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형권 현대문학이론학회 202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2
미주 시조의 상상력은 두 가지 차원이 공존하고 있다. 하나는 밖으로 넓어지는 원심적상상력과 관련되는 세계화 지향이다. 미주의 특정한 지역을 시적 상상의 매개로 삼을 경우, 그 지리적 상상에 대한 동일시는 고향에 대한 애착을 넘어서서 현지의 삶을 적극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것이다. 미주 시조가 보여주는 다른 하나의 특성은 안으로 깊어지는 구심적 상상력과 관련되는 민족성 지향이다. 디아스포라 혹은 향수와 관련되는 이러한 특성은 국내 시조와는 다른, 한인 시조만이 지니는 특수성이다. 미주의 한인 시인들은 낯선 이국땅에서 이민자로 살아가면서 마음 깊은 곳에는 디아스포라를 간직하고 살아간다. 모국을 향한 노스탤지어를 포함하는 디아스포라는 미주 시조가 보여주는 핵심적 특수성에 속한다. 미주 시조는 이처럼 깊이와 넓이가 상호 교직하면서 미주 한인 시문학사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해 왔다. 그 문학사적 의미는 첫째, 시조에 대한 자의식을 간직하고 세계화를 지향했다는 점이다. 미주 시인들은 시조의 장르적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시조를 세계 각 나라에 보급하고자 노력했다. 둘째, 한국 시조의 한 부분이자 지역 시조로서의 위상을 갖추었다는 점이다. 미주는 국내의 특정한 지역과 마찬가지로 특수한 시조 문학 단위로 자리를 잡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지리적 상상과 관련하여 국내 시조와는 다른 특수성을지닌다는 점이다. 즉 미주 시조는 미주 지역의 특정한 지역을 바탕으로 하는 지리적 상상을 빈도 높게 보여주었다. 따라서 미주 시조는 한국 시문학사 내지는 미주 시문학사에서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문제는 미주 시조의 미래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하는 것인데, 이는 비단 미주 시조뿐만 아니라 미주 문학 전반과 관련된 사안이다. 안타까운 것은 현재 미주 지역에서 활동하는 시조 시인은 대략 20여 명으로 파악되는데, 이들은 대부분 연로하여 창작 활동을 지속할 만한 시간이 많지 않다는 사실이다. 미주에서는 일반 시단도 그렇거니와 시조 시단은 더더욱 고령화가 심각한 상태이다. 신진 시조 시인들이 거의 등장하지 않고 있는 점은더 심각한 문제이다. 영문 시조를 창작하면서 그 타개책을 모색하고 있지만, 그것이 과연고유의 장르 의식을 온전히 지키면서 문학성을 고양해 나갈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 의문에 대한 현답(賢答)을 찾기 위해서는 또 다른 논의가 필요하다.
이형권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82 No.-
The terms “the Other“ or “Otherness” means who and what is alien and isolated from the norm or from identity in the modern civilized society. More specifically, it includes social minorities such as women, the colored, and homosexuals, as well as the human immaterial aspects such as emotion, unconsciousness, insanity, and imagi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lato, who argues that a poet should be exiled from the Republic, poets belong to “the Other”. They have been isolated from western societies that emphasized on metaphysical philosophy or ego-centrism. In modern poetry of South Korea, “Otherness” are revealed in various literary conditions. In particular, poems written in 1990’s and onwards explore “Otherness.” Park Jinseong’s examines insanity, Choi Seongja’s, melancholy, Kim Kyeongmi’s, femininity, Kim Jiha’s, physical body, and Kim Seonwu’s, sexual desire. In addition, Some poets such as Chehogi, Lee Yeonju, Kim Shinyong, and Hwang Byeongseong explore socially underprivileged classes such as homosexuals, prostitutes, city slum residents, and trans-gender people respectively. Poets who shows interests in Otherness want to tell that the world can be more diverse, where individuals pursue their true self. Those poets advocate that a society should accommodate the minorities who exist as “the Other” because revelations of the Otherness in a society eventually expand the horizon of human lives. These poems expose an selfish human nature, and want to find out how “the Other” can co-exist in a society. That is, the modern poems of South Korea that explore the Otherness expand the horizon of Korean poems and persue moral and ethical balance. 자(他者)는 현대 문명 사회에서 소외된 대상이나 가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자연, 여성, 유색인, 동성애자와 같은 사회적 소수자(minority)나, 감정, 무의식, 광기, 상상 등과 같은 인간 정신의 한 측면을 포괄한다. 시인 추방론을 주장한 플라톤의 시각에서 보면 시인도 타자에 속한다. 이들은 서구의 형이상학적 전통이나 이성중심주의(ego-centrism)에서 소외되었지만 인간의 삶에서 반드시 필요한 존재들이다. 한국 현대시에서 타자는 다양한 양상으로 등장한다. 박진성 시의 광기, 최승자 시의 우울, 김경미 시의 여성성, 정현종 시의 자연, 김지하 시의 몸, 김선우 시의 성적 욕망 등은 1990년대 이후의 한국시를 풍요롭게 한 타자들이다. 이외에도 채호기 시의 게이, 이연주 시의 매음녀, 김신용 시의 도시빈민, 황병승 시의 트랜스젠더 등도 주목해야 할 타자들이다. 타자를 환대하는 시인들은 타자의 부활을 통해 세상을 더 풍요롭게 더 아름답게 만들려고 한다. 타자의 시들은 소수자로서의 타자가 지닌 생산적 가치를 발견하여 그것을 삶의 영역으로 수용하고자 한다. 타자의 시들은 자아의 이기적 본성을 벗어버리고 타자를 향한 배려와 사랑, 존중과 공존의 마음을 지향한다. 한국 현대시는 타자의 발견으로 시의 영역을 확장했을 뿐만 아니라 윤리적 건강성도 확보했다.
지역 문화예술의 시대적 의미와 비전 ― 대전의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이형권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연구 Vol.36 No.2
From the cultural and artistic perspectives, the 21st century is a period of Glocalism where the independent abilities of regional units is gaining great significance. Rural areas have freed themselves of their dependence on metropolitan areas by directly connecting to the international culture and art, and in doing so have reinvented themselves as the central existence of Glocalism. Culture and Art is different from Politics or Economics in that it still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even without central government control. Also, the glocalism of culture and ar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led by Deajon city’s authorities. In fact, it is actually more effective if diverse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ake the lead on a civilian level. Germany’s great writer Goethe believed that what is most national is what is most international. As such it can be said that the most regional culture and arts is in fact the most global culture and ar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create culture and art that possesses Daejon’s identity and introduce it to the world on the one hand, and on the other we need to also actively absorb the nutrients of the world’s respected culture to use this as the foundation to develop Daejon’s own culture and arts. For Daejon to become a city of cultural and artistic character through such a process continuous efforts and diligence are needed. Therefore for Daejon to reinvent itself as a city that truly carries the definition of culture and arts we need to continuously improve various elements such as the infra ware element, the human structure element, the policy element, and the budget el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