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존 웨슬리와 선교적 신학교 훈련 모델: 감리교신학대학교를 중심으로

        장성배(Sung Bae Ch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세계 Vol.- No.97

        이 논문은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웨슬리적 강점을 살린 ‘선교적 신학교’(missional seminary)의 훈련 모델을 찾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이 연구는 감리교신학대학교(이하 감신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선교적 신학교인 감신대가 한국교회와 세계교회에 기여하기 위해서 웨슬리적 목회와 선교의 강점을 확인하고, 이러한 목회와 선교를 감당할 교회 지도자들을 배출하는 길을 찾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2장에서는 선교에 대한 정의를 하고, 21세기 선교의 주요 흐름을 살펴보았다. 그 후에 선교적 신학교와 관계하는 중요한 축들의 상호 관계를 이해해 봄으로써 선교적 신학교가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이해해 보려고 했다. 3장에서는 선교적 신학교가 수행해야 할 훈련에 대해 답을 찾기 위해서, 변화하고 있는 대학들의 주요 흐름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이 시대가 요구하고 있는 인재상이 어떤 것이고, 대학들은 그러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감신대의 훈련 모델 개발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도 질문했다. 이 장에서 다룬 미래 인재상의 주요 요소들은 (1) 수행능력, (2) 수용성, (3) 네트워킹 능력, (4) 글로컬 능력, (5) 섬김 능력, (6) 이성의 여섯 가지였다. 4장에서는 전장에서 다뤘던 대학교육 변화의 과제를 안고 웨슬리적 훈련 모델의 근거를 세워보고자 했다. 두 가지 접근이 이뤄졌는데, 첫째는 웨슬리의 4변형이 선교적 신학교의 훈련 모델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였다. 이 과정에서 이 연구는 ‘하나님의 선교 중심 웨슬리의 4변형’의 관점에서 훈련 모델을 검토했다. 성서, 전통, 이성, 경험 위에 하나님의 축이 있는 모델이었다. 이 관점에서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웨슬리의 4변형을 우리의 중요한 요소들과 연결해 보았는데, 현대 교회가 감당해야 할 선교적 비전을 형성하는 관점에서 ‘전통’을 현재 우리의 ‘교회’로, ‘경험’을 ‘세상’으로, ‘이성’을 ‘비전/청사진’이라는 단어로 바꿔서 이해하면서 교육 훈련의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웨슬리적 훈련 모델의 두 번째 근거를 위해서 웨슬리의 선교에서 나타난 12가지 주제들을 검토하고, 그에 따른 신학교육과 훈련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그 12가지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1) 거리에서 선포, (2) 교회 밖에서, (3) 가난한 자를 향해, (4) 사랑의 섬김, (5) 하나님 나라 운동, (6) 총체적 선교, (7) 거룩을 향해, (8) 성령과 사람 중심의 교회론, (9) 만인 사명자, (10) 소그룹 공동체, (11) 마을마다, (12) 땅 끝까지. 선교적 신학교의 훈련 모델의 추가적인 연구들이 이어져서 보다 견고하고 정교한 훈련 모델이 세워지기를 기대한다. 또한 그에 따른 구체적인 프로그램도 개발되어서 실제적으로 미래형 영적 지도자들이 배출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find a training model for a missional seminary that used Wesley’s strengths in a rapidly changing situ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Korean church and the global church, we tried to identify the strengths of Wesleyan ministry and missions, and to find ways to produce church leaders who can handle these ministry and missions. In chapter 2, we defined mission and investigated the main trends of mission in the 21st century. By understanding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important axes associated with missionary seminary, I wanted to understand how missionary seminary works. In Chapter 3, we looked at the main streams of changing universities to find answers to the training that missionary seminaries should perform. To this end, this study looked at what kind of talent this era is demanding and how universities are changing to cultivate such talent. We also asked what these changes mean for developing the training model for the missional seminary. The main elements of future talent covered in this chapter were (1) performance (2) receptivity (3) networking (4) local skills (5) service (6) reason. In Chapter 4, I tried to establish the basis of the Wesleyan training model. Two approaches were taken. The first was how Wesley’s quadrilateral could be used as a training model for missionary seminary. In the process, the study examined the training model in terms of ‘God’s mission-oriented Wesley’s four transformations’. For the second basis of the Wesleyan training model, 12 topics in Wesley’s mission were reviewed and theological education and training methods were followed. The 12 themes are: (1) Proclaim in the street (2) From the outside of the church (3) Toward the poor (4) Serving of love (5) The kingdom movement (6) Holistic mission (7) To holiness (8) Holy Spirit and people-centered ecclesiology (9) Missionaryhood of all human beings (10) Small group community (11) To village (12) To the ends of the earth. It is hoped that further studies of the training model of the missionary seminary will follow to establish a more robust and sophisticated training model. It is also hoped that specific programs will be developed to produce future spiritual leaders.

      • A Proposal for Methodist Mission and Methodist World Mission

        Kim, MinSeok(김민석)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세계 Vol.- No.85

        이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감리교 신학적 관점에서 감리교의 사명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필자는 먼저 감리교내에서 사명에 대한 진술의 역사적 변화를 살펴본다. 두 번째 목적은 감리교 사명에 근거한 감리교에 적합한 선교 신학적 관점 혹은 모델, 감리교 선교사들에게 적합한 자기정체성, 그리고 선교 현장에 대한 태도 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요에르크 리거(Joerg Rieger) 박사가 제안한 선교의 유형들에 대한 분류법(mission as outreach, relationship, and inreach)을 차용한다. 그리고 특별히 “mission as inreach” 모델을 감리교 신학의 관점에서 보완하여 해석한다. 감리교를 포함해서 식민지 시대와 신식민지 시대의 교회, 그리고 심지어 현대 지역 교회의 대다수의 성도들은 선교를 아웃리치(outreach)활동들로 간주해 왔다. 그리고 ‘mission as outreach’ 관점의 선교 정책은 식민지 시대에는 정부의 식민지 정책과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연결되어 있었고, 세계화 시대에는 ‘자유주의 시장’의 경제적 권력으로서의 자본주의와 연계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 상황 속에서 행해진 (특별히 서구의 선교사들에 의해 행해진) 선교는 선교 현장의 선교 대상자들에게 상처를 주었으며 또 주고 있다. 리거(Joerg Rieger) 박사는 ‘mission as outreach’로서의 선교유형에 내재되어 있는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보다 진일보한 선교 모델 혹은 관점들로 ‘mission as relationship’과 ‘mission as inreach’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두 대안 모두 각자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Mission as relationship’ 관점은 선교 현장과 선교 신학에서 선교사들과 선교 대상자들과의 ‘비대칭 관계’를 유발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Mission as inreach’ 관점은 ‘하나님께서 첫 번째 선교사이시다’라는 확신을 강조한다. 또한 선교는 타자의 회심이 아닌 선교사 자신의 회심에서부터 출발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문제는 ‘mission as inreach’ 관점에서 하나님의 ‘inreach’ 에 대한 과도한 강조는 선교사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사역이 독단적이라고 생각하게 만들어 결국에는 하나님의 선교 현장 속에서 적절한 자신들의 사역과 자리를 찾는 것을 실패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웨슬리의 신학은 하나님의 선교/사역에 있어서 하나님의 우선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인간의 참여 또한 무시하지 않기 때문에 필자는 감리교 신학적 관점에서 ‘mission as inreach’ 모델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면 감리교 선교에 잘 활용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proper understanding of mission in Methodism; for this purpose, the author pays close attention to the historical transitions of mission thought in Methodism. The second objective is to explore healthy self-identity for Methodist missionaries as well as a theologically proper attitude toward mission field from a Methodist perspective. To do this, the author appropriates Joerg Rieger’s categorization of mission models as “outreach, relationship, and inreach” for his own use. In particular, the author interprets Rieger’s “mission as inreach” model in light of a Wesleyan perspective. The “mission as outreach” model has been predominant in the churches of the colonial and neocolonial periods, including the Methodist Church. The majority of contemporary local churches consider mission in terms of outreach activities. Strategies of “mission as outreach”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directly or indirectly linked to the policies of the colonial government. Further, in the later neocolonial period, mission was connected with capitalism as the economic power of “free market.” In this context, missionary works (in particular, those of Western missionaries) have left uncurable scars and trauma to indigenous people in the mission field. The concepts of “mission as relationship” and “mission as inreach” in Joerg Rieger offer better alternatives to remedy the defects of the “mission-as-outreach” perspective. However, both have respective weaknesses. The perspective of “mission as relationship” tends to generate an asym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missionaries and those who are to be evangelized(or proselytized), both in its appropriation into mission fields and in its theological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 of “mission as inreach” had advantage in its conviction that God is the first missionary. It also emphasizes the idea that mission begins not with the conversion of the other, but with the conversion of the missionary himself/herself. Its problem lies in its undue emphasis on “mission as inreach,” which can lead missionaries to the belief that God’s works are unilateral and which can lead them to a failure to find one’s proper role and place in God’s mission. The author is confident that the weakness of the “mission as inreach” perspective can be overcome by Wesley’s thought and then can be appropriated for Methodism because Wesley’s theology emphasizes not only God’s initiative but also human participation in God’s mission.

      • 과학신학 연구방법론: 과학과 신학의 대화의 방향성

        장재호(Jaeho J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세계 Vol.- No.99

        복음이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토양이 상당히 중요하다. 현대는 과학이 중요하게 부각되는 시대이기에 현대의 신학은 반드시 과학과 대화를 해야 한다. 특히 다윈의 『종의 기원』의 등장은 신학계에 여러 가지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본 글은 지금까지의 과학과 신학의 대화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고, 앞으로의 대화가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 글이다. Ⅱ장에서는 과학과 신학 간에 바람직하지 못한 대화를 추구한 “창조과학” 운동과 “지적 설계” 논쟁을 다룰 것이고, Ⅲ장에서는 과학과 신학의 경계 논쟁을 짚어볼 것이다. “상대주의적 과학관”의 등장은 과학의 정의에 새로운 논의를 불러 일으켰는데, 이로 인해 과학과 신학의 경계에 대한 논쟁이 등장했다. Ⅳ장에서는 과학신학 연구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과학적 무신론에 대한 대응 방향과 앞으로의 과학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찰해 볼 것이다. 결론에서는 글을 마무리하며, 과학신학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간략히 논할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과학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하나님의 창조 사역이 현대 과학과 모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과학의 도움으로 더욱 생생하게 드러나게 됨을 논증하는데 있다. 또한 과학신학이 어디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필자의 생각을 나누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methodology of a scientific theology, focusing on the dialogue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I analyze the past and present dialogue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to give direction to the future study of “scientific theology.” The main discussion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I expound “creation science” and “intelligent design” as undesirable conversations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The second part focuses on the boundary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Relativism and the demarcation problem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deserve the fullest consideration to improve research. The third part of the main discussion relates to the recent research trend of scientific theology and my suggestion for its future study as a challenge against the New Atheists. After providing a short summary of the key points raised, I conclude with suggestions regarding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scientific theology. I hope that these reflections will add scholars in the comparative study of science and theology and help Christians who live in a scientific age to gain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 스택하우스 신학의 공공성에 관한 에큐메니칼 신학적 해석

        박도웅(Park, Do Woo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세계 Vol.- No.87

        이 논문에서 필자는 한국 사회와 교회에 나타나는 불공정하고 불의한 모습들에 대한 기독교인들과 교회의 책임을 공공신학의 관점에서 상기하면서, 기독교인들과 교회의 역할과 책임을 돌아보기 위하여 실천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을 제공하는 공공신학의 성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는 공공신학의 등장과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공공신학을 발전시켜 온 학자들 가운데 맥스 스택하우스를 택하여 그의 공공신학과 그가 강조하는 공공성을 관찰할 것이다. 에큐메니칼 신학의 관점에서 그의 신학의 중심 개념인 공공성과 교회의 실천적 책임을 해석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택하우스 신학의 구조와 형식, 그리고 범위와 방법론을 간략하게 살피고 에큐메니칼 신학이 강조하는 교회의 실천적 책임을 소개할 것이다. 이러한 비교를 통하여 공공신학에 대한 에큐메니칼 신학적 해석을 수행하고 오늘날 한국의 기독교회에 요구되는 정체성과 사명에 관한 영감을 찾고자 한다. 에큐메니칼 신학은 세계교회협의회 총회를 통하여 교회론을 발전시켜왔다. 특별히 2013년 한국에서 열린 세계교회협의회 제10차 총회에서 발표된 두 개의 문서 “교회: 공동의 비전을 향하여”와 “함께 생명을 향하여: 기독교의 지형 변화 속에서 선교와 전도”는 교회와 선교에 대한 에큐메니칼 신학의 최신 개정판이다. 이 문서들에 담긴 교회의 역할과 책임을 공공신학의 공공성 개념과 연결시켜 보면서, 한국교회가 한국사회의 새로운 소망이 될 수 있는 방향을 공유하고자 한다. 공공신학의 성과들은 에큐메니칼 신학 전통과 함께 한국사회와 교회를 위한 의미있는 결과물이 되리라 믿는다. This article is dealing with meanings of "publicity" in the Public Theology that has been recently raised in America and Europe. The Public Theology seeks to engage in dialogue with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politics, economics, cultural studies, religious studies, as well as with spirituality, globalization and society in general. I have chosen Dr. Max Stackhouse(1935-2016) who was the Rimmer and Ruth de Vries Professor of Reformed Theology and Public Life Emeritus at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to examine and articulate the meaning of publicity in the structure of the Public Theology. I compare and evaluate the meanings and values of the Public Theology and its directions to the ecclesiology and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ecumenical theology.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issued two important documents so called "The Church: for the common vision" and "Mission and Evangelism: An Ecumenical Affirmation) related to this topics in Public Theology. My conclusion is that the theological views and practices in the Public theology and the Ecumenical theology can be united and cooperated each other, especially in Korean churches as well as society. The Public Theology can work for the Korean churches to be a hope for the Korean people again with ecumenical perspectives in practice.

      • 아벨라르두스의 『비교토론』(Collationes): 디비니타스와 신학적 윤리

        이성림(Sung Lim Lee) 감리교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세계 Vol.- No.99

        두 번째 르네상스를 경험하고 있던 12세기 중세 유럽은 새로운 시대의 신 새벽과 같았다. 도시와 대학이 세워지고 또 새로운 사유들이 등장하면서 시대는 새로운 방향으로 장식되어져 갔다. 페트루스 아벨라르두스는 이 새로운 시대를 장식한 사상가이다. 엘로이즈와의 연애 사건으로 많이 알려졌던 아벨라르두스는 실은 시대를 뛰어넘는 신학자였다. 그의 신학은 근대 사조와 더 많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놀라운 사실은 시대를 초월하는 아벨라르두스의 신학을 이해하는 열쇠가 윤리학이라는 점이다. 바로 아벨라르두스의 미완성적인 신학을 풀 수 있는 해석학적인 도구가 윤리학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윤리학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아벨라르두스의 윤리학에 대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그의 신학을 이해하기 매우 어렵다. 노예와 주인의 변증법이 헤겔의 정신현상학을 해석하는 열쇠인 것처럼 아벨라르두스의 윤리학은 그의 신학 전체를 관통하는 라합의 붉은 줄과 같다. 윤리학이 신학(Divinitas)이라는 정의를 내림으로써 그는 처음으로 신학적 윤리학을 시작한다. 그의 윤리학은 인간은 도덕적이지 않다는 기독교의 인간이해에서 시작한다. 인간은 선하지 않기에 인간에게는 도덕이 없다. 오직 선하신 이는 오직 하나님이다. 그러기에 인간에게 도덕이 있다면 그것은 하나님이 주신 것이다. 그리스도 사건을 통해서만 인간에게 선이 주어지고 도덕이 가능하다. 그의 신학적 윤리학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믿음 없이는 도덕이 불가능하다”이다. 이 소고에서 그의 『비교토론』 통해 디비니타스로써의 기독교 윤리학을 구성하려 한다. The 12<SUP>th</SUP> century of the Medieval Latin Europe in the middle of the Second Renaissance was situated at the dawn of the new age when new cities, universities, and thoughts were emerging. One of new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starting to decorate the new age was Peter Abelard who was famous of the love story with Heloise but also of a dialectician, theologian, and teacher. It has been not assessed properly that he was a Christian moral theologian. He was the first theologian who defined what Christian theological ethics was. Abelard’s ethical thought was a hermeneutical key to unlock his unfinished theology. Abelard’s ethics was to his whole theological works what dialectics of slave and master was to Hegel’s The Phenomenology of the Spirit. For him the essence of ethics was Divinitas. Divinitas was like Rabab’s Red Ribbon in the his theological system. According to him, morality did not belong to humanity. If man had morality, it was given by God through Christ-event. That was why man could not be moral without having faith in Christ. In Christ-event man can be moral. In this perspective Divinitas as the theological ethics will be constructed through his work of Collationes.

      • 의화론 관련 루터교, 천주교, 감리교의 합의에 대한 신학적 사색

        송성진(Sung Jin So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17 신학과세계 Vol.- No.91

        루터교 세계연맹과 천주교회는 오랜 신학적 대화 끝에 1999년에 “의화론에 대한 공동선언(Joint Declaratio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을 발표한 바 있다. 세계감리교회의는 2006년 “The World Methodist Council Statement of Association with the Joint Declaratio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를 통해서 루터교와 천주교의 위 공동선언에 대한 기본적인 동의를 표명하였다. 1999년 공동선언문은 “justification”을 “칭의”와 “성화” 둘 다를 내포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흔히 개신교 신학이 “justification”은 “칭의”를 가리키는 말로, “sanctification”은 “성화”를 가리키는 말로 나누어서 쓰는 용법과는 다르다. “칭의”와 “성화” 둘 다를 내포하는 개념으로서의 “justification”에 대한 적절한 번역어를 찾는 것은 쉽지 않지만, 필자는 “의화(義化)”를 제안한다. 천주교는 공동선언에서 의화가, 즉 칭의와 성화가, 오직 은혜에 의해서 그리고 오직 믿음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보는 루터교, 감리교 등 개신교의 공통된 신학적 입장에 대하여 전적인 동의를 표명하고 있는 바, 이는 매우 환영할 만한 일이다. 상기한 세 교단은 또한 “선행(善行)”에 대해서도 공통된 이해에 도달했다. 인생은 선행의 공로에 의해서 의화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은혜에 의해서 믿음을 통해서 의화 되지만, 그러나 일단 그렇게 의화된 존재는 선행이 없는 존재가 아니라 선행을 할 수 있고 또 해야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천주교, 루터교, 감리교가 은혜에 의해서 그리고 믿음을 통해서, 의화된다는 공통의 이해에 도달한 것은 매우 다행스러운 일로서 이를 환영하거니와, 우리는 거기에 머물지 말고 앞으로 더 나가야 한다. 세계감리교회는 “기독자의 완전” 내지 “전적인 성화” 사상을 강조함으로써 세계 교회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암시하고 있다.1) 필자는 구원론 관련 에큐메니칼 대화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전적인 성화” 주제에 대한 보다 철저한 탐구라고 본다. 감리교회는 “전적인 성화”라는 주제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감리교의 성화 신학도 여전히 미진하고 부족하다. 성화 신학 관련 천주교, 루터교, 감리교 등 서방 교회가 주목할 만한 사상은 동방교회의 “신화(神化, theosis)” 사상이다. 동방 교회의 “신화” 사상은 “신적 본질”과 “창조되지 않은 에너지”의 구별 그리고 “신적인 빛”에 체험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 시대 세계 교회는 동방 교회의 “신화” 사상을 배움으로써 보다 충만한 구원에 대한 적절한 이해 및 그 실존적 실현의 시도에서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Lutheran World Federation and the Catholic Church published “Joint Declaratio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in 1999. The World Methodist Council expressed its basic agreement with the “Joint Declaration” through “The World Methodist Council Statement of Association with the Joint Declaratio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in 2006. The “Joint Declaration” employs the term “justification” as encompassing both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s these terms are used in the Protestant Churches. The three Churches have come to share “a common understanding of our justification by God’s grace through faith in Christ” (“Joint Declaration,” art. 5; The World Methodist Council Statement, art. 4.3). They also agree that the justified is not without “good works” or “works of love” although one is not justified by the merit of “good works” but only by “justifying faith” in Christ (“Joint Declaration,” art. 25-26, 37; The World Methodist Council Statement, art. 4.3). I heartily welcome the theological consensus concerning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mong the three Churches. However we cannot stay here. We should go further from here toward a fuller understanding and an existential realization of a more abundant salvation. The Methodist emphasis on “Christian perfection” or “entire sanctification” seems to indicate the right direction toward which the future ecumenical dialogue concerning soteriology must go. In this connection, let me suggest that the Churches in the Western tradition can enrich their soteriological thought through learning from the Eastern tradition, especially its theology of “theosis,” “the essence” and “the energies” of God, and “the divine light.”

      • 자유의지에 대한 과학신학적 고찰: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중심으로

        장재호(Jae-Ho J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21 신학과세계 Vol.- No.101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존재하는지의 대한 논의는 오랜 기간 계속되었다. 자유의지의 존재 여부는 신학 전통에서 중요한 주제였으며, 동시에 현대 과학의 주요 이슈이기도 하다. 신학에서의 자유의지는 구원론의 관점에서 예정론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등장했고, 과학철학에서 자유의지는 뉴턴역학 이래 자연을 물리법칙에 의한 결정론적 작용으로 이해하는 상황 속에서 논의되지만, 둘 다 자유의지가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을 논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이처럼 신학과 과학의 영역에서 모두 난제였던 자유의지의 문제를 본 논문에서는 최근 상당한 인기를 끌었던 넷플릭스(Netflix)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드라마는 단순한 흥행의 요소를 넘어, 여러 신학적․철학적 질문들을 제기하고 있는데, 특히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지에 대한 진지한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필자는 오징어 게임을 중심으로 자유의지에 대한 과학신학적 담론을 제기하고자 한다. 먼저 자유의지와 예정론에 대한 신학적 논쟁을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어서 자유의지와 결정론에 대한 과학철학적 논쟁을 살펴볼 것이다. 고전물리학에서는 한 순간의 물리량을 알게 되면, 다음 순간의 물리량을 알 수 있게 되므로, 물리 법칙들은 결정론적이라고 본다. 뇌과학도 인간의 모든 선택을 뇌의 작용으로 단순화시켜 설명하고자 하지만, 양자역학의 세계에서는 모든 것을 결정론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자유의지에 대한 과학적 논의에 이어서, 자유의지에 대한 신학적, 과학철학적 논쟁을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 적용해 보고, 이를 과학신학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 글은 수많은 학자들이 계속 논의했던 자유의지 논쟁을 다시금 설명하는데 목적이 있지 않고, 이 논쟁이 오징어 게임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으며, 따라서 우리는 자유의지가 존재함을 우리의 삶과 연관시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지를 신학과 과학에 모순되지 않게 고찰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The existence of free will has been debated for a long time and is an important issue in not only theological history but also classical mechanics. In theology, free will is contrary to predestination in terms of soteriology; in natural science, free will is contrary to determinism. Ever since Newton’s classical mechanics, first viewed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determinism, many physicians have believed that nature operates according to the law of physics. This debate is well portrayed in the Netflix drama Squid Game. The question is raised as to whether participants joined the game of their own free will. Even though it seems to participants can choose to start and stop the game, the tragedies in their lives actually compel them to play. Therefore, in this article, I will draw on Squid Game to examine the discourse on free will in terms of scientific theology. First, I expound the debate between free will and predestination, focusing on the ideas of St. Augustine and St. Thomas Aquinas, then, examine the discourse on free will and determinism in modern science, and end by applying these discussions to Squid Game. I expect to discover that free will can still be discussed without any contradiction between theology and science.

      • 한민족 신학을 위한 과제와 기독교교육적 접근

        오성주(Sung-Joo Oh) 감리교신학대학교 2022 신학과세계 Vol.- No.102

        세계화 시대에 한민족이란 단어를 쓰는 것은 시대를 역행하는 듯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세계 경제와 정치에 있어서 유럽과 북아메리카를 포함하여 세계 3대 핵심지역의 하나로 떠오르는 곳이 동북아시아 지역이다. 그곳은 한민족 역사의 뿌리이며 터전이다. 동북아시대를 맞아 한민족의 정체성을 재고해 봄으로 세계 문화발달에 기여할 창조적인 역할이 기대된다. 무엇보다 대한민국 최초의 신학교로서 교회와 민족의 지도자들을 배출한 감리교신학대학교는 미래 동북아시대를 앞장 서서 이끌어나갈 지도자들을 양성하기 위해 한민족목회지도자 양성과정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한민족신학이 이렇다할만한 연구가 이루어진 것이 없는 상태이다. 이에 대해 우리는 시대에 맞게 한민족신학을 정립하고 해석해 나갈 과제가 우리 앞에 놓여 있다. 여기서 우리는 한민족이란 개념을 어느 특정한 한 민족을 칭하는 뜻으로 보기보다는 더 폭넓은 의미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한민족신학이란 한 하나님을 섬기는 한 얼의 민족 신학으로 이해함으로 세계화시대에 세계화합과 평화를 이룩하는 한민족신학이 필요하다. 우리는 다시금 한민족신학을 통해 인류공영에 이바지하는 창조적 지도력을 발휘하는 주의 백성들로 거듭나야할 것이다. 이전 근대 민족주의와 국수주의 신학을 넘어 세계 인류공영과 공존을 위해 기여해야할 한민족신학을 세워감으로 지금의 난국을 헤쳐 나가야 할 것이다. 이 글은 한민족신학의 기초를 확립하며, 앞으로 한국교회와 신학이 한민족 신학을 통해 미래 선교적 방향과 이에 따른 기독교교육의 과제를 고찰하기 위한 글이다.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use of the word “Hanminjok” may seem to go backwards. However, in today"s world economy and politics, Northeast Asia is emerging as one of the world"s three major regions including Europe and North America. Hanminjok is the root and home of the Korean people"s history. In the era of Northeast Asia, a creative rol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global culture by rethinking the identity of Hanminjok. Above all,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which produced leaders of the church and nation as the first seminary in Korea, has established and is operating a Korean pastoral leader training course to nurture leaders who will lead the future Northeast Asian era. However,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Hanminjok theology. In this regard, we have a task ahead of us to establish and interpret Hanminjok theology according to the times. Here, we ne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Hanminjok in a broader sense than to refer to a specific nation. In other words, the theology of Hanminjok is needed to achieve global harmony and peac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by understanding the theology of the Korean people as the theology of the people who serve one God. We must again be reborn as the Lord"s people who exert creative leadership that contributes to the prosperity of mankind through Hanminjok theology. Going beyond the previous modern nationalism and chauvinistic theology, we will have to overcome the current difficulties by establishing ‘Hanminjok Theology’ that should contribute to the co-prosperity and coexistence of mankind. This article establishes the foundation of Hanminjok theology and aims to examine the future missionary direction of the Korean church and theology through Hanminjok theology, and establish the task of Christian education according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