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자본주의의 미래 상상하기: 1980년대 이후 국내 자본주의의 성격과 전망에 대한 담론과 논쟁들

        장진호 ( Jang Jin-ho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20 사총 Vol.101 No.-

        1960년대 이후 한국 자본주의의 급속한 성장은 국제적인 주목을 받아왔다. 주류 경제학적 설명의 시도들과 별개로, 1980년대초 서구 학계에서 일본의 2차 세계대전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을 설명하며 새롭게 부상한 ‘발전국가론’은 이후 한국과 대만을 포함하여 동아시아 자본주의의 급속한 성장과 발전을 설명하는 대안적 이론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국외에서의 이런 연구 및 이론화와 별개로, 국내에서는 1980년대부터 한국 자본주의의 성격과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와 논의들이 역사적 맥락 속에서 부과된 특수한 문제와 해결과제들에 대응하며 등장해왔다. 이러한 논의들은 서로 차별화된 입장들로 형성되어 상호간논쟁 과정을 거치며, 각 입장을 더 명료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우선 1980년대에는 신군부 정권의 부상과 광주항쟁이라는 역사적 상황에서 이전까지의 반독재 민주화운동은 보다 급진화되어, 마르크스-레닌주의나 북한의 주체사상과 같은 이론과 사회변혁 노선에 기반해 당대의 자본주의적 한국 사회성격과 특징들을 인식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담론 진영들이 형성되었고 상호간 논쟁을 전개하였다. 하지만 1990년을 전후로 동구 사회주의권과 소련의 붕괴 및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국내에서의 소비자본주의의 진전은 이후 한국 자본주의의 특성들과 전망에 대한 총체적인 사 회과학적 관심 및 분석의 침체와 이전 논쟁의 소멸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는 또한 이전 시기 ‘자본주의의 극복’과 관련된 문제설정을 ‘새로운 대중소비문화에 대한 이해와 비평’이라는 문제설정으로 옮아가게 하며 1990년대 국내에서 문화연구에 대한 논의와 담론의 폭증을 불러왔다. 하지만 1997년의 외환위기는 ‘IMF체제’ 하에서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을 국내경제에 강제하며, 이후 2000년대까지 한국경제의 개혁 및 전환과 관련된 새로운 관심과 논의들을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여기서는 한국 자본주의의 위기 진단과 해결책을 IMF 등과 공유하며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을 주도하는 정책당국자들의 입장과, 재벌중심 구조를 마찬가지로 위기의 원인으로 보되 사회불평등과 같은 신자유주의적 부작용들을 문제시하지만 소액주주운동 등과 같은 시장규율과 엄정한 법의 집행과 같은 자유주의 확립을 통해 ‘개혁자유주의적’ 입장, 그리고 마지막으로 1990년대 초중반의 신자유주의적 조치들을 발전국가를 약화시켜 위기를 불러온 원인으로 보고 경영권 보장을 원하는 재벌가족과 투자 확대, 고용 증대 및 법인세 증대 등을 필요로 하는 이해당사자들 간의 사회적 대타협과 복지국가 대안을 중시하는 ‘신개발주의적’ 입장 등이 분화되었다. 특히 후자의 두 입장들은 위기 이후 한국 자본주의의 현황 진단과 미래 대안을 둘러싸고 대립적 의견을 표출한 주요 논쟁 당사자들이 되었다. 국내에서 ‘자본주의 극복’ 대안을 사회운동을 통해 모색한 1980년대의 급진적 담론들에 기반한 논쟁들, 혹은 1990년대와 같이 ‘소비자본주의’ 현상에 대한 문화 연구 경향의 기술에 집착하던 과거의 논의들과 다르게, 2000년대 이후 한국 자본주의에 대한 논의와 담론들은 현실의 구체적인 정치경제상의 문제들을 둘러싸고 보다 ‘제도적 혹은 정책적으로 이를 개혁’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The rapid growth of the South Korean economy has been examined by many foreign scholars since the 1960s. Apart from researches in mainstream economics, there appeared a ‘developmental-state’ approach to explaining the East Asian economic miracle since the Second World War as an alternative theoretical paradigm from the early 1980s. But domestically in South Korea, there have been also analytical discourses and debates around such issues as the nature of Korean capitalism, its characteristics and future prospects. Domestically critical discourses and even debates on Korean capitalism have been made and changed in the historically-specific contexts of contemporary South Korean capitalism since the 1980s. During the 1980s, political repressions continued under the new military regime while the Korean economy grew rapidly, which radicalized social and students’ activism for democracy. Leftist ideologies such as Marxist-Leninism or North Korean Juche ideology influenced local intellectuals and activists in the field of discourses and debates analyzing Korean capitalism of the time and prospecting for post-capitalist alternatives. But the fall of East European communist regimes and the USSR around the early 1990s as well as the blossoming of consumerist capitalism in South Korea at that time resulted in the sudden disappearance of radical socialscientific discourses and debates of the previous decade. Instead, cultural studies prevailed in academic discourses during the early and mid-1990s under changed socio-historical conditions. In 1997, however, the financial crisis occurred unexpectedly in the country and neoliberal reforms in the economy were strongly implemented domestically under the so-called ‘IMF regime.’ Around such issues as the causes of the 1997 crisis, the changed nature of Korean capitalism after neoliberal reforms, and its future prospects, there were made several discursive factions and debates among them until the 2000s. Domestic discourses on Korean capitalism have historically been constructed regarding its radical overcoming and social revolution in the 1980s, regarding studies of mass cultural consumption in the 1990s, and regarding its institutional reforms in the 2000s.

      • KCI등재

        탈북자 소설에 드러난 한국자본주의의 문제점 연구 : 박덕규 소설을 중심으로

        이성희(Lee, Sung-Hee) 한국문학회 2009 韓國文學論叢 Vol.51 No.-

        지금 우리는 새로운 국내외 상황 변화에 대응하여 남·북한의 이질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통일시대를 맞이하려는 시기에 와 있다. 분단문학도 통일문학을 지향하고 있는 바, 본고는 북한민의 신분에서 남한민으로 새로운 체제를 경험한 탈북자에 주목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박덕규의 탈북자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자본주의 체제에 노출되어 겪는 이질감이라는 심리적 적응의 측면과 그들이 체감한 한국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사회적 적응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통일문학을 지향하는 새로운 분단문학의 방향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우선, 탈북자가 자본주의에 노출되어 겪게 되는 이질감을 중심으로, 경제적 우위를 심리적 우위로 착각하는 남한민의 고압적인 자세, 그들이 일상 속에서 체득한 중간자라는 이중의 정체성, 그리고 남한민과 소통의 비공유자로서 느끼는 소외 등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탈북자의 시각에서 파악되는 한국적 자본주의의 속성을 중심으로 탈북자를 하나의 상품으로 파악하고 그들의 자원화에 몰두하는 자본주의의 천박성을 살펴보았고, 물질만능과 속물성에 둘러싸인 남한민에 대한 탈북자의 비판적 시각을 통해 물질의 노예가 되어 사는 오늘날 우리의 모습을 반성해 볼 수 있었다. 왜냐하면 우리 스스로가 자본주의 제도가 펼쳐놓은 그물망 속에서의 욕망의 공모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박덕규의 소설은 자본주의에 대한 반성적 사유의 결과물이다. 세계가 하나의 전산망으로 연결되는 ‘잡종(hybrid)’의 시대다. 이분법적 척도의 이질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다양한 공존의 열린 성찰로 발상을 전환해야 할 때다. 이러한 시기에 탈북자들의 남한에서의 삶을 살펴 본 문학은 분단 극복 내지 민족 통합의 길 찾기에 매우 긴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탈북자 문학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남·북한의 문화적 이질성을 좁히는 방안, 인간적 덕성이 상실되어 가는 남한 사회의 냉철한 자기반성, 탈북자의 재교육 문제 등의 다양한 내용으로 분단문학을 너머 진일보한 통일문학으로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novels of Park Deok-gyu, who had reflected North Korean defectors in a continuous and serious manner, and thus to look into the nature of Korean capitalism. First, it was observe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developed a sense of difference suddenly being exposed to capitalism. Mistaking their economic superiority as psychological superiority, South Koreans treated them in a high-handed manner. Living in the South Korean society day after day, they developed a double identity as man-in-the middle. In addition, the absence of a social network between South Koreans and them made them feel alienated. The conflicts and hardship they feel in the South Korean society clearly reveal the heterogeneous aspects of lif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By reviewing the nature of Korean capitalism from the viewpoint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investigator showed that it was pariah capitalism that treated North Korean defectors as a product and was obsessed with turning them into resources. The critical perspective of North Korean defectors to look at South Koreans, who were surrounded by pleasure and materialism, offered an opportunity for us to reflect on how we looked. Literary works that depict the live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will play a very critical role in overcoming the separation between two Koreas and finding ways to the integration of two Koreas. In future, the literature of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expand into advanced unification literature beyond separation literature by searching for the ways to narrow the cultural ga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based on the awareness of those issues, encouraging the South Korean society that's losing human morality to engage in strict self-reflection, and probing the matter of reeducating North Korean defectors.

      • KCI등재

        한국전쟁과 스페인 내전의 유사성에 관한 비교

        홍성후 한국동북아학회 2012 한국동북아논총 Vol.17 No.1

        This paper is to analyse a few similarities between Korean War and Spain Civil War. Korean war had been going on for 3 years from 1950 to 1953, and Spain Civil War from 1936 to 1939 as well. These two civil wars broke out on basis of ideology conflict. Korean war was originated from the conflict between capitalism of South Korea and communism of North Korea. Likewise, Spain Civil war began with the conflict between right-wing nationalism of Pranko military group and left-wing people republican government of Madrid, which resulted from historical conflict of spanish society. Korean War and Spain Civil War were intervened in by World Imperial Powers. in short, Korean war was controlled by United States and Soviet. After collapse of Japanese Imperialism in far east asia region, The United States tried to establish capitalism country in Korean Peninsula, but Soviet and Red China maneuvered Korean Partisan to communized Korean Peninsula. But two Powers failed to agree on building one independent country in Korean peninsula, which resulted in separation of Korean peninsula. Unfortunately two regimes were founded in Korean peninsula, which were capitalism-South Korea and communism-North Korea. In conclusion, Korean war was made out by ideology of these two regime. Also Spain civil war was broken out, for spain military nationalism attacked the people's republican government of Madrid, both of which were controlled by World Powers such as Natism Germany and Communism Soviet. Hitler aided spanish military revolt, while Stalin supported the people republican of left-wing Madrid. In other hand, Korean War and Spain Civil War had a similarity in sense of elite struggle. The reason was why political elite of each war were educated from two Powers's society in different political socialization. President Leesungman of South Korea studied in America and acquired Phd. of Political Science in the famous Princeton University. Conversely, Premier Kimilsung of North Korea was trained in Soviet military, and he succeeded in getting intelligence-officer position of soviet military captain. In a sense, two wars' leaders were political children of super imperial Powers such as America, Germany, and Soviet. This Author concluded that any civil war be the worst crime of all wars. This paper explained this criminal civil war through real battle material of Korean war and Spain civil war. Any civil war should be refused in spite of any ideology. Rather, peaceful conflict situation is better than agreement through war. All the more, any war must be denied at all cost as a international measures to solve the world problems. 한국전쟁과 스페인 내전은 양자 모두 외세가 개입된 국제내전이라는 점이 유사하다. 한국전쟁은 중국과 구 소련의 사주에 의한 북한군의 남침으로 발발했다. 미국측은 16개국의 지상군이 유엔군의 형식으로 참여했다. 반면 스페인 내전은 독일, 이태리, 소련, 프랑스, 영국, 그리고 자원병 국제여단이 개입했다. 한국전쟁과 스페인 내전은 좌우 사상 갈등이 배경이 되었다. 한국전쟁은 자본주의를 신봉하는 남한 측과, 공산주의 신봉하는 북한 측이 싸운 사상적 내전이었다. 무력 도발한 측은 프롤레타리아 독재체제를 만들려는 공산주의자들이었고, 방어하는 측은 미국적 민주체제를 만들려는 자유주의자들이었다. 스페인 내전은 독일과 이태리 파쇼적 정부가 지원하는 국가주의 우파 프랑코 군부와 소련 맑스적 정부가 지원하는 인민공화파와의 내전이었다. 한국전쟁은 유신론과 무신론이 충돌한 전쟁이었다. 또한 남한의 다당 체제와 북한 유일정당인 노동당 정권과의 전쟁이었다. 반면 스페인 내전은 국가주의를 신봉하는 스페인 군부와 인민공화주의 건설을 주장하는 반왕정 공화파의 대결이었다. 스페인 보수주의 군부와 인민의 자유, 종교의 자유를 더 중시한 스페인의 진보주의의 충돌이었다. 또한 한국전쟁과 스페인 내전은 출신배경이 다른 정치 엘리트간의 충돌이었다. 미국은 미국식 정치교육을 받은 이승만을, 소련은 소련군 장교 출신인 김일성을 한반도의 지도자로 키우려는 입장이었다. 즉 이승만과 김일성이 각각 외세를 등에 업고, 군사적 대결을 벌인 셈이었다. 반면 스페인 내전은 스페인군부의 국가주의자인 프랑코 장군이 스페인의 좌익화를 반대해서 일으킨 내란이었다. 프랑코 뒤에는 독일의 히틀러가 있었고, 인민공화파 뒤에는 소련의 스탈린이 있었다. 한국전쟁과 스페인 내전은 세계 2차 대전과 연계된 전쟁이었다. 스페인내전은 유럽에서 세계 2차 대전을 준비하는 독일, 이태리와 소련, 영국, 프랑스 등이 벌인 전쟁이다. 반면 한국전쟁은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미소가 지배영역을 확보하고자 동북아시아에서 충돌한 것이다.

      • KCI등재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by North Korean Defectors

        ( Yun Jeong Bae )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2014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made by North Korean defector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ir social adaptation, focusing on reciprocity. The study divides social network into four categories: North Korea; the course of defection; communities in South Korea; and a third country that North Koreans move to after leaving South Korea. It then classifies and reorganizes the social capital made in South Korean society. Thu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show four types: 1) active but limited type of social capital-family network; 2) active and diverse type of social capital-community sharing interests; 3) active but extreme type of social capital-life as South Koreans; and 4) active and deviating type of social capital-leaving South Korea for a third country. It is the most notable that North Korean defectors had overcome jeopardizing situations in North Korea through their traditional family network and have made efforts to actively build relationships demonstrating high reciprocity.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study suggests some measures so that North and South Korean people may have reciprocal relationships to help North Korean defectors adjust well to South Korean society.

      • KCI등재

        ‘카지노 세계’에 연민은 없다-2000년대 금융자본주의와 한국소설의 대응-

        한만수 한국현대소설학회 2017 현대소설연구 Vol.- No.68

        This article roughly examines how Korean novels are responding to financial capitalism, which has been brought to Korea since the so - called IMF crisis in 1997. Financial capitalism is pushing the economy of mankind to the catastrophe by promoting the globalization of the rich and poor, the nickname of casino capitalism.Resistance to this is also being done on a global scale.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socioeconomic areas such as cooperatives and social enterprises, basic income and Tobin tax are some of the attempts.. Exploitation taking place in financial capitalism, unlike the capitalist agricultural or industrial capitalism does not look good in the eyes, the force is more powerful and widespread.It is not just a matter of the economy, it is also a problem that is closely related to ethics and morals of conscience. In the 2000s, Korean novels also deal with this poverty very heavily, and this paper analyzed and analyzed the works of Yeom Seung-suk, and Yun Go-eun. Kim Aa-ran describes the suffering of poverty by introducing occupations familiar to the unemployed and his generation, such as part-time students and lecturers. This phenomenon is common to most of the poverty novels in the 2000s, and the exceptional one is Yeom Seung-suk, and Yun Go-eun's work. Yeom Seung-suk‘s <NOWHERE MAN> depicts the process of bankruptcy of both low-education self-employed father and son. Over time, it shows that poverty has become worse, and has extended the fictional area to the lives of people who are far away from writers in generations and education. It extended the novel sphere to the less educated and older generations than most of Korean writers. The Night Travelers introduce a person who is suitable for showing the global character of the capital movement, a middle executive who works for the third world branch office of a midsize company, and accuses the inhumanity through narrative and symbolism. It is very impressive that this company is making a third world sinkhole artificially, selling this artificial disaster as a travel product and accumulating profits, and setting up the hero's labor to serve it. Common to all three writers, and thus possibly flaws in the 2000s novels, defects, There are two kinds of things. First, it failed to draw the cause of poverty, the mechanism of financial capitalism.I wonder if these novelists would make a fund manager appear. Second, there is no search for outside of capitalism.Even the Third World, which Yoon Eun is drawing, is entirely subsumed to capitalism, and there are no alternatives to the globalization of poverty, which is being tried variously even in conservative camps. In short, readers of Korean fiction in the 2000s will not know at all about the cause and way out of their suffering poverty, but this topic is being explored very actively in reality.I think this divergence is one of the forces that let readers get away from Korean novels. 이 글은 1997년 소위 IMF사태 이후 한국에도 본격 도입된 금융자본주의에 대해 한국소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를 점검한다. 금융자본주의는부익부빈익빈의 세계화를 추동하면서 인류의 경제를 파국에 몰아넣고 있어카지노자본주의라는 별명까지 얻고 있다. 이에 대한 저항도 지구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으니, 협동조합․사회적 기업 등 전통적인 사회경제의 영역 말고도 기본소득․토빈세 등의 제안들이 그 일부이다. 카지노자본주의에서 일어나는 수탈은 농업자본주의나 산업자본주의와는달리 눈에 잘 보이지 않지만, 그 힘은 훨씬 강력하며 광범위하다. 또한 이는 단순한 경제의 문제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윤리나 양심 도덕 등과도긴밀하게 관련되기도 한다. 2000년대 한국소설은 이 빈곤문제에 대해 큰비중으로 다루고 있지만 막상 빈곤의 원인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못했다. 이 글은 김애란을 살피면서 빈곤소설의 주요한 경향을 비판하고, 그 경향에서 자유롭지는 못하지만 나름의 변별점을 지니는 사례로서 염승숙과 윤고은의 작품을 분석하면서 빈곤소설의 방향을 제시한다. 염승숙의 「노웨어맨」은 저학력의 자영업자가 2대에 걸쳐 파산하는 과정을 그린다. 아버지 세대보다 아들 세대에 빈곤화가 더 심화되었음을 보여주며, 문학담당층과 거리가 있는 자영업자라는 직업에까지 소설적 영역을확장시켰다. 윤고은의 『밤의 여행자들』은 중견기업의 제3세계 지사에 근무하는 중간간부라는, 자본운동의 세계성을 보여주기에 적합한 인물을 등장시키고, 서사와 상징을 통해 그 비인간성을 고발한다. 이 기업이 제3세계에 인공적으로 싱크홀을 만들고 이 인공재난을 여행상품으로 팔아 이윤을축적하며, 주인공의 노동이 이를 위해 복무한다는 설정이다. 세 작가에게 공통적인, 아마도 2000년대 소설 전반에 해당될 수 있을, 문제점이라면 다음의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빈곤화를 가져오는 원인, 즉 금융자본주의의 메커니즘을 제대로 그려내지 못했다. 둘째, 자본주의의 외부에 대한 모색이 전혀 없다. 윤고은의 제3세계조차도 완전히 자본주의에 포박된 상황으로만 그려지며, 보수진영에서조차 다양하게 시도되는대안적 흐름도 보이지 않는다. 결국 2000년대 한국소설을 읽는 독자는 빈곤화의 원인과 탈출구에 대해서 전혀 알 수 없게 된다. 현실의 인접학문과대안운동이 그 원인과 대책을 활발하게 모색하고 있음과 매우 대조적이다. 이 괴리는 한국소설로부터 독자들이 멀어져가게 만드는 힘 중 하나일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자본주의와 한국 불교의 만남, 그 화해와 갈등의 전망에 대해

        박병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6 불교문예연구 Vol.0 No.7

        The Korean Society at 21st century is a civil society grounded on capitalism, and its core principal is competition focused on individual. Buddhism has to take a counter relation with capitalism because of its focusing on compassion and cooperation rather than selfness and isolation. There are two ways of meeting Korean Buddhism and capitalism, one is counter discourse, and the other is mitigating of disfunction of capitalism. But it is a real face of Korean Buddhism, especially of Chogae Order(曹溪宗), that reenforcement of capitalis ’s malfunction, There can be three ways of meeting between capitalism and the Korean Buddhism. Firstly, the Korean Buddhism can give a wisdom of the reality(如實知見) of Korean society, secondly, giving ways of healing and comfort, and lastly can give an alternative ism for capitalism as a interdependent diginity(緣起的獨尊). The last way can be a harmonious integration of individuality and interdependence. 21세기 초반 한국사회는 자본주의라는 이념의 토대 위에서 움직이는 시민사회이고, 그 핵심 원리는 개인을 중심으로 하는 경쟁이다. 불교는 고립된개인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그가 지닌 이기심보다는 자비심과 협력에주목하기 때문에 자본주의 이념과 대립적인 관계를 설정할 수밖에 없다. 한국불교가 자본주의와 만날 수 있는 길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대립관계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인 저항담론으로서의 성격을 유지하는 것이고, 다른하나는 자본주의적 질서를 일정 부분 수용하면서 그것이 지니는 역기능을완화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현재 조계종단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불교계는이 둘 중 어느 하나도 제대로 해내지 못하면서 자본주의와의 만남 과정에서지속적인 문제를 노출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한국불교가 자본주의와의 만남에서 할 수 있고또 해야 할 일을 다음과 같은 세 차원으로 나누어 제안해 볼 수 있다. 첫째는한국 자본주의가 처한 상황을 있는 그대로 성찰할 수 있는 대안적 관점을 적극적으로 제시하는 여실지견(如實知見)의 지혜를 제시하는 것이고, 둘째는자본주의적 일상에 지친 사람들을 위한 위로와 치유의 방안을 지속적으로제시하는 것이며, 마지막은 자본주의 사회구조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불교 사회이념을 제안하는 일이다. 마지막 방안은 연기적 관계성을 기반으로하면서도 각자 삶의 영역이 지니는 고유성과 존엄성을 훼손하지 않는 연기적 독존(緣起的獨尊)의 이념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남북통일과정에서 재외동포의 대북한 경제협력 - 중국 조선족과 재일 조총련 동포를 중심으로 -

        김재기 한국동북아학회 2005 한국동북아논총 Vol.10 No.1

        According to the official document of Ministry of Foreign Affair and Trade about 6 million Koreans live more than 170 nations in the world. There are more than 5.4 million Koreans outside of the Korean Peninsula. Successful stories of overseas Chinese investments in China imply that overseas Korean investor can provide scarce financial resources for North Korea as well as technology and marketing experience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Overseas Koreans are important national assets to establish 'economic coope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overseas Korean global network'. They could function as prime movers or connectors in the economic exchange and coope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becuase they are essential mediators. We can observe the fact through 'A Trade Consultation In Pyeongyang' that 'Korean International Trade Committee(in North Korea) and WORLD-OKTA opened together. (It was held in 'Public Cultural Palace In Pyeongyang' on the from 21th to 25th of May in 2004.) To activate economic conjunction of overseas Koreans, North Korean need to solve such problems as nuclear problem, rigidity of their system, excessive restriction, the low rate of operation, and the international low credit. Especially, it is necessary for North Korean to reform the system for the large fund from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Mindan)' having a huge capital power and the high science technology from 'the Korean-American'. 600만 규모의 재외동포들은 한반도 주변 강대국에 90.5%가 거주하고 있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재외동포들이 보유하고 있는 자본과, 첨단과학기술, 유통망, 자본주의 경험 등은 남북한 관계의 특수성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비경제적 제약요인을 극복하고, 북한의 국제사회로 진출을 매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해방이후부터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온 중국 조선족은 변경무역과 대북투자, 친척 돕기 등을 통해 북한과 경제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재일 총련계 상공인들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대북 경제협력은 애국공장과 합영사업을 통해 대북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그리고 재외동포들은 남북경제공동체 건설과 세계 한민족네트워크 공동체 건설하는데 중요한 민족적 자산이다. 재외동포들은 남북한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자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남북한간의 경제 교류 협력에 주체로서 또는 가교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2004년 10월 21-25일에 평양 인민문화궁전에서 해외한인무역인협회(WORLD-OKTA)와 북한의 조선국제무역촉진위원회가 공동으로 ‘평양무역상담회’를 개최하였는데, 이는 재외동포가 통일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재외동포의 대북 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해서는 핵문제, 체제의 경직성, 과도한 규제, 낮은 산업 가동률, 국제적 낮은 신인도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특히 막대한 자본력을 가지고 있는 재일 민단계 자본, 미주지역 자본과 첨단과학기술 등이 투자될 수 있도록 체제개혁이 필요하다.

      • KCI등재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서 고려인들의 과국적 이동과 과문화적 실천들-재한 고려인들의 생활세계와 문화적 교섭

        신현준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2 사이 Vol.12 No.-

        Since the disintegration of the Soviet Union in 1991, Koryosaram, ethnic Koreans in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CIS) or CIS Koreans, have performed deterritorialized migration beyond the places to which they had been tied for approximately a half-century. The return migration or remigration of CIS Koreans has taken divergent routes and constituted multiple layers. Among them, the migration of CIS Koreans to South Korea is an interesting case in which the historical roots and social ties are transformed by the general imperative of the global economy. The number of CIS Koreans who visit and reside in South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ing since 2007 when the Visiting Employment System (VES) was introduced. As of 2010, the number of official CIS Korean residents in South Korea is estimated at 10,000, and those who come from Uzbekistan comprise the majority. Although their community is rather invisible, especially compared to that of Korean-Chinese, their enclaves have been formed in certain parts of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and Busan. More than half of CIS Koreans in South Korea work in manufacturing factories and construction sites and their socio-economic condition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non-Korean migrant worker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family separation is nearly universal and there are intervening obstacles to family reunion. In this condition of migrancy, South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ve provided public spaces for soci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networks among CIS Koreans. Recently, a group of elites has emerged who have successfully adjusted themselves to South Korean society and have been self-employed or working as professionals, thanks to their transcultural capital, which has been constructed through their contact with South Korean people and culture at large. CIS Koreans incessantly perform cross-cultural negotiation whenever they come into contact with South Koreans in everyday life. It is not the case that they confirm a co-ethnicity with South Koreans, but that they perceive the differences between themselves and South Koreans.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CIS Koreans will be assimilated into South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ey redefine their cultural identity through detec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mselves and South Koreans. The “Korean ethnicity” that they try to redefine is itself transnational and transcultural and is contested by its dominant meaning in South Korea. In conclusion, their residence in South Korea is but one chapter of their international sojourn and mobile livelihood. 1991년 소련의 해체 이후 20년의 기간 동안 고려인(고려사람)은 이전처럼 고정된 장소에 계박된 상태로부터 ‘탈영토화’되어 과국적 이동을 수행해 왔다. 고려인의 재이동(remigration)은 발산적 경로들과 복합적 층들을 구성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고려인의 한국으로의 이동은 그들이 갖는 역사적 뿌리와 사회적 연고가 글로벌 경제가 명령하는 이주의 일반적 흐름에 적응․변형되는 하나의 사례를 보여준다. 고려인들의 한국 체류의 양적 규모는 2007년의 방문취업제의 실시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로 약 1만 명으로 추산되는데, 특히 우즈베키스탄으로부터의 온 고려인들의 비중이 높다. 한국에서 고려인들의 커뮤니티는 상대적으로(예를 들어 중국 조선족에 비해) 비가시적이지만, 서울과 부산의 대도시들의 일부 지역에서 상권이나 집거지구 형태로 존재한다. 이들 가운데 절반 이상은 제조업 공장이나 건설 현장에서의 육체노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점에서 한국의 이주노동자의 일반적 상태와 다르지 않다. 또한 가족 분산이 일반화되어 있고, 그 가운데 일부는 가족 재결합에 제도적․현실적 장애물이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 개신교 교회는 재한 고려인들의 사회적 관계와 소통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렇지만, 한국어를 습득하고 한국문화에 적응한 일부 고려인 엘리트들이 양언어성(bilinguality)을 활용한 과문화적 자본(transcultural capital)을 통해 전문직과 자영업 분야에 종사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고려인들은 한국인과 접촉하면서 부단한 문화적 교섭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같은 민족으로서의 공통성’보다는 ‘같은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엄존하는 차이’를 더 많이 인식하는 경향을 보인다. 즉, 고려인들은 한국에 살면서 한국인들에 동화되는 과정을 거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인들과의 문화적 차이를 (재)축조하면서 자신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재)정의하고 있다. 이렇게 고려인들은 자신들 고유의 ‘민족’ 정체성을 부단히 재정의하고 있지만, 이때의 민족은 그 속성 상 과국적이고 과문화적이며 남한에서의 이 용어의 지배적 의미와 상이할뿐더러 때로 경합적이다. 결론적으로 이들의 한국 체류, 혹은 ‘재한(한국 체류)’이란 복수적인 지리적 장소들에서의 국제적 체류의 부단한 이동의 한 국면을 지칭하는 이름이다.

      • KCI등재후보

        현대자본주의의 동학모순과 한국경제― 한국자본주의의 부르주아적 개혁을 중심으로

        김양화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6 한국민족문화 Vol.27 No.-

        The DynamicsContradictions of Contemporary Capitalism and Korean Economy: Bourgeois Reforms in Korea Kim, Yang-Hwa Contemporary capitalism is a 'otality' category. It is an integrated whole, or an organic unity mediated through uneven geographical developments and financial operations. And its dynamics and contradictions mainly lies in the financial accumulation strategy of global capitals, which stimulates 'the secondary circuit of capital'. As a result, it produces the rapidly increasing social inequalities, or 'accumulation of wealth at one pole and accumulation of misery, agony of toil, slavery, ignorance, brutality, mental degradation, at the opposite pole(in short, a relative immiseration of the popular classes). To properly understand it, we have to use 'totality and dialectical method' focused on 'the relations of the parts to the whole'. Capitalism in Korea is, on the one hand, linked to contemporary world economy through 'exportism', which produces many social polarizations in Korean economy, including those between capital and labor, manufacturing and non-manufacturing, large and small-medium businesses, and wealthy and poor households etc., and on the other hand, through financial institutions, which controlled by international finance capitals. In the circumstances, a 'new New-Deal', which is suggested by Harvy, David, is required in Korea. Especially, it should be placed as the bourgeois reform in Korea(from above), initiated by political liberals, bourgeois, labor unions, and citizen movement groups. And in the global constraints, it cannot but be confined to resolve housing problems and reform 'the secondary circuit of capital' of Korean capitalism. But it would contribute to alleviate the rapidly increasing social inequalities and eliminate bubbles in the capital's secondary circuit realms in Korea.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유교에 나타난 전통과 근대의 불연속성 -유교자본주의론(儒敎資本主義論)을 중심으로-

        류승완 ( Seung Wan Ryu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0 儒學硏究 Vol.23 No.-

        이 논문의 목적은 儒敎資本主義論을 중심으로 한국의 주류유교가 노정한 전통과 근대성의 불연속성을 지적하는 것이다. 이 작업은 특히 최근 한국에서 전개된 「儒學復興과 現代社會」論의 본격화 속에서, 儒敎資本主義論이 사상사적·논리적 정합성을가지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필요조건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조선의 국권상실로부터 1945년 8월 15일까지의 항일전쟁기의 일본제국주의와 그에 부역한 친일유림이 내세운 주류유교는 황도유학이었다. 그것은 195·60년대에는 반공주의, 197·80년대에는 군사주의적 민족주의, 1990년대에는 유교자본주의, 2000년대에는 유교생태주의 그리고 2010년에는 “전세계적인 정신문명”이라는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하여 왔다. 사상이 매 시대마다 모습을 달리하는 ‘마디’와 ‘연결고리’로 구성되는 하나의 유기체라면, 여기서 말하는 주류유교란 이들 마디와 연결고리로 구성된 비정형적 사고체계로서 ‘권력과 밀착된 학문’ 또는 ‘권력의 일부인 학문’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한국 주류유교의 다양한 변신마디 가운데 가장 중요한 유교자본주의 론과 그 전후의 연결고리를 검토 하였다. 먼저 유교자본주의론 자체가 전통(유교)과 근대성(자본주의)이라는 이질적 요소의 결합이라는 점을 지적 하였으며, 이러한 내부모순이 이후의 담론들과 자연스럽게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떤 연결고리가 필요한지를 설명 하였다. 이 과정에서 한국 주류유교에는 전통과 근대성의 불연속성이 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통과 근대성의 두 범주사이에 놓인 불연속성이 한국의 주류유교가 안고 있는 주요 모순이다. 이러한 모순은 불가피하게 시대상황의 부정합을 야기 하는데, 주류유교는 이를 회피하기 위하여 형이상학적·역사 초월적 방법론을 채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론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전통과 근대성이라는 두범주의 관계를 적확하게 설정하여야 한다. 이것이 한국주류 유교가 자기모순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연결고리임을 이 논문을 지적하려 한다. 이러한 작업은 최근 부각되는 동아시아 담론공간에서 한국의 유교자본주의와 중국의 中華主義가 錯綜되어 문화보수주의 또는 國家主義化되어가는 경향을 경계하면서 유교가 본연의 올바른 길을 가도록 하기 위한 학적 실천에 다름 아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oint out discontinuity of tradition and modernity that Korean main Confucianism exposed, which revolves around Confucian capitalism. This work especially presents the necessary condition to be basically required for Confucian capitalism to have an historical and logical suitability It was ``Japanese imperialistic Confucianism`` that Japanese colonialists and the pro-Japanese Confucians had claimed as main Confucianism during the time of anti-Japanese battle(from the time lost the sovereignty of Chosun to August 15, 1945). Main Confucianism has been variously changed to anticommunism in the 1950s and 1960s, military nationalism in the 1970s and 1980s, Confucian capitalism in the 1990s, Confucian ecology in the 2000s and "global moral civilization" in the 2010s. Supposing the thought is the organism consists of ``joints`` and ``links`` which change their appearances every age, the main Confucianism that is adressed here can be defined as ``the study stuck to power`` or ``the study as the part of power``. In this thesis Confucian capitalism which is the best core among the changeable appearance of the Korean main Confucian each age and the links of the afterwards and before of Confucian capitalism are examined. First, the fact that Confucian capitalism is the combination of the different elements is pointed out. And then which link is needed for this inner contradictions to be connected with the afterward discussions is expained in this thesis. This process informs Discontinuity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lies in Korean main Confucianism which is great contradiction. This inevitably brings out mismatching of times and circumstances. Main Confucianism adopts metaphysical and history-transcendental methodology to avoid this problem. But the relationship of two category, tradition and modernity, has to be set up precisely to be successful in this methodology. This work is exactly the academic practice that Confucianism is on the right way and keeps its eyes on the tendency that Korean Confucian capitalism and Sinocentrism is put together to be cultural conservatism or nat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