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불교 서사문화와 통일신라 사경

        리송재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58

        Chinese Buddhist manuscript culture seems to maintain distinct stylistic features, which does not parallel to mainstream calligraphic movement. Calligraphic style of Buddhist manuscript in China was dominated by clerical script(隸書) from the end of East Han Dynasty to Southern and Northern dynasty period. However, the usage of regular script(楷書) becomes widespread in Sui and Tang dynasty. In other word, Buddhist manuscript culture was developed in its idiosyncratic atmosphere in which the ways for connecting strokes as well as stretching strokes was developed through repetitive practices. Unified Silla dynasty appears to accept Sui and Tang dynasty’s calligraphic style, but it is hard to say that Unified Silla dynasty Buddhist manuscript calligraphy also follows to the mainstream movement. Some Unified Silla dynasty’s Buddhist manuscripts and documents accommodated dual traditions: Sui and Tang dynasty manuscript elements and previous dynasty’s ones. In the early stage of Buddhism evangelization in China, it was required to produce many manuscripts to spread Buddhist doctrines. To deal with such demands, Buddhist scribes had to maintain a certain degree of maturity, by which they could write down text as fast as possible. In order to optimize brush strokes for every character, Buddhist scribes made initial strokes finer lines and tried not to extend the last strokes to the embellishment level, by which a Buddhist scribe had to pay the extra attention to render round shape of last strokes. Therefore, when we compare Buddhist manuscript’s calligraphic style with ordinary literati’s calligraphic style in those days, the former displays distinct features. A link among strokes becomes more definite, and the number of strokes in characters tends to be simplified and minimized. As a result, the overall appearance of Buddhist manuscript characters tended to embrace semi-cursive and cursive style of writing and then was developed to the stage, in which Buddhist scribes rendered variant characters. These characters are only shown in Buddhist manuscripts. We have noticed the various means were devised in Buddhist manuscript culture. However, the fundamental elements, characters to complete the contents of various texts, do not follow the development of such means but succeed the initial period’s calligraphic style. 중국의 불교경전 서사문화는 동시기 유행서풍과는 다른 개별의 서체 특징을 가지고 하나의 유형을 이루고 있다. 사경의 서체는 초기 東漢 말기부터 남북조시기까지 예서의 필의가 강한 ‘예해(隸楷)’, 그리고 이후 수·당시기에는 해서법이 정형화된 ‘정해(正楷)’로 크게 나누어진다. 즉 불경 서사문화는 동시기 유행서풍(시대서풍)과는 조금 다른 모습으로 변화·발전하게 되는데, 필획·결구 등이 전통적인 학습에 의해 전승되었기 때문이며, 이는 당시 유행서풍의 수용보다는 관습적인 성격이 더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의 문자문화 역시 통일기 이후 수·당 서풍이 지배적이지만, 불교 서사문화는 동시기 유행서풍의 영향을 살펴보기 어렵다. 더구나 현전하는 통일신라 사경 및 불교 문자자료를 살펴보면 정형화된 수·당 사경의 조형성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있지만, 그 이전 남북조 사경의 조형을 보이는 것도 있어 필획․결구의 특징 등에서 관습적인 성격을 짐작케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기 사경 서사는 경전의 보급·전파를 목적으로 하여 많은 양의 글자를 써야 했기 때문에 일정한 속도감이 필요하다. 筆寫시 속도감의 필요에 의해 用筆에서 起筆部는 尖筆의 형태로 생략되고, 收筆部 또한 回鋒이 생략된 채 붓을 멈추어 간단히 마무리를 한다. 획과 획의 연결성이 두드러지고, 획이 간략화되면서 행·초서의 자형을 수용하고 나아가 이체자의 형태까지 나아가게 된다. 이처럼 불교경전 서사문화에서 외적인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발전하게 되지만, 근본이 되는 경문의 서사는 초기 사경의 필법과 결구, 장법 등의 관습이 지속적으로 계승되어 내려온 것으로 생각된다.

      • 奎章閣韓國學硏究院 所藏 「校訂交隣須知原稿」에 대하여 - 明治三十七年(1904)本 前間恭作․藤波義貫 共訂, 「校訂交隣須知」의 원고 -

        이현희,Kawasaki Keigo 한국서지학회1 2011 서지학보 Vol.0 No.37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not widely known 「校訂交隣須知原稿」(奎 22199- v.1-2.)(“The Manuscript of the Revised Korinsuchi”) stored in the Kyujanggak. This manuscript is argued to be Kyosaku MAEMA(1868~1942)'s manuscript of 「校訂交隣須知」(the Revised Korinsuchi) by K. MAEMA and Y. FUJINAMI, published in the year of Meiji 37(1904). This edition of 1904, namely the last masterpiece of Korinsuchi so to say, was very different from the preceding editions in its binding design, structure, arrangement of items, writing style, translating style, and contents. It can be said that the manuscript makes it possible for us to understand the gradual editing process with specific and detailed evidence. The manuscript is made up of two volumes of bound sheets of manuscript paper. Of particular note, a part of the volume has reused the backside of used paper for memoranda (“G part”), inside of which we find the “first manuscript” which shows the earlier shape of the main manuscript. Making use of this “first manuscript”, we can understand the four sequential materials, namely ① the year of Meiji 14(1881) version and the year of Meiji 16(1883) version, ② the “first manuscript”, ③ the second(main) manuscript, and ④ the year of Meiji 37(1904) version as a fine record of the gradual proofreading and editing process. In §3 we provided the correspondence table(<표 1>) so that we could conveniently contrast the manuscript(③) and the published book(④), and also pointed out the necessity of unbinding the book in order to see the “first manuscript”(②) inside the pages that can only be read from outside using a mirror. In §4 we also pointed out that we should make it an overall parallel text, illustrating with practical examples. It is believed that this manuscript will become one of the essential references in the studies of Korinsuchi. 본고는 「交隣須知」 관련 자료로서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은 서울大學校 奎章閣韓國學硏究院 所藏 「校訂交隣須知原稿」(奎 22199-v.1-2.)를 소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交隣須知」 마지막 刊本인 明治三十七年(1904)本 前間恭作․藤波義貫 共訂, 「校訂交隣須知」의 성립과정을 보여 주는 前間恭作(마에마 교사쿠, 1868~1942)의 원고일 것으로 판단된다. 「交隣須知」 明治37年本은, 그 이전의 「交隣須知」 刊本들과는 책의 장정․구성․목차․표기방식․번역양상․내용 등 많은 면에서 변화를 일으킨, 이른바 「交隣須知」의 集大成이라 할 만한 책이었는데, 본 원고는 그것의 성립과정을 매우 확실한 증거와 함께 구체적으로, 세밀하게 보여 주는 자료라고 하겠다. 본 원고는 원고지가 두 권의 책 형태로 묶인 것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책 중에 폐지를 재활용하여 메모용지로 사용한 영역(“G部”)이 있는데, 그 부분의 종이 뒷면에는 본문의 원고보다 한 단계 이전단계인 “일차초고”가 쓰여 있는 것이 비쳐 보인다는 점이다. 우리는 이를 이용하여 ① 明治14年本 및 16年本, ② 그 “일차초고”, ③ 본문 원고, ④ 明治37年本(刊本)이라는 4가지 자료를 단계적인 교정과정이라는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본고 제3장에서는, 본 원고를 明治37年本 刊本과 대응시켜서 편하게 볼 수 있도록 대응표(<표 1>)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재 ②의 “일차초고”를 보기 위해서는 비쳐진 글을 거울로 볼 수밖에 없는 상태인데, 본 원고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이 부분을 해체하여 뒷면을 잘 참고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제4장에서는 일부 자료를 구체적으로 대비시켜 제시하였는데, 이와 같은 대비자료를 체계적으로 작성할 필요성을 지적하기도 하였다. 본 원고는 앞으로 「交隣須知」 연구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자료 중의 하나가 될 것으로 믿어진다.

      • KCI등재

        루소의 『고백』 의 <뇌샤텔 판본>문제(I)

        정승옥(Jeong, Seung-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9

        장-자크 루소의 『고백』The confessions의 원고manuscript는 세 가지가 있다. ‘뇌샤텔 원고’the manuscript of Neucha?tel, ‘제네바 원고’the manuscript of Geneve, ‘파리 원고’the manuscript of Paris. 이 가운데 가장 먼저 쓰인 ‘뇌샤텔 원고’는 <제3권>을 마치고 <제4권> 중간에서 멈춘, 이른바 미완성본이고 ‘제네바 원고’와 ‘파리 원고’는 <제12권>까지 있는 이른바 완성본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다. 현재 갈리마르Gallimard 출판사의 플레이야드Pleiade판 루소 전집에서 결정판으로 쓰이는 『고백』판본 원고는 ‘제네바 원고’이며 대부분의 출판사에서 출판하는 『고백』판본들도 마찬가지이다. 필자가 미완성본인 뇌샤텔 원고에 주목하는 까닭은 『고백』의 <제1권> 앞에 있는 서문 격에 해당하는 ‘프레앙뷜’ preambule 때문이다. 우리말 번역 기준으로 ‘뇌샤텔 원고’의 ‘프레앙뷜’은 9,100여 자에 이르는데 ‘제네바 원고’ 등의 ‘프레앙뷜’은 1,000여 자를 약간 넘는다. 정량적으로는 1/9로 대폭 줄어들었고 ‘이지적, 설명적, 논리적인, 거의 웅변적이라 해도 좋을 어조’였던 ‘뇌샤텔 원고’의 ‘프레앙뷜’은 ‘난삽하고 상징적인’ 제네바 원고의 ‘프레앙뷜’로바뀐다. 루소의 고백』은 한국에서도 여러 번 번역되었고 괜찮은 번역판도 몇 있다. 그럼에도 ‘뇌샤텔 원고’의 ‘프레앙뷜’을 소개한 번역본은 없고 그에 대한 연구도 전무하다. 이 ‘프레앙뷜’은 ‘자서전으로서의 루소의 고백』연구’ 뿐아니라 ‘문학으로서의 자서전 연구’에서도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자료라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우선 이번 기회에 ‘뇌샤텔 원고’의 ‘프레앙뷜’을 전문 번역해 소개하고 그에 대한 세밀한 연구는 다음으로 미룬다. The Confessions written by Jean-Jacques Rousseau has three manuscripts: the manuscript of Neucha?tel, the manuscript of Geneve and the manuscript of Paris. Its earliest manuscript is that of Neucha?tel. It is incomplete since he did not finish writing its fourth volume. The other two manuscripts of Geneve and Paris are complete, but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between them. The Pleiade edition of The Confessions published by Gallimard Press and most of the other editions are based on the manuscript of Geneve. However this final edition has a tenacious problem: The “preambule,” the preface to The Confessions. When it is translated in Korean, the “preambule” of the final edition is no more than 1000 words, compared to that of the manuscript of Neucha?tel, which is 9,100 words; its obscure, inscrutable and symbolic tone was reasonable, explanatory, logical and eloquent in the manuscript of Neucha?tel. The Confessions has been translated many times, and some of Korean translations are good. However, no one has ever attempted to translate the “preambule” in the manuscript of Neucha?tel and there is not any research on it in Korea. It is time to reevaluate its literary and cultural significance and meanings. It would provide us with some relevant signs to understand Rousseau’s Confessions as an autobiography as well as a literary work. For further comprehensive study on the “preambule” in the manuscript of Neucha?tel, I would like to introduce its full Korean translation.

      • KCI등재

        만문본 『니샨 샤먼전』 諸 筆寫本의 특징과 서사구조 비교 연구

        신상현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50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x manuscripts “Nishan saman i bithe”, written in Manchurian characters discovered so far,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of each manuscript to reveal structural differences. To this end, first, six types of “Nishan saman i bithe” written in Manchurian characters, namely manuscript of Qiqihaer(齊齊哈爾), manuscript of Aihui 1(璦琿 1), manuscript of Aihui 2(璦琿 2), manuscript of Vladivostok[海蔘威], manuscript of Starikov, manuscript of National Research Institute in China, discovered so far were briefly describ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nuscript were examined. Next, the structures of these manuscripts was structured and considered in the beginning, the appearance of the Nishan shaman and the preparation of the ritual [gut] to go to the afterlife, the experience of going to the afterlife to find the soul, the experience of returning to the world, and the story behind it. As a result,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contents, structures, and describing the situations between these manuscripts. In particular, the manuscript, called manuscript of Aihui 2(璦琿 2), showed many differences compared to other manuscripts, and next, called manuscript of Starikov, the ending part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other manuscript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Shaman culture of the Manchurians, which has been interacting with our people for a long time, and revealing their influences with Korean Shaman in the future. 이 논문은 그동안 발견된 만주문자로 기록된 6종의 필사본 『니샨 샤 먼전』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고, 각 필사본의 내용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구조적인 차이점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까지 발견된 만주문자로 기록된 6종의 『니샨 샤먼전』, 즉 치치하 얼[齊齊哈爾]본, 아이훈[璦琿] 1본, 아이훈[璦琿] 2본, 블라디보스톡[海蔘威]본, 스타리코프(Starikov)본, 중국의 민족연구소본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서술하고, 각 필사본의 특징 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어서 이들 필사본의 구조를 크게 서두 부분, 니샨 샤먼의 등장 과 저승으로 가기 위해 제사[굿]을 준비하는 부분, 저승으로 영혼을 찾으러 가서 겪은 일, 영혼을 찾아 이승으로 돌아오는 도중에 겪은 일, 이승으로 돌아온 뒤의 일, 그 뒤의 이야 기로 구조화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들 필사본 사이에는 내용과 구조, 상황의 묘사 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아이훈 2본’으로 불리는 필사본이 다른 필사본에 비해 많은 부분에서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스타리코프본’에서는 결말 부분이 다른 필사본과 전혀 다르게 되어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오랫동안 우리 민족과 교류해왔던 만주족의 샤먼 문화를 이해하고, 향후 한국 샤먼과의 영향 관계 등을 밝히는 데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역학서언易學緖言』의 성서成書 과정 연구 ― 가장본家藏本을 중심으로

        황병기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0 다산학 Vol.- No.37

        이본 연구는 새롭게 연구 자료로 제공된 가장본 『역학서언』을 중심으로 현재까지의 판본 및 필사본들을 비교하여, 제작의 선후와 필사의 경위 및 정고본의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해 작성된 글이다. 『역학서언』(1822)은 총 4책 12권 21편으로 최종 완성된 책으로, 1차적으로 『주역사전』 무진본(1808)의 성서 시기와 비슷한 시기에 12권 체재로 완성되었는데, 당시의 편목은 현재의 책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고, 적어도 4편은 1820년과 1821년에 추가로 저술된 것으로 추정된다. 가장본의 성서 시기와 그 가치 및 위상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있을 것이다. 가장본은 규장본과 필사의 형식과 판형의 행수, 자수 등에 있어 완전동일하다. 문자의 출입과 행의 누락 등은 필사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이니, 이런 차이를 제외하면 형식면에서는 완전히 같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츠쿠바대본과 버클리본과도 동일하다. 그러나 규장본은 가장본과 필사의 규모와 형식이 동일하고, 대부분가장본의 교정 지시가 반영된 상태로 필사되어 있지만, 가장본의 교정지시가 반영되지 않은 것이 있다. 게다가 가장본은 주필朱筆로 정약용이 직접 교정한 내용들이 있다. 반면에 가장본에서 교정 지시된 문자들은 그대로 신조본에 반영되어있다. 신조본은 가장본의 삭제 지시된 문자들이 사라지고, 두주에 부기된 문자와 여백에 부기된 문자 등도 가장본의 교정대로 수정되어 있다. 종합하자면, 가장본의 교정 사항이 일차 반영된 규장본이 동시에 존재하였으나 다른 경로로 유전되었고, 가장본에는 추가적인 교정이 가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가장본은 분명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여러 다른본들에 선행하는 본으로서, 정약용의 직접 교정 또는 그의 지시에 의한교정의 자취를 확인할 수 있는 본이다. 교정 이전의 가장본은 현재로서는 가장 이른 시기의 필사본이며, 교정 표시와 교정 문자가 있는 상태로도 현재로서는 가장 이른 시기의 본이라고 하겠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determine the predecessor of the manuscript, the history of transcription, and the existence of the original or finalized text by comparing the versions unearthed so far, focusing on the newly provided manuscript of Yeokhak Seo-eon in Collections handed down at home. Yeokhak Seoeon(易學緖言,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on Yi Studies, 1822) is a total of 21 books in 12 volumes. It was primarily completed in 12 volumes at the same time as the publication period of Juyeok Sajeon(周易四箋, Four Methods of Exposition on the Zhouyi, 1808). There seems to be a slight difference from the current book, and it is estimated that at least four books were added in 1820 and 1821. The manuscript period of Yeokhak Seoeon in Collections handed down at home and its value and statu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at one before proofreading is completely the same in the form of manuscript of Gyujanggak’s collection and transcription, the number of rows in a page and the number of alphabets in a row. The entry and exit of characters and the omission of lines are common phenomena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so they can be said to be completely the same book except for these differences. This is the same as the collected manuscript in Zhukuba University and the collected manuscript in Berkeley University. In addition, there are contents directly edited by Jeong Yak-yong in Collections handed down at home as red color(朱筆). The manuscript of Gyujanggak’s collection is edited with the same size and format as that one in manuscripts handed down at home, and most of it reflects correction instructions of manuscripts handed down at home, but there are some that did not reflect them. On the other hand, the letters indicated for its correction are reflected in the book in print of Shinjoseonsa as they are. In the text in print of Shinjoseonsa, the characters instructed to be deleted by its correction have disappeared, and the characters added in the head notes and the characters added in the row blank have been revised according to its correction. To sum up, it is presumed that the Gyujanggak’s manuscript text in which that its corrections were first reflected existed at the same time, but it was inherited through a different path, and additional corrections were applied to the manuscript handed down at home. It is clearly a book that precedes several other version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and is a book that can confirm the traces of Jeong Yak-yong’s direct proofreading or his instructions. That before proofreading is currently the earliest version of the manuscript, and even with proofreading marks and proofreading letters, it can be said to be the earliest version of the manuscript.

      • KCI등재후보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와 『대동수경(大東水經)』의 문헌학적 검토

        조성을 ( Sung Eul Cho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8 다산학 Vol.- No.13

        There are two kinds of Abanggangyeokko manuscripts. One is the original manuscript, and the other is the revised manuscript. The original manuscript was written in the spring of 1811, while the revised manuscript was completed after the fall of 1833. Daehan gangyeokko is based on the revised manuscript but revised a little by Jang Ji-yeon. Furthermore, there are two types of Daedong sugyeong manuscripts. The first is the original manuscript, and the other is the revised manuscript. The original manuscript was written in 1814, and the revised manuscript was completed after 1822 by Yi Cheong, one of Cheong yagyong`s disciples. The Yeoyudang jeonseo edition is based on the revised manuscript, a manuscript revised a little by someone.

      • KCI등재

        동아시아 불교 서사문화와 통일신라 사경

        리송재 ( Song Jae Le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58

        중국의 불교경전 서사문화는 동시기 유행서풍과는 다른 개별의 서체 특징을 가지고 하나의 유형을 이루고 있다. 사경의 서체는 초기 東漢말기부터 남북조시기까지 예서의 필의가 강한 ``예해(隸楷)``, 그리고 이후 수·당시기에는 해서법이 정형화된 ``정해(正楷)``로 크게 나누어진다. 즉 불경 서사문화는 동시기 유행서풍(시대서풍)과는 조금 다른 모습으로 변화·발전하게 되는데, 필획·결구 등이 전통적인 학습에 의해 전승되었기 때문이며, 이는 당시 유행서풍의 수용보다는 관습적인 성격이 더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의 문자문화 역시 통일기 이후 수·당 서풍이 지배적이지만, 불교 서사문화는 동시기 유행서풍의 영향을 살펴보기 어렵다. 더구나 현전하는 통일신라 사경 및 불교 문자자료를 살펴보면 정형화된수·당 사경의 조형성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있지만, 그 이전 남북조 사경의 조형을 보이는 것도 있어 필획·결구의 특징 등에서 관습적인 성격을 짐작케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기 사경 서사는 경전의 보급전파를 목적으로 하여 많은 양의 글자를 써야 했기 때문에 일정한 속도감이 필요하다. 筆寫시 속도감의 필요에 의해 用筆에서 起筆部는 尖筆의 형태로 생략되고, 收筆部또한 回鋒이 생략된 채 붓을 멈추어 간단히 마무리를 한다. 획과 획의 연결성이 두드러지고, 획이 간략화되면서 행·초서의 자형을 수용하고 나아가 이체자의 형태까지 나아가게 된다. 이처럼 불교경전 서사문화에서 외적인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발전하게 되지만, 근본이 되는 경문의 서사는 초기 사경의 필법과 결구, 장법 등의 관습이 지속적으로 계승되어 내려온 것으로 생각된다. Chinese Buddhist manuscript culture seems to maintain distinct stylistic features, which does not parallel to mainstream calligraphic movement. Calligraphic style of Buddhist manuscript in China was dominated by clerical script(례書) from the end of East Han Dynasty to Southern and Northern dynasty period. However, the usage of regular script(楷書) becomes widespread in Sui and Tang dynasty. In other word, Buddhist manuscript culture was developed in its idiosyncratic atmosphere in which the ways for connecting strokes as well as stretching strokes was developed through repetitive practices. Unified Silla dynasty appears to accept Sui and Tang dynasty`s calligraphic style, but it is hard to say that Unified Silla dynasty Buddhist manuscript calligraphy also follows to the mainstream movement. Some Unified Silla dynasty갽s Buddhist manuscripts and documents accommodated dual traditions: Sui and Tang dynasty manuscript elements and previous dynasty`s ones. In the early stage of Buddhism evangelization in China, it was required to produce many manuscripts to spread Buddhist doctrines. To deal with such demands, Buddhist scribes had to maintain a certain degree of maturity, by which they could write down text as fast as possible. In order to optimize brush strokes for every character, Buddhist scribes made initial strokes finer lines and tried not to extend the last strokes to the embellishment level, by which a Buddhist scribe had to pay the extra attention to render round shape of last strokes. Therefore, when we compare Buddhist manuscript`s calligraphic style with ordinary literati`s calligraphic style in those days, the former displays distinct features. A link among strokes becomes more definite, and the number of strokes in characters tends to be simplified and minimized. As a result, the overall appearance of Buddhist manuscript characters tended to embrace semi-cursive and cursive style of writing and then was developed to the stage, in which Buddhist scribes rendered variant characters. These characters are only shown in Buddhist manuscripts. We have noticed the various means were devised in Buddhist manuscript culture. However, the fundamental elements, characters to complete the contents of various texts, do not follow the development of such means but succeed the initial period`s calligraphic style.

      • KCI등재

        唐代 중후기 통속서사 사본에 대한 문화사적 해석 ― <伍子胥變文>의 교정 방식을 중심으로

        정광훈 한국중국소설학회 2018 中國小說論叢 Vol.55 No.-

        본 논문은 매체 문화사의 관점에서 唐代의 통속서사 사본을 살펴보고 있다. 중국 역사에서 당대는 다양한 외래문화가 가장 유행한 시대였고 이러한 시대적 특성은 필사본이라는 매체에도 반영되었다. 인쇄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직전 최전성기의 당대 필사본이 자유롭고 유연한 매체의 특징을 보여준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보수성’이 매체의 기본 적인 특징임을 전제한 후, 매체의 활용에 있어서 서양과 동양의 차이에 대해 논했다. 원심의 방향으로 진행된 서양 인쇄 매체의 특징이 동양에서는 인쇄보다 앞선 사본의 시대에 오히려 더 두드러졌다. 돈황에서 발견된 수많은 사본들이 이러한 특징을 대변해준다. 인쇄 매체보다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쓰고 고칠 수 있는 필사의 본질이 이를 가능케 한 것이다. 그래서본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돈황본 <오자서변문> 사본의 교정방식을 중심으로 그 시기 통속서사 사본이 갖는 문화적, 문학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오자서변문> 사본은 그 자체가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라는 서로 다른 전통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이 서로 다른 사본 텍스트의 교정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 당대 필사본의 유연성은 매체의 보수성과 오히려 조화를 이루면서 인쇄 시대를 지연시키고, 한편으로는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당대의 필사본이 그 시대의 다양한 이야기와 정보들의 담지체가 되었다고 할 수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manuscripts of the popular narratives of Tang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culture history. Tang Dynasty was the most popular era in Chinese history for various foreign cul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were also reflected in the media of manuscripts. Before the period of printing began in earnest, the manuscripts in its golden ag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 free and flexible media. In this paper, I discuss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in their use of media, assuming that ‘conservatism’ is a basic characteristic of the media. In the Ea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stern printing culture, which was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were more prominent in the era of the preceding manuscripts than the printing. Numerous manuscripts found in Dunhuang 敦煌 represent these features. The essence of a manuscript’s relatively free writing and correction rather than printing made this possible. And in the second half of this paper, I examined the cultural and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the popular narrative manuscripts of the period, focusing on the method of correcting of Wu zixu bianwen(伍子胥變文) manuscripts. These manuscripts themselves have different traditions of oral culture and written culture, and these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through the correction of different manuscript texts. In conclusion, the flexibility of manuscripts in Tang dynasty, in harmony with the conservatism of the media, could delay the printing era. On the other hand, for this very reason, the manuscripts of Tang dynasty could become useful media for various stories and informations of the time.

      • 讀杏雨書屋所藏八件經部敦煌寫本小識

        王天然(Wang Tianran)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2 아시아연구 Vol.- No.16

        근년 이래, 일본 오사카의 杏雨書屋에서 李盛鐸舊藏의 敦煌寫本를 공포하였다. 經部文獻은 9건이지만 본문은 그 가운데의 8건에 대해 서로 綴合시켜, 초보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杏雨書屋에 소장된 羽014-1號, 羽014-3號敦煌寫本은『論語』의 殘卷이다. 羽014-1號殘卷과 S.6121號ㆍS.11910號ㆍBD09954號ㆍ上博24(24579)號殘卷등은 모두 한 卷에서 분리된 것으로, 모두『論語鄭氏注』의 내용 가운데 일부이다. 羽014-1號殘卷의 공포는 王素先生의『唐寫本』『論語鄭』氏注에 대해 인증하고 보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論語鄭氏注』의 새로운 佚文으로 볼 수 있다. 羽014-3號殘卷은 P.2620號殘卷과 저자가 다를 수 있다. 이것들은 모두『論語集解』의 일부 내용이다. 필자는 校勘한 기초 위에서 羽014-3號殘卷과 阮刻本한 곳의 異文등을 분석하였다. 둘째, 杏雨書屋에서 소장하고 있는 羽015-1號ㆍ羽015-2-1R號ㆍ羽015 -2-2R號ㆍ羽015-3號敦煌寫本등은 모두『詩經』의 殘卷이다. 羽015-1號 殘卷과 P.2669號殘卷의 前段文王之什部份는 한 卷에서 분리된 것으로서, 이것들은 모두『毛詩傳箋』의 일부 내용이다. 필자는 綴合·校勘한 기초 위에서 羽015-1號殘卷과 阮刻本세 곳의 異文등을 분석하였다. 羽015-2-1R號ㆍ羽015-2-2R號殘卷과 Дx.05588號殘卷은 한 卷에서 분리된 것으로서 이것들도 모두『毛詩傳箋』의 내용 가운데 일부이다. 筆者는 校勘한 기초 위에서 羽015-2-1R號殘卷과 阮刻本두 곳의 異文등을 분석하였다. 羽015-3號殘卷과 S.3330號ㆍP.2978號ㆍS.6346號ㆍS.6196號 殘卷등은 모두 같은 사람이 쓴 것이거나, 혹은 모두『毛詩』白文의 일부 내용이다. 그러나 P.2978號寫本의 谷風之什부분에는 가끔 小字『傳箋』이 보인다. S.3330號寫本에는 “毛詩國風小雅鄭氏箋毛詩卷第十二” 라는 제목이 있고, S.6346號寫本에는 “毛詩大雅鄭氏牋”라는 제목이 있다. 따라서 이 5개 殘卷의 鈔寫底本은『毛詩傳箋』일 가능성이 크다. 셋째, 杏雨書屋에서 소장하고 있는 羽016號敦煌寫本은『左傳』의 殘卷이다. 羽016號殘卷과 Дx.04512號, Дx.01712號殘卷은 모두 한 권에서 분리된 것으로서, 이것들은 모두 杜預의『春秋左氏經傳集解』의 일부 내용이다. 筆者는 羽016號殘卷과 阮刻本一條의 異文을 이용하여 이 세 개 殘卷의 鈔寫연대를 다시 추정하였다. 넷째, 杏雨書屋에서 소장하고 있는 藏羽018號敦煌寫本은『尚書』의 殘卷이다. 羽018號殘卷과 S.2074號殘卷은 모두 한 권에서 분리된 것으로서, 이것들은 모두 孔安國傳『古文尚書』의 일부 내용이다. 오늘날 우리가 羽018號殘卷가운데의 일부 “隸古定” 字形을 이용하여 “古文”의 일부 면모를 볼 수 있다. During the past few years, some Dunhuang manuscripts, which had been the personal collection of Li Shengduo, were released by the Kyo-U Sho Oku (Kyo-U Library) in Osaka, Japan. Among these manuscripts there are nine pieces of Confucian classics. In this paper, the present author reconstructs eight of these nine documents and makes a tentative study of the eight documents. The main arguments are: First, Dunhuang manuscripts Yu 014-1 and Yu 014-3 from the Kyo-U Library are the incomplete manuscripts of the Analects(Lun yu). Yu 014-1 together with S.6121, S.11910, BD09954 and Shanghai Museum 24(24579) are all remnants from one original manuscript. They each constitute one part from Zheng Xuan’s Annotation of the Analects. The publication of the incomplete manuscript of Yu 014-1 not only proves and contributes to Professor Wang Su’s Tang manuscripts on Zheng Xuan’s Annotation of the Analects, but also offers a new piece which was lost from Zheng Xuan’s Annotation of the Analects. The incomplete manuscript Yu 014-3 and P.2620 may have been from the same hands ; they are all parts of Collected Annotation of the Analects. On the basis of collation, the present author analyses the variant versions in the text of Yu 014-3 and Ruan edition. Second, the Dunhuang manuscripts Yu 015-1, Yu 015-2-1R, Yu 015-2-2R and Yu 015-3 held by the Kyo-U Library are the incomplete manuscripts of the Book of Songs (Shi jing). Yu 015-1 and the first part of P.2669-“Wen-wang zhi-shi” are from one original manuscript. They are both part of Mao-shi zhuanjian. Based on reconstruction and collation, the present author analyses the three variant texts between Yu 015-1 and Ruan edition. Incomplete manuscripts Yu 015-2-1R, Yu 015-2-2R and Дx.05588 are from one original manuscript. They are also parts of Mao-shi zhuan-jian. The present author also analyzes the two variant texts in Yu 015-2-1R and Ruan edition on the basis of collation. Incomplete manuscripts Yu 015-3, S.3330, P.2978, S.6346 and S.6196 are from the same hands or from the same original manuscript. They are all parts from the scriptures of Mao-shi. However, there are some commentaries in the “Gu-feng zhi-shi” part of P.2978 ; S.3330 is originally entitled “Mao-shi Guo-feng Xiao-ya Zheng-shi-jian Mao-shi Juan-di-shi-er”; and S.6346 has the title “Mao-shi Da-ya Zheng-shi-jian”. It may be inferred that all these five incomplete manuscripts are all based on the same handwritten original of Mao-shi Zhuan-jian. Third, Dunhuang manuscript Yu 016 held by the Kyo-U Library is an incomplete manuscript from the Chronicle of Zuo(Zuo Zhuan). Incomplete manuscripts Yu 016, together with Дx.04512 and Дx.01712 are possibly from the same original manuscript. They are all parts from Du Yu’s Chun-qiu Zuo-shi Jingzhuan Ji-jie. Based on a different text in the incomplete manuscript Yu 016 and Ruan edition, the present author makes a new estimation of date when these three incomplete manuscripts were copied. Fourth, Dunhuang manuscript Yu 018 from the Kyo-U Library is an incomplete manuscript of the Book of History(Shang shu). Incomplete manuscripts Yu 018 and S.2074 are from the same original manuscript. They are all parts of the fake Gu-wen Shang-shu-zhuan. At present, by using some of the Li-gu- ding characters in the Yu 018 manuscript, we may find some truth about the Mei Ze text.

      • KCI우수등재

        새로 확인된 『현관장엄론』 게송사본과 아리야 비묵띠세나의 『현관장엄론』 주석서 콜로폰

        이영진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3 No.-

        본 논문은 아리야 비묵띠세나의 ��현관장엄론�� 주석서사본을 기반으로 한 문헌학적 작업의 일환이다. 이 주석서에는 현재 네팔과 티벳에서 보존된 두 종류의 산스크리트사본이 이용가능한데, 이 논문은 2014년에 북경대학에서 소수의 전공자들에게 접근을 허용한 티벳사본에 근거한 최초의 작업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를 둘 수 있다. 논문의 내용은 크게 둘로 나뉜다. 첫째는 필자가 새로 확인한 ��현관장엄론�� 게송사본에 대한 보고이다. 아리야 비묵띠세나의 네팔사본(NGMPP A 37/09: 야자나무잎에 갈고리형 네와리로 쓰임)에는 ��현관장엄론�� 게송을 필사한 세 폴리오가 97․99․100번째 폴리오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하리바드라의 주석서 사본(NGMPP A 35/12)에는 주석서 앞에 ��현관장엄론�� 게송 아홉 폴리오가 첨가되어 있다. 후자는 원래 갈고리형 네와리로 야자나무잎에 쓴 다섯 폴리오에 결락된 부분을 보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데바나가리로 종이에 쓴 폴리오를 잇거나 첨가한 사본이다. 필자는 각각 다른 사본으로 흩어져 있던 이 두 종류의 야자나무잎 ��현관장엄론�� 게송 사본을 비교한 결과, 원래 하나의 사본이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몇몇 전거를 들어 이 게송사본이 원래 아리야 비묵띠세나의 주석서사본과 한 묶음이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둘째는 아리야 비묵띠세나 주석서의 네팔사본과 티벳사본의 마지막 콜로폰에 관한 연구이다. 필자는 우선 이 콜로폰을 전사(轉寫), 편집, 번역한 후 다음의 두 사실을 밝혔다. 1. 네팔사본과 티벳사본 모두 동시대라고 할 수 있는 12세기에 필사되었다. 네팔사본은 콜로폰에 다르마팔라 왕 재위 32년(1108~1113년)에 필사되었다는 정확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다. 티벳사본은 필사연대에 관한 부분이 결락되었지만, 다르마팔라 왕 재위 30년에 ��현관장엄론��의 주석서를 쓴 아바야까라굽타의 제자인 슈바까라굽타가 보시한 사본이라는 점에서 네팔사본보다는 약간 늦지만 동시대라고 할 수 있는 12세기 초에 필사되었다고 결론지었다. 2. 콜로폰과 제명(題名)이 나타나 있는 첫 번째 폴리오의 앞면을 통해서 보자면, 마이트레야나타(미륵)의 저술로 전해지는 ��현관장엄론�� 게송이 아리야 비묵띠세나의 저술일 가능성이 있다. 필자는 콜로폰 이외에도 티벳역과 새로 확인된 게송사본의 자료 등을 통해 ��현관장엄론�� 게송의 저자 귀속에 관하여 1)아리야 비묵띠세나 2)작자 미상 3)마이트레야나타의 세 가지 흐름이 있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This paper is a philological study on two extant Sanskrit manuscripts of Ārya-Vimuktiṣeṇa’s commentary, commonly called Abhisamayālaṅkāravṛtti. The contents of this article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a newly identified Nepalese manuscript of the Abhisamayālaṅkārakārikā, and research on the colophon of the two manuscripts preserved in Nepal and Tibet. This paper is notable for being the first study of based on the Tibetan manuscript, which was displayed to a small group of experts at Beijing University in 2014. Inside the Nepalese manuscript (NGMPP A 37/09) written in Nevārī script with hooked top, three folios are mistakenly inserted whose contents are in fact the Kārikās. In another Nepalese manuscript, NGMPP A 35/12, the first nine folios identified as a manuscript of the Abhisamayālaṅkārakārikā are also added to Haribhadra’s commentary. Among the nine folios, only five folios are written in the hooked Nevārī script. I find these eight folios in the Nevārī script originally constituted one and the same manuscript of the Abhisamayālaṅkārakārikā, which was placed before Ārya-Vimuktiṣeṇa's commentary text in the original manuscript. Second, I point out two discoveries about the colophon of the manuscripts in Nepal and Tibet, 1) The two manuscripts were both written in the early 12th century. The Nepalese manuscript is dated to the 32nd year of the king Dharmapāla (r. 1108-1113), while the part of the colophon that states the exact date of the manuscript in the Tibetan manuscript is missing. But given that the latter manuscript was a religious gift from Śubhākaragupta, a student of Abhayākaragupta who composed the Munimatālaṅkāra in the 30th year of the king Dharmapāla, it is clear that the two manuscripts were contemporary. 2) According to the colophon, Ārya-Vimuktiṣeṇa’s commentary is called Abhisamayālaṅkāraśāstra, which is the same with the title of the Kārikās traditionally ascribed to Maitreyanātha. In the recto of the first folio (1r) of the newly identified manuscript, the text consisting of the Kārikās alone is titled “a commentary on the Prajñāpāramitā by Ācārya-Vimuktisena.” These facts indicate the possibility that Ārya-Vimuktiṣeṇa himself composed the Kārikās that is believed to be a work of Maitreyanātha. Consulting other materials such as the Tibetan translation of the Abhisamayālaṅkārakārikā from the end of 11th century, I also make reference to thre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authorship of the Kārikās: Maitreyanātha, Ārya-Vimuktiṣeṇa, and an anonymous auth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