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 불교사찰의 입지와 경관특성

        김일림 ( Il Rim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경기도 전통사찰 22개를 대상사찰로 선정하여 경기도의 사찰입지유형과 경관구성을 정리·분석 하였다. 경기도사찰들은 대부분 풍수지리와 연관된 길지에 전통신앙과 조화를 이루어 입지하였다. 사찰입지유형은 ``마을입지형`` 27.3%, ``산록입지형`` 40.9%, ``산지입지형`` 31.8%로 마을에서 떨어지지 않고 산과 관련된 지역에 대부 분 입지하였다. 경관구성은 ``대사찰형``이 19.2%(4개)이며, 대부분 사찰기본형(``□``형) 위에 하나 두 개의 건물이 가감된 ``중·소사찰형``이 81.8%를 이룬다. 즉, 경기도사찰은 대웅전과 요사채 및 삼성각 중심의 전각들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경기도의 사찰들은 서울 외곽지역에 위치하며 지형·경제·역사적 요인 등으로 인해 외부지향적 규모 확대보다는 내향적 내용충실 유형의 특성을 이룬다. 이는 조선시대 숭유억불정책에도 불구하고, 경기도사찰들이 호 국불교의 원찰과 수찰로 임무를 담당하거나 개인 신도들의 강한 불심이 존속한 결과이다. Traditionally, the selection of the 22 Temples in Gyeonggi Province, and analyzed the location of Buddhist temples and landscape type configuration. Gyeonggi Province Temples are done in traditional beliefs and most were located in the long associated with Feng Shui harmony. Many Temples were located in areas related to the mountains located in the village without falling to 27.3% ‘ground location type’, 40.9% ‘foot location type’, ‘mountain location type’ type is 31.8%. This constitutes a 81.8% majority “of small temples, type ‘is the acceleration of two building inspectors over the basic one (‘□’ type) with the Temple for type’ is 19.2% landscape configuration. In other words, it is composed of a main building, an ‘yosachae’ and ‘samseonggak’. As described above, the temples are located on the outskirts of Seoul in Gyeonggi Province and form the characteristic faithfulness type, rather than the contents of my external-oriented scale retrospective enlarged due to topography, economic and historical factors. This is despite the Joseon Dynasty Buddhist repression policy, temples in Gyeonggi Province are in charge of the mission of the Temples to protect national and Buddhist to results remain strong beliefs individuals.

      • KCI등재

        군집분석을 통한 경상남도,전라도 별서의 입지적 특성

        이경은 ( Kyoung Eun Lee ),안계복 ( Gye Bog Ahn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0 No.2

        별서는 세속을 피하고 은둔전원생활을 위해 수려한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다양한 장소에 입지하였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와 전라도 지역 별서의 입지유형을 분류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경상남도 52개소·전라도 44개소 총 96개소 별서의 복합적인 입지특성을 조사하고, 다음으로 별서의 입지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입지특성을 유사한 성격을 가진 몇 개의 군집으로 집단화하는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상남도와 전라도의 입지유형이 각각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경상남도는 ``산계형``, ``절벽형``이, 전라도는 ``평지형``, ``강변·구상형``이 각기 다른 유형으로 ``구상형``과 ``곡강형``, ``강변·기타형``은 공통된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 경상남도는 절벽형이 30.8%, 산계형이 15.4%로 전체의 46.2%가 ``강가의 절벽``이나 ``산계``에 입지하고 있어 가장 대표적인 입지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경상남도와 달리 전라도는 평지가 18.2%, 강변·구상형이 18.2%, 구상형이 38.6%로 전체의 75.0%가 ``평지``나 ``강가의 언덕 위`` 또는 ``언덕 위``에 입지하고 있어 전라도 지역의 대표적인 입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입지특성은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주변의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입지함을 알 수 있다. Byeolseo was located in various places with beautiful natural scenery to avoid the mundane world and for country life in seclusion. In this study, to classify locational type and characteristics of Byeolseo in Gyeongsangnamdo and Jeollado areas, complex locationa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otal 96 Byeolseo (52 in Gyeongsangnamdo and 44 in Jeollado) were researched and cluster analysis was executed to group locational characteristics to several cluster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lassify locational types of Byeolseo. As the result, locational type for Gyeongangnam-do and Jeolla-do were classified to 5 types each. Unique locational types Gyeongsangnamdo were ``valley type`` and ``cliff type`` and unique ones for Jeollado were ``flatland type`` and ``riverside·hill type``. ``Hill type``, ``curvy river type`` and ``riverside·other type`` were shown in both areas. In Gyeongangnamdo, 30.8% was cliff type and 15.4% was valley type 46.2% of the total was located on ``cliff near river`` or ``valley``. These were the most popular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Gyeongangnamdo. Unlike Gyeongangnamdo, 18.2% was flatland type, 18.2% is riverside·hill type, and 39.6% was hill type in Jeollado 75.0% of the total was located on ``flatland``, ``on hill near river`` or ``on hils``. These were the most popular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Jeollado. Such location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Byeolseo was located using nearby scenery considering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located area.

      • KCI등재

        위치기반 디지털 지도의 정보유형별 그래픽요소 연구

        최보아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7 No.-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간은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위치기반서비스는 자신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어 여러 분야에서 활용가치가 크다.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대표하 는 디지털 지도는 일상생활을 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되어버렸다. 하지만 콘텐츠를 사용함에 있어 정확한 위치가 파악되지 않거나 가독성 떨어진 그래픽적 요소 때문에 길을 잘못 들거나 잘못된 정보를 얻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 다. 디지털 지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지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보의 유형을 분류하고 지도학자로 유명한 자크 베르탱의 그래픽 요 소를 디지털 환경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명도, 색상, 형태, 위치, 크기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정보유형은 분류, 위계, 보 조적 특성으로 나누어 평가를 진행하였고, 조사 대상은 국내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디지털 지도인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구 글맵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보 유형별로 활용되어진 그래픽 요소는 명도>크기=색상>형태=위치순을 보이고 있었으며, 구분적 정보유형은 명도, 위계적 정보유형은 크기, 보조적 정보유형은 형태적인 그래픽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umans can obtain information easily and conveniently anytime and anywhere. In particular, location-based services enables to receive various feedbacks according to the location so that it has value of use that can be applicable in various fields. Digital maps representing such location-based services have become indispensable in everyday life. However, when it comes to using the content,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exact location is not identified, or the road is misguided or misinformation is obtained due to the graphical element that is not readable. In addition, despite the recognized importance of digital map,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it. The digital map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Korea such as Naver Map, Kakao Map, and Google Maps, are trying to preoccupy the market with their own differentiated edge.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information in digital maps and revised and complemented the graphic elements of Jacques Bertrand, renowned cartologist, according to the digital environment, and investigated brightness, color, shape, location, and size, and conducted the evaluation by dividing information types into classification, hierarchy, and auxiliary characteristics, with the research targets being Naver Map, Kakao Map, Google Map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 graphic elements used by information types showed brightness > size = color > shape = location, and the distinguishable information type was most influenced by brightness, hierarchical information type was size, and auxiliary information type was morphological graphics.

      • KCI등재

        섬진강유역 지석묘의 전개과정

        황재훈(Hwang, Jaehoon)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5 No.-

        동복ㆍ주암댐 수몰지구, 호남고속도로 및 지방도 확포장구간내 문화유적에 대한 조사에서는 모두 44군집 520여기의 지석묘가 발굴되어 섬진강유역 지석묘문화의 시공간적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제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무덤 형식과 변이, 편년자료 확보의 취약성 등의 한계로 인해 지금까지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무덤의 입지와 배치, 형식, 부장유물과 양상 등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섬진강유역 지석묘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섬진강유역의 지석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묘역시설, 지석, 매장주체부 등의 세부 구조가 상호연동하면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덤의 형식과 출토유물의 시간성에 기초하여 볼 때, 섬진강유역의 지석묘문화는 크게 3단계에 걸친 계기적인 전개과정을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Ⅰ단계 지석묘는 대부분 보성강중류역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는데 주로 하천가의 충적평지와 구릉대지상에 입지하며 강의 흐름에 따라 열상으로 배치된다. 무덤의 형식은 평면 장방형과 타원형의 묘역부가 시설된 지하 석곽형과 혼축형의 구조이며 유경식 석검과 심부 유단식 석검, 유경식 석촉 등의 무기류가 주로 부장된다. Ⅱ단계에 접어들면 지석묘군의 입지와 무덤의 공간 배치와 형식, 출토유물, 부장양상 전반에 걸친 급진적인 변화가 감지된다. 평지에서 열상 배치되는 Ⅰ단계 지석묘군과 달리 Ⅱ단계의 무덤은 주로 산기슭 사면이나 구릉상, 고갯마루에서 3~7기가 군집을 이루며 환상 배치된다. 매장주체부는 지하 석관형과 소형의 지석을 연접한 위석형이 주를 이루며 묘역시설은 점차 간략화 된다. 부장품은 퇴화 또는 의기화된 석검, 석촉과 함께 삼각형 석도, 유구석부, 석착 등의 송국리 단계 생활용 도구가 다수 발견된다. 섬진강유의 지석묘문화가 점차 소멸되어가는 Ⅲ단계의 무덤은 주로 구릉 사면이나 고개마루에서 소군집을 이루거나 단독으로 분포한다. 지석묘 형식은 대형 지석을 놓은 지상 매장주체부의 대형 기반식과 간략화된 위석형, 상석이나 묘역시설이 없는 석곽형, 석관형, 토광형 등이 공존한다. 부장품은 퇴화된 무기류와 도구류 파편이 소량 검출되어 시간의 지남에 따른 부장양상의 퇴화과정을 엿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olmens developed in the Seomjin river basin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forms and arrangement of dolmens, remains, and burial types. As a result, we found that detail structures including grave facilities, memorial stones, and a chamber to bury a corpse in changed over time in a continued and instrumental manner. Time of the development of dolmen forms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location and arrangement of graves, burial types, and types of remains. At phase Ⅰ, Dolmens in the Seomjin river basin began to the middle Boseong river, arranged in a row along the stream at the alluvial flatland and hills of the riverside. When it comes to the forms of dolmens, they are of underground stone coffin type and mixed type with plane rectangular graves, where weapons like yugyeong style stone sword, simbu–youdan style stone sword, and stone arrowhead are buried together. In phase Ⅱ, rapid changes happened to the location and arrangements of graves, detail structure of dolmens, and burial type, but graves are made in groups of three to seven mainly on the slope of mountains or uphills, compared with phase two. Gravesites are simplified, and a chamber to bury a corpse in in general takes the form of underground stone coffin type and wiseok–type having small memorial stones nearby. Burial accessories such as obsolete stone swords and stone arrowheads and household tools like triangular stone knives, stone axes, and stone chisel have been found. At phase Ⅲ, when dolmens gradually disappeared, graves are gathered together or alone on hillside or uphills. In terms of grave types, a number of foundation and simplified wiseok–type with large memorial stones have been found, along with stone coffin type and ground shed type. Mostly, excavated burial accessories include fragments of obsolete weapons and tools,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Saehyeongdonggum culture related relics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phase Ⅲ dolmens in the Jeola province.

      • KCI등재후보

        소매 유통업체의 입지적 특성과 소비자 이동 행태에 대한 분석 : 제주도 서귀포시를 사례로

        현기순,이금숙 한국경제지리학회 2004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7 No.1

        이 연구는 다양한 소매 유통업체들의 입지적 특성과 소비자의 구매를 위한 공간 이동 행태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상적 소비생활과 관련하여 다른 지역과의 연결이 비교적 단절된 제주도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상·하위 도시로의 이동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제주도의 2위 도시인 서귀포시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서귀포시에는 대형 백화점은 존재하지 않으나, 재래적 농촌경제의 잔재라고 볼 수 있는 정기시장과 오래된 중심부에 위치한 재래시장이 있으며, 근래에 대거 등장한 대형마트 및 쇼핑센터가 입지하고 있으며, 각기 다른 소비자의 각기 다른 소비자의 각기 다른 구매 요구와 연결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들의 입지적 특성을 밝히고, 이 지역 소비자의 이동 행태와의 상호 연관성을 밝히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귀포시에 거주하고 있는 주부를 대상으로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사례지역에 입지하고 있는 유통시설에 대한 이용행태 및 상위 도시인 제주시로의 공간이동 양상, 구매장소별 이미지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얻어진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tial pattern of retail services and the consumer behaviors. For the purpose we select Jeju Island as the study area, because it retains relatively little distorted retail service systems by it's locational isolation. The retail service systems comprise three types: large-scale modern marts, conventional markets, and periodic market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se three different types of retail services, and to figure o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 behaviors for each of them. We performed questionnaire surveys for getting the data of consumer behaviors. We applied several statistical methods to analyze the survey data. Most of retail services are located in two urban centers, Jeju City and Seoguipo City. We found that the locations of retail services are determined strongly by population size. The selection of market type and the location to go for shopping are related strongly with the types of goods. However, there is a wide difference in the consumer behaviors according to the consumer'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Young wives tend to go shopping to large-scale marts in Jeju City which is the higher level central place, while old wives go shopping to conventional markets and periodic markets. They also show different shopp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household income levels. Low income groups prefer to go conventional markets located near to their residence, middle income groups go to large-scale martsin Jeju, and high income group go out of the Jeju Island. However, the consumer behavior does not show big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ize of family. There are also no difference in the selection for shopping location according to the consumer's resident locations.

      • KCI우수등재

        의복의 개구부 위치가 수분전달에 미치는 영향 -명판형 착의 모형에 의한 측정-

        유화숙,김은애 한국섬유공학회 2001 한국섬유공학회지 Vol.38 No.12

        The effect of opening location on the microclimate within the garment was investigated. The vapor pressure of microclimate was determined with the vertical-plate type skin model. For quantitative comparison of the results, water vapor transporting index( $W_{Τ}$) and transmitting efficiency were used. Cotton interlock knit was selected as a specimen. It was found that the opening location had great influence on the microclimate. When the total opening size was same, the order of the rate of vapor transport was waist, armhole<neck and armhole< neck <waist and armhole<neck and waist. Water vapor transporting indices of vertical openings were 3.7~4.6 times those of horizontal ones. The effect of opening location on the microclimate was greater compared with those of opening size or number of opening. The ventilation through neck and waist happened more rapidly by chimney effect than any other openings and its $W_{Τ}$ at 10% openness was 5.6 times higher than in a closed system. The vapor transport through the neck occurred more actively than at the waist by buoyancy draft. When the ventilation was restricted to the waist opening and its openness was increased, the rate of vapor transport decreased rather than increasing. When four openings were opened and the openness increased only at the waist, the rate would increase a little. For effective ventilation through waist openness, it is necessary to open other openings simultaneously. From these results, we could infer that for optimum ventilation, the selection of opening location is very important and the neck and waist are the most desirable location.

      • KCI등재

        경주지진피해로 본 국가지정문화재를 보유한 전통공간의 지형적 입지유형 분석

        구민아 한국전통조경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1

        본 연구는 2016년 9월 12일 발생한 경주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국가지정문화재를 보유한 전통공간 44곳을 대상으로 다각적인문화재 연구를 위해 지형적 입지정보 데이터화와 지형별 유형에 따른 피해 경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지형의 유형은 위요형이가장 많이 추출되었으며, 위치형은 도시와 농촌과 같이 주변이 건물인 지역의 빈도가 더 많았다. 수문형은 산의 정상쪽을 제외하고는모두 강, 하천, 계곡, 호수, 바다를 끼고 입지하였으나 이 지역은 퇴적층 지역으로 위요형과 함께 지질학적인 면에서도 지진에 취약한곳으로 밝혀져 지진과 문화재 관리적 측면에서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체 44개 중 26곳이 사찰이었으며, 평지형, 배경형, 위요형, 산지형, 정상형으로 갈수록 고도와 경사가 높아졌으며, 1-20% 경사지에 가장 많이 입지하였으며, 사면향은 남쪽을 끼고 있지않는 경우가 더 많았다. 진원지에서 10km 범위 내에 23%가 집중되어 있었으며, 거의 65km 범위 내에 있었으며, 배경형이 가장가까웠고, 진원지로부터 북동쪽과 남서쪽에 집중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지진피해를 조경문화재인 전통공간의 입장에서 다각도로분석한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전통공간 계획과 설계,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data and the damage trends according to the type of landform for the study of various cultural properties in 44 traditional places with national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damaged by the racing earthquake on September 12, 2016. The landform type was the most enclosed type, and the location type was more frequent in the surrounding area, such as urban and rural areas. The waterside type was located along rivers, rivers, valleys, lakes, and oceans except for the top of the mountain, but this area was found to be vulnerable to earthquakes, It is understood that it should be referred from cultural property managementthe side. 26 of the total 44 were temples. The elevation and slope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the flat type, the background type, the enclosed type, the mountain type, and the top type. Most often located on 1-20 % slopes, with the slope facing south more often than not. Within the 10 km range from the epicenter, 23% were concentrated, within the range of nearly 65 km, the background type was closest, and was concentrated in the northeast and southwest from the epicenter.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analyze earthquake damage in various aspects from the viewpoint of traditional space which is a landscaping cultural property and it will be used for planning, designing and managing traditional spaces.

      • KCI등재

        靑銅器時代 聚落類型에 대한 考察

        朴性姬(Park, Sunghee)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4 No.-

        청동기시대 연구는 유형설정에 있어서 주거지와 출토유물의 형식분류에 치중되었다. 취락입지를 살펴본 연구도 잇따라 발표되고 있지만 일부 대표유적만을 다루고 있어 각 유형의 입지 양상을 파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서부지역에서 확인된 취락의 유구·유물상과 함께 입지형태를 검토해 취락유형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취락의 입지형태는 대지형으로 구릉지와 하천·해양지(평지형)로 구분하고, 비고를 유용한 속성으로 파악해 구릉지를 고지형, 구릉지형으로 세분하였다. 각 주거유형별로 입지형태를 살펴본 결과 가락동유형과 송국리융형은 구릉지형을, 역삼동유형은 고지형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취락유형은 구릉지성 가락동유형, 고지성 역삼동유형, 구릉지성 송국리유형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고지형을 선호한 역삼동유형 가운데 구릉지형에 입지하는 유적이 다수 확인되었는데, 이들은 유구·유물상에서도 가락동유형의 속성이 일부 나타나고 있어 가락동유형과 역삼동유형의 접촉으로 파악하였다. 이상과 같이 취락입지는 청동기시대 전기에서 후기로 이행되면서 수전농경에 의해 단순히 고지에서 저지로 바뀐 것이 아니다. 고지형은 화전농경 및 수렵채집의 편리성으로 전기부터 역삼동유형의 생활터전이 되었지만 군사적·방어적 목적으로 후기까지 일부 송국리유형의 유용한 입지형태가 되었으며, 구릉지형은 평지와 인접한 생활에 있어서 효율적이기 때문에 전기부터 가락동유형의 주된 입지로 이용되었다. 한편 청동기시대 후기에 차령산맥 이남 지역을 중심으로 구릉지성 송국리유형이 확산되면서 동일한 분포권내의 구릉지성 가락동유형과 입지경쟁에 있어서 배타적 관계를 이루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A Study of the Bronze Age has been placed too much emphasis on assemblage of the settlement and remains. Recently some research works made progress in studies for Landscape Archaeology. But it has difficulty in comprehending locational pattern of cultural types. Accordingly this paper has become concerned with landscape of settlement. The locational type of settlement is divided broadly into two groups-hill, riverside & coast, and the hill type is divided into according to relative height. As for the Garakdong and Songgukri types, they preferred to locate the lowland of hill, but the Yeoksamdong type liked to place at highland of it. Consequently, three types of the highland's Yeoksamdong type, the lowland's Garakdong type, and the lowland's Songgukri type can be proposed. On the other hadn there are some sites belonging to the Yeoksamdong type of located at lowland. These partly include some artifactual attributes of the Garakdong type. Therefore this understood as the result of contact between two types. The change in the locational type of settlement from highland to lowland was not simply ascribed to the practice of the wet rice agriculture. Because the highland is better conditioned for the slash-burn farming as well as hunting-gathering, it had been settled by the Yeoksamdong type from earlier Bronze Age. Moreover, it had been also occupied by the Songgukri type people for military and defensive purposes. On the other hand, lowland of a hill had advantage for living in connection with flatland, it had been used for the settlement of the Garakdong type.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Late Bronze Age the Garakdong type people became confrontational with the Songgukri type people because of their common occupation of lowland region.

      • KCI등재

        대형할인점의 유형별 입지 특성 분석

        이재홍,여홍구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4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per typ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that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major retailers since the 1990?, the analysis classifies 27 discount stores across the country according to their types and examines the relations between their locations and sa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large-scale discount stores located in big cities turned out to post higher sales than those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Second, large-scale discount stores in metropolitan areas occupy wider areas and record higher sales. Lastly, the presence of competing discount stores was found to drive up the sales, which can be attributable to the size of commercial areas and the creation of synergy effect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will help facilitate research in the area of retailers and large-scale discount stores and develop strategies for relevant projects. Analysis on broader types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and related analysis at the macro and micro levels should be performed in parallel to devising strategic methods for selecting locations and setting development directions for large-scale discount stores, which are entering fiercer competi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형할인점의 유형별 입지 특성을 밝히는 데에 있다. 1990년대 이후 주요 유통시설로 자리 잡은 대형할인점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전국 27개 할인점을 대상으로 이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할인점의 입지-매출 등에 대한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을 통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도시에 입지한 할인점의 매출액이 중·소도시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수도권 할인점의 매장면적이 보다 크고 매출액의 규모도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경쟁 할인점이 입지한 경우, 매출액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이는 상권의 규모 및 시너지 효과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유통 및 할인점 분야의 연구 활성화와 관련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점차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대형할인점에 대한 입지 선정 및 개발방향 설정에 전략적인 기법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유형에 대한 분석과 거시적/미시적 차원의 연계 분석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입지요인이 음식업 업종별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비교연구

        노은빈,이상경 한국부동산연구원 2018 부동산연구 Vol.28 No.4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6개구(종로구, 중구, 영등포구,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의 14개 세부 음식업종의 집계구 매출액을 대상으로 공간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입지요인의 영향을 분석한다. 세부 음식업종 매출액의 유동인구 탄력성과 주변 사업체 종사자수 탄력성을 측정하고 자치구별 매출액 차이와 공간승수효과를 비교한다. 세부 음식업종 중 4개 업종(분식전문, 찌개/찜/탕, 회 전문, 제과/떡/한과)에서는 공간자기상관이 검정되지 않아 OLS 회귀분석이 적용되며, 해산물 전문 업종은 공간래그모형(SLM)이, 나머지 9개 업종들에서는 공간오차모형(SEM)이 적용된다. 유동인구와 주변 사업체 종사자수는 세부 음식업종의 매출액에 대체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의 유동인구 탄력성은 동양식 전문, 주점, 서양식 전문, 전통음식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변 사업체 종사자수 탄력성은 제과/떡/한과, 동양식 전문, 서양식 전문 순으로 나타났다. 공간자기상관에 따른 공간승수효과는 동양식 전문, 주점, 서양식 전문, 전통음식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음식, 찌개/찜/탕, 해산물 전문 등의 업종은 강남구와 다른 자치구들 간에 매출액 차이가 거의 없는 반면에 육류구이, 주점, 제과/떡/한과 등은 매출액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음식업종의 업종별 입지 적합도를 평가함으로써 음식점 입지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location factors on sales by restaurant type in the six districts of Seoul (Jongno-gu, Jung-gu, Yeongdeungpo-gu, Gangnam-gu, Seocho-gu, and Songpa-gu).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model is selected for four restaurant types whose spatial autocorrelation is not identified, spatial lag model (SLM) is only selected for seafood restaurant, and spatial error model (SEM) is selected for nine other restaurant types. Th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workers of surrounding businesses have generally positive effects on the sales of restaurants. The floating population elasticity of the sales of restaurants are found to be in the descending order of Oriental food, pub, Western food, and traditional food restaurant, and the elasticity of the workers of surrounding businesses are in the descending order of bakery, Oriental food, and Western food restaurant. The spatial multiplier effects are in the descending order of Oriental food, pub, and Western food restauran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ales gap between roast meat, pub, and bakery in Gangnam-gu and those in five other distric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help in starting a restaurant in that they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suitability of location by restaurant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