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셸 푸코에서 마이클 화이트까지: 이야기치료의 담론에 관한 미셸 푸코의 영향과 평가

        최민수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4 No.3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and impact of the work of Michel Foucault on the discourse in narrative therapy as introduced and developed by Michael White. Michael White is one of the pioneers of narrative therapy and he owes much to the philosophical ideas in relation to the discourse of Michel Foucault. Foucault displayed his interest in psychology and psychopathology in his various writings. Especially, Foucault comments more explicitly about discourse and his critiques of the discourse have influenced Michael White’s ideas about discourse in narrative therapy. This study offers a basic description of the discourse in Michel Foucault’s philosophical ideas, and then it provides its basic theoretical influences and impacts of Michel Foucault in Michael White.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t ideas and disparate assumptions of Michel Foucault and Michael White. In this respect, there are some different point of views between them because White read Foucault selectively so that White’s use is not inconsistent with his understanding to Foucault’s ideas. Above all, the prominent inaccuracy in White’s application of Foucault is the constituting power of language in discourse because Foucault explains that discourse produce the social conditions. Next, this study briefly suggests that the Christian Counseling’s way draws significantly consistent conclusions from this insight. Thus, this study will be an useful resource in developing therapeutic methods of narrative therapy. 본 연구는 미셸 푸코의 철학이 이야기치료를 발전시킨 마이클 화이트의 이론적 배경에 사상적인 기저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논의한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치료에서 힘과 지식과 연관되는 푸코의 담론에 관한 개념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치료의 치료적인 기법들 가운데 포스트모더니즘에 기초한 철학적인 사상들과 치료적인 관계들을 탐색한다. 이러한 치료적인 관계는 이야기치료의 자원들이 푸코의 철학적인 전통 안에서 파생된 이야기적인 방식을 사용하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연구의 서론으로서 본 연구가 함유하고 있는 연구의 목적이나 방향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유행되고 있는 사회구성주의 계열의 이야기치료의 이론들을 초안한 화이트의 사상적 배경 속에 푸코의 철학적인 논의가 왜 필요한지를 설명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화이트의 사상에 연관될 수 있는 푸코의 철학적인 논의들을 소개하였다. 물론 푸코의 전체적인 철학적인 깊이들을 논의하는 것은 본 연구의 방향과 맞지 않기 때문에 화이트가 설명하고자 했던 힘과 지식에 대한 사회와 문화적인 담론들에 대한 푸코의 이론적인 전제들이 소개되었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푸코의 힘과 지식에 대한 담론이 어떻게 화이트의 이론 속에 구체화되었는지를 논의하였다. 여기에는 단순한 이론뿐만이 아닌 푸코의 영향을 받은 화이트가 소개하고 있는 이야기치료의 원리를 말하는 것이다. 네 번째 부분에서는 담론에 관한 푸코와 화이트의 불연속성을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푸코에 대한 화이트의 비평적인 작업도 소개가 되었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이야기치료의 담론에 관해서 화이트에 끼친 푸코의 영향들을 기독교 상담적 관점에서 평가하면서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 KCI등재

        철학의 복화술로서의 문학비평 - 김현의 푸코 연구에 관하여

        이상길 ( Lee Sang-gil ) 한국불어불문학회 2020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23

        이 논문의 목적은 문학평론가 김현(1942~1990)의 미셸 푸코 연구가 갖는 지성사적의미를 되돌아보는 데 있다. 생전에 탁월한 한국문학 비평으로 유명했던 김현은 프랑스 문학 연구자로서도 적지 않은 업적을 쌓았다. 특히 그는 타계하기 직전 몇 년 동안 푸코 연구에 몰두해 『미셸 푸코의 문학비평』(1989)을 편집하고, 『시칠리아의 암소-미셸 푸코 연구』(1990)를 출판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동안 이러한 작업에 대해 김현 사유의 내적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몇몇 입론이 제출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김현의 푸코 연구가 국내의 푸코 철학 수용이라는 차원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또 김현 개인의 사유 세계와의 관련 속에서는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그의 푸코 연구가 무엇보다도 프랑스 지성사 연구의 일환이었다고 전제하고, 1980년대 이래 1990년대 초까지 국내 지식사회에 푸코가 본격적으로 수입되던 초창기에 그가 펴낸 저작들이 어떤 지적 특징과 학문적 차별성을 지니고 있었는지 짚어본다. 또한 김현의 푸코 연구가 단순히 푸코 철학에 대한 소개와 해설을 넘어서, 김현 자신의 문학비평에 대한 관점을 확인하고 정당화하려는 시도였다고 평가한다. 김현은 푸코의 문학비평이 제도화된 철학 체계를 벗어나 전복적 사유를 향하는 출구를 마련해주었다고 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김현의 푸코 연구가 문학비평을 통해 끊임없이 성찰성의 철학을 하고 있었던 그의 복화술을 일깨워주는 하나의 징표라고 주장한다. Le but de cet article est d'explorer la signification de l’étude sur Michel Foucault par un critique littéraire Kim Hyun(1942~1990) en histoire intellectuelle coréenne. Kim Hyun s’est consacré aux recherches sur Foucault pendant plusieurs années juste avant sa mort, publiant sous sa direction Critiques littéraires de Michel Foucault (1989) et aussi La vache de Sicile - Une étude sur Michel Foucault (1990). Dans cet article, j’essaie d’examiner le sens des recherches sur Foucault par Kim Hyun, non seulement dans l’évolution de sa pensée personnelle mais aussi dans le contexte socio-historique de réception de la philosophie de Foucault en Corée du sud. À cette fin, je présuppose que son étude de Foucault était une tentative de confirmer et de justifier la propre vision de Kim Hyun sur la critique littéraire, et pas seulement de présenter et de commenter la philosophie de Foucault. Kim Hyun a vu que la critique littéraire de Foucault fournissait un moyen efficace de sortir de la philosophie en tant que système institutionnalisé, et de s’orienter vers une nouvelle penseé subversive. Dans cet article, je maintiens que l'étude de Kim Hyun sur Foucault est un signe de son ventriloquie qui rappelle constamment la ‘philosophie réflexive’ à travers la critique littéraire.

      • KCI등재후보

        미셸푸코를 통해 본 현대무용 작품 속에 내재된 몸 담론

        김신일 한국무용예술학회 2010 무용예술학연구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studying the discussion of dance from Michel Foucault’'s thought. This study starts from Michel Foucault’'s thought, focusing on the tone of argument by observes the tendency of the works such as 「Jan Fabre-History of Tears」, 「Hofesh Shechter-Political Mother」, 「Maguy Marin-Groosland」. They are considered to be masterpieces of the dancers mentioned above. From this, it could be concluded that Michel Foucault’ thought lies deeply in the art of dance. Following Foucault’ claim, we regarded Art as the concept of communicating with the society and conducted research on modern dance from the perspectives of body , power through his though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of all, the present era is the attempt of art to restore the entire grounds and life, and the world is a piece of art; therefore, modern dance has a role of creating the reality through a language or discourse, Second, modern dance needs to have lunacy, free spirit pushed out from the era, and sharply and keenly deny the flow in the body with an unusual and peculiar eye, Third, humans start to dance when wanting to forget about the current bodies, so dance has a creative eye of the difference that challenges the world, Fourth, dance needs to remove the installation of power that boldly approaches for taking a leap of the body, and this truly is the essence of modern dance. Therefore, dance is granted the wider meaning of body from discourse and forms the flow of modern dance which can accept the problems with sexuality and body since the modern age, The thought of Foucault is not entirely about dance, but it can provide motivation to seek the reasons and a critical eye for dance.

      • KCI등재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유 과정 가운데 나타난 반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권력과 통치성 관점을 중심으로

        김미연(Mi-Yeon Kim)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7

        본 소고는 한국적 다문화 상황을 현실적으로 고려하며 포스트모더니즘의 선구자인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권력과 통치성에 관한 사유체계를 점검하고, 푸코의 관점에서 한국적 다문화주의 전유 과정 가운데 나타난 반다문화주의 담론에 대하여 비판적 검토를 한 후에 나아가 한국 다문화 사회를 위한 신학적 고찰을 하고 한국의 다문화주의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푸코가 제시하는 생명 권력은 살게 ‘하거나’ 죽음 속으로 ‘몰아가는’ 권한이다. 한국 사회는 이제 반다문화 담론의 틀과 규범이 권력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고착화되어 영원할 것 같은 반다문화 담론이 ‘권력의 산물’일 수 있고 허구적이고 인위적인 장치일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동시에 한국인이 아닌 사람과 한국인이라는 이항적인 ‘반다문화주의’ 등식으로 인하여 생존과 삶의 가능성으로부터 소외되고 심지어 추방당하는 이들이 구조적으로 발생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것은 단지 삶이 불편할 거라는 막연한 논의가 아니라 언제든 생존권의 문제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푸코는 다른 포스트모더니즘 이론가들처럼 권력에 대하여 비판적이면서 해체해야 할 배제의 대상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사회를 움직이는 권력 자체를 해체하고 다른 대안으로서 보충제(supplement)를 찾거나 대체재(substitute)를 발견하기까지 우리 사회는 권력을 무시하고 권력을 해체하라는 푸코의 권고에 순응할 수 없다. 그렇기에 본 소고는 푸코의 권력 이론에 대한 전복적 해석을 제안하면서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과 함께 타인에 대한 환대(hospitality)를 수행해야 하며, 이러한 환대를 실천할 수 있는 기독교와 교회가 변형자(transformer)와 번역가(translator)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때 한국 다문화 사회와 한국 교회의 미래를 담당해야 할 의무와 책임을 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This paper considers the Korean multicultural situation realistically, examines the system of thinking about the power and governance of Michel Foucault, a pioneer of postmodernism, and discusses anti-multiculturalism discourse in the process of accepting Korean multiculturalism from Foucault’s point of view. After a critical review, I would like to suggest a theological proposal for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nd make suggestions for Korean multiculturalism. Bio Power is the ‘power’ to make live. In addition, Bio Power is the power to let some die. Korean society should now pay attention to how the framework and norms of anti-multicultural discourse relates to power, and the fact that anti-multicultural discourse is likely to be a ‘product of power’ and a fictional and artificial device. At the same time, multicultural people should not be alienated by the binomial equation of Koreans and non-Koreans. It is not just a vague argument that life will be uncomfortable, but it is always a matter of survival rights. Foucault, like other postmodern theorists, considers the power an object of exclusion that must be critical and dismantled. But in reality, our society cannot comply with Foucault’s recommendation to dissolve power until we find a supplement or substitute as an alternative. For that reason, this paper proposes a subversive interpretation of Foucault’s theory of power and hospitality to others with critical reflection on Korean society. Besides I believe that Christianity and churches that must perform this hospitality to fulfill their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for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nd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And so as to practice it, they should serve as transformers and translators.

      • E.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에 남겨진 푸코의 유산

        강미라(Mi-ra K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Foucault's influence over Said's Orientalism. When Said wrote Orientalism, he was influenced by F. Fanon(post-colonialism, by R. Williams(power of culture), by A. Gramsci(notion of hegemony), by M. Foucault(analysis of discourse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last two influence. In Said, Foucault's notion of the discourse is combined with Gramsci's notion of hegemony. Said accepted their notion in his proper purpose and he often changed those notion in his vision. So we can ask questions : Is combination of Foucault's notion of the discourse with Gramsci's notion of hegemony theoretically valid? Is that useful as methodology in his work? These questions are not asked only on Foucault's influence over Orientalism, but also on methodology of Orientalism. Both Foucault's notion of the discourse and Gramsci's notion of hegemony are in relation with power. Foucault's concept of power is not compatible with Marxist concept of power. This is fundamental reason that Said's synthesization of Foucault and Gramsci failed. And also Said kept his distance from Foucault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text, the roll of the intellectual, the problem of domination and resistance. 본 논문의 목표는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에 미친 푸코의 영향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사이드는 『오리엔탈리즘』을 쓸 때, 탈식민주의 담론에 대해서는 파농의 영향을, 문화의 힘에 대해서는 윌리엄스의 영향을, 헤게모니 개념에 대해서는 그람시의 영향을 받았고, 담론 연구라는 방법론과 관련해서는 푸코의 영향을 받았다. 본 논문은 특히 마지막 두 사상가의 영향에 초점을 맞춘다. 사이드는 푸코의 담론 개념을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과 결합했다. 사이드가 자신에게 영향을 미친 사상가들의 사유를 그대로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자신의 관점에서 수정하여 받아들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물음이 제기된다. 이러한 결합은 이론적으로 유효한가? 또한 실제로 사이드의 저술에서 유용한 방법론이었는가? 이물음은 『오리엔탈리즘』에 미친 푸코의 영향을 평가하는 물음일 뿐만 아니라, 『오리엔탈리즘』의 방법론을 평가하는 물음이기도 하다. 푸코의 담론 개념과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은 둘 다 권력과 관계있는 개념이다. 그런데 두 개념이 바탕으로 하고 있는 권력은 각각 푸코와 마르크스주의의 권력 개념이다. 푸코의 권력 개념과 마르크스주의의 권력 개념은 양립하지 않는다.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로 인해서 사이드의 시도 즉, 푸코와 그람시에 대한 종합은 성공하지 못한다. 결국 사이드는 텍스트, 지식인의 역할, 지배와 저항 등의 문제에 있어 푸코와 거리가 멀어진다.

      • KCI등재

        마르크스와 알튀세르 사이의 푸코

        진태원(Tae-Won Ji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 Vol.68 No.-

        이 글은 미셸 푸코와 루이 알튀세르의 이론적 차이점을 마르크스를 매개로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푸코와 알튀세르는 인간적 · 제도적 · 사상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나, 두 사람은 서로에 대해 거의 아무런 언급을 남기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출간된 푸코의 초기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은 1970년대 푸코의 권력의 계보학이 알튀세르의 마르크스주의, 특히 그의 이데올로기론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 구상되었음을 잘 보여준다. 이 강의록에 입각하여 두 사람의 이론을 살펴보면, 푸코는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이론이 국가장치를 중심으로 삼기 때문에 권력의 미시적 작동 방식을 제대로 해명해주지 못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자본주의가 성립하기 위한 논리적 · 물질적 조건도 제대로 해명해주지 못한다는 비판을 제기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푸코는 알튀세르를 포함한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비정상적 인간들을 예속화하는 권력의 작용에 무관심하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하지만 알튀세르의 관점에서 보면 푸코는 이데올로기 개념을 알튀세르 이전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데올로기의 상상적 차원(스피노자적인 의미에서)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더 나아가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의 권력의 비대칭성은 미시권력만으로는 해명되지 않는다는 점을 놓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비판적 토론에는 몇 가지 잔여가 여전히 남게 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heoretical differences between Michel Foucault and Louis Althusser using Marx as a mediation. Foucault and Althusser had very close personal, institutional, and ideological relations, but they left little reference to each other. A recent publication of Foucault’s early Collège de France lectures, however, suggests that Foucault`s genealogy of power in the 1970s should be considered as a critical alternative to Althusser"s Marxism, especially his theory of ideology. If we look at their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these lectures, we realize that Foucault criticizes Althusser on two points: first, because Althusser’s theory centers on state apparatus, it doesn"t really explain the micro-actions of powers; second, moreover, it does not explain the logical and material conditions under which capitalism is to be established. Foucault also criticized the Marxist - including Althusser - for being uninterested in the role of power to subject abnormal human beings. However, from the Althusser"s point of view, Foucault has limitations on two points: first, Foucault understands ideology from the pre-Althusserian perspective, and ignores the importance of the imaginary (in the Spinozan sense) in ideology; second, Foucault misses that the asymmetry in the power of the ruling and lower classes cannot be explained by micro-powers alone. There will be, however, some remnants in this critical exchange.

      • KCI등재

        푸코와 (탈)식민주의: 공간・지식・역사

        육영수 한국사학사학회 2017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6

        Most scholars agree that colonialism occupies a marginal, if not insignificant, position in Michel Foucault’s work. They point out that Foucault fell short of criticizing European imperialism by ignoring/underestimating the lasting effect of colonial discourse. This article aims to reappraise Foucault’s discourse on colonialism and its relations with racism by carefully re-examining his key concepts such as bio-power/bio-politics, subjugated knowledge, geopolitics of knowledge, and the struggle between global/total theory and local/minor theory. Primarily based on his oral interviews and public lectures given at college de France, the author strives to “use”, appropriate, and/or “extend” Foucault’s vague, imperfect, and fragmentary comments and discussions of colonial problems for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writing a ‘counter history’, which is free from Eurocentric prejudices and at the same time overcomes the coloniality of ‘traditional’ world history. In short, the article intends to “exploit” Foucault’s intellectual legacy for the purpose of coping with the on-going post-colonial challenges—in particular, the persistence of colonial hegemony and “colonialism at heart” in the age of Globalization. 이 논문은 푸코가 간과·주변화 했던 식민(주의) 담론을 재조명하여 그 ‘불완전한’ 성격과 잠재적인 유용성을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비평적으로 재검토하는 것을 기본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푸코가 스케치한 공간권력의 지형학에서 ‘다른 공간’의 일종으로 배치된 식민지의 기능과 성격을 인종(주의)정책의 연결시켜 추적한다. 제3장에서는 비서구 사회를 지배·통치하기 위해 서구가 창안한 지식의 지정학과 식민지성을 폭로하며 ‘공간투쟁’을 선언한 차크라바르티와 미뇰로에 초점을 맞춰 ‘글로벌 이론’에 저항하는 ‘로컬 지식’의 탄생을 위한 인식론적·역사적 조건들을 분석한다. 결론에 해당하는 제4장에서는 계몽주의와 프랑스혁명이 강화한 ‘앎의 규율화’의 산물인 근대적 분과학문으로서의 역사학을 해체하려는 ‘대항 역사’와 ‘역사적 앎의 새로운 주체’ 등장의 가능성을 진단한다. 요약하자면, 오늘날에도 세계 각처에서 사라지지 않고 어슬렁거리는 (탈) 식민주의 유령의 정체를 더듬기 위해 푸코를 전유, 연장, (재)사용하려는 것이 이 글의 궁극적인 의도이다. 푸코와 (탈)식민주의의 연관성에 천착한 국내외 선행연구들이 빈약하고 ‘역사학의 공간적 전환’에 관한 구체적인 사례연구도 부족하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본 논문이 이런 연구공백을 메우고 추후 연구를 자극하는데 미력하나마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미셸 푸코의 『말과 사물』에 나타난 ‘근대 인간과학’의 개념

        허경 국제언어인문학회 2008 인문언어 Vol.10 No.-

        The notion of (modern) human sciences in Michel Foucault(1926-1984)'s Les Mots et les choses(1966) is crucial for the understanding of his archeological thoughts. The human sciences is presented in the book as a direct successor of kantian notions like Mensch, Anthropologie, etc. The main interests of Les Mots et les choses is clearly to show a sketch of epistemological conditions of the formation of human sciences in modern era. For this purpose, what Foucault tries to do is the analysis of conditions and limits of theses modern human sciences to bring light to the possibility of a meta- human science, that is in fact, (foucaldian) archeology. The archeology analyses the epistemological configuration of theirs historical formations to their possible transformations in the future. Foucault himself declares in an interview in 1967 that his work can be defined as ‘an analysis of cultural facts that characterize our [european] culture’, ‘an ethnology of the culture to which we long.’ In short, what he did in his 1966's Les Mots et les choses, archeological analysis of human sciences, is no other than “an analysis or ethnology of our culture, our rationality and our discourses.”

      • KCI등재

        미셸 푸꼬 [Michel Foucault, 1926-1984]의 주요 사상에 대한 개혁주의 신학적 적용가능성 연구

        한상화 한국개혁신학회 2003 한국개혁신학 Vol.14 No.-

        This article deals with the question of the way in which we can usefully apply Foucault's major insights to a Reformed theology. Its main argument is that it might be possible to glean some useful insights from certain parts of his thought to apply for a Reformed theological reflection today. For example, his contention of interconnection between power and knowledge can be applied to evaluating certain theological statements with a view to their political effectiveness. Inversely, it can be used to prevent any theological discourses from becoming ideologies. Foucault's insights can be used constructively only within a thought system that contains a healthy world-view and teleological goal for the world-history. For his thought system, -although he would repudiate the concept of system itself - denies any world-view or any teleology. His presuppositions are diametrically opposed to the Christian presuppositions such as the World created by God the Creator, Man as the Image of God, and the Kingdom of God as the goal of the Human history and so on. Thus if one would remain within the Reformed theological tradition, he or she should not use Foucault's insights for principles of hermeneutics or theological methods. With the above thesis, this article examines Foucault's view of human being as historical and social discourses, his contention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power and knowledge, his archaeological and genealogical approaches to history. It also critically examines some cases of theological application of Foucault's thought such as Scott Moore and James Byrn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attempting to relate the thought of such an influential postmodern thinker as Foucault to a Reformed theology. Such attempt takes more importance particularly in view of its rarity.

      • KCI등재

        미셸 푸코의 파레시아 담론과 신약성서의 파레시아 - 사도행전의 파레시아를 중심으로 -

        김재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

        This article attempts to reinterpret parrhesia in the Acts of the Apostles in the New Testament by considering the discourse on parrhesia newly aroused by Michel Foucault. The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re-emphasized the concept of parrhesia in his later years. Foucault explored the genealogy of Parrhesia from ancient Greek democracy to modern biopolitics. Foucault explained parrhesia in terms of politics, education, friendship, and self-care. This article is about parresia in the Acts of the Apostles in terms of the politics of the kingdom of God, interpretation and education of the Bible, solidarity with the people of the kingdom (friendship), and fidelity of faith in God and Jesus Christ (self-care). Through the above investigation, the nuances of honesty and sincerity are newly highlighted in the parrhesia of Act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Christianity in the era of post-truth must become a parrhesian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