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와 진화생물학적 인간 해석에 대한 비교분석

        김종용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1 불교문예연구 Vol.- No.17

        진화생물학적 ‘유전자 결정론’은 인간의 존재에 대한 회의를 표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불교에도 무아사상(無我思想)을 말하며 존재에 대한 부정을 말하고 있는데, 이러한 두 이론의 사고(思考)는 회의주의 또는 허무주의적 사고로 빠질 수 있는 이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러한 회의주의적 시선을 잠재우기 위해 불교에선 불성(佛性)을, 그리 고 진화생물학을 대두시킨 도킨스는 밈(Meme)을 내세운다. 불교에서 말 하는 불성의 상징은 무명(無明)을 벗은 ‘깨달은 자’이다. 이러한 각자(覺 者)는 세상 만물이 항상 함이 없고[無常] 서로 연기(緣起)되어 있음을 알 아 아상(我相)에 대한 분별심이 없다. 따라서 불교에서는 아상을 부정하 고 진아를 깨달음으로써 이고득라(離苦得樂)을 삶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도킨스가 주장하는 ‘밈(Meme)’, 즉 문화적 유전이 우리를 진보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킨스의 진화생물학의 환원주의적 시선은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일단 진화생물학은 시종일관 인간을 다른 자연 만물과 동일한 위치에서 해석하다 다소 급하게 ‘밈’이라는 개념을 도입하 면서 인간의 주체와 자율성을 회복하고자 하고 있는데, 이는 사실 역설에 가깝다. 이러한 문제를 차치하더라도 결국 진화생물학적으로 본질적 인간 존재는 DNA의 운반체이고, 우리의 모든 욕구와 의지가 DNA의 맹목적 생존과 결부되어 있다면 인간의 주체성과 자율성은 확보될 수 없는 것으 로 보이며, 이에 회의주의 또는 허무주의의 대안으로는 한계가 있는 이론 이라 하겠다. 위와 같은 비교연구는, 불교의 입장에선 다소 초월적으로 여겨졌던 무아사 상을 진화생물학적 근거를 빌려 방편적으로 설명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진화 생물학적으로는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이론적 함정, 즉 주체성과 자율성의 확보문제를 불교적 교리가 그 대안이 된다는 점에서 불교와 진화생물학의 상호보완적 관계에 대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If we look at humans in evolutionary biology, it is not easy to secure a subjective and autonomous human form. Evolutionary biology interprets human beings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t determinism,” interpreting human will as beings that are bound to act in favor of the blind survival of DNA. This evolutionary biological interpretation has sufficient logic to lead our attitude toward existence and life to nihilism or skepticism. Similarly, Buddhism denies the existence of the universally thought of “I”. The logic of Wu-Wo[無我] in Buddhism is materialistically explained as Wu-Chang[無常] and Yuan-Qi[緣起], and spiritually, Shi-Er-Chu[十二處] and Wu- Yun[五蘊] explains Wu-Wo[無我] and dismantles the existence of 'I'. In this respect, both theories have a theoretical similarity in that the primitive "I" used by mankind is not a substance. However, the ideas of these two theories may be considered skeptical thinking. In order to calm these skeptical gazes, Buddhism suggests Fu-Xing [佛性], and Dawkins, who brought up evolutionary biology, suggests ‘Meme’. Here, the directions of the two theories are completely different. The symbol of Fu-Xing[佛性] in Buddhism is the “enlightened one” free from Wu-Ming[無明]. These enlightened ones know that all things in the world are not eternal, but are related to each other. Those who realize this do not make absolute judgments on everything. It doesn't cause an obsession with something. These enlightened ones are those who do not get stuck in everything and are not psychologically disturbed. The enlightened person here has a cosmic meaning. The meme that Dawkins claims is that culture is created in the process of imitating certain thoughts or beliefs, and that culture can advance us. In other words, we have an intrinsic selfish gene, but by cultural cloning and progression of memes, we can move forward to a better self and society. However, the reductionist gaze of Dawkins' evolutionary biology seems somewhat unreasonable. First, evolutionary biology continues to interpret humans as being identical to animals. However,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meme’ somewhat urgently, they are trying to recover the human subject and autonomy. This is actually a paradox. Even if these problems are traced, it seems that human existence is a carrier of DNA in evolutionary biology, and human subjectivity and autonomy cannot be secured if all our desires and wills are linked to the blind survival of DNA. Nevertheless, it seems to be a very clear and rational theory to explain the origin of human existence in evolutionary biology or to explain where human needs originated. If you look at it in Buddhism, it will be a very interesting part in that the selfless though,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central idea of Buddhism for a long time, is explained to some extent scientifically.

      • KCI등재

        인도의 불교의례와 그 변용 -인도와 한국 불교를 중심으로-

        백도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2

        본 논문은 인도 불교의례의 기원과 요소, 불교의례의 변용과 연구대상에 대해 다룬다. 불교의례는 초기불교에 나타난 경배, 귀속, 공양, 수행, 유행, 붓다장례, 합송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붓다에 대한 경배와 호칭, 붓다와 성자의 귀속문제 그리고 수계식, 의식주와 각종 필수물의 공양 이외에 꽃, 향 등의 공양, 수행과정에서의 의례와 유행 동안에서의 의례, 붓다의 사후의례와 장례문화, 경전의 합송과정에서 암송절차 등은 의례집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불교의례의 요소는 시간적ㆍ공간적ㆍ대상적ㆍ내용적ㆍ구조적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간략히 설명하면, 시간적으로 공양ㆍ포살ㆍ법회, 생전과 사후의 의례로 구분되며 작법절차도 시간에 관련된다. 공간적 요소로는 승가를 위한 공간, 재가를 위한 공간, 절 안과 절 밖, 수계단, 열반 이후 사리탑과 불국토 등이 주요의례 요소가 된다. 내용별로는 승가생활의례ㆍ삼귀의 ㆍ예경ㆍ수계 등의 자행의례(自行儀禮)와 앙굴리말라의 순산기도 등의 타행의례(他行儀禮) 등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예경대상과 선행공덕에 의한 생천 구조를 불교의례에서 지속하고 있다. 한편 초기불교에서 대승불교,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대 흐름에 따라 불교의례와 관련한 의례도구, 의식법, 내용과 주체자도 점차 변천해 왔다. 그런 맥락에서 살펴보면, 불교의례는 물리적 불교의례용구의 연구와 시기별 구분에 의한 연구, 설행단(設行壇), 불국토, 신중 거주처, 공간배치, 장엄공간 등과 관련한 연구들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내용을 중심으로 각종 재와 각청, 참석대중과 절차 등에 관해서도 연구 되어야 한다. 특히 연구 폭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기원과 변용, 번역과 사전작업, 의례비교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왜냐하면 현재 불교의례는 초기불교, 대승불교의 다양한 의례기원과 요소를 포함하고 변용되어 왔기에 경전을 통해 인도의 불교의례를 이해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origin and element of Indian buddhist rituals, changes of buddhist rituals according to the time and place and addresses objects of study in relation with buddhist ritual and its transformation. The buddhist ritual can be trace back to worshipping the Buddha and problem on belonging of the Buddha and Elders, offering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flowers and fragrance, ritual of buddhist practice, wandering, Buddha’s funeral after his death and recitation of discipline and canons, Buddhist ritual’s elements could be divided into the time, lace, object, content a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time we could divide according to offering, Uposatha, Dharma talk, ritual in buddha’s living and after his death in addition to the process of ceremonial behavior. According to the place main elements of buddhist rituals could be thought about the place for buddhist Saṅgha or believers and in or out of temples, stupas and buddha-land after buddha’s death. According to contents, ritual for oneself, namely the ritual of buddhist community’s life, three refuges, worship, ordination etc. and ritual for others, namely Aṅgulimālā’s prayer for pregnant’s safe delivery appeared in buddhist Canons. Understanding today’s Korean buddhist ritual we need to study on buddhist ritual materials, time division of ritual, ritual places, constitutions of the place etc. and various and partisan, process of rituals in Indian buddhist Canons. In order to expand research field, we need to study on the origin of sectorial approach, transformation and translation, making dictionary and comparative study of buddhist ritual. we need to understand Indian buddhist rituals in Pali and Sanskrit, Chinese and Tibetan Canons.

      • KCI등재

        일본 근현대 재가불교운동의 특징과 전망

        이석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3

        본 논문은 일본에서 일어난 근현대 재가불교운동의 특징을 살펴보고 재가 불교 교단이 나아갈 방향을 알아본 논문이다. 특히 한국에서도 교단이 형성 되어 포교활동을 하고 있는 법화천태계열 교단과 진언종 계열 교단의 교단 형성과 발전, 교학과 수행체계의 특징을 알아보고 현대사회에서 재가불교 교단의 발전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일본의 재가불교운동은 일본의 근대화와 더불어 일어났다. 급격한 근대화로 인한 개인의 사회적 소외와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성종단에서 할 수 없는 일을 재가자가 중심이 되어 교단을 형성하며 재가불교운동이 발생한 것이다. 일본에서 재가불교 교단은 크게 법화천태 계열과 진언계로 나눌 수 있는 데, 법화천태계 교단은 혼몬부츠류슈(本門佛立宗), 코쿠츄카이(國柱會), 레이유카이(靈友會), 리쇼고세카이(立正佼成會), 소카각카이(創價學會)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모두 니치렌슈(日蓮宗) 계열의 재가교단으로서 근대화에 따른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교육과 경제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소카각카이는 현실정치에 직접 참여했다는 특징이 있다. 신뇨엔(眞如 苑)은 진언계 교단으로 봉사와 실천을 바탕으로 사회문제와 환경문제, 문화적인 측면에서 많은 사회활동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본의 근현대 재가불교 교단의 활동을 참고하여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종교적 방법론이자 재가자들의 실천수행방법론으로 필자는 인권분야 사회운동에의 참여, 경제공동체 및 환경보호단체의 확충, 사회봉사 및 사회사업의 체계화, 전반적인 문화활동에 대한 투자, 정 치참여에의 독려의 5가지 발전방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방안은 재가자들이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사회문제의 해결방법으로서 미래세대와 현재세대를 연결할 수 있는 고리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재가자들의 안녕과 발전을 위해서도 사회운동을 전개하는 재가불자와 교단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This thesis analyzes the characteristic Japanese Lay Buddhist Movement in modern times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Lay Buddhist Religious body. Especially, I will examine the formation, development and the asceticism system of T’ien-t’ai Religious body(天台系敎團) and Shingon Religious body(眞言系敎團) which have been formed in Korea, and show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the Lay Buddhist Religious body In the modern society. The Japanese Buddhist movement took place with the modernization of Japan. In order to solve the social alienation and economic problems caused by the rapid modernization, Lay Buddhist Movement is occurred because Buddhist Order could not suggest any solution. Japanese Lay Buddhist Religious body can be divided by T’ien-t’ai and Shingonsyu(眞言宗). Representative T’ien-t’ai Religious body is Honmonbuturyusyu(本門佛立宗), Kokucyukai(國柱 會), Reiyukai(靈友會), Ritsyoukosekai(立正佼成會), Sokagakkai(創價學 會). They are all based on Nichirennsyu(日蓮宗), and interested in education and economic issues in order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modernization. Especially Sokagakkai is directly participated in real politics. Shinnyoen(眞如苑) is Shingon Religious body, that based on service and practice, and has many social activities in social issues, environmental problems, and cultural aspects. Based on Buddhist thought, referring to the activities of Buddhist denominations in Japan, I have proposed five ways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movement in the human rights field, to expand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groups, to organize social services and social work, to invest in overall cultural activities, and to encourage political participation as religious methodology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a methodology. This is a solution to social problems that can be done because they are Lay Buddhist, and It can serve as a link between future generations and current generations. And based on the Buddhist ideology, Lay Buddhist and Religious body should be revitalized to develop social movements for the well-being and development of the Lay Buddhist living in social life.

      • KCI등재

        한국 근·현대 재가불교운동의 특징과 전망

        김경집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3

        The social activity of Korean Buddhist believers in Korea began in modern times. It was to check the Japanese Buddhist missionary activity and Christianity from the West in Korea. The Korean Empire established a Jonggyohoe in Anyangam outside Dongdaemun. Jonggyohoe were organized in central and provincial areas but it was abolished in 1904. Around 1910, a group was held to check Christianity and for the development of Buddhism was also established.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Buddhist Women's Association were unique. A new Jaegabulgyoundong began in the 1960s. At first, groups not related to the denomination were active. After that, groups belonging to the denomination were active.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n modern Buddhism. Furthermore, Korean Buddhism played a major role in democratization. As a result the appearance of Korean Buddhism, which relies on the power of public power, was dealt with. Criticized the social reality and promoted Buddhist reform. In the 1990s, Korean Buddhist believers began their own Buddhist movement. The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Buddhism. They showed an active interest in solving social problems. It was critical of the denomination to break the Vinaya. 한국의 재가불자의 활동은 근대 형성되기 시작되었다. 계기는 한국에 진출한 일본불교의 포교활동과 외부에서 유입된 타종교의 견제가 주된 목적이었다. 대한제국은 일본불교를 견제하기 위해 동대문 밖 안양암에 종교회를 두었다. 중앙에 임원을 두고 지방 각 도의 조직을 관장하였다. 그러나 관리서가 1904년 1월 폐지되면서 근대적인 재가불교운동도 막을 내렸다. 근대 불교계에서 자발적인 재가불교운동이 일어난 것은 1910년 전후한 무렵이다. 사찰을 중심으로 타종교인 예수교에 대한 대항, 불교진흥과 공부를 위한 목적, 그리고 지역불교 발전을 위한 목적이었다. 이런 활동은 재가불교의 힘을 성장시켰고 그 역량이 사회활동에 이르게 되었다. 이 가운데 불교부인회는 어려운 환자나 걸인 그리고 어려운 재난을 당한 이재민들을 위한 자선사업을 전개하여 많은 호응을 얻었다. 한국 현대불교에서 재가불교운동이 시작된 것은 1960년대이다. 처음에는 종단과 관련되지 않고 모임이 결성되어 독자적인 활동을 벌였다. 그 후 1962년 4월 통합종단 이 설립되고 신행단체를 육성하면서 전국신도회, 대한불교청년회, 그리고 대학생불교연합회 등 종단관련 재가불교운동이 본격화 되었다. 이런 재가불교운동은 한국 현대불교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80년대 민중불교를 태동시키는데 가교 역할을 하였다. 1980년대 재가불교운동은 80년 사원화 운동, 1983년 전국청년불교도연합대회, 그리고 1985년 재가와 승가의 연합인 민중불교운동연합으로 이어지면서 불교의 자주화와 반독재민주화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젊은 불자들에 의해 공권력에 의존하는 한국불교의 모습을 척결하고 사회현실에 대한 비판과 불교계의 개혁과 반성을 지향하는 운동이 일어나게 된 것이다. 1990년대는 재가자만의 독자적인 불교운동이 형성된 시대였다. 불교의 내적 문제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 그리고 종단에 대한 비판적 역할도 잊지 않았다.

      • KCI등재

        『법화경』 「신해품」의 장자궁자 비유를 통해 고찰한 불교 상담사의 길

        임시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6

        본 고는 법화경 「신해품」의 장자궁자의 내용이 불교 상담의 과정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고, 신해품의 비유를 불교 상담적 관점에서 해석하며 불교 상담사에게 필요한 자질에 대해 고찰하였다. 신해품의 장자궁 자 비유에서 장자는 소승의 마음을 가진 궁자의 의식 상태를 알아차리 고 궁자에 대한 자비심을 내어 대승의 마음을 가질 수 있을 때까지 존중하고 배려하는 태도를 견지한다. 궁자는 장자의 보살핌을 통해 자신을 올바로 인식하고 자신에게 본래부터 있던 불성의 유산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일련의 과정이 불교 상담에서도 일어나고 있다는 입장으로 불교 상담사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불교 상담사는 내담자의 트라우마를 바라보는 자비의 마음과 지혜로운 관점을 유지하며 보살로서의 역할을 해나가야 한다. 이를 이행하기 위해 불 교 상담사는 먼저 자기 인식을 넓히고 의식의 성장을 거쳐 대승의 마음 을 갖춰나가야 할 것이다. 이런 불교 상담사의 자기 성찰이 기본이 되고 나서 장자가 궁자를 대하듯 내담자의 아픔을 자신의 고통처럼 받아 들이고 상호의존하며 함께 성장해가는 과정을 만들어 나갈 수 있겠다. 이런 상호존중의 과정을 불교 상담사와 내담자가 더불어 이루어 가는 것이 불교 상담이 가진 특이점으로서 보여 진다. 따라서 불교에 기반으로 한 불교 상담을 진행하는 불교 상담사는 연기적 관점과 보리심을 지난 보살의 마음을 지녀야 한다. 또한 불교의 사성제를 이해하고 무상과 무아에 대한 올바른 앎을 지니며 내담자의 고통을 해결할 수 있는 불교적 치유기법을 익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토대로 활동하는 불교 상담사의 기본 자질과 마음 자세를 수련하고 실습하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구축된다면 현대인의 심리적 고통을 치유하는 방법으로서의 불교 상담이 지금 시대에 자리 잡게 될 것이다. In "The Sutra of the Lotus," the ancient government interpreted the analogy of the divine product from a Buddhist counseling perspective and considered the qualities necessary for Buddhist counselors. In the metaphor of the "Jangjagungja" of ‘Shinhaepum’, Jangja notices the state of Gungja's consciousness with the spirit of the small monk and maintains a respectful and caring attitude until he can have the spirit of the great monk with the mercy of the prince. Through the care of Jangja, Gungja changes so that he can recognize himself correctly and accept the legacy of his original disloyalty.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role of a Buddhist counselor in the position that this series of processes is taking place in Buddhist counseling, and the Buddhist counselor should play the role of a Bodhisattva by maintaining the spirit of mercy and wise view of the trauma of the physician. In order to implement this, Buddhist counselors will have to broaden their self-awareness first, grow consciousness, and build a great monk's mind. After the Buddhist counselor's self-reflection becomes the basis, we will be able to take the pain of the deceased as if it were our own pain, interdependence, and grow together. This process of mutual respect is seen as a unique feature of Buddhist counseling, which Buddhist counselors and counselors work together. Therefore, Buddhist counselors who conduct Buddhist counseling based on Buddhism should have an acting point of view and a spirit of Bodhisattva.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the Buddhist sacrament, to have the right knowledge of self-renunciation and impermanence, and to learn Buddhist healing techniques that can solve the pain of a physician. If a systematic curriculum is established to train and practice the basic qualities and mind-set of Buddhist counselors based on the results so far, Buddhist counseling as a baton to heal the psychological pain of modern people will be established in this era.

      • KCI등재

        Mindful Self-Compassion(MSC):불교상담기법 모색

        송영숙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8 불교문예연구 Vol.0 No.10

        This study aims to explore methods of Buddhist counseling through Mindful Self-Compassion (MSC) developed by Christopher Germer and Kristin Neff. For such a purpose, this study first introduces the object and structure of the MSC in detail. It then discusses the usefulness and feasibility of MSC highlighting which aspects can be applied to Buddhist counseling and how this can be done. The reasons that this study is interested in MSC are: first, MSC, which has been recently developed, is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rapy based on wisdom and compassion, which is an aim of Mahayana Buddhism. For both MSC and Mahayana Buddhism, wisdom is cultivated through one’s capacity for mindfulness,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Second, MSC integrates a balance of theory and practice because its program consists of both intellectual and bodily exercises. Third, the main goal of MSC is to apply wisdom and compassion in critical moments of daily lif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has been found that MSC contains ample methods and skills that are important to furthering the development of Buddhist counseling. That is, Buddhist counseling can apply core teachings and traditional practices of Buddhism into daily life by utilizing the methodology of MSC. Furthermore, this results in the development of a more practical set of skills that serve as means for modern people to cultivate well-being. 본 연구는 리스토퍼 거머(Christopher Germer)와 크리스틴 네프(Kristin Neff)가 공동으로 개발한 Mindful Self-Compassion(MSC) 프로그램을 통해서 불교상담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기법들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MSC 프로그램의 목적과 구조 등을 비교적 상세하게 소개하고 MSC의 어느 측면들을 어떤 방식으로 불교상담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 그 유용성과 타당성을 논의해 보았다. 본 연구가 특별히 MSC 프로그램에 주목한 이유는 첫째, MSC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개발된 명상 프로그램으로 마음챙김과 자애, 자비의 역량을 함께 배양한다는 점에서 대승불교가 지향하는 지혜와 자비수행을 통합적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MSC 프로그램은 주제와 실습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론과 실습을 균형 있게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MSC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이 지혜와 자비의 역량을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순간에 실용적으로 사용하는 데 있다는 점이다. 연구 결과, MSC 프로그램은 불교상담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목적에 맞는 기법들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중요하고 풍부한 기법들과 방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불교상담이 MSC가 가지고 있는 방법론을 활용한다면 불교의 핵심교리와 전통적인 수행방편들을 현대인들의 필요에 맞게 보다 실용적이고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다양한 기법들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불교상담에서 자아의 의미와 역할 유식과 분석심리학의 자아이론 중심

        문진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6

        이 연구는 불교의 무아설을 토대로 형성된 불교상담이 서양 심리학에 서 발달한 자아와 자기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하는 의 문에서 출발하였다. 유식불교의 자아관과 분석심리학의 자아관이 의미 하는 바를 비교해보니, 유식불교와 분석심리학 양측 모두 건강한 정신의 계발을 지지하고 있고, 분석심리학에서 의미하는 강하고 건강한 자 아는 유식불교의 수행관에서 자량위와 가행위와 같은 기초적 수행과 일맥상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식불교에서는 ‘나’라는 인식을 번뇌에 상응하는 마음의 상태로 규정 하여 ‘나’라고 하는 믿음과 집착에서 벗어나는 것을 목표로 삼지만, 분석심리학의 ‘자기실현 과정 속의 자아’는 무의식적 힘에 사로잡히는 대 신 갈등을 해결하려는 태도와 함께 콤플렉스와 의식을 분리하고 무의식의 내용을 탐색하며 이해해나간다. 불교적 방식으로 말하자면, 분석심리학의 자기실현의 방향으로 향하는 자아는 번뇌와 상응하지 않고 오히려 인내, 믿음, 관조, 근면함, 통찰과 같은 선한 심소와 상응하는 의식이라고 볼 수 있다. 유식불교의 입장에서 볼 때, 무아 즉 공의 진실을 깨닫기 위해서는 무분별지의 획득이 중요한데, 비록 분석심리학의 자아는 이원적 인식으로서 스스로 무분별지를 달성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분석심 리학에서는 자아가 무의식의 내용을 탐색하는 방향으로 의식을 집중하고 자기에게로 다가감으로써 스스로 힘이 약해지고 자기가 드러나게 된다. 비록 불교에서는 의식의 주체를 인정하지 않지만, 만일 분석심리학에서 의미하는 ‘자기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의식의 주체’라는 자아의 기능이 가지는 심리치료적 효과를 이해한다면, 불교상담도 이러한 자아의 강화를 지지할 것이다. This article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how Buddhist counseling, formed on the basis of the basic Buddhist doctrine of anattā(non-self), can utilize the concepts of self and ego developed in Western psychology. Comparing Jung’s theory of ego and the Self with Yogacara Buddhism’s theory of manas brings about a conclusion that if the function of the ego is defined as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striving for self-realization', both Yogacara Buddhism and Jungian psychology will support the reinforcement of ego. From a Buddhist perspective, atman(我) in Yogacara Buddhism is a mind that corresponds to defilements, and the ego in Jungian psychology's self-realization process does not accompany the defilements, but rather corresponds to good mental components such as patience, faith, contemplation, diligence, and insight. From the standpoint of Yogacara Buddhism, though the ego of analytic psychology has the limit of not achieving indiscretion on its own as a dual perception, there is a strong belief in self-realization and constant effort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unconscious, as well as observation and contemplation. The emphasis on non-self of Buddhism and the healthy ego of psychological counseling are not contradictory arguments. Buddhist non-self can also be viewed as a theory that supports the healthy ego which is emphasized in psychotherapy, especially analytical psychology.

      • KCI등재

        이성선의 ‘산의 시학’ : 우주적 교감과 불교적 상상력

        민미경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3 불교문예연구 Vol.- No.21

        The purpose of paper is to look into “mountain poems” of Lee Sung-seon’s (1941~2001) focusing his cosmic communion and Buddhist Imagination. Nature is an organism that cannot be separated from human life. His poetry was an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His poetry, which paid attention to all beings in the natural world and poeticized cosmic communion, became the source of “mountain poetics”. This is in line with the Buddhist thought that seeks liberation. I stressed his poetic world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pursuit of liberation, cosmic communion and harmony, and Buddhist thinking. He devotes himself to painful creative activities to find his lost self. He dreams of liberation through thorough self-destruction, and reveals a mentality to enjoy true freedom by escaping from the restraints and illusions of the real world. The concrete statement of this mentality builds a sacred world view of non-possession as exhibited in the emptiness and liberation implied in “Leaving home.” For him, nature was the object of his seeking the truth and unification. The objects he met are intimately connected to the universe and they relate to and resonate with each other. Metaphysical ideas and celestial images are conveyed through cosmic imagination. With imagination that transcends the limits of transcendental space, it becomes possible to abandon all obsessions and commune with the universe. He appreciated nature through the Hwaeom imagination. Recognizing Mt. Seorak as the sea of ​​Hwaeom, searching for an archetype of a seeker of truth, he pursued permanent union of humans and nature in agreement with the Buddhist image of human beings being a part of the universe and the surreal state of Zen. It aroused Buddhist imagination while giving birth to the Hwaeom world view of the nonduality of the ultimate and the conventional aspects of truth. Transcending material-oriented approach, Lee Sung-seon’s “mountain poems” clearly shows the tendency of resonating cosmic communion and Buddhist imagination into the inner world of Hwaeom. 본 논문은 이성선(1941~2001)의 시적 세계를 우주적 교감과 불교적 상상력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자연은 인간의 삶과 분리될 수 없는 유기체다. 이성선의 시는 자연과 인간관계에 대한 통찰이었다. 자연계의 모든 존재에 귀를 기울이고 우주적 교감을 시화한 그의 시는 불교적 색채가 선명하게 드러나는 시집 산시(山詩) 를 비롯한 다른 여러 시집들에서도 보이듯이 ‘산의 시학’의 원천이 되었다. 이는 곧 해탈을 지향하는 불교적 사유와 맞닿아 있다. 이 글에서는 그의 시적 세계를 해탈 지향, 우주적 교감과 화응(和應), 불교적 사유의 상상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성선은 잃어버린 자아를 찾기 위해 고통스런 창작활동에 전념한다. 철저한 자아 파괴를 통해 해탈을 꿈꾸고, 현실적 구속과 미망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유를 향유하려는 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의식의 구체적 진술은 「출가」와 같은 비움과 해탈에서 무소유의 신성한 세계관을 구축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성선에게 자연은 구도(求道)와 합일의 대상이었다. 그가 만난 사물들은 우주와 내밀하게 연결되어 교감과 화응하고 있다. 따라서 형이상학적인 것과 천체 이미지가 우주적 상상력으로 매개되고. 초월적 공간의 한계를 뛰어 넘는 상상력으로 일체의 집착까지 버리고 우주와 교감하게 된다. 나아가 이성선은 자연을 화엄적 상상력으로 인식하였다. 설악을 화엄의 바다로 인식하며, 진정한 구도자의 모습을 찾고, 인간은 우주의 일부라는 불교적 이미지와 초현실의 선적인 경지로 인간과 자연의 영속적인 합일을 지향하였다. 이러한 시적 태도는 ‘진속불이(眞俗不二)’ 화엄적 세계관을 배태시키면서 불교적 상상력을 불러일으켰다. 산시(山詩)는 소재주의에서 벗어나 화엄적 내면세계로 우주적 교감과 불교적 상상력을 화응하는 경향을 두드러지게 나타내고 있다.

      • KCI등재

        불교설화의 독서치료 활용에 대한 고찰

        이덕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3 불교문예연구 Vol.- No.2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various ways to utilize Buddhist Tales in bibliotherapy. First, we asked which Buddhist Tales would be appropriate if we followed the selection criteria for existing bibliotherapy materials. To answer this question, we analyzed the currently available books on Buddhist Tales with three evaluators using the selection criteria for bibliotherapy materials. Second, we attempted to find psychodynamically oriented questions that could be used in counseling scenes based on the Buddhist Tales “The Mango Tree is My Friend” by Ahn,DoHyun.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first, acce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ority when selecting Buddhist Tales as materials for bibliotherapy. Texts centered on Buddhist scriptures that contain difficult sentences or specialized Buddhist terms can hinder the faithful contact with the principles of bibliotherapy and make the process of bibliotherapy difficult to occur naturally. Second, the analysis of the materials categorized by topic reveals that they contain general topics, influential topics, and topics with positive emotions, an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by writing style show that they have excellent potential as bibliotherapy materials in terms of rhythm, imagery, metaphor, and length. Furthermore, there is sufficient potential for utilizing Buddhist Tales in bibliotherapy as suggested by the process of bibliotherapy in the counseling scene. This study holds significant value as the first attempt to utilize Buddhist Tales in bibliotherapy. However, it is limited by the absence of prior research and the lack of a comprehensive list of Buddhist Tale bibliotherapy materials, which hinders the exploration of broader classification systems such as therapeutic purposes, target groups, and age divisions. Additionally,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limited amount of data compared to the vast quantity of Buddhist Tales available.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s limitations of the study. 본 연구는 불교설화를 독서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기존의 독서치료 자료의 선정기준에 따라 불교설화를 선정한다면 어떤 불교설화가 적절한지를 묻고, 이 문제의 답을 얻기 위해 연구자는 현재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불교설화에 관한 책들을 구입하고 독서치료 자료의 선정기준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평정자 3명의 자문을 구하였다. 둘째, 상담 장면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발문을 찾기 위해 안도현 시인이 들려주는 불교동화 1 의 「망고나무는 내 친구」라는 불교설화를 토대로 심리역동적 발문 찾기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불교설화를 독서치료의 자료로 선정하기 위해서 다른 자료보다 우선으로 자료의 접근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라고 보았다. 불교 경전을 중심으로 한 문학으로 어려운 문장이나 전문적인 불교 용어가 그대로 사용되는 텍스트는 독서치료 원리에 충실한 접촉을 방해하고 독서치료의 과정이 자연스럽게 일어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둘째, 불교설화는 독서치료 자료의 주제별 분류로 볼 때 일반적인 주제, 영향력 있는 주제, 긍정적 정서의 주제를 담고 있었다. 그리고 문체별 분류 기준으로 분석결과 리듬, 이미지, 은유, 길이에서 독서치료 자료로서의 활용이 용이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담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독서치료 과정에서의 발문에 대한 제안으로 독서치료에 불교설화가 활용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독서치료에 불교설화의 활용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 큰 의의를 가진다. 다만, 선행 연구가 전무하고 불교설화 독서치료 목록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치료목적별, 대상별, 연령 구분과 같은 다른 분류 체계를 폭넓게 다루지 못하였던 점, 방대한 불교설화의 양에 비해 지극히 한정된 자료로 연구된 점은 연구의 한계이다. 향후 다양한 불교 설화가 독서치료 자료로서 널리 활용되기 위해서는 현대에 일반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문학으로 폭넓게 응용 번안·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불교설화 독서치료 목록을 작성하는 연구가 선행되고, 이를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불교상담의 우울치료의 현황과 발전 방안 연구

        문진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1 불교문예연구 Vol.- No.18

        본 연구는 불교상담이 사용하는 우울의 치료 방식과 우울치료에 대한 불교 상담계의 연구 성과에 대해 알아보고, 심리치료로서 불교상담이 발전하기 위해 어떤 방안이 필요한지 알기 위해 수행되었다. 불교와 우울, 불교상담과 우울에 대한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특히 국내의 연구에서는 불교상담의 우울치료에 대한 연구자들이 불교수행과 심리치료 양측의 패러다임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불교상담의 연구는 아직 불교학적 패러다임에 머물러 있고, 불교상담의 효과를 검증하는 심리학적 연구에는 적극적이지 않다. 불교상담의 발전을 위해서는 심리학적 연구방법을 토대로 특정의 심리적 장애에 대한 불교수행법 중심의 치료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불교수행법이 특정 심리적 장애에 효과적인 이유에 대한 이론적 기반이 구축되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동질의 중재법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 중재법에 대한 무작위 대조 실험의 결과가 계속해서 나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축적된 실험연구를 토대로 비로소 불교상담과 불교수행이 일반대중에게 효과적인 심리치료법이 될 수 있다는 객관적인 사실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방향의 연구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불교수행 연구 전문가와 심리학적 연구 전문가의 교류와 협업이 필요하며 그들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하여 각자 자신의 분야와 판이한 패러다임에 익숙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불교상담의 발전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연구의 방안과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depression is treated in Buddhist counseling, and to find out what strategy are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Buddhist counseling as a psychological treat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prior studies on ‘Buddhism and depression’ as well as ‘Buddhist counseling and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researchers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in Buddhist counseling did not fully utilize the paradigms of both Buddhist practice and psychotherapy. The study of Buddhist counseling still remains in the Buddhist paradigm, and it is not active in psychological research to verify the empirical effects of Buddhist counseling. For the development of Buddhist counseling, treatment methods centered on Buddhist practices for specific psychological disorder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psychological research methods. To this end, a theoretical basis for why Buddhist practices are effective for specific psychological disorders should be established, a homogeneous Buddhist intervention method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is, and the accumulation of the scientific result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or this intervention method should continue. Based on these accumulated experimental studies, the objective fact that Buddhist counseling and Buddhist practice can be effective psychotherapy for the general public will be established. In order to develop research in this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exchange and collaborate between experts in Buddhist practice and psychological research, and through active exchanges, each needs to become acquainted with a paradigm that is different from their own fiel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the research method and direction necessary to achieve the development of Buddhist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