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다산의 퇴계관 -『여유당전서』 시문집에 한하여-

        김언종 ( Eon Jong Kim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1 다산학 Vol.- No.19

        퇴계에 대한 다산의 견해를 재검토하는 것은 조선시대의 학술적 흐름의 계승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단서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퇴계와 다산이 각각 성리학 중심의 조선 중기 학술계와 실학 중심의 조선 후기 학술계를 대표하는 학자였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퇴계에 대한 다산의 견해에 대하여 (1) 퇴계의 가학 연원, (2) 다산의 『도산사숙록』에 비친 퇴계의 모습, (3) 이자현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 (4) 이기설에 있어서의 다산의 퇴계관으로 각각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성호 이익의 사상과 학문을 흠모하고 존경했던 다산은 성호의 사상적 뿌리라 할 수 있는 퇴계의 사상을 수용하게 되었다 퇴계의 사상을 받아들이게 된 가학의 연원 역시 찾아 볼 수 있는데 다산의 9대조인 정응두가 퇴계와 조반朝班에 함께 했으며 그의 아들 정윤희가 퇴계의 문하에서 공부한 사실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서 다산이 유년기에 이미 『퇴계집』을 접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예상해 볼 수 있다. 다산은 퇴계의 사상을 깊이 고찰하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그의 생각은 그가 금정에 있을 무렵 작성한 『도산사숙록』을 통해 나타난다. 『도산사숙록』에 담긴 33칙의 연의에는 퇴계라는 위대한 지성에 비친 다산 자신의 결점에 대한 솔직한 고백이 드러나 있다 『도산사숙록』에서 다산이 퇴계에게 사숙하고자 한 것은 대부분 인격 함양에 관한 것이었다. 퇴계와 다산은 고려시대의 인물인 이자현에 대해 견해를 달리한다. 정인지를 비롯하여 서거정 및 정효항 등은 이자현에 대해 유학을 배웠으면서 유학자의 본문을 팽개치고 이단인 노불에 심취했다고 하면서 극력 비판한 반면 퇴계는 이러한 당시의 비난이 이자현의 높은 지조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 자들이 지어낸 근거 없는 말이라고 반박한다. 이에 대해 다산은 이자현이 불교와 도교에 빠진 것을 애석하게 여긴다고 하면서 이자현의 고결한 지조를 추존했던 퇴계와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다산의 퇴계관은 이기설을 바라보는 관점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조선시대에는 퇴계와 율곡으로 대표되는 이기설을 둘러싼 논쟁들이 있었다. 다산은 이에 대해 퇴계와 율곡이 리와 기를 논하고 있지만 각자 지향점이 다르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즉 다산의 견해에 의하면 퇴계 이기론의 지향점은 부분적專인 것에 있으므로 그 논의가 주밀하고 상세하고 율곡 이기론의 지향점은 전체적總인 것에 있으므로 그 논의가 소활하고 간결하다고 본 것이다. 이를 통해 두 학자의 이기설을 인정하면서 각 학파의 특징을 포착하고 그 이해의 합일점을 절충하고자 한 다산의 시각을 엿볼 수 있다. 다산은 50세 이후에 결국 성리학과 결별을 하게 되는데 그는 인간의 심성에 내재한 측은·수요·사양·시비는 단지 마음일 뿐 인의예지는 그러한 마음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마음이 실제 생활 속에서 실천적으로 구현되는 과정에 있다고 보게 된다. 이와 같이 구체적인 실천을 중시하는 사상은 정주·퇴율 이래의 성리학설과 크게 다른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산 사상이 실학사상으로 귀결되는 흐름을 감지할 수 있다. 정주 성리학의 절대 명제인 태극과 리에 대한 다산의 전면적인 부정은 퇴계학 뿐만 아니라 정주 성리학에 대한 반동이라 할 수 있다. 다산의 퇴계에 대한 계승과 반동은 조선시대 학술계의 역사적 흐름을 살펴 볼 수 있는 중요한 사항으로서 향후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중대한 과제이다. Reviewing Tasan`s opinion about Teogye is an important clue about the succession of academic stream during the Chosun Dynasty because both scholars are recognized as great men in Korean history. In this paper, I examined Tasan`s opinion about Teogye like following: 1 tracing the origin of academic correlation between Tasan and Teogye, 2 the feature of Teogye suggested in Tosansasukrok, 3 divergent views on Lee Ja-hyun, 4 opinion about the force理 and the function氣. As Tasan was an admirer of Seongho, he accepted Teogye`s theory naturally. And Jeong Hee-jo, who is a collateral family of Tasan, once studied under Teogye. Therefore Tasan had a chance to learn of Teogye-jip from early, and he wanted to organize Teogye`s theory soundly. While Tasan was demoted to an unimportant post, he wrote Tosansasukrok. In this writing, he mentioned noble character and behavior of Teogye to examine himself.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he totally agreed to Teogye`s theory. And we can get a sense of his stance from the estimation of Lee Ja-hyun. Teogye actively justified Lee Ja-hyun`s conduct of life against harsh criticism proposed by former people. Though Tasan recognized Teogye`s favorable comment on Lee Ja-hyun, he did not follow Teogye`s point of view. We also can see Tasan`s opinion about Teogye clearly from the view about the force and the function. There are a lot of argument in Chosun Dynasty about the theory of the force and the function established by Teogye and Yulgok. On closer examination, Tasan presented a compromise proposal. According to his analysis, Teogye and Yulgok had respective aim from the theory of the force and the function. He thought that Teogye focused on fragmentary parts while Yulgok focused on overall parts. In his thought, their theory can not be distinguished between right and wrong as each theory has its own goal. Furthermore, Tasan declared a seperation from Neo-Confucianism. This means a lot, because Tasan wanted to overcome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Therefore, I think Tasan`s opinion about Teogye is an important clue about the academic history through Chosun Dynasty. In this paper, I examined his theory based on his own literary works as a first attempt.

      • KCI등재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최재목 ( Jae Mok Choi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0 다산학 Vol.- No.17

        이 논문은 일제 강점기의 주요 신문과 ‘잡지’에 게재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하 ‘다산’ 혹은 ‘정다산’) 관련 기사 및 논고를 토대로 당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재발견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제강점기 ‘정다산’의 연구와 ‘언론 매체’가 본격적으로 만나는 계기는 바로 1930년대에 일어나는 ‘민족주의적 한국학’인 ‘조선학’ 때문이다. 그 핵심 세력은 일본의 식민지 통치에 반대하고 협조를 거부했던 비타협적 민족주의 계열의 연구자들 즉 안재홍安在鴻(1891~1965)·백남운白南 雲(1895~1979)·최익한崔益輪(1897~?) 등이었다. 그들이 펼친 조선학은 ‘조선문화 부흥’의 일환이며, 그것은 문화제국주의의 한국학인 ‘청구학靑丘學’과 정면으로 맞서는 것이었다. 이 대립되는 양자는 ‘한국사회·한국문화 특수성론’으로 공통되어 있었다. 그것은 전자가 후자의 전도형태 顧倒形態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어쨌든 정다산에 대한 연구는 1934년을 계기로 하여 본격적으로 착수되었는데, 그것은 바로 다산 서거 98주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그들은 조선학 부흥운동을 꾀하면서 그 일환으로 다산 서거 100주년 기념사업을 계획하였다. 그런 과정에서 정약용의 사상을 비롯하여 여타의 실학자들에 대한 연구도 시작되었다. 실학 연구의 기념비적인 작업은 역시 1938년 12월 13일자 『동아일보 東亞日報』 2면 기사에 「茶山與觸堂全書 完刑記念祝寶 來十六日 明月館에서」 라고 있는 것처럼, (1934년에 시작하여) 1938년 12월에 이뤄지는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신조선사新朝雖社 출판)의 완간 작업이었다. 『여유당전서』의 출판에 참여한 인물로는 실학 관련 기사를 쓴 정인보, 최익한, 문일명文一平(1888~1936), 안재홍 등이다. 최익한은 65회에 걸쳐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를 독讀힘」을 발표하는데 여기서 그는 다산의 『여유당전서』의 핵심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바 있다. 일제 강점기에 다산 서거 100주년을 전후하여 일어난 조선학운동에서 ‘정다산`은 분명 우리나라 ‘위인’의 표상이자 아이콘이었다. 그리고 조선의 지식, 개념, 인물을 새롭게 영유領有하는 방법론이기도 하였다. 그를 둘러 싼 좌의 ‘세계’ 지향과 우의 ‘민족’ 지향이 서로 맞서는 가운데 ‘근대적’ 학술의 논의가 진척되었고 ‘허虛의 학’을 넘어선 ‘실實의 학’을 추구해가는 절실한 논의의 지명이 열리기도 하였다. 아울러 이 시기에 크게는 〈구(전통-구식)〉⇔〈신(현대-신식〉이 극명하게 대립되고, 그 대립 속에서 새로운 이념들이 이데올로그들에 의해 전개되었다. 다시 말해서, ‘우익’측에서는 일제의 민족문화 말살정책에 대한 대응 논리로 포괄적인 민족사상 및 학문의 전통 확립을 위해 정인보鄭寅普가 ‘얼’을, 안재홍이 ‘민족정기民族正氣’를, 분일평이 ‘조선심朝鮮心’이라는 개념을 내세워서 주도해갔다. 이에 반해 ‘좌익’측에서는 이청원, 백남운 등이 마르크스주의 역사연구 방법론을 도입하여 세계사의 보편성에서 한국사체계를 구성해 사회경제사학을 확립하는 한편 공산주의 혁명의 필연성을 정당화하였다. 이처럼 ‘세계’에 관심을 둔 좌, 민족에 관심을 둔 우의 ‘시점視點’은 정다산, 실학, 나아가서는 조선학을 서술해가는 방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바로 정다산 논의는 ‘민족民族’과 ‘세계世界’ 사이에서 새로운 연구의 길을 모색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is study on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especially, here focused the media and the journal in those days. In 1935, Ch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Tasan Cheong Yagyong as a moment, begin the movements of Josonhak(Joseon Studies) that is entirely different as before. The Josonhak means that is one of the indigenous, traditional, char-acteristic studies for Korea, by and of the korean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 Josonhak, starts area studies in the beginning, for example in Choi Nam-seon, but it becomes to be different much in the period of movements of Josonhak. Ch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publish a slogan Tasan Cheong Yagyong who is the most prominent figure succeed to the intel-lectual line of Silhak from Bangye Yu Hyeongwon and Seongho Lee Ik, in the Joseon intellectual history. Then they can appropriate a new view point for nation and world in Jose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The other hand, Tasan Cheong Yagyong` Silhak inherit the traditional intellectual heritage Sil(實), Silsim(實心) in korean Yangmyonhak. We can see the process of intellectual move from Yangmyonhak to Silhak. By this they seeks the best way of their own`s against the cultural, intellec-tual violence of imperialism under that situation. The Josonhak movements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Tasan Cheong Yagyong, so to speak, grope in the dark between nation and world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 KCI등재

        다산(茶山)의 고거학(考據學)에 관한 시론(試論)

        펑린 ( Lin Peng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5 다산학 Vol.- No.6

        고거학考據學은 중국학술사에서 매우 독특한 학문분야로서 명말·청초明末淸初에 발생하여 18세기 청나라 건가乾嘉 시기에 가장 왕성하였으며, 그 이후의 학술의 진행방향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중국과 인근隣近한 조선에서 고거학의 상황은 어떠하였는가? 이 글에서는 단지 조선시대 고거학의 대표적 인물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양국兩國 고거학의 동이同異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고문상서古文尙書』가 위작(僞作)이라고 본 『매씨서평梅氏書平』에 대하여 다산은 염약거의 뒤를 이어 전면적으로 매씨의 『고문상서』를 정밀하게 고증하여 종합적으로 부정하였다. 그리고 다산은 『상서』학을 깊이 연구하여 『상서고훈 尙書古訓』 7권과 『상서고훈서례尙書古訓序例』를 저술하였으며 29편의 금문으로 된 『상서』에 대해서 일찍이 그 편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종합적으로 말해서 매본梅本에 대한 다산의 고거考據방법은 염약거와 완전히 일치하며, 이 점은 건가乾嘉시대 학자들의 범위를 넘어서지는 않는다. 다산은 『상서』학을 깊이 연구하여 『상서고훈 尙書古訓』 7권과 『상서고훈서례尙書古訓序例』를 저술하였으며 29편의 금문으로 된 『상서』에 대해서 일찍이 그 편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다산은 정현鄭玄의 학문에 대해서도 비판하였다. 정현은 건가乾嘉시대의 고거학考據學에서 최고권위의 지위를 지니며 건가시대의 학술은 정현을 중심으로 삼는다. 그러나 정현의 주에 대한 다산의 공격은 문자의 訓?훈고에서부터 경문의 대의大意에 이르기까지 미치지 않은 곳이 없다. 그의 『경세유표經世遺表』와 『흠흠신서欽欽新書』는 모두 정현에 대한 힐난하고 꾸짖는 것이다. 정현의 주에 대한 다산의 비평은 정확한 견해가 많지만, 정현에 대한 다산의 비평에 오독誤讀과 오판誤判의 현상도 적지 않다. 한편 다산은 문자의 고정考訂에도 힘썼다. 유가의 경전은 상고시대의 작품으로 언어환경은 청대淸代와는 매우 다르며, 경적經籍의 문자는 모두 고음古音·고의古義를 사용하였다. 이른바 고거학考據學이라는 것은 곧 고대문헌의 문자의 형태·소리·의법儀法과 전장제도를 고증하여 경전의 뜻을 발명하는 것이다. 다산은 분명히 금문과 고문의 문제를 의식하여 경중輕重을 충분히 비교하였으며, 경문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깊이 있는 경학연구를 촉진하기 위하여 반드시 독자들로 하여금 한대漢代의 문건들의 동이同異를 분명하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다산처럼 금문과 고문에 충실한 학자는 조선시대에 결코 많지 않았는데, 여기서 그의 경학에 대한 심후한 수양이 반영된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고거학 연구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명나라가 망한 후에 조선정부와 지식인들은 청나라 사람을 호로胡虜(야만인)로 보아, 청나라의 학문을 중시하지 않았다. 따라서 중원에서 학풍이 크게 변하여 고거학이 대대적으로 발흥하여 일어날 때 조선의 학술계는 성리학이 여전히 주류를 이루어 조선성리학의 특색을 유지발전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산과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등은 고거학의 연구에 몰입하여 조선의 고거학考據學 발전에 중요한 공헌을 하였으나 동시에 그 한계도 있었다. The Evidential Learning of the Ching which appeared in the late Ming and early Ching is a unique field in the Chinese academic history. It was flourishing in the 18th Qian-Jia period, had an influence on the academic course after that. Then, how was the Evidential Learning in Chosun neighboring in China? Through analyzing on Tasan Cheong yagyong(1762~1836)`s Evidential Learning we can understand how different they were. First of all, Tasan made a thorough investigation of MaeSsi(梅색)`s KoMunSangSo(古文尙書) and presented in MaeSsiSoPyong(梅氏書平) that MaeSsi`s SangSo(尙書) was forged, which was same view with Yan ReQu(閻若거) argued that KoMunSangSo made up. Tasan deeply studied SangSo, wrote SangSoGoHun(尙書古訓) seven volumes and SangSoGoHunSoRye(尙書古訓序例). Though the method of evidential proof used by Tasan was totally the same with Yan`s, at this point Tasan was not superior to Qian-Jia scholars. Tasan criticized on Cheong Xuan(鄭玄)`s scholarship. In the Ching Evidential Learning Cheong Xuan was the best scholar. But on the commentary of Cheong Tasan thoroughly disclosed of truth from the commentary of letters to the gist of the classical text. KyongSeYuPyo(經世遺表) and HumHumShinSo(欽欽新書) wrote by Tasan aimed at Cheong Xuan. Tasan`s critique about Cheong`s commentaries relatively corrected, but there were not a few mistakes. In other hands Tasan took pains on the KoJung(考訂- deeply think and correct) of letters. The language of Confucian Classics written in the ancient times is very different with Ching`s. The letters of Classics used old sound and meaning. So Evidential Learning shows up the true meaning of Classics through studying historical evidences like as the form, sound, and style of ancient letters. Tasan clearly was aware of the problems between KumMun(今文) and KoMun(古文), sufficiently compared relative importance and made account of understanding the text. To accelerate the Classical learning he asked for understanding on the differences archives of Han period. Scholars like as Tasan are scarce in Chosun. Especially he was very devoted himself to study Classical Learning. To sum up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idential Learning of the Chosun, after the Ming perishes Chosun government and scholars made little account of the Ching`s learning regarding the Ching people as the savages. Consequently when the Evidential Learning made a rise in China, the academic tendency of Chosun still was the Neo Confucianism. Tasan, Chusa(秋史) Kim JungHee(金正喜), and others studied the Evidential Learning, having a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the Chosun`s, and also they had limits.

      • KCI등재

        특집 : 다산 정약용의 교육사상과 공부법 ; 다산의 강진 강학과 제자 교학방식

        정민 ( Min Jeong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1 다산학 Vol.- No.18

        다산은 1801년 강진으로 유배와서 1818년 두릉으로 돌아갈 때까지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다. 또한 이들을 훈련시켜 500권이 넘는 엄청난 저작들을 쏟아냈다. 다산은 어떤 프로그램으로 학문의 불모지였던 강진의 제자들을 최고의 학술집단으로 변모시킬 수 있었을까? 다산은 다양한 방식과 효율적인 프로그램으로 제자들을 훈련시켰다. 본고에서는 다산의 제자 교학방식을 단계별, 전공별, 맞춤형, 실전형, 토론형, 집체형 등 여섯 범주로 나누어 살폈다. 다산은 제자들의 단계와 수준에 따라 효과적인 학습의 로드맵을 제시하고, 제자의 개성을 고려하여 문예와 학술로 구분하여 전공을 정해주었다. 또한 성격이나 신분을 따져 각자에게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이와 아울러 구체적인 작업 매뉴얼을 제시하여 실전을 연습하게 하고, 성취는 고무시키고 태만은 매섭게 야단쳤다. 일상적인 토론을 통해 문제의식을 예각화하고, 작업의 핵심가치를 장악하게 했다. 그리고는 조직적인 시스템을 갖추어 집체 작업을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가지 작업들을 대단히 효율적으로 완수해냈다. 그 결과 다산의 제자들은 어디에 내놓아도 조금도 손색이 없는 큰 학자로 성장할 수 있었다. 다산의 제자들의 훈련과정을 자신의 작업과 일치시킨 점도 대단히 높이 평가할만 하다. 다산은 작업의 원동력을 제자를 통해 얻었고, 제자들은 스승의 방법론과 작업 과정에 동참하면서 작업의 노하우를 익혔다. 서로 윈윈의 모양새를 갖추었던 것이다. 이러한 여섯 가지 교학방식의 이상적인 조합을 통해 다산은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데 성공했다. 다산의 교학 방식은 오늘날 교육학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대단히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보인다. 그 교육학적 함의와 현재적 적용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활발한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asan had trained many disciples from 1801 when he was exiled to Gangjin to 1818 when he returned to Dureung. Also he produced more than 500 books through training his pupils. Then, what programs did he use and how did he transfigure from disciples in Gangjin where was wasteland of the study to the best school? He had trained pupils with various methods and efficient programs. This paper divided his education methods to six categories which are type for each level, major, proper methods, practice, debate, and group. He presented effective road maps according to each pupil`s level and degree. He determined their majors into literature and scholarship considering personality of pupils. In addition, he offered proper programs to each disciple figuring their characters of status. He presented concrete working manuals for practicing, encouraged accomplishments and scolded negligence. He sharpened critical minds through common-or-garden arguments, and let his pupils seize core values of working. Then being equipped to organized system he efficiently completed several works which were made by teamworks all-at-once. As a result, pupils of Tasan had become famous scholars who didn`t suffer by comparison. He came into line discipline courses of pupils with his works. Which deserved to highly appreciate. He gained source of his works from his pupils, and they mastered working knowhow joining teacher`s methods and process of his works. They made shape of Win-Win one another. Tasan achieved creating synergy effect and maximizing work efficiency through ideal combination of these six education methods. His education methods appear very systemic and reasonable even in the view of today`s pedagogy. In further active debates on pedagogic undertone and appling to present are expected.

      • KCI등재

        다산茶山 상복제도喪服制度에 대한 복식사적 고찰 ─ 『상례사전喪禮四箋』, 『상복상喪服商』을 중심으로

        차서연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1 다산학 Vol.- No.38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forms of mourning clothes that Tasan reinterpreted in the chapter titled “Sangboksang” in his Sangraesajeon. The mourning cloth for men Tasan suggested, called Byeonbok, was what he re-interpreted from the “Sabok” chapter in Jurye, which states “people wear Byeonbok during bad occasions,” and he wrote that Jobok and Jebok in contemporary Joseon are, in principle, same with Byeonbok in the past. This new principle means that the basic form of mourning cloth is following that of Byeonbok so that unnecessary is such an additional statement on which aspect of the mourning cloth can be the same with Byeonbok. There could be three implications of Tasan’s suggestion for mourning clothes, which he derived from his reference to the thirteen ancient books and Garye, not from the twofold annotations. First, he wanted to raise the status of mourning clothes. Jobok and Jebok he suggested as proper forms for mourning were what people had used to wear as ritual clothes for good occasions. By allowing the clothes for bad occasions to be the same with those for good occasions, he intended to raise the status of mourning clothes. He also argued this by mentioning certain elements of Simui hoping that the mourning clothes would stop being simply functional for mourning rituals but have equal status with other attires that Confucian scholars deemed important. Second, he emphasized the standardization of mourning clothes and their practicality. He suggested standard sizes of the clothes, which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earer’s body. It was enable everybody to wear a standardized cloth no matter how large or small one’s body is so that everybody could participate in the funeral rites with proper clothes. The mourning clothes Tasan suggested were also practical since they were, for him, not only the finest clothes people could wear during the funeral but the everyday clothes they could wear in daily routines. Lastly, his suggestion was also to increase the performability of the funeral rites. His re-interpretation of ancient mourning clothes as those corresponding to the contemporary clothes in Joseon, such as Jobok, Jebok, and Simui, was to encourage people’s actual performances of the rituals not only by making the mourning clothes easy to produce but also by removing people’s repulsion to the rites. Tasan seems to have tried to reproduce the original mourning costumes which did not deviate from the spirit of old rites, but ref lected the situations of the contemporary Joseon society by critically investigating notes of Uirye , and Yegi, the books describing ancient rites, and by following the method of Garye which constituted ritual procedures by considering contemporary conditions. 본 연구는 『상례사전喪禮四箋』, 「상복상喪服商」을 중심으로 다산茶山 이 재해석한 상복喪服의 형태와 관점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산이 제시한 남자 상복의 원칙은 『주례周禮』, 「사복司服」에 “무릇 흉사凶 事에는 변복弁服을 입는다.”라는 기록을 근거로 상복喪服이 변복弁服이고, 옛날 변복弁服이 조선의 조복朝服과 제복祭服이라는 것이다. 이 원칙의 의미는 말 그대로 상복의 기본적인 형태는 변복과 같다는 것이고, 상복 가운데 변복과 같은 요소에 대해 별도로 언급하는 것은 필요하지않다는 또 다른 원칙을 파생시킨다. 다산은 이 원칙 아래 십삼경十三經을 중심으로 『가례家禮』와 조선의시속까지 참작해서 상복의 형태를 논증하였는데, 그 특징과 함의含意는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 번째는 상복의 위상을 높이려고 하였다. 다산이 제시한 상복은 조선의 조복과 제복의 형태로, 길례吉禮에 조복과 제복을 착용하듯 흉례凶禮에 조복과 제복의 제도에 따른 상복을 입는다는것이다. 조복과 제복에 조응하는 것으로 보는 다산의 제안은 상복의 위상을 높이려는 의도이다. 심의深衣의 요소도 적극 활용하여 논증하였는데, 이는 상복을 단순히 슬픔을 표상하는 복식만이 아닌 유학자들에게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옷과 동등한 위상을 갖는 복식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바람이 담겨 있다. 두 번째로 상복 제도를 표준화하고 실용적인 부분을 강조하였다. 다산은 상복의 표준 치수를 제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사람의 몸집에 따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실용적인 부분을 강조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상복이 최고의 예복禮服임과 동시에 상례 기간 동안 실제로 입고 생활하는 일상복이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상례의 수행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조복과 제복, 심의의 형태로 상복을 해석한이면에는 조선 사람들에게 익숙한 형태를 제시하려는 의도가 반영된것이다. 조선 사람들에게 익숙한 형태라면 제작에 어려움이 없을 뿐 아니라 상례에 대한 거부감도 줄일 수 있어 상례의 수행 가능성을 높이게된다. 다산은 고례古禮인 『의례儀禮』와 『예기禮記』의 주소注疏에 대한 비판적 고증을 통해 상복의 원형을 재현하고 『가례家禮』가 시의時宜를 반영하여 예제를 구성했던 방식을 계승・극복함으로써 古禮의 정신에 어긋나지 않으면서도 조선의 시의를 반영한 상복을 만들어 입을 수 있도록노력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권형론權衡論 재해석 - 선진 문헌에 대한 고증을 바탕으로

        고승환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6 다산학 Vol.- No.29

        This paper includes not only a refutation of some recent studies on the theory of Gwon-hyeong[權衡, beam balance], but also a reinterpretation of the main concepts of his theory. First of all, I argue that the concept of nature[性]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at of emotion[情]. Otherwise, it would cause difficulties in properly understanding Tasan’s theory of mibal[未發, not-yet-aroused]. According to Tasan, ‘not-yet-aroused’ state in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determines merely that of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not of understanding and thinking. In addition, he claims that the mind of the Way[道心] is not just as a sole source of Good which we needs must follow for our moral behavior, but also a manifestation of nature[性之所發]. If we regard the concept of nature[性] and the mind of the Way[道心] as emotion or feeling whether it is moral or not, it seems impossible for us to guide our ability to understand and think at the moment of emotion not yet aroused. This was not the problem of Tasan’s theory, but this became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for scholars who study Tasan’s theory. I argue that Tasan’s concept of nature and the mind of the Way has rationalistic characteristics, and thus, we cannot properly understand his theory solely based on emotionalism. Second, by relying upon a historical research on Xunzi, I argue that Gwon-hyeong is not the concept originally derived from Tasan, but is most developed by him into the complicated faculty which directly indicates our ability to understand and think. Furthermore, I think his faculty of understanding and thinking relates to two domains: one is good and bad[善惡], and the other is the domain of society and politics, benefit and harm[利害]. I think that the former is derived from Menzi and the latter from Xunzi. However, the previous scholarship did not pay careful attention on connection between Xunzi and Tasan concerning the theory of Gwon-hyeong. Third, based on this interpretation, we can understand Tasan’s notion of the Mandate of Heaven[天命] in two ways. In the text Noneogogeumju[論語古今註], Tasan points out the Mandate of Heaven as two meanings. The first one concerns moral goods, and the second one concerns external goods like well-being or ill-being of life, and prosperity or adversity. In this paper, I also try to clarify the dualistic structures of Gwon-hyeong into gaseon[可善] and taekseon[擇善, choose to do good]. By gaseon[可善], Tasan means an individual has a right to determine their own behavior[自主之權] through the faculty of thought and, which gives them morality such as good[善] or evil[惡]. By 擇善 (originally found in the Doctrine of the Mean), he means that the process of seeking the best way to act in a certain situation. Accordingly, this process of taekseon involves learning rituals and rules created by former sages. I also think that this latter aspect concerns more with legality than with morality itself. 본 논문은 기존의 권형론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그에 대한 해결로써 다산학에서 중요한 개념들에 대한 재해석을 담고 있다. 첫째, 다산의 성性이라는 개념은 정情과 구별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성性과 정情은 정도의 차이에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종적 차이를 가지는 개념이다. 이에 대한 분석은 기존 다산의 성기호론性嗜好論의 정감주의적 해석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둘째, 다산은 중용의 미발이 감정의 미발이지 심지사려의 미발은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자신의 독특한 미발론未發論을 제시한다. 다산은 사단을 도심의 네 가지 양태로 보며, 사단 또한 감정에 앞서서 행위 주체의 의식에 드러날 수 있다. 따라서 희로애락 등의 감정 일반에 앞서 인간에게 드러나 선을 제시하며, 인간은 그에 따라 자기 행위를 규정할 수 있다. 이에 다산의 권형 개념이 경험적으로 드러나는 감정보다 앞서서 발휘되는 선험적 사유능력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셋째, 권형은 신체적 반응 기제인 감정과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사유능력을 포함하며 그것이 인간에게 윤리성을 가능하게 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권형이라는 사유능력은 이러한 개인의 윤리적 측면 뿐 아니라, 사회ㆍ정치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어온 권형의 이원적 구조에서 사회ㆍ정치적 측면을 ‘택선擇善’의 능력과 연결 짓고, 개인의 윤리적 측면을 ‘가선可善’의 능력과 연결 짓고 있다. 넷째, 이러한 이해를 선진 문헌에 대한 고증을 통해서 설명하고 있다. 즉, 권형이라는 용어의 유래를 검토해 나아가다 선진의 철학자, 즉 순자가 다산에게 끼친 영향성에 주목하였으며, 그것이 성인론聖人論과 더불어 다산의 권형론權衡論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다산은 권형을 ‘재才’로도 표현하는데, 인간의 재才가 기질에 따라 선악으로 품부받는 것이라는 송대 유학자들의 주장을 비판하고 기질과 관련이 없는 재才가 있으며 그것을 가리켜 ‘자주지권自主之權’이라는 자신의 독특한 개념어로 체계화하였음을 밝혔다. 이는 순자의 ‘인주지권人主之權’에 대한 비판인 동시에 송대 유학자들의 ‘기질지능氣質之能’(“才, 猶材質, 心之能”)에 대한 비판이었다. 따라서 그는 인간의 사유능력을 ‘자주지권능自主之權能’이라고 규정하였으며 자신의 철학 체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개념화 하였다. 이상, 다산이 쓰고 있는 몇 가지 용어들에 대한 조심스러운 접근을 통해 그의 권형론과 성기호론은 결코 이성과 감정으로 상충하는 관계가 아니라는 것이 밝혀진다.

      • KCI등재

        다산의 강진 강학과 제자 교학방식

        정민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1 다산학 Vol.- No.18

        Tasan had trained many disciples from 1801 when he was exiled to Gangjin to 1818 when he returned to Dureung. Also he produced more than 500 books through training his pupils. Then, what programs did he use and how did he transfigure from disciples in Gangjin where was wasteland of the study to the best school?He had trained pupils with various methods and efficient programs. This paper divided his education methods to six categories which are type for each level, major, proper methods, practice, debate, and group. He presented effective road maps according to each pupil’s level and degree. He determined their majors into literature and scholarship considering personality of pupils. In addition, he offered proper programs to each disciple figuring their characters of status. He presented concrete working manuals for practicing,encouraged accomplishments and scolded negligence. He sharpened critical minds through common-or-garden arguments, and let his pupils seize core values of working. Then being equipped to organized system he efficiently completed several works which were made by teamworks all-at-once. As a result, pupils of Tasan had become famous scholars who didn’t suffer by comparison. He came into line discipline courses of pupils with his works. Which deserved to highly appreciate. He gained source of his works from his pupils, and they mastered working knowhow joining teacher’s methods and process of his works. They made shape of Win-Win one another. Tasan achieved creating synergy effect and maximizing work efficiency through ideal combination of these six education methods. His education methods appear very systemic and reasonable even in the view of today’s pedagogy. In further active debates on pedagogic undertone and appling to present are expected. 다산은 1801년 강진으로 유배와서 1818년 두릉으로 돌아갈 때까지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다. 또한 이들을 훈련시켜 500권이 넘는 엄청난 저작들을 쏟아냈다. 다산은 어떤 프로그램으로 학문의 불모지였던 강진의 제자들을 최고의 학술집단으로 변모시킬 수 있었을까 다산은 다양한 방식과 효율적인 프로그램으로 제자들을 훈련시켰다. 본고에서는 다산의 제자 교학방식을 단계별 전공별 맞춤형 실전형 토론형 집체형 등 여섯 범주로 나누어 살폈다. 다산은 제자들의 단계와 수준에 따라 효과적인 학습의 로드맵을 제시하고 제자의 개성을 고려하여 문예와 학술로 구분하여 전공을 정해주었다. 또한 성격이나 신분을 따져 각자에게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이와 아울러 구체적인 작업 매뉴얼을 제시하여 실전을 연습하게 하고 성취는 고무시키고 태만은 매섭게 야단쳤다. 일상적인 토론을 통해 문제의식을 예각화하고 작업의 핵심가치를 장악하게 했다. 그리고는 조직적인 시스템을 갖추어 집체 작업을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가지 작업들을 대단히 효율적으로 완수해냈다. 그 결과 다산의 제자들은 어디에 내놓아도 조금도 손색이 없는 큰 학자로 성장할 수 있었다. 다산이 제자들의 훈련과정을 자신의 작업과 일치시킨 점도 대단히 높이 평가할만 하다. 다산은 작업의 원동력을 제자를 통해 얻었고 제자들은 스승의 방법론과 작업 과정에 동참하면서 작업의 노하우를 익혔다. 서로 윈윈의 모양새를 갖추었던 것이다. 이러한 여섯 가지 교학방식의 이상적인 조합을 통해 다산은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데 성공했다. 다산의 교학 방식은 오늘날 교육학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대단히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보인다. 그 교육학적 함의와 현재적 적용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활발한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다산의 정치론 : 주자와의 거리

        이봉규 ( Bong Kyoo Lee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7 다산학 Vol.- No.11

        본 논문은 「원정原政」·「원교原敎」·「원덕原德」 등 다산의 글과 『논어』 「위정爲政」의 `위정이덕爲政以德’과 `도지이정道之以政’ 두 장章에 대한 주자와 다산의 주석들을 중심으로 법제法制로서의 정政과 인륜人倫으로서의 교敎에 대한 다산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다산이 정政과 교敎의 진정한 의미를 다시 명확히 드러내고, `일왕지제一王之制’에 대한 새로운 청사진을 수립하는 동기에는 유교 정치론의 본래 면목을, 황로정치론黃老政治論과 그 영향이 침윤浸潤되어 있는 주자의 이론 구성이 왜곡시켜, 개혁하는 것을 가로막고 있다는 정치사에 대한 이해가 들어 있다. 다산은 그 왜곡을 바로잡기 위해 천리天理로서의 본성이 아니라 직심直心의 실행으로 덕德의 의미를 새롭게 규정하고, 정치에서 법제法制의 수립과 실행을 위해 치자治者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하고, 실제 법제에서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규정하는 등, 새로운 이론 구성과 대안적 법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주자와 다산의 정치론은 사회구성원 사이에 인륜이 자발적으로 실행되는 사회를 목표로 하는 점에서 동일하다. 또한 그 실현을 위해 전산田産의 법제法制를 확립한 기초 위에 예교禮敎를 교육하고 형률刑律을 통해 일탈을 제재制裁하는 형태의 정치론을 추구하는 점에서도, 그리고 치자治者가 인륜의 실행을 솔선수범하여 인민의 자발적 감화를 유도하면서 예제禮制의 실행을 교육해야 한다는 방법론도, 나아가 일생 실천한 활동도 대체로 동일하다. 요컨대, 다산은 인륜의 보편적 실현을 위한 법제를 실행 가능한 형태로 수립하기 위하여 주자와 황로정치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있지만, 그 근본 골격에서 주자와 거슬러 올라가 공孔·맹孟의 정치론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산의 정치론을 또는 경세론을 재조명할 때, 정치와 인륜의 분립이나, 또는 왕권강화론 등의 측면에서 연구하는 시각에는 유교 사회의 한계를 넘어서 근대를 예견하는 사유를 발견적으로 읽어내려는 학문적 관심이 개입되어 있다. 그러한 연구들은 곧잘 주자와의 거리두기를 통해 다산의 사상적 성격을 재조명하는경향과, 나아가 성리학과 대별하여 실학의 정체성을 설명하려는 경향과 호응하고 있다. 필자에게는 이런 연구 시각들이 18~19세기 동아시아 사상공간의 풍부한 개성을 근대와 비근대의 2차원으로 단조롭게 착색하도록 유도하는 문식文飾으로 느껴진다. Tasan clarified the original meaning of “politics”(政) and “education”(敎), and made a blueprint of an ideal government. Tasan`s clarification and reconstruction of a new administrative system is motivated by his understanding ofcontamination of Zhu Xi`s blueprint with the political thought of Huanglao(黃老). Therefore, Tasan revised the original meaning of “virtue”(德) as “straightforward heart”(直心) instead of “natural principle”(天理) which Zhu Xi suggested as the meaning of “virtue”(德), and gave active power to the ruler in establishing and practicing an administrative system. However, the political ideas of Tasan and Zhu Xi are the same in their intention toward society whereby moral principle ispracticed voluntarily, and also in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laws of production systempracticing “education of Confucian norms”(禮敎) as a device for actualizing their ideas. The two Confucians also had the same idea in that a ruler should take the initiative to set an example for the people before practicing the education of Confucian norms to them. In short, Tasan critically reexamined Zhu Xi and Huanglao`s conception of politics, but Tasan`s idea of the revised blueprint of an ideal system of administration is just the same as that of Zhu Xi`s idea, the origin of which can be traced to the ideas of Confucius and Mencius. An interest in reading the thought of anticipating a modern society beyond the pre-modern Confucian system can be discovered in researching Tasan`s thoughts on politics or government administration. The intent of this research is to differentiate between Tasan and from Zhu Xi`s thought and also from the Neo-Confucian philosophy of the day in Joseon. It seems that this reading is nothing but a two-dimensional rhetoric that uses only the two colors of the modern and the pre-modern to paint the diverse features of thought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of East Asia.

      • KCI등재

        최익한의 다산학 이해와 그 의미

        백민정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0 다산학 Vol.- No.36

        Active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a socialist, Choe Ik-han(崔益翰, 1897~?) was a figure who underwent a gamut of ideologies from Confucianism to socialism. When political activities encountered a crisi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1910~1945), he sought new breakthroughs in journalism, academic learning, and research on the classics. With the 1935 events commemorating the centennial of Jeong Yak-yong[丁若鏞. pen names: Dasan(茶山) and Yeoyudang(與猶堂)]’s decease and the project of compiling his Yeoyudang Jeonseo(與猶堂全書, Complete Works of Yeoyudang) as the occasion, Choe came to associate with nationalistic intellectuals─e. g., Jeong In-bo(鄭寅普, 1893~1950) and An Jae-hong(安在鴻, 1891~1965)─and went on to serialize Reading the Yeoyudang Jeonseo(與猶堂 全書를 讀함), a critique of Dasan studies(茶山學), in a periodical. Throughout his life, he consistently criticized Confucianism, which had been the legitimate ideology of the Joseon Dynasty and, in contrast, adopted a generally favorable attitude toward Western learning(西學). Indeed, even before dubbing Jeong a scholar of the Practical Learning(實學) school, Choe called the former a Western learning scholar. This was because he located an important origin of Jeong’s learning in Western learning, especially modern Western science. He highly esteemed the fact that Dasan had been capable of distinguishing between Western religion and modern Western science and independently using the new scientific knowledge of the modern era, not the religion. In Choe’s view, Jeong had endeavored to present a theory of social reform based on scientific and rational thinking but had been unable to understand the motive power behind historical change and utterly failed to reflect on the rise of new classes. According to his evaluation, the Confucian Jeong inevitably came to reveal the limitations of his thought by failing to perceive clearly the interests and goals of which social classes his theory and arguments represented. Analyzing Jeong’s famous works─i. e., Wonmok(原牧) and Tangnon(湯論)─Choe stated that Dasan had: explained the process of origination of rulers in terms of the populace’s everyday needs and convenience, of their choice; opposed the theory of the divine right of kings; and acknowledged democratic institutions and the democratic spirit in principle. He acknowledged as an intellectual accomplishment the fact that Jeong had viewed the power in the hands of a minority of the ruling class not as an invariable constant but as a variable outcome of the process of historical change. In Choe’s view, however, Jeong had only been a moderate social reformist in the end, by no means a revolutionary with a rebellious spirit. According to his analysis, Dasan’s theories of reform had merely been ideas in the head of a great daydreamer and lacked the practicability and concreteness of social institutions. Choe pointed out as the philosoph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Jeong’s learning: the absence of reflections on the identity or nature of the inevitable motive power behind changes to objects and institutions; limitations in thought, thus inevitably locating concrete methods for inducing such change in the morality and political decisions of the monarch, or the highest power holder; and an utter failure to turn attention to the rise of new social classes equipped with the capacity for problem solving amidst current contradictions and dangers. Choe thus criticized Jeong: though Dasan had expressed an independent position on politics, morality, and ethics, his political thought as a Confucian, based on the theories of royalism and monarchism, nevertheless had failed to secure a universal and global perspective. Highly praising the view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nd the universal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knowledge exhibited by Jeong’s Giyeron(技藝論, A Theory of Skills), he regretted that ... 20세기 초 사회주의자로 활동한 최익한崔益翰(1897~?)은 유학에서부터 사회주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상 편력을 거친 인물이었다. 그는 식민지 시기 정치적 활동이 위기에 봉착하자 언론과 학문, 고전연구를 통해 새로운 활로를 모색했다. 1935년 다산 정약용 서세 백주년 행사와 《여유당전서》 편찬 작업을 계기로 최익한은 민족주의 진영 지식인들─정인보, 안재홍 등─과 교류했고, 정기 간행물에 『여유당전서를 독함』이라는 다산학 비평문을 연재했다. 최익한은 평생에 걸쳐 일관되게 조선의 정통 이념이었던 유교를 비판했고, 이와 달리 서학西學에 대해서는 대체로 우호적인 자세를 취했다. 그는 다산을 실학자로 호명하기 전부터 이미 서학자라고 불렀다. 이것은 최익한이 다산학문의 중요한 연원을 서학, 특히 서양 근대과학에서 찾았기 때문이다. 그는 다산이 서양종교(천주교)와 서양 근대과학을 준별하고, 종교가 아닌 근대의 새로운 과학지식을 주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던 점을 높이 샀다. 최익한은 다산이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사유에 기반해서 사회개혁론을 제시하려고 노력했지만, 역사변화의 동력을 이해하지 못하고 새로운 계급의 출현을 전혀 성찰하지 못했다고 보았다. 그는 유학자 정약용이 자기 이론과 주장이 어떤 사회계급과 계층의 이해관계와 목적을 대변하는 것인지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사유의 한계를 노정할 수밖에 없었다고 평가한다. 최익한은 다산의 유명한 논저들─「원목原牧」과 「탕론湯論」─을 분석하면서 다산이 통치자의 발생 과정을 인민 생활의 필요와 편리, 인민의 선택으로 설명했고 왕권신수설을 반대하였으며, 원칙적으로는 민주제도와 민주주의 정신을 시인했다고 보았다. 그는 다산이 소수 지배층의 권력을 불변적 상수가 아니라 역사적 변혁 과정의 가변적 결과로 간주한 점 자체를 중요한 지적 성과로 인정했다. 하지만 최익한이 보기에 다산은 결국 온건한 사회개량론자였을 뿐, 반역적인 정신을 가진 혁명론자는 결코 아니었다. 그는 다산의 개혁론이 위대한 공상가의 머릿속 관념에 지나지 않으며 사회제도의 실천성과 구체성을 결여했다고 분석한다. 사물과 제도가 변화하는 필연적 동력이 무엇인지에 대한 성찰의 부재, 그러한 변화를 이끄는 구체적인 방법을 최고 권력자인 군주의 도덕성과 정치적 결단에서 찾을 수밖에 없던 사유의 한계, 현재의 모순과 위험 속에서 문제해결의 역량을 갖춘 새로운 사회계급의 출현에 전혀 주목하지 못했던 점 등을, 최익한은 다산학문의 철학적 한계와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최익한은 다산이 정치와 도덕ㆍ윤리 영역에서 자주적이며 주체적인 입장을 피력했지만, 그럼에도 왕정론과 군주론에 기반한 유학자 다산의 정치적 사유는 보편적인 세계적 시야를 확보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다산의 「기예론」이 보여준 사회진화론적 시각과 과학지식에 대한 보편적 지향을 극찬하면서, 「기예론」에서 보인 이 같은 보편적 시야를 다산이 조선사회 전반에 적용하지 못한 점을 안타까워했다. 말하자면 과학적 신지식에 대한 안목으로 유학자 다산이 군주정과 왕정을 비판하면서 정치적 변혁과 새로운 계급의 출현을 사유하지 못한 점을 비판한 것이다. 유학자로서 다산은 유교의 인륜적 가치와 도덕규범을 믿었고 유교사회를 떠받드는 현인군주의 왕도정치를 이상적 정치체로 지향했다. 따...

      • KCI등재후보

        다산과 이인행의 남북학술 논쟁

        정민 ( Min Jung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9 다산학 Vol.- No.15

        이 글은 다산 정약용이 이인행과 영남 학술계의 폐단에 대해 논쟁한 문답 자료를 국내에 처음 소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다산은 이인행과 젊은 시절부터 교분이 있었다. 1799년에도 그를 위해 글을 써준 일이 있다. 이후 1822년에 다시 만난 두 사람은 북방의 학술 태도와 남방의 학술 태도를 놓고 자못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헤어질 때 다산은 이인행에게 자신의 생각을 두 편의 글로 나누어 써 주었다. 그 내용을 살펴 보면 당시 두 지역 학자들의 상호 인식이 잘 드러난다. 이인행이 집으로 돌아와 다시 다산의 글에 대해 여러 차례 긴 답장을 보냄으로써 두 사람의 입장 차이는 보다 선명하게 확인된다. 다산은 영남 학계가 남을 인정하지 않는 편협한 독선에 빠지고, 나아가 자기들끼리도 다툼을 일삼는 현실을 통탄했다. 이에 이인행은 북방 학자들의 본말이 전도된 학습 태도를 지적하고, 학문의 바른 경로를 제시하는 것으로 대답했다. 같은 남인 계열 학자들 사이에 남북의 학술 태도를 두고 벌어진 논쟁은 여러 모로 흥미롭다. 이러한 자기 고백을 통해 당대 학계의 문제점이 구체화되었다. 다만 격렬한 논쟁 중에도 상대의 비판을 기꺼이 받아들이고, 포용력을 잃지 않는 이들의 태도는 매우 인상적인 느낌을 준다. This paper introduces a catechism on evil practices in Youngnam academic world argued between Tasan Cheong Yagyong and Lee Inhaeng, and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catechism. Tasan had been good friends with Lee Inheang since his was young. Tasan even wrote a writing for him in 1799. After that, they had a fierce dispute about the academic attitudes of North and of South in 1822. When they parted, Tasan gave two writings which include his own thought to Lee Inhaeng. In contents of these writings, we could understand the mutual recognition of two scholars of different. After Lee Inheang returned home, he sent a long reply to Tasan. And this, once again, clearly confirmed the difference of two scholars. Tasan lamented bitterly about reality that Youngnam studies fell into intolerant self-righteousness not accepting others and fighting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Lee Inhaeng`s answers pointed out the inverted attitude of northern scholars and presented a right way of studying. The dispute on the academic attitude of north and south within the allied Namin scholars is very interesting in various ways. Through these self-confessions, problems of the academic world were concreted in those days. However their attitude accepting the criticism of opponents and not losing catholicity is very impress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