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이병도의 행적과 그의 역사관

        김삼웅(Sam-Woong Kim) 바른역사학술원 2017 역사와융합 Vol.1 No.1

        이병도는 현재 한국 역사학계에서 일종의 성역이 되었다. 이병도가 성역이 된것은 그의 역사관이나 행적이 존경할만하기 때문이 아니라 한국 사회 각계에 포진한 그의 제자들이 그를 우상으로 떠받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의 역사관과행적을 살펴봄으로써 그가 과연 한국 사회에 한 성역으로 존재하는 것이 마땅한 지를 되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이병도는 조선 후기 노론의 대표적 가문인 우봉이씨로 태어나서 와세다대학 문학부에 들어갔다. 처음 서양사를 전공하려다가요시다 도오고(吉田東伍))와 쓰다소우기치(津田左右吉)의 영향을 받아 조선사연구로 방향을 전환했다. 그후 조선총독부 직속의 조선사편수회에 들어가 일본인들이 조선총독부의 관점에 맞춰 한국사 전체를 왜곡하는 작업에 종사했다. 이병도는 이런 친일전력 때문에 해방 후 진단학회에서 제명 운동이 벌어졌다. 그러나 이승만 정권이 반공정책을 추진하고 1950년 6·25 한국전쟁으로 반공 이데올로기가 한국사회를 뒤덮으면서 기사회생해 학계의 원로로서 승승장구했다. 이병도는 반공을 명목으로 수많은 민주 인사까지 공산주의자로 몰아 학살한 육군 특무대장 김창룡의 묘갈명을 썼다. 이 묘갈명에서 이병도는 “간첩오렬부역자 기타를 검거 처단함이 근 2만5천 명. 전시 방첩의 특수 임무를 달성하였다.”라고 2만5천명의 사람을 죽인 것을 큰 업적인 것처럼 칭송했다. 1960년 이승만 정권은 4·19혁명으로 붕괴되었지만 그 전리품은 보수정치인들이 차지하면서 이병도는 허정 과도정권에서 4개월간 교육부 장관을 맡았다. 이때 그는 학생들이 정치민주화와 친일파 청산으로 나가는 것을 극력 저지했고, 교원노조 활동을 극력 방해했다. 1961년 5·16 군사쿠데타가 발생하자 이병도는『최고회의보』창간호에 「5·16군사혁명의 역사적 의의」라는 글을 기고하여 쿠데타를 합리화시키는데 기여했다. 그는 또한 1977년에는 당시 중앙정보부장이던김재규의 사주를 받아 사육신 유응부를 김문기로 대체하려 했고, 자신의 집안친척인 이완용의 관 뚜껑을 불살라 버리는 반 역사적 행위를 서슴지 않았다. 그는 20년 가까이 학술원 원장을 역임했고, 1980년부터는 8년 동안 전두환 정권의국정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평생을 친일, 친독재로 일관한 이병도가 현재도 국사학계의 태두로 추앙받는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한국 국사학계가 왜 외국과 달리 국민들의 배척을 받는지를 말해주고 있다. Lee Byung-do is treated as a sacred scholar in the Korean academe of history not by his scholastic achievements but by the idolization conducted by his academic descendents who formed a major influential lineup in diverse areas of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Lee Byungdo’s personal records and view of histor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he is deserved for a sacred scholar. Lee was born as a scion of well known Woobong clan which was a representative family of Noron(老論), the central political force in late Joseon dynasty. He went on literature department of Waseda university. Although he intended to major in western history, he studied Joseon history due to influences from Yosida Dogo(吉田東伍) and Theuda Shogichi(津田左右吉). After graduation from the university he became a member of the Redaction Committee for History of Joseon which was under direct control of the Japanese vice-regal office, and participant in the projet to distort the history of Joseon in line with the guidelines made by the office. Lee was expelled from the Jindan Academic Association due to his pro- Japanese records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in 1945. However, he revived almost from death and made a long march flushed with senior scholar. His revival was attributable to overwhelmed anti-communism movement based on the policy of Lee Seung-man administration and the Korean war broken out in 1950. He admired Kim Chang-ryong who was the chief of counter intelligence corps of Korean army by writing epitaph for him. Kim was known to accuse many democratic figures of communists and massacred them. On the epitaph Lee praised Kim by stating that Kim eradicated 25,000 communists through arresting or killing suspects. Lee took the position of minister of education for four months in the Heo Jung’s interim government after the collapse of Lee Suung-man administration due to the April Revolution in 1960. During his tenure he blocked student movements toward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winding up pro-Japanese force, and interrupted activities of teacher’s union with an all-out effort. Lee contributed to justify the military coup d’tat in 1961 by writing an article under the title of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May military revolution’ on the first issue of 『Supreme Military Council Report』. He did not hesitate to conduct subversive activities contrary to historical facts: he attempted to replace Yoo Yeung-bu who is the one of four historic loyal subjects condemned to death with Kim Mun-gi, and burned the lid of his relative Lee Wan-yong’s coffin. He had been the chairman of the Council of Korean Academy for over twenty years, and a member of the Consultation Committee for State Affairs for eight years since Jeon Du-whan’s administration. The fact that Lee is treated as a luminary in Korean academic world of history in spite of his lifetime records of pro-Japanese and pro-dictatorship explains the reason why Korean people reject academic world of history contrary to foreign countries.

      • KCI우수등재

        斗溪 李丙燾(1896~1989)의 史學과 근대 한국사학의 수립

        金杜珍(Kim Doo-jin) 역사학회 2008 역사학보 Vol.0 No.200

        Lee, Byung-Do is the one who established a study of modem Korean history by cultivating such a wilderness of the study of Korean history in the past. A study of Korean history became systematic by Lee and his disciples. Afterward, the study of Korean history is not only raised in quantity but also high in quality, so that a remarkable progress has been achieved. Lee was more interested in an inner-life history such as history of theology rather than an outer-life history such as history of politics or economy. Therefore, on one side, Lee with Twoi-Gea and Yul-Gok specialized in a study of Korean Confucianism, and also established an apprehension system of Korean ancient history by starting studies on the theory of configuration of the ground, which was ruled the time of Koryu. Lee managed a foundation of the study of modem Korean history by re-establishing a study of positivism which was based on criticism in literature. Criticism in literature made Lee to have a critical perspective on study outcomes and cultures, but at the same time, it made him seek after truth by pursuing the truth of historical fact. While precisely re-examining the literature, Lee also broaden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in the literature by the introduction of subsidized science such as archeology, folklore, anthropology, etymology, etc. Especially, Lee claimed the results of his firsthand investigation on archeological relics into his study. On the other hand, Lee clarified that criticism in literature has a major key in the study of history, but the introduction of other subsidized science is minor. The historical study of positivism was based on the German historian, Ranke, Leopold von's study of modem history, By using criticism in literature, to find the truth of history which was wrongly recorded is very important. It is important to bear in mind that the criticism in literature has an intention on restoration of documents by finding out truth from falsehood. If the colonial historians under the Japanese ruling period discarded Korean documents with false criticism, also committed themself to study on the restoration of Japanese documents. Unlike the study of colonial history, Lee devoted himself to his study on the restoration of Korean documents, and it has to be inherited and developed continuously.

      • KCI등재

        동학농민군 이병춘의 생애와 독립운동

        정을경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3

        Donghak peasant armies who participated in Donghak peasant innovation developed in 1894 at Chungcheong-do, Jeolla-do displayed Donghak rehabilitation activity and after 1905, entered Cheondogyo reorganizing Donghak and displayed religious activities. In addition, people who played a great role in Donghak conducted activities such as initiative participation in independence movement of religious body. However, the activities were also grasped by restricting people who did a great role. Donghak peasant revolution occurred for antiforeign, through the process of anti-Japan and independence movement of Donghak people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it will be the opportunity to analyze the ideology. Through a person ‘Lee, Byung-chun’ born in Imsil, Jeollabuk-do, this researcher intends to investigate how Donghak peasant armies are related to 1919 independence movement. He planned 1919 independence movement displayed in Tapdong Park, Seoul, and was sentenced 3 years of imprisonment due to the participation. After discharged from prison, his payment of military fund to provisional government was discovered and sentenced by 2 years of imprisonment again. As his contribution was recognized by government, he obtained a prize of patriotism. There is few matters other than it. As Lee, Byung-chun believed Donghak in the middle of 20s, he played in Donghak and Cheondo religious body for his whole lifetime. After participating in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middle of the 20s, he contacted Donghak leaders continuously in spite of the failure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contributed to rehabilitation of Donghak. And then, as Donghak was reorganized to Cheondogyo in 1905,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body and became a core person of the body. In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displayed in the whole country, he collected fund of independence movement, etc., and was imprisoned for 5 years. But, his core activities were not revealed yet properly and it’s the assignment to be solved in the process of following researches. After Lee, Byung-chun was imprisoned due to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he displayed activities continuously in the religious body. The activities were neither independence movement showed outward nor racial movement, but Cheondo religious body continuously took an important position. He supported Park, In-ho who was the 4th religious sect leader at that time and it implies that he participated in non-negotiated movement displayed by old sect. Most of Donghak religious people including Lee, Byung-chun participated in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body, including religious activities, continuously in Cheondogyo. 1894년 전라도와 충청도를 중심으로 전개된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했던 동학농민군들은 이후 동학농민군들은 동학 재건활동을 펼치기도 하고 1905년이후에는 동학이 재편되는 천도교로 입교하여 교단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또한 동학에서 큰 활동을 했던 인물들은 교단에서 진행한 독립운동에 주도적인 참여를 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역시도 크게두드러지는 활동을 했던 인물들에 한정되어 활동상이 파악되는 것에 그쳤다. 반외세라는 기치를 걸고 일어난 동학농민혁명, 그 혁명에 참여한 동학교인의항일, 독립운동으로의 과정을 통해 이념을 분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전라북도 임실 출신 ‘이병춘’이라는 인물을 통해 동학농민군이 3.1만세운동에 어떻게 연관되어 참여하였는지 추적해보려고 한다. 이병춘이라는 인물은서울 탑동공원에서 전개된 3.1만세운동을 계획하였을 뿐 아니라 참여하여 징역 3년을 언도받았고, 출옥 이후에도 임시정부에 군자금을 송금하다가 발각되어 다시 징역 2년을 언도받았다. 이러한 공로를 정부로부터 인정받아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이 사실 이외에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이병춘은 20세 중반 동학을 믿게 되면서, 생을 마감할 때까지 일평생 동안 동학과 천도교단에서 활동한 인물이었다. 20세 중반 동학농민혁명 참여를 시작으로, 동학농민혁명이 실패로 귀결되었음에도 꾸준히 동학의 지도자들과 접촉하면서 동학의 재건활동에 힘을 쏟았다. 이후 1905년을 기점으로 동학이 천도교로 재편되면서도 교단에서 중요한직책을 맡으면서 교단의 핵심 인물로서 역할을 하였다. 그런 그가 전국적으로 전개되는 3.1운동에서는 독립운동자금을 모금하는 등의 활동으로 5년이라는 기간의 옥고를 치르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그의 이 핵심적인 활동이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은 향후 연구를 진전시키는 과정에서 해결해야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이병춘은 3.1만세운동과 관여된 활동으로 옥고를 치룬 이후에도 꾸준히 교단에서 활동을 전개한다. 그 활동이 겉으로 드러나는 독립운동이나 민족운동은 아니었지만, 꾸준히 천도교단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였다. 또한 그가 당시 4세 교주였던 박인호를 지지하였다는 점은 구파가 전개한 비타협 운동노선에 함께 했다는 점을 시사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이병춘을 비롯한 대부분의 동학교인들은 천도교에서도 꾸준히 종교활동을 포함한 교단의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

        이병도의 측면사(側面史), 『고려시대(高麗時代)의 연구(硏究)』 검토

        장지연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4

        This article reviews “A Study on Goryeo dynasty” by Byung-do Lee, in the aspects of background, methodology and spread. This is made with regard to view his work as ‘forming and moving’ knowledge, rather than as ‘completed and fixed’ one. Lee chose this topic with a strategy of evasion and confidence. The former refers to not touching on the territory of other Japanese scholars, and the latter refers to this confidence in traditional Korean Pungsu(feng shui) knowledge. He assumes that Pungsu or Docahm has not been changed at all, in the point that it is nonsensical superstition. This produces the view Pungsu and Docham in the Goryeo Dynasty, were explained in terms of the anxiety and struggle of kings and subjects. As a result, his research could not escape from the colonial perspective. Methodologically, Lee compensated for the lack of sources with Chinese feng shui books and fieldwork. The Chinese feng shui books are problematic in that they cannot be viewed as geographical knowledge of the Goryeo period, and the field trips seem to borrow from modern academic methodologies, but in the end, they were no different from the feng shui experts’practices in the point relying on their own intuition of feng shui discernment. The term "Pungsujiri" was first invented by Lee and is only used in Korea. He invented the term "Umyangjiri" from the beginning of his research in his Japanese article in 1926, but in his newspaper columns in the 1930s(Joseon Ilbo), he changed it to "Pungsujiri" by adding the familiar "Pungsu" instead of the unfamiliar "Umyang". The implication was that it could be called "geography" because it deal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 and humans, and that this relationship was based on the same logic as yin and yang. The 1948 edition retains the term and seems to have been popularized by the 1950s at the latest. The introduction to the 1980 revised edition actively evaluated Pungsu as a geo-phrenology or geo-philosophical discipline. The strengths of Byung-do Lee's scholarship, such as his deep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traditional knowledge, his careful and extensive documents’ reading, and his enthusiastic fieldwork, are on full display in this book. However, the book suffers from a major flaw in that he chose a topic of convenience without understanding the colonial bias of academic arena of the time, and he relied on his own pungsu intuition, which he mistook for modern academic methodology. However, by inventing the new term 'Pungsujiri', he presented the subject as something more than a superstition, and this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our academic and social attitudes towards feng shui to this day. 이 글에서는 이병도의 고려시대의 연구를 크게 배경과 방법론,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했다. 이는 완결・고정된 지식으로서가 아니라 형성 중이고 움직인 지식으로 이병도의 연구를 바라보기 위한 것이다. 이병도는 비껴가기 전략과 자신감으로 고려시대의 풍수 도참이라는 주제를 선택했다. 전자는 다른 일본인 학자의 영역을 건드리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후자는 전통적인 풍수 지식에 대한 자신감을 의미한다. 그는 풍수나 도참은 황당한 미신이라는 점에서 시대와 무관하게 변함이 없었다고 전제했다. 이러한 부정적 시각은 고려시대의 풍수나 도참의 유행을 권력층의 혹신이나 사회불안으로만 설명하게 했는데, 결과적으로 식민사관의 관점을 강화시켰다. 이병도는 관련 사료의 영성함을 중국 풍수서와 현장 답사로 보완하였다. 그가 참조한 중국 풍수서는 고려 시대의 지리지식으로 볼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으며, 현장 답사는 일견 근대적 학문 방법론을 차용한 듯하였으나, 결국 자신의 풍수적 안목이라는 직관에 의거함으로써 지관의 풍수 행위와 다를 바가 없었다. ‘풍수지리’라는 용어는 그가 처음 고안하여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한다. 그는 1926년 일본어로 발표한 연구의 시작부터 ‘음양지리’라는 용어를 만들었다가, 1930년대 신문 연재를 하면서 대중에게 생소한 ‘음양’ 대신 익숙한 ‘풍수’를 붙여 ‘풍수지리’로 바꿨다. 이는 땅과 인간과의 관계를 다룬다는 점에서 ‘지리’라는 말을 붙일 수 있으며 그 관계가 비록 신비적이기는 해도 음양론 같은 논리에 기반한다는 의미에서 붙인 것이다. 1948년 단행본에도 이 용어가 그대로 사용되며 늦어도 1950년대 무렵에는 대중화된 것으로 보인다. 1980년 개정판의 총론에서는 ‘풍수지리’를 지리관상학 혹은 지리철학으로까지 적극적으로 평가하였다. 한학적 전통에 대한 깊은 이해, 치밀하고 넓은 사료 섭렵과 열정적인 현장 조사와 같은 이병도 학술의 장점은 이 책에서도 남김없이 발휘되었다. 그러나 당대 학술장에 대한 조망 없이 편의상 주제를 선택함으로써 식민주의적 관점의 자장에서 벗어날 수 없었고, 논증의 마지막은 자신의 풍수 직관에 의거하였음에도 이를 근대적 학문 방법론으로 오인한 결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럼에도 그는 ‘풍수지리’라는 새로운 조어를 통해 이 주제를 척결해야 하는 미신 이상의 무언가로 제시했으며, 이는 현재까지 풍수를 대하는 우리의 학문적, 사회적 태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KCI등재

        고려시대 風水地理思想의 이해 방향

        박종덕(Park, Jong-Deok)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5 No.-

        기존의 고려시대 풍수지리사상 연구는 논설이 분분하지만 크게 두 가지 점에서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첫째 풍수지리와 도참의 구분이 모호하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풍수지리사상을 고려왕조의 변혁논리 또는 재건논리로 활용되고 있지만, 그 이론에 대한 근본적인 연구가 전무하다는 점이다. 풍수지리는 음양론과 오행설을 기반으로 땅에 관한 이치, 즉 지리를 체계화한 전통적 논리구조이며, 도참사상은 앞으로 일어날 사건의 징후·암시를 뜻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다면 풍수지리와 도참은 근본논리에서부터 동일시할 수 없다. 한편 이러한 풍수지리사상은 지기地氣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또한 이것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기가 완성되어 나가는 것을 밝히는 것이기 때문에 국왕의 통치술로 활용되고 있다. 이를 잘 볼 수 있는 것이 『예기』의 월령편의 휼령이다. 다음은 풍수지리사상에 대한 연구경향 가운데 이병도의 업적에 대해 몇 가지를 지적하였다. 이병도는 인간생활의 길흉화복과 성쇠득실을 추구하는 측면에서 풍수와 도참을 동일시하고 미신적으로 치부하였다. 그러나 고려 태조 왕건의 신성성을 나타내는 것이나 용손의식을 볼 때 풍수지리를 직접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삼소론에 대한 것이다. 이병도는 명종대에 처음 삼소가 제기된 것은 바로 도참가들의 주청에 의한 것이며, 이는 왕실의 쇠미, 재이 발생이 잦음에서 찾고 있다. 그러나 삼소는 기본적으로 수도인 개경의 부족한 부분을 비보적으로 보완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므로 고려초부터 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마지막으로 『지리신법』의 사용여부이다. 『지리신법』은 이기파적 풍수지리서이다. 이병도를 비롯한 연구자들은 고려시대에는 형세론에 입각한 풍수지리만 사용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리신서』가 고려초기에 국왕의 강력한 요구에 의해 수입되었다는 점, 국왕과 관료들의 장례날짜를 택일하는 방법 등에서 살펴보면 고려중기 이후에는 『지리신서』가 어느 정도 활용되었으리라 본다. Although the existing Feng Shui Jiri ideology of Thought Studies is divided into two parts, it can be pointed out two limitations. First, the distinction between Feng shui and Docham is vague. The second is the use of Feng Shui Jiri ideology as the logic of the transformation or reconstruction of the Goryeo dynasty, but there is no fundamental research on the theory. Fengshui is a traditional logic structure that organizes geographical facts based on the Yin-Yang theory and the O-hang theory of the five-line theory, and the subconscious idea is the sign and implication of future events. From the above, it can not be identified from the basic logic. On the other hand, such Feng shui geography is closely related to the geographical location. The idea of Feng Shui Jiri is used as the king "s sovereignty because it reveals that the harmonious period of man and nature is completed. This is a good example of the Hulrung at the Wulrung of Yegi. In the following, I pointed out some of Lee"s accomplishments in the study trend of Feng Shui Jiri ideology. In the following, I pointed out some of Lee "s accomplishments in the study trend of Feng Shui Jiri ideology.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use of Feng Shui is directly used when it shows the sacredness of Goryeo Taejo. The following is about Samsonron. Lee Byung-do is the first to be raised in the Jongjong Daejeon by the municipal authorities of the militia, and it is looking for the dwindling of the royal family and frequent occurrence of ashes. However,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Samso has been installed since the beginning of Goryeo because it was basically installed to complement the deficient portion of the capital city "s openings. Finally, it is the use of geographical new law. The geography new law is a selfish wisdom. Lee Byeong-do and other researchers said that only Feng Shui-ji based on the model theory was used in the Goryeo period. However, the geography book was imported by the King"s strong demand at the beginning of Goryeo, and how to choose the funeral date of the King and the bureaucrats.

      • KCI등재

        <청해별곡(靑海別曲)> 연구

        이은주 국문학회 2017 국문학연구 Vol.0 No.36

        This paper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eonghae Byeolgok(Song of the Blue Sea)", which is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the Yonsei Univ. It was discussed with the focus on composition and contents. "Cheonghae Byeolgok" is a 117 numbers of poems written by Lee Byung-wook, who went to Bukcheong in Hamgyung-do in 1890. This work is influenced by Shin Kwang-soo's "Song of Kwanso" mentioned in the preface, and in particular inherits the three elements of the area, the provincial governor, and the gisaeng. I first summarized the facts of Lee Byoung-wook's writing on this work and the time of his creation of 1891, and left a question. In terms of composition, I understand this in two ways, content classification and part independent. Since "Cheonghae Byeolgok" is basically shaped by the ideal of Bukcheong, it has the perception that the problems faced by Bukcheong people at the time have also been solved. When Lee Byung-wook went to the Bukcheong, he faced the realistic problems of Bukcheong revolt and flood that occurred between 1888 and 1890. It is also important to remove the stigma of a culturally depraved area. In the "Cheonghae Byeolgok", he set up the provincial governor as a savior to solve this problem. He added an image of romance and abundance to the poems by giving weight to the gisaeng. 이 논문은 연세대 소장본 『청북근조(靑北近調)』에 수록된 <홍라관장청해별곡(紅羅館藏靑海別曲)>(이하 <청해별곡(靑海別曲)>으로 약칭)의 특징을 구성과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한 것이다. <청해별곡>은 1891년에 함경도 북청을 다녀온 이병욱이 쓴 117수의 지방죽지사이다. 서문에서 언급된 신광수의 <관서악부>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특히 지역, 지방관, 교방이라는 세 요소를 주축으로 하고 있다. 먼저 이 작품을 쓴 이병욱의 인적사항과 창작시점인 1891년에 대해 밝힌 것과 의문이 남는 점을 정리하였고, 구성이라는 측면에서 <관서악부>와 차별되는 지점을 열거식 구성과 독립적인 부분의 존재, 이렇게 두 가지로 파악했다. <청해별곡>은 기본적으로는 북청의 이상적인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고 있기 때문에, 당시 북청부민들이 직면하고 있던 여러 문제점들도 해결되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이병욱이 북청에 갔을 때 직면했던 현실적인 문제는 1888년에서 1890년 사이에 일어난 북청민란과 수해였다. 또 그동안 문화적으로 낙후된 지역이라는 오명을 벗는 것도 중요한 문제였다. <청해별곡>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구원자로 지방관을 의미 있게 설정하였고, 교방의 기생들에 비중을 둠으로써 시에 낭만과 풍요의 이미지를 덧붙였다.

      • KCI등재

        논문 : 고전비평의 탄생 ; 가람 이병기의 문학사적,지성사적 위치

        최원식 ( Won Shik Cho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49 No.-

        가람 이병기(1891~1968)는 연구와 비평과 창작, 세 방면에서 우리 문학의 졸가리를 세우는 일에 기여한 드문 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냉전의 여파 속에 합당하게 평가되지 못했다. 민족의 해방과 새 나라의 건설을 위해서는 이념을 넘은 통합이 필요하다는 중도노선에 서서 어문운동을 바탕으로 지식인의 광범한 협동을 실천했지만, 특히 문학분야에서 더욱 뚜렷하다. 민족주의적 국학과 실증적 조선학을 아우른 가람은 또한 비평적 능력이 탁월했으니, 당시 국문학연구에는 우리 고전문학유산의 문학성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그 가치의 높낮이를 평가할 능력 즉 문학비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는 우리 고전 특히 한글문학유산에 대한 뛰어난 안목을 바탕으로 정전의 재편을 선구적으로 수행하였으니, 이 점에서 가람은 1세대 국학파와 2세대 실증파를 겸한 위에 3세대 미학파까지 아울렀던 것이다. 가람의 비평적 능력이 밝게 드러난 데가 바로 시조혁신론이다. 장르의 역사성을 무시한 1920년대의 복고적 부흥론과 달리 그는 "시조도 한 문학"이라는 명제를 세운다. 이 명제는 ``실감실정``과 ``읽는 시조``에 의해 지지된 바, 소리 중심의 시조를 말을 축으로 다시 파악함으로써 노래에 묻힌 시조를 리얼리즘에 입각한 근대문학으로 인도하였던 것이다. 수준 높은 비평안에 의해 시조를 비롯한 우리 한글문학유산은 마침내 고서뭉치에서 걸어나와 국민교양으로 되었으니, 그는 최초의 고전비평가였던 것이다. Inspite of Lee Byung-gi`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s a sijo poet and a literary critic and a scholar, he has been underestimated mainly due to the shade of cold war period in Korea. He thought that ideological confrontations between nationalism and socialism must have been overcomed for the sake of national liberation and national independence. but the Korean War made hie hope a wild dream. From today`s point of view even his failure was meanigful. As a scholar of Korean literature, he combined patriotism of Gukak school(國學派) with academism of positivists(實證派). Furthermore, he had an eye for the beautiful. This benefits made him a pioneer in organizing the canons of classic Korean Literature. Particularly the field of sijo gave him a chance to show his eminent critical talent. Basing on the thesis that sijo is a literature, he tried to reform traditional sijo into modern poetry. By his critical efforts, the old Korean literature including sijo becoming a living national culture, honorably he is the first critic of classic literature.

      • KCI등재

        정선아리랑 수용 공연콘텐츠의 양상과 특징 고찰

        박경수 한국구비문학회 2023 口碑文學硏究 Vol.- No.68

        이 논문은 민요 정선아리랑을 수용한 공연콘텐츠를 폭넓게 조사하여 그 현황과 상호관련성을 파악한 후, 이들 공연콘텐츠에서 정선아리랑이 어떠한 서사와 결합하면서 가창되고 있는지 그 양상과 특징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선아리랑을 수용한 창작 공연콘텐츠는 다양했다. 이들 중 김도후의 극본이 전체 23편 중 16편인데, 김도후가 각색, 연출한 1편을 더하면 17편이다. 김도후의 극본들 중에는 정선아리랑을 고려 말 칠현 서사와 결합하여 가창하는 콘텐츠들, 세 자매의 기구한 인생 서사와 결합하고 있는 콘텐츠들, 그리고 아우라지 전설을 재구성한 서사 등 독자적 서사와 결합하고 있는 콘텐츠들로 크게 세 유형을 보여주었다. 첫째 칠현 서사와 결합하고 있는 정선아리랑 창극으로 <아! 정선, 정선아리랑>(2000)과 <신들의 소리>(2001)를 대표로 들 수 있다. 전자는 칠현의 안내로 정선이 정선아리랑의 의미를 깨닫게 된다는 것으로, 칠현 서사와 정선의 성장 서사가 결합되면서 정선아리랑이 가창되는 특징을 보인다. 후자는 칠현의 서사를 스토리텔링의 중심 서사로 삼으면서 정선아리랑이 가창되는 경우이다. 전ㆍ후자 모두 칠현 서사의 무비판적 수용에 따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둘째 유형은 세 자매의 기구한 인생 서사 속에서 정선아리랑이 불리는 것으로, 대표적 극본으로 <아리랑고개 너머>(2009)가 있다. 셋째는 여러 독립된 서사와 결합된 정선아리랑 창극 유형이다. 아우라지전설을 조혼풍속의 폐해와 연결하고 있는 창극으로 <아우라지>(2002), 하늘의 아름다운 소리를 훔친 어둠의 마왕으로부터 하늘의 천사인 다섯 아리아나가 다시 소리를 되찾는 과정을 정선아리랑과 흥미롭게 엮은 창극 <소풍>(2009), 조혼풍속을 현대사 속에서 각시의 성장 서사에 따라 정선아리랑을 부르는 창극 <어머이>(2012)가 있다. 한편, 허규의 <애오라지>(1980)는 정선아리랑을 수용한 첫 희곡 작품으로, 민담의 환상적 스토리에 정선아리랑이 부분적으로 교합되어 인간의 이기적인 욕망이 허황된 꿈에 지나지 않는다는 일깨움을 준다. 이하륜의 <아리랑 정선1>(1980)은 아우라지 전설에 밀착된 서사의 극적 구성에 정선아리랑이 결합된 면모를 보여준다. 이 작품은 이후 정선아리랑의 창극 창출에 상당한 자극과 영향을 주었다. 최병화의 <메나리>(2014)는 선녀와 나무꾼, 견우와 직녀 설화를 혼성한 스토리를 바탕으로 선녀인 월녀와 농사꾼 월우 사이의 애틋한 사랑의 서사에 정선아리랑 등 동부메나리로 부르는 여러 소리를 결합한 창극이다. 윤정환의 <아리아라리>(2018)는 가족사 스토리를 새롭게 구성한 서사, 자연스러운 극적 구성을 보여준다. 특히 뗏목 운반에서 경복궁중수사업으로 연결되는 서사에 따라 정선아리랑을 비롯한 여러 민요가 다채롭게 가창됨으로써 경쾌하면서도 진지한 창극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재북(월북) 작가 전무길(全武吉)과 식민지 시기 언론·문화 네트워크

        김미지(Kim, Miji)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9

        1920~30년대에 소설가, 기자, 잡지 편집인으로 활발하게 활동했던 황해도 출신의 작가 전무길(1905~?)은 수많은 월북/납북, 재북/귀북 작가들과 마찬가지로 오래 잊힌 이름이었다. 황해도 안악과 경성, 상해 등지를 종횡무진 하다가 해방 이후 북에 남은 그는 삶의 이력이 거의 드러나지 않은 작가이다. 이 글은 재북작가 전무길의 행적을 추적하면서 그를 둘러싼 인적 네트워크를 그려 보고자 한 것이다. 그는 안악에서 주로 활동하면서 명륜강습소 사건으로 두 차례 검거되기도 했고, 경성의 신문 잡지계에서도 활발하게 문필활동을 지속했다. 그의 이런 행보 뒤에는 황해도 출신으로 먼저 ‘중심’에 진출했던 동향의 선배들이 있었다. 또한 그가 창간한 잡지 『대조』의 필진들의 면면에서 그가 황해도 및 서북지역 그리고 휘문고보와 도요대학(東洋大學)의 인적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면서 또 그 네트워크의 확대에 기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글에서는 그의 조부가 김구와도 인연이 있던 황해도의 ‘개명(開明)한 군수’ 전봉훈이라는 사실을 밝히고, 그가 지역에서 조부의 유지를 이어가려는 사명을 놓지 않았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전무길은 카프 바깥의 변방 사회주의자의 길과 ‘자각한 지주이자 독지가’라는 상반된 길을 함께 걸어간 드문 사례로서, 식민지 시기 중심과 주변의 위계를 넘나들며 전방위적으로 활약한 문인의 존재론을 살피는 데에 주요한 참조점이 된다. 또한 그의 행로가 해방과 분단의 과정에서 어떻게 굴절되고 좌절되었는지를 살피는 일은 분단문학사를 고민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Jeon Mu-gil(1905~?), a writer from Hwanghae-do who actively worked as a novelist, reporter, and magazine editor in the 1920s and 30s, was a long-forgotten name, like numerous writers who chose(went to) North Korea after the 1945 liberation. This study aims to draw a human network surrounding Jeon Mu-gil while tracking his life and whereabouts. While mainly working as a socialist educator in Anak province, he was arrested twice for ‘violation of security’, and also actively continued his writing in various media in Gyeongseong. This study examined especially the writers of the magazine Dai cho(大潮), which he founded, and found that he actively utilized the human network in the Hwanghae-do(and northwest regions) and also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network.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his grandfather was Jeon Bong-hoon, the “reformed county governor” who also had ties with Kim Gu, and he did not give up his mission to continue his grandfather’s tasks. Jeon Mu-gil’s life was that of a socialist on the periphery outside the KAPF and of “self-aware landlord.” Examining how his life and choice was refracted and frustrated in the process of liberation and national division could also have implications for contemplating the unified history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