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리더와 구성원 교환관계(LMX) 조절 효과

        신형섭 한국호텔관광학회 2016 호텔관광연구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transformation of the hotel industry leadership and superior Leader and 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In addition to identifying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 and members, And to identif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lf-efficacy to adjust the effect according to the moderating role of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nd members. Questionnaire was used to 324 parts (95.2%) in the final analysis,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method was utilizing the SPSS 20.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Four sub tests charismatic dimension, it was analyzed that having an individual consider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spiration enemy leaders such as motivation and positive impact on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condly,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members exchange relationships with leaders and members of self-efficacy was analyzed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irdly, Depending on the leaders and members of inter-exchange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lf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efficacy was analyzed that appear moderating effect on the successful experience factor relationship of the factors of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the membe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lf-efficacy, Moderating Effect of 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and leaders fo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fluence on the vicarious experience factor can be seen not appear sound.

      • KCI등재

        건설기업 구성원이 지각한 상사의 성격5요인이 상사-부하 교환관계(LMX)를 통하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창섭 ( Kim Chang-sup ),황찬규 ( Hwang Chan-gyu ) 한국융합과학회(구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20 한국융합과학회지 Vol.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히 건설기업 구성원이 지각한 상사의 성격5요인, 상사-부하 교환관계(LMX) 및 부하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 있다. 또한, 상사의 성격5요인과 부하의 직무만족, 상사의 성격5요인과 상사-부하 교환관계(LMX), 상사-부하 교환관계(LMX) 와 부하의 직무만족 및 상사의 성격5요인과 부하의 직무만족간의 상사-부하 교환관계(LMX) 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건설기업 구성원에게 2018 년 10 월 ∼ 2019 년 6 월까지 (약 9개월) 유의표집법을 활용하여 250 부를 배부 하여 184부를 회수하였다. 최종 분석에 활용한 사례 수는 184명이며, 입력된 자료 처리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 및 소벨테스트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성격5요인은 부하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상사의 성격5요인은 상사-부하 교환관계(LMX)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상사-부하 교환관계(LMX)는 부하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상사-부하 교환관계(LMX)는 상사의 성격5요인과 부하의 직무만족 간에 매개효과가 있다. 결론: 따라서 상사는 부하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도움과 지원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재기된다. Purpose: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leaders’ big 5 personality traits, leader-member exchange (LMX) and the members’ job satisfaction, especiall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Further, it is to do 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big 5 personality traits and the members’ job satisfaction, the leaders’ big 5 personality traits and leader-member exchange (LMX), leader-member exchange (LMX) and the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then, the meditating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between the leaders’ big 5 personality traits and the members’ job satisfaction. Methods: 184 responses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by distributing 2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to the employees who are work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via subjective sampling method from October 2018 to June 2019. Among them, 184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entered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using the factor(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Sobel test with the SPSSWIN 20.0 program.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aders’ big 5 personality traits of the employe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embers’ job satisfaction. Second, the leaders’ big 5 personality traits thereof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eader-member exchange (LMX). Third, the leader-member exchange (LMX)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embers’ job satisfaction. Fourth, the leader-member exchange (LMX) has a meditating effect between the leaders’ big 5 personality traits and the members’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refore, it’s necessary for the leaders to consider the various helps and supports that can enhance the members’ job satisfaction.

      • KCI등재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가 구성원들의 흡수역량과 혁신행동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정식 ( Kim¸ Jeong-sik )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6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 구성원들의 흡수역량, 혁신행동 및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이를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와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와 성과 간의 관계에서 흡수역량의 매개역할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방법 실증분석은 AMOS 23.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장기업들에 재직중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이중에서 총 273명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측정의 객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와 흡수역량은 부하직원이 직접 응답을 하고, 혁신행동과 성과의 측정은 해당 직원의 직속 상사가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부하직원과 상사의 응답을 한 쌍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실증분석결과를 보면,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는 구성원들의 흡수역량과 혁신행동 그리고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흡수역량은 혁신행동과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와 혁신 간의 관계와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와 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흡수역량이 유의한 매개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는 구성원들의 흡수역량, 혁신과 성과에 대해 중요한 선행요인이며, 흡수역량 역시 혁신행동과 성과에 중요한 선행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members' absorptive capacity, innovative behavior, and performance, and empirically examine i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absorptive capac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innovative behavior,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performance. Methods The empirical analysis involved conduc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23.0. The study collected survey data from 400 employees working in companies listed in the domestic stock market, with a total of 273 respondents used for the analysis. To enhance measurement objectivity, leader-member exchange and absorptive capacity were assessed through direct responses from subordinates, while innovative behavior and performance were assessed through responses from their immediate supervisors, forming pairs of responses for the analysis. Result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ed that leader-member exchange significantly influenced members' absorptive capacity, innovative behavior, and performance. Absorptive capacity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 and performance. Additionally, the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role of absorptive capac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innovative behavior, as well as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performance. Conclusion Leader-member exchange is an important antecedent for members' absorptive capacity, innovative behavior, and performance, and absorptive capacity itself has been revealed as an important antecedent for innovative behavior and performance.

      • KCI등재

        중국 MCN 기업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과 무형식학습활동의 매개효과, 지식공유풍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판쇼페,황명호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4 국제경영리뷰 Vol.28 No.1

        모바일 인터넷의 빠른 발전과 스마트폰의 보편화로 사용자들이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및 문화 콘텐츠를 접하는 시간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틱톡(抖音), 위챗(微信), 콰이쇼우(快手) 등 다양한 단편형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다중채널 네트워크가 성장하며 지속적인 변화와 함께 급성장하고 있다. 중국의 MCN은 소셜플랫폼 기반의 콘텐츠형, 쇼트클립 플랫폼 기반의 왕홍 모델, 전자상거래 플랫폼 기반의 '왕홍 라이브 다이훠(带货)' 등 단계 발전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조직 내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으로 조직지원인식, 무형식학습활동의 매개효과를 조사하며, 이 과정에서 조직 내 지식공유풍토의 조절효과의 영향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국 MCN 기업이 경영 및 혁신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 접근 방법과 인적자원관리 전략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가설 1인 “중국 MCN기업에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기업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경로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중국 미디어 기업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은 경로계수=0.233, t=2.911, p=0.004<0.01로 나타나 채택 되었다. 둘째, 연구가설 2인 “중국 MCN기업에서 조직지원인식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혁신행동의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작용할 것이다.”를 검증한 매개효과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조직지원인식을 통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간접 영향과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p<0.001)를 보였다. 셋째, 연구가설 3인 “중국 MCN기업에서 무형식학습활동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혁신행동의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작용할 것이다.”를 검증한 매개효과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무형식학습활동을 매개로 하여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p<0.001)를 보였다. 넷째, 연구가설 4인 “지식공유풍토는 조직지원인식과 혁신행동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작용할 것이다.”를 검증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세 번째 단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지식공유풍토의 상호작용 항을 추가했을 때, 설명력은 20.3%로 증가했으나, 상호작용 항의 값이 –0.525(p>.0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연구가설 5인 “지식공유풍토는 무형식학습활동과 혁신행동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작용할 것이다.”를 검증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세 번째 단계에서 무형식학습활동과 지식공유풍토의 상호작용 항을 추가한 결과, 설명력은 20.7%로 증가하였고, 상호작용 값이 0.803(p<.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무형식학습활동과 지식공유풍토 간의 상호작용이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접근은 중국 MCN 기업이 경영 및 혁신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 방법과 인적 자원 관리 전략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mobile Internet and the generalization of smartphones, the time users spend accessing mobile entertainment and cultural content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in China, multi-channel networks are growing and rapidly growing with continuous change through various short-story streaming platforms such as TikTok (微信), WeChat (快手), and Kwai Show (抖音). MCN in China went through a stage of development such as social platform-based content type, short clip platform-based Wanghong model, and e-commerce platform-based Wanghong Live Daihu (带货).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members in the organiz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awareness and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with the mechanism, and in this proces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knowledge sharing climate within the organization is to be examined together.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strategic approaches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to improve management and innovation performance of Chinese MCN companie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that verified the research hypothesis 1, “In Chinese MCN companies,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corporate members.“ Hypothesis 1 that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of Chinese media companie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was adopted as a path coefficient = 0.233, t = 2.911, and p = 0.004<0.01. Second, the research hypothesis 2, “In Chinese MCN companies,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will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and innovative behavior.“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that verified, the indirect influence process in which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leads to innovative behavior through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p<0.001). Third, the research hypothesis 3, “In Chinese MCN companies,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will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and innovative behavior.“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that verified, the influence of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Four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at verified the research hypothesis 4, “Knowledge-sharing climate will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In the third step, when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the knowledge-sharing climate was adde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to 20.3%, but the value of the interaction term was -0.525 (p>.05),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at verified the research hypothesis 5, “Knowledge-sharing climate will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innovative behaviors.“ As a result of adding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knowledge-sharing climate in the third step, explanatory power increased to 20.7%, and the interaction valu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803 (p<.05), confirming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knowledge-sharing clima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is approach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an in-depth understanding of strategic methods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for Chin...

      • KCI등재

        팔로워십이 LMX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응우엔 비엣 화,최규상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8 국제경영리뷰 Vol.22 No.4

        Focusing on the followership issues, this study deals with the effectivenes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t the Korean firms operating in Vietn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followership (i.e., independent critical thinking and active engagement), Leader-member Exchang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llowers’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Specifically,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each dimension of followership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will be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dimension of follow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test research hypotheses, data were obtained from 300 Vietnamese employees at several Korean companies operating in Vietnam. Results suggest that both independent critical thinking and active engagement a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and that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i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followers’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respectively. Finally, results suggest that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followership (i.e., independent critical thinking and active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llowers’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That is, Followership leads to the higher qualities of Leader-member Exchange, which in turn increase followers’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positively. Based on the result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베트남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의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해 팔로워십의 두 가지 행동차원인 독립비판적 사고와 능동적 참여에 초점을 두고, 팔로워십이 리더-부하 간의 교환관계의 질과 리더-부하 간의 교환관계의 질이 팔로워십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는 베트남에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본에 포함된 한국 기업들은 리더는 한국인으로, 부하들은 베트남 현지인들로 구성되어 있다. 300부 설문응답을 기초로 한 분석 결과, 첫째, 팔로워십의 독립비판적 사고와 능동적 참여는 각각 리더-부하 간의 교환관계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부하 간의 교환관계의 질은 부하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리더-부하 간의 교환관계의 질은 팔로워십(독립비판적 사고와 능동적 참여)과 조직효과성(직무만족과 직무몰입) 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베트남 부하들이 발휘하는 팔로워십은 그들과 사회ㆍ문화적 배경이 다른 한국인 리더와의 교환관계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높아진 교환관계의 질은 부하들의 직무만족과 직무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독재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주도적 행동 : LMX의 매개역할 및 성장욕구 강도의 조절효과

        김헌(Kim, Heon),오동진(Oh, Dongjin),손승연(Son, Seung Yeo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8 No.5

        리더의 행동은 부하, 즉 구성원들에게 긍정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그것은 리더가 가진 권력의 영향 때문일 것이다. 리더십 연구는 대부분 긍정적 측면에서의 리더십 효과를 탐구해왔다. 이는 리더십이라는 용어가 내포하는 긍정적인 뉘앙스 때문일 것이다. 그에 따라 각각 그 개념과 정의는 다르더라도 리더십의 여러 유형들은 구성원들의 직무태도, 직무성과 등 다수의 변수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많은 연구 증거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최근 리더의 행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 영향, 즉 부정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Einarsen, Aasland, & Skogstad(2007)은 구성원 뿐 아니라 조직에도 손상을 가하는 리더의 부정적 행동을 파괴적 리더십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이후 다양한 형태의 부정적 리더십 유형이 제시되었는데, 독재적 리더십은 대표적인 부정적 리더십 유형 중 하나이다. 국외 연구들에 의하면, 독재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의사결정과정에서 배제함으로써 구성원들에게 리더의 행위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유발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직무태도, 조직목표 달성에 대한 열정 등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재적 리더십의 부정적 영향을 밝히는 국외연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의 연구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독재적 리더십이 LMX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부하의 주도적 행동을 떨어뜨린다는 것을 밝히고자 국내에서 수행된 실증연구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구성원의 성장욕구 강도가 어떤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공군 간부 272쌍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독재적 리더십은 LMX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로 인해 주도적 행동이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구성원의 성장욕구 강도가 높은 구성원일수록 독재적 리더십이 LMX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로 서구에서 행해진 독재적 리더십의 부정적 효과가 동양 문화권에서도 유효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리더의 부정적 행동이 상사와 부하 간 관계의 질을 떨어뜨리며, 이는 다시 조직을 위한 구성원의 주도적 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냄으로써, 조직 내에서 리더의 역할, 행동이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무한 경쟁 속에서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는 구성원의 주도적 행동을 장려하려면 조직의 경영진은 현장에서 어떠한 리더십을 강조하고 예방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an indicator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a leader in organizational life. Strictly speaking, the behavior of a leader is bound to have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his or her subordinates, that is, subordinates of the organization. It may b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ower of the leader. Leadership research mostly studies the leadership effect in a positive a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term Leadership has a positive meaning. Although th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leadership revealed through positive leadership behavior are different,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y have a positive effect on a number of variables such as job attitude,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members. However, research on the negative effects of leaders actions, that is, negative leadership, is increasing recently. It was revealed that the negative leadership type, named Destructive Leadership, negatively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of subordinates. Einarsen et al. (2007) defined leaders destructive behavior as behavior that negatively affects not only members but also organizations, negatively affecting organizational goals, tasks, resources, effectiveness, motivation, and well-being or job satisfaction of subordinates. Several types of negative leadership behavior have been suggested, but this study intensively studied autocratic leadership.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autocratic leadership induces negative feelings for leaders behaviors by ignoring subordinates opinions or excluding them from the decision-making process, ultimately adversely affecting job attitudes and commitment for achieving organizational goals.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conducted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eader-member exchange(LMX)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cratic leadership and subordinate proactive behavior. As a result of analyzing 272 ROK Air Force officers and NCOs, it was found that autocratic leadership had a negative (-) relationship that negatively affected the leader-member exchange, and that the leader-member exchange mediated the negative effect of autocratic leadership on proactive behavior. In addition,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cratic leadership and leader-member exchange was also confirmed by the strength of the subordinates growth needs. The higher growth need strength, the stronger the negative effect of autocratic leadership on the leader-member exchange.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utocratic leadership undermines the leader-member exchange, and through this, subordinates engage in less proactive and non-participating behaviors. Research revealing the negative effects of autocratic leadership is increasing abroad, but there are few cases of empirical research on domestic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leader s negative behavior can negatively affect the proactive behavior of subordinates for the organization are examples of how important leaders roles and behaviors can have, and provide implications in many aspects.

      • KCI등재

        상사-부하관계가 감정몰입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인지된 조직지원의 조절된 조절된 매개효과

        이형권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1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impact of leader-member exchang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via affective commitment. Specifically, the main interest is to examine whether the positive indirect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depends upon the valu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ffective commit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affective commitment was stronger when employees received higher levels of empowerment(two-way interaction). And this two-way interaction effect was maximized at highest level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three-way interaction). Third, psychological empowerment moderated the positive indirect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such that the indirect effect was enlarged as psychological empowerment increased(moderated mediation). Lastly, the moderation of the positive indirect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y psychological empowerment was moderated a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hanged(moderated moderated medi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e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사회적 교환이론을 이용하여 상사-부하관계가 감정몰입도의 증가를 경유하여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는 매개효과가 발생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1 조절변수인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양의 간접효과가 증가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조사하고 본 연구의 최종목적으로 제2 조절변수인 인지된 조직지원이 증가하면서 조절된 매개효과가 더욱 커지는 조절된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217명의 호텔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질의 상사-부하관계는 감정몰입도의 증가를 통하여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는 양의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증가하면 상사-부하관계가 감정몰입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증가하는 2원 상호효과가 발생하였다. 또한 인지된 조직지원의 크기가 증가하면 2원 상호효과가 더욱 크게 발생하는 3원 상호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증가하면 상사-부하관계의 양의 간접효과가 증가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인지된 조직지원이 증가하면 조절된 매개효과가 더욱 커지는 조절된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특히 인지된 조직지원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사실은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상사-부하관계의 양의 간

      • KCI등재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조직시민행동, 조직동일시 간의 구조적 관계

        백유성 한국질서경제학회 2022 질서경제저널 Vol.25 No.3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member exchang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for 313 public officials belonging to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Leader-member exchange (LMX) is one of the key interactions that operate in the process of achieving goals of an organization or group. Organizational members with high LMX are classified as in-group. It has been found that members of these groups trust leaders and have high levels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trust.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reveal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MX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fact means that members with a good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voluntarily engage in non-job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studies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Second, it was found that LMX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the effect of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its members may not directly affect the behavior of members at the entire organization level. Third,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d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s confirms that LMX increases the level of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hroug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above research results revealed in this study can be interpreted as saying that LMX is one of the important leadership factors for bureaucratic organizational members. 리더는 조직이나 집단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그 구성원들과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한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로 요약할 수 있다.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는 조직이나 집단의 목표달성 과정에 작동하는 핵심적 상호작용 중의 하나이다. LMX가 높은 조직구성원들은 내집단으로 분류된다. 이들 내집단 구성원들은 리더를 신뢰하고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신뢰 수준이 높은 것으로 밝혀져 있다. 본 연구는 행정안전부 소속 공무원 318명을 대상으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조직시민행동, 조직동일시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것이다. 본 실증연구에서 드러난 분석 결과와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LMX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사실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좋은 구성원들은 자발적인 직무외 행동을 한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LMX는 조직동일시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리더와 그 구성원 간의 교환관계의 효과는 조직 전체 수준의 구성원 행동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것이라 풀이할 수 있다. 셋째, 조직시민행동은 조직동일시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LMX와 조직동일시 간의 관계 과정에서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여부를 검증한 결과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MX는 조직시민행동을 통하여 조직동일시 지각 수준을 증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들은 관료제 조직구성원들에게 있어서도 LMX가 중요한 리더십 요소 중의 하나라는 것을 말해 주는 것이라 풀이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리더-종사원의 교환관계(LMX), 고객지향성, 조직시민 행동 간의 관계성 연구 - 외식업체 종사원을 중심으로 -

        조영신 ( Cho Young-shin ),조태영 ( Cho Tae-young ) 한국호텔리조트학회(구 한국호텔리조트카지노산학학회) 2018 호텔리조트연구 Vol.17 No.3

        This study in global overall food enterprise S food service industry was intended to provide various suggestion in order to be utilized as business strategy of organization henceforth,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what influence does exchange relation between leader and employee-namely, LMX(leader-member exchange) have on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 turned out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orientation. Second,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 turned out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customer-orientation turned out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it provides theoretical foundation establishing LMX(leader-member exchange), customer orientation, structural relation amo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rder to positively maintain correlation among emotional relatedness and trust formation in leader-member, food service industry should consistently understand and endeavor with an active support. Th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s; members' periodic service education, service environment where members work based on trust and mutual respect not simply as member, but like family. In addition, development of teamwork program and leadership education is needed.

      • KCI등재

        금형제조 중소기업 구성원이 지각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상사부하교환관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전공중,황찬규,송영우 한국융합과학회 2020 한국융합과학회지 Vol.9 No.2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ieved by members of small and medium sized mold manufacturing companies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Leader-Member- Exchange(LMX). Methods: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relationship of variables. Based on this,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empirical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for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mold manufacturing companies in Gyeonggi-do,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is performed by SPSS. Result: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th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der-Member-Exchange(LMX). Third, the Leader-Member-Exchange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the Leader-Member-Exchange(LMX) is shown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of small and medium sized mold manufacturing companies, the need fo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Leader-Member-Exchange(LMX) among various bosses is raised. 연구목적: 이 연구는 금형제조 중소기업 구성원이 지각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상사부하교환관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9년 6월~11월 약 5개월간 이루어 졌으며, 경기도 소재 금형제조 중소기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표집방법은 유의표지법을 적용하였으며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195명이다. 분석기법은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효과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Crombach Alpha는 .823이상 .947미만으로 나타났다. 결과: 첫째, 금형제조 중소기업 구성원이 인식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중 카리스마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금형제조 중소기업 구성원이 인식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 개별적배려, 카리스마, 지적자극 순서로 상사부하교환관계(LMX)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부하교환관계(LMX)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사부하교환관계(LMX)는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금형제조 중소기업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상사부하교환관계의 필요성이 재기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