확하게 지켰다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기존의 지역방송 다큐멘터리와 비교해 보면 분명히 글로컬주의적 차별성을 실현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What is survival points of local television in global age? Although limited finances, human resources and production capabilities, it’s time to consider local television in aspect of competitive content strategy than objective of support. Glocalization, it seems to be one of alternative, binding local specificity and global universality. This study exams outcomes and limits of contents glocalization of local television, analysing ‘Great Flight’ broadcasted at KNN located in Busan, Korea. Recently, as widely known, the documentary linking local specificity with global universality has been successively produced, ‘Great Flight’ is also manufactured in this context. This documentary is partly underpinned by the cooperation network between local and global agents, openness of production system and meaningful glocal planning. This article inquired the glocal contents planning and strategy of address in local television, so that reviewing the glocal television contents level and states. As a result, we wholly didn’t assert that staffs conform to contents planning process, but could verify the effort to realize differential glocalism contrasting with existing local documentary.

      • KCI등재

        디지털TV의 양식성

        임종수(Jongsoo Lim) 한국언론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1 No.2

        이 글은 디지털TV의 양식성을 디지털 미디어의 문화 테크놀로지적 특성으로 부터 고찰해 그것이 어떤 형식과 존재, 수용의 측면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본다. 이는 궁극적으로 텔레비전 양식의 핵심 키워드였던 흐름이라든가 유동성의 사사화가 디지털TV 국면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해명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디지털 미디어의 재매개 논리를 접속과 분리를 함의하는 임베디드니스 개념으로 제시한 후 이 개념이 디지털TV의 형식, 존재, 수용에 어떻게 작동하는지 논의한다. 디지털TV는 기존의 텔레비전 시스템, 즉 텔레비전 방송사 채널-네트워크-수상기로부터 벗어나 여타의 미디어들과 결합된(혹은 배태된) 상태(embedded)로 형식화되고, 그런 만큼 사회 곳곳으로 침투해 존재하며(embedding), 그로 인해 시공간적 구속성으로부터 탈피된 상태(disembedded/disembedding), 다시 말해 시공간적 자율성이 극대화된 수용행태를 보편화시키고 있다. 이로써 흐름은 플랫폼의 흐름이 아닌 플랫폼,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을 넘나들며, 그러면서 그 안에서 개인화된 흐름으로 재구성되고, 유동성의 사사화는 가족단위를 넘어 개인화의 차원, 다시 말해 가족화가 아닌 개인화된 유동성의 차원으로 재구성된다. 디지털TV의 이 같은 변화는 기존 텔레비전의 흐름과 유동성의 사사화가 개인화와 미디어화의 지평에서 재고될 것을 요구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gital TV modality on a basis of cultural technology of digital media, and then explains how this cultural technology would be deployed in terms of form, existence and reception of digital TV. This work ultimately aims at elucidation for how flow and mobile privatization, which has been a core cultural mode of television, would be changed in digital TV. For this work, this paper brings up the remediation logic of digital media to the concept of embeddedness signifying connection and separation, after then discusses how this embeddedness of digital media would be functioned in form, existence and even reception of digital TV. Digital TV is now making his own status differentiated with traditional television system; forming his platform as embedded with some other media, out of traditional channel-network-device structure, existing as embedding here and there in our society, maximizing a state of disembedded/disembedding in reception of TV, the time-space autonomy for using TV. With this, we insist that flow ought to be reconstructed as that of crossing the platform, network and device, much more individualized flow in those environment. That is much more contrasted with the flow within traditional TV platform, now severely weakened. Mobile privatization is also reconstructed as a dimension of individualization beyond family unit, as it were, not dimension of domesticity but individualized mobility. These changes of digital TV modality request to reconsider flow and mobile privatization of television on the horizontal of individualization and mediatization.

      • KCI등재

        영상 드론의 운동성과 보기 양식에 관한 소고

        임종수(Jongsoo Lim) 한국언론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3 No.3

        드론은 3차원 입체 공간에서 활동하는 증강현실 기계다. 이 글은 문화기술의 재매개적 논의와 경험적 자료에 입각해 영상 드론을 기계론과 운동론으로 검토하고 이를 영상 드론의 시각적 보기 양식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드론에서 기계성은 드론이 스스로 움직임을 조정해 가는 자동력으로, 운동성은 전통적인 카메라 축(axis)의 제거를 통한 3차원 입체 공간에서의 다양한 공간적 운동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드론은 드론 내 기계적 배치와 대상물과의 공간적 배치를 통해 운용된다. 그렇게 볼 때, 카메라를 단 영상 드론은 이용자로부터 분리되어 입체 공간상의 물리적 운동 과정을 통해 영상을 채취한다. 드론의 물리적 운동은 사물을 다시점적으로 보고자 했던 입체파적 관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사태를 촘촘하게 들여다봄으로서 현장성과 역동성을 표현하는 힘이다. 이로 인해 영상 드론의 보기는 ‘전방위적 가시성(omni-viewpoint visibility)’이라는 공간적 보기 양식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 전방위적 가시성은 드론 특유의 운동성으로 인해 매끈한 운동성의 영상을 표현한다. 이 영상은 어느 방향에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전후좌우, 상하구분이 사라진 운동ᐨ이미지이다. 이 같은 드론 영상에 대한 창의적 제작 활동과 학술적 논의를 통해 드론 미디어학의 지평이 열리기를 기대한다. Drones are augmented reality machines operating in 3-dimensional space. Based on the discussion of remediation in cultural technology and experiential data, this paper examines the visual drones with mechanics and kinetics, then remarked it in terms of the visionary mode of seeing. Mechanism refers to the motility of the drones adjusting its movement, then kinetics refers to the various spatial movement in the aerial space due to the elimination of traditional camera axes. Therefore, drones are operated through the mechanical arrangement within the drone and spatial arrangement with the objects. In that point, visual drones equipped with camera separate from the controller, then gather the image through the physical exercise in 3-dimensional space. Physical movements of drones are a power expressing the vividness and dynamics as seeing the states in detail stepping forward from Cubism trying to see the object with multi-viewing point. As a result, the mode of seeing in visual drone can be conceptualized as spatial seeing called omni-viewpoint visibility. Omni-viewpoint visibility expresses seamless kinetic image due to the drone’s unique mobility. This image can be seen in any direction, so it is movement-image disappeared division of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even up and down. We hope that the new horizon of drone medialogy will be opened through the creative production activities and academic discussions on drone im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