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문학론’의 한국적 전유와 그 난제들

        고봉준(Ko, Bong-Jun) 한국문학회 2017 韓國文學論叢 Vol.76 No.-

        이 논문은 최근 영문학계와 비교문학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세계문학’ 담론이 한국문학에 던지는 질문과, 그것에 대한 한국문학계의 수용과 대응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비록 일본을 경유한 것이었지만, 한국 근대문학은 세계문학의 영향을 받으면서 시작되었다. 때문에 한국문학에 있어서 세계문학의 영향은 새로운 문제라고 말할 수 없 다. 하지만 근대국가의 경계선이 흐려지는 역사적 현실을 배경으로 등장한 최근의 세계문학 담론은 우리가 익히 들어온 근대적 의미의 세계문학 담론과는 문제의식 자체가 다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의 상이함에 착안하여 먼저 ‘세계문학’ 담론의 기원을 두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 구분을 통해 19세기 괴테와 마르크스가 제기한 ‘세계문학’과 지금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는 ‘세계문학’이 전혀 다른 맥락 위에 놓여 있음을 살폈다. 다음으로 이 글은 ‘세계문학’ 담론이 한국에 수용되는 양상을 비평과 국문학계로 구분하고, 전자를 다시 ‘괴테-맑스적 기획’과 ‘지구적 세계문학’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입장으로 구분했다. 전자의 경우 세계문학을 ‘기획’, 즉 운동의 방식으로 전유하는 것이 특징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세계’를 비유럽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비평적 대응 양상과 달리 국문학 연구자들은 ‘세계문학’ 담론에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 글은 그 이유를 국문학이 ‘한국문학’이라는 중립적인 이름 대신 자국학, 즉 국학이라는 이념의 지배가 분명히 느껴지는 ‘국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스스로를 규정해왔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 파악했다. ‘국문학’ 연구자에게 ‘문학’은 단순한 연구대상이 아 니라 한 국가, 한 민족의 사상, 감정, 이념 등을 포괄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문학이 ‘국문학’이라는 이름을 포기하고 ‘한국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세계문학’에 들어서는 순간 그동안 ‘국문학’이 중요하게 내세웠던 문학적잣대가 위태로워지는데, 바로 이 논문은 바로 이 지점이 ‘세계문학’과 ‘국문학’의 간극이 첨예하게 드러나는 지점임을 강조하려 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questions of world literature discussion debated actively in the recent English literary world and comparative literary world to Korean literature and to delve into the acceptance and responses of the Korean literary world. Korean literature began through world literary influences, although the influences were via Japan. In this regard, the influences of world literature on Korean literature cannot be said to be a novel issue. The recent world literary discussion emerging at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modern countries’ boundaries become obscure is different from the world literary discussion having a modern meaning that we are familiar with in terms of critical mind. The origin of world literary discussion was explained in two categories based on such differences in historical background. Through such a categoriza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world literature mentioned by Goethe and Marx in the 19th century and the world literature, a subject for current debate, are in the enormously different context. The aspect that world literary discussion is accepted in Korea was divided into criticism and the Korean national literature world, and the former was classified into Gothe-Mark style planning and a position presenting global world literature as an alternative. The feature of the former case is that world literature is exclusively possessed in the mode of planning, namely a fashion of movements, and the latter case’s feature is showing an attitude to reorganize the world into non-Europe-centered world. Unlike such a critical response aspect, Korean national literature researchers do not show interest in world literary discus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reason as a problem occurring, because Korean national literature has defined itself as the name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by which the ideological dominance of own country’s literature or national literature is clearly felt, instead of the neutral name of Korean literature. To Korean national literature researchers, literature encompasses the thoughts, emotions, and ideologies of one country and one people, rather than just a research subject. Therefore, the moment when Korean national literature enters world literature under the name of Korean literature by giving up the name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the literary standard considered as important thus far becomes risky. This study tried to emphasize that the very point is the one where the gap between world literature and Korean national literature is sharply revealed.

      • KCI등재

        해방기 문단 형성과 반공주의 작동 양상 연구

        류경동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operating aspects of anticommunism that is acted upon the Korean literary world"s formation in the Liberation era. "Anti-communism" is not a word that is simply meaning an individual"s political taste, being against communism. After separated regimes, anti-communism as the control system which had control of the Korean society surpasses the signification and function that denies a specified ideology. Anti-communism is the control system which carries out supervision and punishment, taboo and oppression. It determines the grade of ranks in the structure, allocates the power, and reproduces the system of mobilization that is continuous and voluntary. The literary world is on the strength of the control system of anticommunism, in the same manner as the other social fields in South Korea. After the independence government some of the right-winger"s literary man, actively, put anti-communism to use, to strength their literary world"s power and to determine a grade of ranks of power in the process of literary world"s reorganization. They classify the left and right by calling over the names, and try to engross literary world"s power on this. The neutrals and a convert come in the other. Afterwards they are excluded from the center of literary world, and continuously kept under the ideological supervision It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hat the Liberation era directly after the independence government is looked behind. The right-winger"s literary men are newly became the subject of Korean literature in a state of exclusion of the left-winger"s. To them, the Liberation era had to be a period of struggle. It could be said that anti-communism had an effect on to set up conflict of the left and right a fundamental problem, and to give emphasis to the op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Also, much of the memory are composed for guarantee of the legitimacy, in relation to the subject of narration. The theory of pure literature is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theoretical dispute with the right-winger"s, and it also covers up the characteristic of a shift in generations. After all, it is derived from a struggle for leadership in the process of literary world"s reorganization after the independence government that the right wing makes the Liberation era a furious op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and supposes fierce complications with the left wing. In this point, anti-communism was determined to the most important measure. A strong anti-communism after the independence government replaces manifold possibilities of the Liberation era with a conflict of the left and right. Hereby, having control of the literary world could be by the subject of anti-communism. And a durability of the power equipment to control the literary world could be made certain. The width and depth of Korean literature were restricted by anti-communism internalized in Korean literature and the structure of a cold war. And, the total understanding and the critical faculty about reality were made impossible by that too. In a sense, Korean literature was immersed in the traditional nature and the subject of introspection, being by the enduring internalization of taboo and the self-censorship, and the restriction of a subject matter and a view of the world by anti-communism. An in-depth study on its positivity and negativity is proposed as the next problem. 이 논문의 목적은 해방기 한국문단의 형성에 작용한 반공주의의 작동양상을 분석해보는 것이었다. 한국 사회에서 반공주의는 단정과 분단체제의 고착에 따른 친미ㆍ반북주의 혹은 국가주의와 결합하면서 본격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한다. 반공주의는 주체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의 결과가 아니었으며, 남한의 다른 사회 분야와 마찬가지로 문단 역시 반공규율사회로 편입된다. 단정 이후 문단의 재편 과정에서 일부 우익 문인들이 스스로의 문단 권력을 강화하고 권력의 위계를 설정하는 데 반공주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그들은 지명행위를 통해 좌우를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문단권력을 독점하고자 한다. 타자로 설정된 중간파 문인들이나 전향문인들은 이후 문단의 중심에서 배제되며 지속적인 감시와 사상적 혐의에 시달려야 했다. 단정 직후 해방기에 대한 회고들이 씌어진다는 점은 상당히 의미심장한 현상이다. 좌익이 소거된 상태에서 새롭게 한국문학의 주체로 등장한 우익 진영의 문인들에게 해방기는 좌익과의 격렬한 투쟁기이어야 했으며 단정 이후의 문단은 그 투쟁의 결과물이어야 했다. 좌우 갈등을 근본문제로 설정하고 좌우 대립을 강조하는 것은 문단 내부에 작용한 반공주의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서술 주체의 정당성 확보와 문단 내부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기억의 상당부분이 조정되기도 한다. 좌익과의 대표적인 이론 투쟁이라 평가되는 순수문학론 역시 세대론의 성격을 은폐하고 있으며, 좌익과의 이론 투쟁의 결과물로 그려진다. 문단 내부의 권력 관계로부터 발생한 순수문학론은 반공주의에 의해 상당부분 신화화된 측면이 있다. 결국 우익 진영의 사적 개관들이 해방기를 격렬한 좌우대립으로 설정하고 좌익과의 치열한 갈등을 상정하는 것은, 단정 이후 문단의 재편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도권 문제로부터 파생하는 것이며, 여기에 반공주의는 가장 중요한 척도로 작용한다. 단정 이후의 강력한 반공주의는 다양한 가능성으로 열려있던 해방기를 좌우의 갈등으로 설정함으로써 반공주체들에 의한 문단 석권을 정당화하고 이를 통해 문단 내부를 규율하는 권력 장치로서의 지속성을 확보하게 된다.

      • KCI등재

        민족문학과 세계문학의 역학: 제임스 조이스를 중심으로

        오길영 ( Gil Young Oh )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2011 근대 영미소설 Vol.18 No.2

        This essay aims at exploring Joyce`s literary project as an excellent example which compromises the tension and opposition of national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drawing on Pascale Casanova`s provocative study of world literary space. Casanova`s The World Republic of Letters has the merit of analyzing insightfully the unequal structure of the global literary market. Her work proffers a critical weapon in the service of all deprived and dominated writers on the periphery. This paper purposes to deal with the issues of international literary competition and the asymmetrical mechanism in the world literary space. Casanova demonstrates a detailed analysis in this ground-breaking work on the meaning of world literary space as a hegemonic site for fierce rivalries and the desire of recognition among various national literature with different competitive powers. As Joyce`s case exemplifies, entry into world literary space based on the unequal hegemonic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occurs in the area of international canonicity. Joyce`s case is an illustrative case which offers a critical assessment of deconstructive projects to subvert the center with valorized peripheries, and eventually the re-shaping of world literary space. Joyce chooses a strategy of dual refusal. He rejects not only the submission to colonial power that exile in London as a literary center along with Paris would have represented, but equally any display of conformity to the national literary norms of Ireland. He was free to carry out an enterprise of unprecedented and novelty. Joyce opened up a literary connection to Paris, thus providing a solution for all those who rejected the colonial alternative of retreat to Dublin or treasonous emigration to London like Yeats. With Joyce (and later Beckett), Irish literature was constituted in terms of a triangle of capitals formed by London, Dublin, and especially Paris. This literary triangle was less geographic than aesthetic and that had been imagined and created in the space of European literature in Joyce`s time. Joyce`s dual opposition to Dublin and London was spatial as well as literary. He refuses to obey either the law of London or that of Dublin. He chose exile on the continent in order to produce an Irish literature in his own terms and established a new space for his imagined Irish literature in the republic of European literature.

      • KCI등재

        문단의 ‘여류’와 ‘여류문단’ - 식민지 시대 여성작가의 형성과정

        심진경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3 No.-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forming course of lady of letters in the colonial Korea. Here are three questions for research of this problem. First, what woman was called as lady of letters? The name of ‘Lady of letters’ was limited to woman author writing literary works, which was a wide concept concluding women from studying Tokyo, alumnae or the students of Ewha Woman’s Collage, and woman journalists of newspaper or magazine. In result, ‘mute writers without literary works’ were also named name ‘lady of letters.’ As it were, the substance of conceptual and real of ‘lady of letters’ relied upon the material of literary external like educational course, social position, and appearance as so as creating literary works. It is followed by second question, which is related with critic standards of literary works of women in that times. Literary works by women was often ignored as the non-literary or the girlish literary. Standards of this critics were generally made of references to private lives of lady of letters, by male critics or writers. If literariness were founded in works of several literary women, it could be also possible only satisfying masculine standards. ‘Literature of girl’ was a concept revealing ultimate hierarchical consciousness of gender. Considering such aspects. word of ‘the literary lady world’ proves, which come into use the second-term woman writers since 1932, that such mechanism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imposed on entire woman writers. However, grouping the literary women mean their becoming powerful and institutional. That is this paper‘ third question. ‘The literary lady world’ was formed centering around proletarian-writers like Park Wha-sung, Kang Kyoung-ae and Song Kye-wol in the early 1930s, which couldn’t show their real ability to the entire literary lady world because of dissolution of KAPF. The very fact demonstrates that discourse of masculine centralism hold sway their destiny. In the later 1930s, the literary lady world of woman writers like Choi Jung-hee, Mo Yun-sook, No Choen-myoung, was grouped by ‘feminine lady writers’ owning in common features of the maternal, the domestic and the spiritual, which, in fact, was feminine values imposed on woman by nation and society. Therefore, both pro-writers and feminine writers was not different entirely in this respect of making form through internalizing the value system of masculine central. 문학은 한편으로는 언어와 상상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비사회적인 관념의 산물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규범, 관행, 관습, 법률과 같은 사회적 차원에서 형성된 구성물이다. 따라서 문학적 가치란 사람들의 관념 속에 존재하는 불변의 실체라기보다는 문학 외적인 기준에 의해 좌우될 수 있는 유동적인 일련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식민지 시대 ‘여류작가’의 형성 과정은 바로 이러한 문학적 가치의 유동성과 비문학성을 드러내는 전형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세 가지 차원의 문제 설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여류문인’의 결정 조건, 두 번째는 ‘여류문학’의 평가 기준, 세 번째는 ‘여류문단’의 형성 과정이다. 식민지 시대 여성작가의 범주를 설정하는 문제는 단순하지 않다. 그 당시에 ‘여류문사’라는 호칭은 문학작품 창작을 직업으로 삼는 전문적인 여성작가에게만 한정되지 않은 매우 폭넓은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동경 유학생 출신이거나 이전 출신의 여성, 신문이나 잡지사 기자 출신 여성은 대부분 여류문사로 분류되었다. 그 결과 “작품 없는 벙어리 작가”도 ‘여류문사’로 언급될 수 있었다. 그만큼 창작 활동 여부가 ‘여류작가’ 혹은 ‘여류문사’를 판단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었던 것이다. 이는 ‘여류문인’에 대한 평가가 전적으로 문학 내적 기준에 근거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문학 외적인 다양한 조건들, 특히 학력, 사회적 지위, 외모 등에 의해서도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여성작가들에 대한 끊임없는 스캔들과 그들의 외모에 대한 끝없는 관심은 특히 ‘여류문인’의 경우 이러한 문학 외적인 조건이 훨씬 더 지배적인 결정 요소였음을 암시한다. ‘여류문인’ 여부를 판단하는 이러한 문학 외적 기준들은 그대로 그들의 작품에도 적용된다. 특히 그 당시 여성작가의 신체적, 외적 인상은 물론 그들의 사생활이 여성작품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문학 외적 기준들은 그대로 여성문학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반복 재생산된다. 그리하여 ‘여류작가’의 사생활과 ‘여류문학’은 서로가 서로를 평가의 기준점으로 삼는 거울상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여류문학’의 평가 기준은 크게 두 가지로 논리화될 수 있다. 하나는 문학 외적인 평가 기준의 적용으로 ‘여류문학’을 비문학적인 것으로 가르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여류문학’의 문학성을 평가하더라도 대개 ‘남성성’을 표준 혹은 기준점으로 삼아 그것과의 관계 속에서 부차적인 것으로 주변화하는 것이다. 이는 ‘여류문학’을 문학 아닌 것으로 ‘배제’하고 남성작가의 작품과는 다르다고 ‘차별화’하는 논리에 다름 아니다. ‘여류문학’은 바로 이러한 남성중심적인 배제와 차별화의 논리에 의해 문학 아닌 것으로, 혹은 남성작가의 작품보다 미성숙한 것으로 규정된다. ‘소녀문학’이라는 개념은 바로 이러한 위계화된 젠더 의식의 극단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1932년부터 제2기 여성작가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한 ‘여류문단’이라는 용어는 분명 이러한 배제와 차별화 논리가 여성작가 전체를 겨냥한 것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여성작가의 집단화는 여성작가의 세력화와 제도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여성작가가 그룹화되기 시작한 때는 1930년대 초반인데, 그 당시 ‘여류문단’은 박화성, 강경...

      • KCI등재

        문화적 주체의 구성과 소시민 의식 - '소시민' 논쟁의 비평사적 의미

        전상기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3 No.-

        Entrance of the literary mans experiencing 4·19 Revolution as young age is characterized in the literary world of the 1960’s. By frustration of political and social vision resulted in 5·16 Coup d’etat following 4·19, they pursuit for positivity based in themselves experiences, to form internal world which is secure from any external attacks. However, they published 68 Munhak at 1969. 1 in the time which the 1960s was out, through which they tried to establish literary theory of 4·19 Generation differencing from that of the existing literary mans, refining senselessness and passion of the literary youth. Their literary theory is represented as the literary theory of ‘Petit Bourgeois’ proclaimed by several critics, Kim Hyun, Kim Ju-Hyun, Kim Byung-Ik and Kim Chi-Su. The literary theory of ‘Petit Bourgeois’ has meanings as that : first, working for modernization of literature ; second, reconsidering literary recognition of language ; third, professing their own identity as consciousness of petit bourgeois. Postwar writers, like Seo Gi-Won, Lee Ho-Chul and Seon U-Whi, claimed that the literary theory of what is called 4·19 Generation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ir own and also the generation are literary successors of themselves. This arguments was continued in forms of objection and conversation, which was finished only being confirmed difference of each other. Though, literary theory of ecole called ‘Munhak kwha Jisung’ group was raised in this arguments. Mun-Ji group transfigurate the autonomy theory of modern subject, established by Kant, to that of cultural subject, which, however, only partly off set the frustration of political and social subject by converting into cultural and aesthetic subject. They felt proud that it is the epidemiological turn and the new of cultural modernization. ‘Daily individual’ and ‘self-world’ are direct embodiments of ‘non-trivialness of the trivial’, ‘trivialism’ and ‘by the attacks of ‘the citizen literary theory’’, which discourses raise the modernist aesthetics as constitution of the self-referential world. Reputated by Beak Nak-Chung working at the same times as only as afterwar generation, as it were, by the attacks of ‘the citizen literary theory’, they tried to change the literay theory, which can be a subject after this. 젊은 나이에 4·19혁명을 체험한 문학가들의 등장은 1960년대 문학의 한 특징으로 기록된다. 혁명에 이어 곧바로 불어닥친 5·16쿠데타로 새사회에 대한 비전과 새로운 질서를 열망했던 그들의 바람은 좌절되기에 이른다. 정치적 좌절과 사회적 비전의 상실로 인한 공허감으로 자기가 경험한 내용만을 감각적 확실성으로 간직하고 다른 어떤 공격에도 안전한 내적 세계를 형성하고자 했던 60년대 문학인들은 60년대가 끝나가는 1969년 1월에 『68문학』을 창간한다. 이 잡지는 문학 청년의 치기와 열정을 순화하여 기성 문인들과는 차별화된 4·19 세대 문학가들의 문학론을 정립하고자 시도한다. 60년대 문학인들 중에서도 평론가들의 주도적인 활약으로 제창된 문학론은 ‘소시민’ 문학론으로 요약할 수 있다. 김현, 김주연, 김병익, 김치수 등에 의해서 제창된 ‘소시민’ 문학론은 첫째, 문학의 근대화를 꾀하고 둘째, 언어에 대한 문학적 인식을 제고했으며 셋째, 소시민 의식을 자신들의 정체성으로 표방했다. 이로부터 전후 세대의 문학가들의 반론이 나오는데 서기원과 이호철, 선우휘 등은 이들의 문학론이 자신들의 문학론과 다를 바가 없을뿐더러, 자신들의 문학적 후계자임을 역설하게 된다. 논쟁의 양상은 재반론이 이루어지고 한 주간 신문의 중재로 양 진영의 논자들이 모여 대담을 해보지만 상대에 대한 입장 차이만 확인하고 마무리되는 형식적 결말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논쟁을 통해 4·19세대 문학가들, 그 중에서도 이후에 이른바 ‘문학과지성’파로 불리게 되는 에꼴의 문학론을 확인할 수 있다. 그들은 칸트에 의해 정립된 근대적 주체의 자율성, 즉 개인의 의지의 자유와 도덕 법칙에 대한 의무가 통일되어 있으며, 그 전제로서 이성의 능력이 마련하는 선험성의 윤리학을 좇아 문화적 주체의 자율성 논리로 변용하고 있다. 정치적 주체와 사회적 주체의 좌절을 경험한 문화적·미학적 주체의 사소하고 부분적인 전환을 그들은 인식론의 일대 전환이자 문학적 근대화의 새로움으로 자부하는 것이다. ‘사소한 것의 사소하지 않음’이나 ‘트리비얼리즘’, 그리고 ‘소시민 의식’의 직접적 체현자로서 ‘일상적 개인’ 혹은 ‘자기 세계’ 담론들은 자기 관계적 세계 형성 논리의 모더니즘 미학으로 제기하고 있다. 1930년대와 50년대에 각기 주창된 모더니즘 미학 역시 현실을 소거한 내면 세계의 절망적인 불밝히기로 그 필연적인 패착을 보였지만, 이들의 다른 점이라면 역사적 현실의 중압을 의식하면서도 자기들 스스로 구성해낸 현실의 상징적 모형과 새로운 관계 설정을 꾀하여 소시민 의식의 아주 좁고 위태로운 영역을 개척하려는 무모한 시도를 계속하려 한다는 점이다. 그들은 전후 세대뿐만 아니라 같은 시기에 문학 활동을 시작한 백낙청 등의 논자들에 의해서도 반론의 대상이 된다. 그리하여 그들의 문학론은 ‘시민문학론’의 공격으로 일정한 궤도 수정을 꾀하게 되는데, 그런 사정에 대해서는 후속 논의의 과제일 수밖에 없다.

      • KCI등재

        문학토론에서 소설 해석의 양상에 관한 연구

        이인화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4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key elements of literary discussion and present the aspects and operation mechanism of literary discussion. The appropriateness of interpretation, validity of interpretation and diversity of interpretation are considered important things in literary education. But until now, there are no specific plan for educating these. This study suggest that literary discussion is a balance weight between appropriateness of interpretation and validity of interpretation. In this sense, the activity which the readers share own interpretation with other members in a discussion group, compete with others for determine what interpretation is more appropriate and reasonable, and deepen their own interpretation and widen the horizon of interpretative community is named as literary discussion. The literary discussion has core contents that ‘interpretation’ and ‘communication’. Also, the literary discussion is centred around ‘situations of fictional life’, ‘features of aesthetic representation’, and ‘public values of literary text’. (1) The participants discuss about the oriented values in fictional world. (2) In terms of aesthetic representation, the participants discuss about style of writing, the architecture of literary text, and narrator. (3) Lastly, the public values of literary text are treated based on intertextuality. The literary discussion is an important goal of literary education. Because the most important thing of literary discussion is expansion and intensification of student-readers’ responses. Through the study, it can be expected to continue in another studies. 이 연구는 문학토론의 실천에 있어서 핵심이 되는 요소를 밝히고, 이에 근거하여 문학토론 시 소설 해석의 소통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문학교육에서는 학습자들이 수행하는 해석에 가치를 부여해 왔으며, 그로 인해 해석의 다양성은 이제 문학교육 공동체 내에서 공준(公準)된 중요한 개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해석이 학습자의 해석 능력 신장으로 이어지기 위해 필요한 교육적 장치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해석의 다양성이 해석의 객관성과 주관성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 위한 방법으로 문학토론을 제안하였다. 소설에 대한 문학토론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까닭에 문학토론 자료는 서사이론을 틀로 삼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허구적 삶의 문제 사태에 대한 의미 교섭, 미적 형상화의 특성에 대한 상호작용, 텍스트의 공적 가치에 대한 의사소통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해석과 소통을 핵심적 계기로 삼는 문학토론의 교육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자는 문학토론을 통해 문학 텍스트에 관여하는 제반 요소를 중층적으로 학습할 수 있고, 둘째, 문학토론은 해석의 결과만이 아니라 과정까지 가시화함으로써 학습 독자의 해석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며, 셋째, 해석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 KCI등재

        동인지와 프로 ‘문학’의 사이, 그리고 『개벽』

        朴賢洙 ( Park Hyun-so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3 No.-

        대개의 문학사들은 1922년, 1923년 즈음을 침체기로 규정하면서도 문학의 발표 공간으로서 『개벽』의 역할에 대해서는 인정을 한다. 당시는 1920년대 동인지 문학이 일단의 막을 내린 시기였다.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의 신문 미디어에도 문학을 위한 공간은 할애되지 않았다. 미디어에서 문학에 대한 관심을 재고할 수 있는 계기가 있었지만 관심은 지속되지는 않았다. 『개벽』 문예면에 변화가 일어난 것은 1922년 중반인데, 그것은 새로운 필진의 등장으로 나타났다. 문예면에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문예특집’에 가깝게 꾸며진 1923년 신년호였다. 이전까지 문예면의 필진은 ‘개벽사’의 사원이거나 관계가 있는 인물이었다. 『개벽』 문예면의 변화를 주도했던 인물은 방정환이었는데, 그는 천도교의 간부로 일을 하면서 문학에 대한 관심을 키워갔다. ‘동경’ 유학을 통해 문학이 위상을 새롭게 깨닫게 된 방정환은 『개벽』 문예면의 변화를 견인해 근대문학의 토양을 마련하려 했다. 그런데 1923년 1월 이후 『개벽』 문예면에서 필진의 개방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문예면의 변화가 한계를 보인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작용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김기진은 『개벽』에 일련의 글을 발표하면서 조선에 ‘새로운 경향’의 문학을 정초해 나갔다. 그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문학을 그 도구로 위치시켰지만 곧 환멸에 빠지고 만다. 당시 취업을 위해 ‘매일신보사’를 찾아간 행적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았다. ‘새로운 경향’의 문학에 대한 모색이 『개벽』을 통해서 이루어졌다는 점, 『개벽』 문예면의 개방이 몇몇의 문인들에게 한정되었다는 점 등은 양가적인 성격을 지닌다. 『개벽』 문예면의 음영을 되짚어 보는 작업은 문학과 생활의 관계에 대해 거듭 환기하고자 했던 ‘문인회’의 주장을 떠올리게 한다.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1922 and 1923 are regarded as stagnation periods, bet < Gae-byeok > was admitted as a space for presentation of literature. At that time, the literature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in the 1920s almost ended. Also, there was no space for literature in the newspaper media. The media was interested in literature and writers, but it was not persistent. It was in mid-1922 that the literary section of the < Gae-byeok > changed. It was the issue of January 1923 that symbolically showed the change of the literary section. Previously, the writer was an employee or related person of < Gae-byeok >. The person who led the change in the literary section was Bang Jung-Hwan. He took an interest in literature while working as an executive at Cheon-do-gyo. He realized the status of literature anew through studying in 'Tokyo'. Since January 1923, the change of the literary section has not continued. The first reason was that there was no category of ‘literary world’ at the time. The following reason is that < Gae-byeok > was published as a Chon-Do-Gyo's journal. And the most important reason is that the opening of the literary section was achieved through human interchange. Kim Gi-jin published a series of articles in < Gae-byeok >, which was the process of pioneering 'new trend' literature in Joseon. He emphasized the proletarian revolution, but soon fell into disillusionment. His visit to < Mae-Il Newspaper > for a job is also related to this. It was contradictory that the claim of revolution was made in < Gae-byeok >, which paid expensive manuscript fees. It is also regrettable that the opening of the literary section was limited to a few people. Discussing the limitations of the literary section of < Gae-byeok > brings to mind the arguments of the 'Literary Society'.

      • KCI등재

        권위주의 체제에서 작가의 세계관 지양 Aufheben 문제(3)

        유영하(RYU, Yeong - Ha)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7

        중국 사회주의에서 작가의 세계관은 일관되게 중시되었다. 특히 부르주아적 세계관에 대한 전환 요구와 그 방법에 대한 언설은 중국 사회주의 문예이론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위치를 점유해왔다. 세계관의 전환은 장기적인 과정인바, 부단히 학습하고 이해하고 노동자 농민과 가까이해서 완성해야만 하는 것이다. 역으로 말하면 생각하는 방법 즉 세계관은 대상을 학습하고 또 이해하면 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과연 사람의 세계관은 전환될 수 있을까하는 문제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신경과학의 중요 이슈중 하나이다. 나는 세계관이 부르주아적이냐 아니면 프롤레타리아적이냐 하는 문제조차 본능의 영역으로 보고 싶다. 그래서 세계관의 이동이나 전환의 실례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가지고 바라본다. 그것은 자신이 스스로의 세계관이 전환되었다고 공표하는 것에 대해서나, 어떤 정치인의 입장이나 관점이 극좌에서 극우로 이동하는 것에 대해서 의심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사물을 대하고 판단하는 가치체계는 본능과 같아서 쉽게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근의 성과에 따르면 노동이나 하방(下放) 등 보편적이고도 지속적인 프롤레타리아적 경험은 세계관의 형성이나 변화에 분명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한순간도 포기할 수 없는 사실은 그것도 상대가 누구냐 즉 유전자적으로 두뇌가 어떤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느냐에 따라 다른 것이다. 따라서 천차만별인 것이다. 즉 사람에 따라 그것의 영향이 클 수도 혹은 지극히 미미하거나 전무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두뇌나 유전자가 요지부동의 것이 아니라는 측면에서, 또 환경이 두뇌에 미미한 영향이나마 줄 가능성도 있다는 측면에서 마오쩌둥의 세계관 전환 요구는 타당하다. 노동이나 하방(下放)이 한 두 사람 - 그것도 성인이 아닐 경우 확률이 높다 - 을 바꿀 수 있을지는 모른다. 하지만 문제는 환경이다. 적어도 권위주의적 방법은 세계관 전환의 불가능을 예비한다. The Chinese socialism has consistently valued world view of writer. The discourses on a change of bourgeois world view have been of critical importance to the Chinese socialist literary theory. Writer"s change of world view is a long-term process that requires understanding and studying proletariat as well as being associated with them. The past studies of world view have consistently overlooked a problem of human nature. One of the important issues of neuroscience which is recently in the spotlight is the question of is it possible to change a human view of the world. I would like to think that even the subject of world view is proletariat or bourgeois belongs to the domain of instinct. So I have cast doubts on real instances of change or move of someone"s world view. For the same reason I am suspicious of a politician"s move from the extreme left to the extreme right. According to the recent result, consistent proletariat experiences such as labour, and xiafang(下放) are able to influence formation and change of world view. On this basis it was reasonable that Mao Zedong has asked writers to change their world view. However the possibility of change depends on the gene combination of the individual"s brain. Even though proletariat labour can change one person or two who are not adult, the key to change is environment. An authoritarian system does not allow any change of world view. 중국 사회주의에서 작가의 세계관은 일관되게 중시되었다. 특히 부르주아적 세계관에 대한 전환 요구와 그 방법에 대한 언설은 중국 사회주의 문예이론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위치를 점유해왔다. 세계관의 전환은 장기적인 과정인바, 부단히 학습하고 이해하고 노동자 농민과 가까이해서 완성해야만 하는 것이다. 역으로 말하면 생각하는 방법 즉 세계관은 대상을 학습하고 또 이해하면 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과연 사람의 세계관은 전환될 수 있을까하는 문제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신경과학의 중요 이슈중 하나이다. 나는 세계관이 부르주아적이냐 아니면 프롤레타리아적이냐 하는 문제조차 본능의 영역으로 보고 싶다. 그래서 세계관의 이동이나 전환의 실례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가지고 바라본다. 그것은 자신이 스스로의 세계관이 전환되었다고 공표하는 것에 대해서나, 어떤 정치인의 입장이나 관점이 극좌에서 극우로 이동하는 것에 대해서 의심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사물을 대하고 판단하는 가치체계는 본능과 같아서 쉽게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근의 성과에 따르면 노동이나 하방(下放) 등 보편적이고도 지속적인 프롤레타리아적 경험은 세계관의 형성이나 변화에 분명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한순간도 포기할 수 없는 사실은 그것도 상대가 누구냐 즉 유전자적으로 두뇌가 어떤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느냐에 따라 다른 것이다. 따라서 천차만별인 것이다. 즉 사람에 따라 그것의 영향이 클 수도 혹은 지극히 미미하거나 전무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두뇌나 유전자가 요지부동의 것이 아니라는 측면에서, 또 환경이 두뇌에 미미한 영향이나마 줄 가능성도 있다는 측면에서 마오쩌둥의 세계관 전환 요구는 타당하다. 노동이나 하방(下放)이 한 두 사람 - 그것도 성인이 아닐 경우 확률이 높다 - 을 바꿀 수 있을지는 모른다. 하지만 문제는 환경이다. 적어도 권위주의적 방법은 세계관 전환의 불가능을 예비한다. The Chinese socialism has consistently valued world view of writer. The discourses on a change of bourgeois world view have been of critical importance to the Chinese socialist literary theory. Writer"s change of world view is a long-term process that requires understanding and studying proletariat as well as being associated with them. The past studies of world view have consistently overlooked a problem of human nature. One of the important issues of neuroscience which is recently in the spotlight is the question of is it possible to change a human view of the world. I would like to think that even the subject of world view is proletariat or bourgeois belongs to the domain of instinct. So I have cast doubts on real instances of change or move of someone"s world view. For the same reason I am suspicious of a politician"s move from the extreme left to the extreme right. According to the recent result, consistent proletariat experiences such as labour, and xiafang(下放) are able to influence formation and change of world view. On this basis it was reasonable that Mao Zedong has asked writers to change their world view. However the possibility of change depends on the gene combination of the individual"s brain. Even though proletariat labour can change one person or two who are not adult, the key to change is environment. An authoritarian system does not allow any change of world view.

      • KCI등재

        ‘이론이후’의 세계문학 인식

        김태철(KIM, TaeChu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8 외국문학연구 Vol.- No.70

        본 논의는 소위 이론이후의 세계문학 인식에 대한 개입이자 그 세계문학 논의의 일부가 되고자 한다. 중심논지는 세계문학이란 민족문학을 타자화하면서도 그 고유의 요소에 보편성을 부여하고자하는 비윤리적 시도로 이해하면서, 특히 이론이후에는 오늘날 전방위적으로 일고 있는 문화적 전용의 한 유형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구체적 논의과정은 세계문학의 출발점에 있는 괴테와 마르크스·엥겔스, 그리고 이론이후 담론의 중심인 카사노바와 모레티의 인식이 드러내는 전용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작업이다. 본 논의는 세계문학이 그 출발부터, 시대의 요구에 따라 외국문학을, 그리고 이념의 필요에 따라 문학 그 자체를 전용하는 장치에 다름 아니었다는 입장이다. 세계문학은 민족의식의 성장과 더불어 모더니티 기획으로 등장하여, 자본주의 발달의 한 지표로 인식되다가, 이론이후 다시 소환돼 ‘세계문학 전회’를 이룬다는 것이다. 오늘날 세계문학에 대한 새삼스런 관심도 여전히 민족문학의 타자의식이나 세계시장 인식의 연장선상에 놓임으로써 세계문학을 일종의 모더니티 담론으로 이끈다. 담론으로서의 세계문학은 이분법적 중심과 주변의 확산과 수렴 사이의 상호작용이란 인식이 논의의 축을 이룬다. 끊임없이 심화하는 모더니티 상황에서 제도로서의 세계문학은 비교문학이 역사주의적 반복충동을 이어가는 공간이자, 포스트식민주의 문학이 현재주의적 억압의 귀환을 실현하는 체제가 된다. 그러나 그런 인식은 신식민주의 시대에 식민종주국의 논리에 편승하여 세계 없는 세계문학을 지향함으로써 부지불식간에 지적 제국주의의 은밀한 기도에 동조하는 결과가 된다. 그럼에도 이론이후의 세계문학 논의에는, 문화적 위기의 순간마다 당대 모더니티의 결을 거스르는 대항담론의 모습도 포착됨으로써, 비로소 전용에서 자유로운 탈체제화 및 탈공간화된 문학의 가능성, 즉 생동감의 세계문학 혹은 세계문학성을 언뜻 드러낸다. 괴테이래 대항모더니티 기획은 여전히 세계문학 담론의 중심인 것이다. This essay seeks to intervene in the after-theory discourse of the conception of world literature. It argues that world literature, invented as the alter of a national literature, is an umbrella concept under which to universalize the never-to-be-universal of foreign literature. Especially after theory, it becomes a type of cultural appropriation pervasive in every aspect of social life all over the world. This essay evaluates those claims to appropriation that Goethe and Marx and Engels made at the inception of world literature, and Casanova and Moretti elaborated on after theory. In retrospect, world literature initiated a project of modernity in the age of awakening national awareness, immediately transforming it into an index of the rising capitalist market. Now it has been summoned again in the age of the world market to make a turn to world literature. World literature as a discourse mainly comprises encounters or compromises between a centripetal core and a centrifugal periphery. At the same time, world literature after theory assumes a form of counter-discourse at another moment of cultural crises. This project of counter-modernity has also been central to world literature discourse since Goethe. In this discourse, it is to be free from appropriation when read for the world-literariness of my conception, that is, for the liveliness of literature in its de-systemisation and de-spatialisation. 본 논의는 소위 이론이후의 세계문학 인식에 대한 개입이자 그 세계문학 논의의 일부가 되고자 한다. 중심논지는 세계문학이란 민족문학을 타자화하면서도 그 고유의 요소에 보편성을 부여하고자하는 비윤리적 시도로 이해하면서, 특히 이론이후에는 오늘날 전방위적으로 일고 있는 문화적 전용의 한 유형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구체적 논의과정은 세계문학의 출발점에 있는 괴테와 마르크스·엥겔스, 그리고 이론이후 담론의 중심인 카사노바와 모레티의 인식이 드러내는 전용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작업이다. 본 논의는 세계문학이 그 출발부터, 시대의 요구에 따라 외국문학을, 그리고 이념의 필요에 따라 문학 그 자체를 전용하는 장치에 다름 아니었다는 입장이다. 세계문학은 민족의식의 성장과 더불어 모더니티 기획으로 등장하여, 자본주의 발달의 한 지표로 인식되다가, 이론이후 다시 소환돼 ‘세계문학 전회’를 이룬다는 것이다. 오늘날 세계문학에 대한 새삼스런 관심도 여전히 민족문학의 타자의식이나 세계시장 인식의 연장선상에 놓임으로써 세계문학을 일종의 모더니티 담론으로 이끈다. 담론으로서의 세계문학은 이분법적 중심과 주변의 확산과 수렴 사이의 상호작용이란 인식이 논의의 축을 이룬다. 끊임없이 심화하는 모더니티 상황에서 제도로서의 세계문학은 비교문학이 역사주의적 반복충동을 이어가는 공간이자, 포스트식민주의 문학이 현재주의적 억압의 귀환을 실현하는 체제가 된다. 그러나 그런 인식은 신식민주의 시대에 식민종주국의 논리에 편승하여 세계 없는 세계문학을 지향함으로써 부지불식간에 지적 제국주의의 은밀한 기도에 동조하는 결과가 된다. 그럼에도 이론이후의 세계문학 논의에는, 문화적 위기의 순간마다 당대 모더니티의 결을 거스르는 대항담론의 모습도 포착됨으로써, 비로소 전용에서 자유로운 탈체제화 및 탈공간화된 문학의 가능성, 즉 생동감의 세계문학 혹은 세계문학성을 언뜻 드러낸다. 괴테이래 대항모더니티 기획은 여전히 세계문학 담론의 중심인 것이다. This essay seeks to intervene in the after-theory discourse of the conception of world literature. It argues that world literature, invented as the alter of a national literature, is an umbrella concept under which to universalize the never-to-be-universal of foreign literature. Especially after theory, it becomes a type of cultural appropriation pervasive in every aspect of social life all over the world. This essay evaluates those claims to appropriation that Goethe and Marx and Engels made at the inception of world literature, and Casanova and Moretti elaborated on after theory. In retrospect, world literature initiated a project of modernity in the age of awakening national awareness, immediately transforming it into an index of the rising capitalist market. Now it has been summoned again in the age of the world market to make a turn to world literature. World literature as a discourse mainly comprises encounters or compromises between a centripetal core and a centrifugal periphery. At the same time, world literature after theory assumes a form of counter-discourse at another moment of cultural crises. This project of counter-modernity has also been central to world literature discourse since Goethe. In this discourse, it is to be free from appropriation when read for the world-literariness of my conception, that is, for the liveliness of literature in its de-systemisation and de-spatialisation.

      • KCI등재후보

        세계시민 양성을 위한 문학교육 방법 연구

        권경미 ( Kyong Mi Kwon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4 한국문화연구 Vol.26 No.-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교육은 의사소통의 언어 중심적 교육관이나 한국의 문화를 담지하고 있다는 반영론적 사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한국문학교육 이 보다 더 명징하게 문학교육을 담지하지 못한 채 언어와 문화적 차원에서 머물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명확한 문학교육의 목표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교육의 목표를 언어 능력, 문화 능력, 문학능력은 물론 더 나아가 세계시민 양성으로 상정하고자 한다. 문학은 인간과 사회(세계)와의 대결과 해결, 갈등과 화해를 그리는 언어 예술이다. 따라서 문학 본연의 의의를 교육적으로 확대 적용시키기 위해 한국어에 대한 의사소통적 접근(언어능력), 한국 사회와 역사를 표징하고 있다는 문화적 접근(문화능력), 문학이 갖는 상징적 체계와 개성적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문학적 접근(문학능력)은 물론 세계 안의 ‘나’를 인식하며 세계시민적 자질을 갖출 수 있는 세계시민을 위한 접근(세계시민성)까지를 모두 아울러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초중고급 학습자 각각에 맞는 언어문화문학능력과 세계시민 양성을 위한 교육 목표를 설정한 후 그에 합당한 문학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초급 학습자들에게는 문학을 통해 다양한 한국문학과 한국문화를 접할 수 있게‘체험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서 학습자들은 자연스럽게 문화상대주의 태도와 상호문화 교류를 이해할 수 있다. 중급 학습자들에게는 문학만의 개성을 접할 수 있는 작품 중심을 선택하는 한편 문학 안에서 세계가 공통으로 겪고 있는 문제의식을 발견하고 해결하도록 ‘리터러시’ 중심의 교육을 하고자 한다. 고급 학습자 들을 위해서는 문학적 언어와 일상의 언어를 횡단할 수 있는 이용후생 언어를 바탕으로 인간에 대한 합리적 이해를 갖는 방향을 모색할 수 있게 ‘스토리텔링’ 중심의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Korean literary education for foreigners has not much deviated from both the view on the language-centered education for communication and the reflection theory that it is allegedly impregnated with the Korean culture. The reason why the Korean literary education could not but stay at the level of language and culture, while not clearly keeping itself, is that the discussion about the definite goals of literary education did not become serious.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advance the proposition that the Korean literary education for foreigners is aimed at further training them as world citizens as well as developing their linguistic, cultural and literary competence. Literature is linguistic arts depicting confrontation and settlement, and conflict and reconcili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world.For its true meaning to be applied educationally in an expanded manner, literature thus should encompass the communicative approach to the Korean language, the cultural approach,which is alleged to symbolize the Korean society and history, and the literary approach,which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literature’s inherent symbolic system and personal language. At the same time, it also should include the global citizenship approach, which makes ‘self’ recognized and allows the personal qualities necessary to be a world citizen to be possessed. To this end, learners in the general-purpose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divided into three groups-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nd their respective goals should be set to be well suited to the education for language, culture, literature, and world citizen. Then, literary works enabling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For beginners to get access to cultural diversity via literature, they should be placed at a level to personally enjoy various genres of Korean literary works through an ‘experiencecentered education.’ Intermediary learners should have works (helping taste literature’s unique characteristics) chosen primarily, and concurrently they should get a ‘literacy-centered education’ to discover and solve a questioning awareness that the world undergoes in common within the literature. Advanced learners should be provided with a ‘storytelling-centered education’ to steer the course toward a resonabl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based on utilization-welfare language by which cultural and daily languages can be traver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