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경비안전서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

        유재두 한국경찰연구학회 2015 한국경찰연구 Vol.14 No.4

        조직을 이루는 가장 기초적인 단위는 구성원이며, 구성원을 지휘·관리하기 위해 리더가 존재한다. 과거의 리더십은 단시간에 최대한의 효과를 내기 위한 것이었다면, 최근의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잠재되어 있는 능력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는 동기 부여 등 변혁적 리더십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현대 사회의 인사·조직 등에서 HRM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때문이다. 또한 조직성과를 위해서 기본적으로 조직신뢰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해양경찰은 역할과 임무 그리고 해양이라는 특수한 환경의 위험 요소가 다분하기 때문에 리더와 조직 신뢰는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해양 관할지역내 리더인 경찰서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신뢰의 관계를 살펴 보았다. 연구결과 변혁적 리더십 그리고 하위변인인 카리스마 변인과 지적자극 변인 모두 조직신뢰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선행연구의 경우 각 변수와 변인간의 관계에 상이한 결과가 많았는데 대부분 해양경찰 이외의 조직에 대한 연구결과이다. 그만큼 해양경찰에 대한 리더십과 조직신뢰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향 후 해양경찰과 관련된 다양한 리더십 유형과 조직신뢰 및 조직성과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A year ago, South Korea's Korea Coast Guard were a lot of changes Name change, business collapse, belonging Change etc. This time point, Studies of organizational trust is very necessary. Specifically, this study i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chief of Korea Coast Guard station. The important reas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is Since it is Risk factors. For example, role and mission of the police, risks of coastal locations etc. In general, the organizational trust is a prerequisite than organizational performance.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is th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particular, research o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of the Korea Coast Guard is very insufficient.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is important. In resul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ief of Korea Coast Guard station has had an impact on organizational trust. In addition, sub-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had an impact on organizational trust. Even despite the harsh environment, Korea Coast Guard were trusted the organization. The result is chief of Korea Coast Guard st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important. Chief of Korea Coast Guard station gave a vision to the members, the members are proud chief of Korea Coast Guard station. And chief of Korea Coast Guard station and members, rather than a formal relationship, because paternalistic relationship. And chief of Korea Coast Guard station and members, rather than a formal relationship, because it is the result of interaction. Although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as studied in a small range, such 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on various types of leadership and trust.

      • KCI등재

        해양경찰공무원 채용제도의 인식분석 및 시사점 연구

        박상진,이완희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9 경찰학논총 Vol.14 No.4

        2014년 5월 각 부처에 분산된 재난 안전 기능을 통합하고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모든 유형의 재난을 관리하기 위하여 해양경찰청이 국민안전처 소속 해양경비안전본부로 개편되었다. 하지만 조직 개편 이후 수사기능이 축소되어 치안공백이 발생하였고, 중국과 일본 등 주변국에 맞서 주권을 수호하고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해양경찰의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하여, 2017년 해양경찰이 해양수산부 독립 외청으로 재출범 하였다. 즉 ‘해양경찰을 새롭게 만든다.’는 임무를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가장 기본이 되는 전제조건은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여 국민에게 사랑 받는 해양경찰로 재탄생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해양경찰채용제도의 문제점으로 드러나고 있는 공개채용 목적에 부합한 다수 경쟁체계 구축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바람직한 채용제도 개편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해양경찰공무원에 최종합격하여 해양경찰교육원에서 교육 중인 신임순경을 대상으로 채용제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최근 논의 중인 해양경찰채용제도 개편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해양경찰공무원 채용에 대한 채용절차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여 현재 채용제도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자 했다. 둘째, 해양경찰공무원 채용시험 단계에서 반영비율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부적격자를 배제하고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반영비율의 방향을 제시하고 하였다. In May 2014, the Korea Coast Guard was reorganized into the Korea Coast Security Safety Headquarters belonging to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in order to integrate disaster safety functions distributed among ministries and manage all types of disasters occurring in Korea. However, the investigation function was reduced after the reorganization, resulting in a public order vacuum, and the Korea Coast Guard re-enacted the role of Korea Coast Guard in order to protect sovereignty and strengthen safety against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In 2017, the Korea Coast Guard re-entered the independent office of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n other words, in order to faithfully carry out the task of "renewing Korea Coast Guard," the most basic prerequisite is to secure excellent manpower and be reborn as Korea Coast Guard loved by the peop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irection for the revision of the Korea Coast Guard recruitment system under discussion by analyzing the awareness of the recruitment system under education at the Korea Coast Guard Academy in order to find ways to establish a desirable recruitment system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number of competitive systems and securing professionalism in line with the current public recruitment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First, the status of the recruitment system was analyzed through awareness of the recruitment process. Second, the recognition of the reflection ratio was analyzed at the police officer employment examination system stage, and the effective reflection ratio direction was presented to exclude unqualified persons and to secure excellent personnel.

      • KCI등재후보

        해양경찰 정보활동의 법적 근거와 범위에 관한 고찰

        최정호 한국해양경찰학회 2016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6 No.2

        해상정보활동은 “해상에서 국가안보나 국가이익, 국가정책결정을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목적으로 수집․분석한 결과물 또는 그러한 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014. 11. 19. 해양경찰청이 해양경비안전본부로 재편된 이후, 정보기능의 조직과 인원이 상당히 축소된 상태이지만, 해상정보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해양경찰 정보활동 조직을 현실에 맞게 조정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해양경찰 정보인력의 축소에 맞게 과거에서부터 해오던 업무로부터의 부담을 줄여주어야 하고, 해양수산 분야의 정책정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집중하여야 하며, 해양경찰 정보기능에 맞게 조직의 명칭도 개선하여야 한다. 해상정보활동이 내실 있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법률적인 보완도 필요하다. 해양경찰 정보관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상정보활동에 대한 법적인 근거를 숙지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정보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보전문화 교육을 이수할 수 있도록 내부규정화하여야 하며, 해양경찰의 정보활동과 관련된 내용이 해양경찰 조직 또는 집행과 관련된 법률에 규정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해상정보활동이 국가 정책결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해양경찰 정보활동만의 특화된 분야를 개발하여야 한다. 우선은 선박을 중심으로 전문화된 해상정보활동이 이루어져야 하고, 북한과 대치되는 특별한 상황에서 해상보안업무는 해양경찰이 전담하여야 하며, 바다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다루는 관련 기관과 해상정보를 연계하고 공유함으로써 국민에게 해양과 관련된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양정보 생태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Maritime intelligence is defined as “information collected and analyzed on the sea to provide the result to the users for national security, national interest, and national policy-making, or the relevant activities.” Since the Korea Coast Guard was affiliated to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on November 19, 2014, the organization and the number of staff for maritime intelligence have been considerably reduced. However, the maritime intelligence organization of the former Korea Coast Guard should be adjusted to the reality to perform maritime intelligence. For this, according to the downsized Korea Coast Guard intelligence organization, the workload from past tasks should be reduced, the intelligence activities should be concentrated on the information relevant to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policies, and the name of the organization should be revised in harmony with the maritime intelligence functions of Korea Coast Guard. Substantial maritime intelligence activities require legal supplementation. The intelligence officers of Korea Coast Guard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to fully understand the legal basis of maritime intelligence activities so that they have confidence in their works. An internal regula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intelligence officers to definitely undergo an intelligence expertise education for performing intelligence functions. Efforts should be made so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maritime intelligence activities by Korea Coast Guard may be regulated in the law relevant to the organization or enforcement of Korea Coast Guard. In order to make maritime intelligence play an important role in national policy-making, activities specialized for the maritime intelligence of Korea Coast Guard should be developed. First, the specialized maritime intelligence should be carried out with respect to ships. The maritime security works should be carried out exclusively by Korea Coast Guard in particular situations where there is a confrontation with North Korea. A maritime intelligenc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provide the best maritime service to the citizens by sharing various types of maritime information with relevant institutions.

      • KCI등재

        서해 5도에서의 중국어선의 불법조업 문제

        노호래 한국해양경찰학회 2015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5 No.1

        중국어선의 불법조업문제는 동북아의 국제적인 문제이다. 특히 남북의 해상 경계 선인 북방한계선(NLL) 해역에서 불법조업 빈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 북방한계선 부 근에서 야간이나 기상이 불량한 시간을 틈타 기습적으로 우리해역으로 넘어와 조업 하다가 단속을 피하여 다시 북측 해역으로 넘어가는 게릴라식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중국어선의 불법조업 문제는 대한민국과 중국의 양자간의 문제가 아니라 북한과도 관계가 있는 동북아의 문제가 되어 버렸다. 본 연구는 동북아의 해양 문제 중에서 NLL해역에서의 중국어선의 불법조업문제 에 집중하였다. 서해 5도의 특성을 분석하고, 서해 5도에서의 중국어선의 불법조업 실태를 분석하여 국가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국가적 대응방안으로는 서해 평화협력 특별지대 구상, 중국어선의 불법조업 방지를 위한 남북 합의서의 재가동, NLL에서의 동동어장설정, 합작어로회사의 설립, 서해 5도 해양경비안전서의 설치검 토, 불법조업 단속역량의 강화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a study to suggest about the illegal fishing problem of chinese fishermen in the five islands of the West Sea. The illegal fishing problem of chinese fishermen is international affairs in Far East. Especially, Frequency of Chinese fishermen’s illegal fishing more in the northern line sea than in another seas. Vessels of chinese fishermen come and go across northern limit line to evade regulation of south korea’s coast guardmen with guerrilla technique. On the occasion of regulating by south korea’s coast guard men, they go to north korea sea. This illegal acts was happened in nighttime or worse weather conditions. The illegal fishing problem of chinese fishermen in the five islands of the West Sea became not only the problem of south korea and china but also the problem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refore, three nations(south korea, north korea and china) were related to the illegal fishing problem. I suggest that authority of south korea should try to approach “Special Zone of Peace and Cooperation in the west sea” initiative, reestablishment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greement to prevent illegal fishing in the NLL, the fishing cooperat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foundation of coast guard station in the NLL area and the regulating ability reinforcement of korea coast guard about illegal fishing chinese fishers.

      • KCI등재

        일본 해상보안제도의 특징과 정책적 제언

        노호래(Roh Ho Rae) 한국공안행정학회 201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1 No.4

        2차대전 후 일본에서는 해상을 관할로 하는 행정기관들이 설립되었으나 효과적이고 일원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46년 밀입국이 많아지자 불법입국감시본부라는 행정기관이 발족되었으나 동본부는 불법입국선박의 감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고, 항해의 안전과 해상치안의 유지에 해당하는 해상보안에 관계된 행정사무 일반을 취급하는 것이 아니고, 그 외의 해상보안에 관련된 행정사무는 과거와 같이 경찰, 세관, 검역소, 해운국 등의 기관이 독립적으로 실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행정기관들이 각각의 행정목적을 위하여 많은 경비와 설비를 개별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전후의 어려운 재정상황하에서 매우 비경제적이고 불합리하며, 해상보안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1개의 행정기관이 필요한 함정과 시설을 일원적으로 관리운영하고, 그 기관의 책임 하에 해상에서의 항해의 안전과 치안의 유지에 관한 행정사무 전반을 포괄적ㆍ총합적 권한을 행사하는 것이 바람직한 동시에 유효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의 Coast Guard를 모델로 하여 해상보안청이 1948년에 창설되었다. 특히 일본 해상보안청의 항장은 항만에서 해상교통의 총책임자로서 각종의 명령권과 허가권을 가지고 있고 해상교통 규제를 일원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항장제도에 대한 성격과 특성을 소개하고 이를 우리나라 해상교통행정에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며, 이 제도의 장점을 고려하여 정책적 제언을 모색하고자 한다. Since its establishment in May 1948, the Japan Coast Guard(JCG) has been engaged day and night in a variety of activities, including criminal investigations, maritime security operations, search and rescue work, marine environment preservation, disaster mitigation, oceanographic research, and maritime safety operations. Organization structure is as follows. Headquartered in Tokyo, the JCG divides the nation into 11 regions to facilitate its coast guard operations. Each region has a Regional Coast Guard Headquarters under which there are various Coast Guard Offices, Coast Guard Air Station, Traffic Advisory Service Centers, Air Stations and Hydrographic Observatorie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uggest maritime police policies through Japan Coast Guard System. In Chapter 2, I reviewed establishment background of JCG, its origins, assimilation of several government agencies and its suggestions. Then in Chapter 3, I discussed characters of JCG act. The JCG act is to legislative measures to implement fisheries law violations such as poaching, illegal operations by foreign fishing vessels, smuggling and illegal immigration, suspicious vessels and spy ships and so forth. In Chapter 4, I analyzed the difference korea's open port control system and Japan's open port control system, open port control system Problem of korea. And Chapter 4, I suggested that Port Chief System of JCG should introduce in Korea Coast Guard. It seems that a lot of legislative work and improvement in administration system are required for unification of maritime policing in korea. This kind of work and improvement would demand a lot of time and energy in the government side. Thus, korea is expected to establish unification of maritime policing implement as soon as possible. By doing so, KCG can be advanced maritime police in the world.

      • KCI등재

        해양경찰 직무의 법적 근거에 대한 고찰

        최정호(Jong-Ho Choi) 한국해사법학회 2012 해사법연구 Vol.24 No.3

        해양경찰은 “해양 또는 연안(沿岸)에서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고 해양 자원과 환경을 보호하며 국제법상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위험을 방지하고 이미 발생한 장해를 제거하는 국가의 모든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요한 직무를 수행하는 해양경찰 조직의 틀 내지는 기반이 될 수 있는 조직법적 근거와 함께 직무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작용법적 근거의 조화로운 제정이야말로 해양경찰이 추구해야할 법률적 토대의 기본이다. 해양경찰청의 조직법을 갖추어 해양경찰청의 조직 및 직무범위를 법률로 명확히 함으로써, 조직 외부적으로는 해양경찰청 체계의 항상성을 꾀하여 계속된 발전을 유도할 수 있고, 조직 내부적으로는 구성원 간의 소속감을 증대시켜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궁극적인 목표로서 국민들을 대상으로는 해양에서의 공권력 집행기관으로서 침익적 행정의 법률유보의 원칙에 근거한 책임성 있는 행정 구현이 가능함과 동시에 행정청의 자의적인 행정권 확대를 예방하게 되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The Korean Coast Guard is a leader maritime security authority in Korea. Main duties of Korea coast guard include the all national activities to defend and preserve the Republic of Korea such as to maintain public security and order, to protect marine resources and environments, to prevent risks and to remove obstacles already occurred in the sea or at the coast to fulfill obligations under international law. It is necessary to provide harmonized legal bases not only of organizational framework but also of the mission and duties for the Korea Coast Guard that performs such important tasks. With clarifying the legal scope of organizational framework and duties of the Korean Coast Guard Bureau, the Korean Coast Guard could promote the organizational homeostasis and development externally and strengthen solidarity between its members internally. At the same time, arbitrary enforcement of executive power could be prevented.

      • KCI등재

        해양 밀입국 실태와 해양경찰의 대응방안

        유재두,노호래 한국해양경찰학회 2018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8 No.1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되어 있어, 다른 방법보다 해양을 통한 밀입국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밀입국의 경우 다양한 원인과 동기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데, 단순한개인적 동기를 떠나 테러리즘, 민족차별, 마약, 인신 매매, 범죄자 도피 등 국가의 안전에 위험 요소가 있어 제5대 국제성 범죄로 분류되고 있다. 과거에는 공해상에서 어선환승 등의 방법으로 밀입국이 시도되었지만, 최근에는 단속 강화 등으로 인해 합법적신분 위장 등 더욱 교묘한 방법으로 밀입국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과거부터 최근까지밀입국 시도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기는 하지만 특정 조직과 밀입국을 시도하려는 개인이 있기 때문에 밀입국은 지속적으로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밀입국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기존의 연결망 이론과 함께 제도 이론을 통한 밀입국 원인을 적용해 보았다. 특히, 밀입국은 단순히 개인적 원인뿐만 아니라 사회․경제․문화등 다양한 이해관계의 결과에서 발생한다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향후 밀입국은 더욱다양한 방법에 의해 시도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해양경찰도 그에 적합한 대응 방안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특히, 인적 보안이 어려운 지역의 경우 CCTV에 의존 할 수밖에 없는데 현재의 CCTV 실태에 대해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해상의 경우바닷길 흐름에 따른 한국형 지오그래픽 분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Korea has three sides on the sea. As a result, it continues illegal immigration through the ocean. The cause and motivation of a illegal immigration through ocean are various. There are merely personal motives, terrorism, ethnic discrimination, drugs, trafficking of people, escape of criminals, and so on. Because it is dangerous to the nation and society, it is classified as an international crime. Also, the method of illegal immigration through ocean is diverse. In the past, there was a way of connecting on the high seas. Recently, it is illegal immigration into a legal status and illegal immigration through ocean. A illegal immigration through ocean has characteristics such as organizing, sophistication, intelligence, diversification. In this research, I present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illegal immigration through ocean, examples and Korea Coast Guard measures. I presented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progress of research. The theoretical background presented the theory of network theory and institution. The actual condition and case of a illegal immigration through ocean presented the recent occurrence. The Korea Coast Guard measures first, the measures taken by the Korea Coast Guard is initially strengthened. Second, region - country -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The illegal immigration through ocean will be applied in various ways in the future. Appropriate measures by Korea Coast Guard are necessary. CCTV is monitoring areas where people's security is difficult. But now I examined the problem of CCTV. Geographical analysis applying sea route is necessary only in Korea.

      • KCI등재

        해양경찰 무기사용의 몇 가지 쟁점에 대한 소고

        최정호 한국경찰법학회 2017 경찰법연구 Vol.15 No.2

        Following the sinking of and intentional collision with a high-speed boat of the Korea Coast Guard by a Chinese fishing boat in October 2016 on the Western Sea, the Korea Coast Guard amended some regulations of the Maritime Policing Act and supplemented the legal basis of allowing the use of personal and crew-served firearms during the process of undertaking patrols. Through the use of firearms as one of the strongest means of presenting force in order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enforcement and administration by the Korea Coast Guard in the oceans, the importance of the protocol and legal basis for using firearms separated from cases of enforcing public authority on land, has become recognized of its importance. In particular, as the process of law enforcement activities against illegal Chinese fishing boats or responding to pirate attacks are gathering national interest, the use of firearms in those situations, the necessity of using, and the strictness of protocol during the use of firearm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July 2017, the Korea Coast Guard was reorganized as an independent government body affiliated with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In light of the Republic of Korea’s dependence on maritime affairs more so than any other country and during a time in which the value of maritime safety has become ever important,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legal basis of using firearms, a subject having the potential to greatly affect the entirety of the Korea Coast Guard, has become very important. This study examined the legal basis and background regarding the use of firearms by the Korea Coast Guard, specified objective legal grounds regarding the certainty with which coast guard officers may use firearms, and suggested the need to supplement penalties directed from maritime search and inspection. Moreover,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undertaking repeated firearms training in preparation for different site conditions, and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managing as well as securing evidence after the discharge of weapons. 2016년 10월 서해 상에서 발생한 중국어선의 해양경찰 고속단정 고의충돌ㆍ침몰사고 이후, 해양경찰은 『해양경비법』의 일부 규정을 개정하여, 단속 과정에서 개인화기 이외에 공용화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보완하였다. 해양에서 해양경찰의 집행력과 행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서 가장 강력한 실력행사를 보일 수 있는 무기를 사용함에 있어 육상의 공권력 집행과 구별되는 해양경찰만의 절차적인 단계와 법적 근거가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게 되었다. 특히 국민적인 관심을 모으고 있는 불법 중국어선의 단속이나 해적에 대한 대응에서 무기의 사용은 그 필요성과 함께 절차의 준수가 고려되어야 한다. 2017년 7월 해양경찰청은 해양수산부 소속의 독립 외청으로 제자리를 찾게 되었다. 해양에 대한 의존도가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훨씬 높은 우리나라에서 해양안전에 대한 가치가 더 중요해진 이때에 해양경찰 조직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무기사용에 대한 법적 근거를 살피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경찰의 무기사용에 대한 개관과 법적 근거를 살펴보고, 해양경찰관이 무기를 사용함에 있어 확신을 가질 수 있는 객관적인 법률적 근거의 명시와 해상검문검색의 처벌내용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함과 현장상황에 맞는 반복적인 무기사용 훈련과 무기사용 시 증거의 확보 및 관리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한반도 해양 평화를 위한 해양경찰의 정보기능 평가와 과제

        김일기,석재왕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3 평화학연구 Vol.24 No.1

        To achieve maritim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necessary to ensure maritime security and to do so, the development of the intelligence function of the Korea Coast Guard is crucial. This paper presents future development task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intelligence function of the Korea Coast Guard. Changes in the maritime security environment are manifested by the competition for maritime hegemony and strengthened intelligence capabilities among neighboring countrie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emerging security threats and changes in intelligence paradigm, North Korea's military provocations, and increased demand for maritime intelligence against North Korea. The evaluation of the function of the Korea Coast Guard was focused on the pursuit of a balanced intelligence paradigm of security and safety intelligence,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intelligence agency, and the activation of the intelligence function of the Korea Coast Guard. The proposed task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intelligence function of the Korea Coast Guard include strengthening intelligence collection and analysis capabilities, expanding intelligence infrastructure, establish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itime intelligence sharing and cooperation systems, enhancing security intelligence functions in response to increasing demand for North Korean intelligence, avoiding politicization of intelligence, and strengthening intelligence control. 한반도 해양 평화를 위해서는 해양 안보의 확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해양경찰의 정보기능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해양경찰의 정보기능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향후 발전 과제를 제시하였다. 해양 안보 환경의 변화는 한반도 주변국의 해양 패권 경쟁과 정보기능 강화, 신흥안보 위협의 등장과 정보 패러다임의 변화, 북한의 무력도발과 대북 해양정보의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해양경찰의 정보기능 특징 및 평가는 치안·안보 정보의 균형적 정보 패러다임 추구와 국제정보국의 출범 및 해양경찰의 정보기능 활성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향후 해양경찰의 정보기능 발전을 위한 과제로는 정보 수집·분석 능력의 강화와 정보 인프라 확충, 국내외 해양정보 공유・협력 체제 구축, 대북 정보 수요 증가와 보안정보 기능의 강화, 정보의 정치화 지양(止揚)과 정보통제 강화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본의 해변(海浜)사고 대책과 시사점

        노호래 한국해양경찰학회 2022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2 No.2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se coastal accidents as state-approved statistics and establish a new concept of marine-related accidents. In the case of Korea, there is a higher concept of a distress accident including all accidents, and the Marine Accident Investigation and Judgment Act stipulates the definition of a marine accident as a ship accident. This cannot be seen as an appropriate concept definition. It would be desirable to change the name to define it as a ship accid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maritime safety organization. In response to coastal accidents, the Japan Coast Guard has a safety information center, and departments such as the Safety Information Center are not in the Korea Coast Guard. The Korea Coast Guard's coastal accident-related organization includes the Rescue and Safety Bureau. In Japan, maritime safety organizations are concentrated at the Japan Coast Guard. but in Korea, maritime safety organizations are dualized with the Korea Coast Guard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requiring mutual cooperation. Third, in Japan, 452 suicides (348 people, 77%) have the most loss of life in coastal accidents. In comparison, there are no suicide statistics in Korea. There is a need to prepare statistics on suicides and related measures should be prepar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Japan, statistics by behavior during swimming, fishing, surfing, and scuba diving are calculated and countermeasures are prepared. In the case of Korea, accurate statistics should be prepared for each typ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countermeasures are prepared. Fourth,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coastal safety is needed. The Japan Coast Guard operates the System(MICS). The provision of marine information in Korea is said to be useful for small and leisure ships and is considered to be helpful for rescue requests, although there is "Marine Safety Mobile App Harroad" operated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overlap with "Marine Safety Mobile App Harroad", the Korea Coast Guard will have to provide coastal safety information. 한국의 연안사고와 유사한 일본의 개념은 해변사고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논문은 일본 해상보안청의 해변사고 개념과 대응조직, 해변사고 현황과 대책을 검토 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했다. 정책적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연안사고도 국가승인통계로 포함하고, 해양관련 사고의 개념을 새로이 정립할 필요성이 있다.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에서의 해양사고는 선박사고라고 그 명칭을 변경하여 선박사고라고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로, 해양안전 조직의 일원화가 필요하다. 우리의 연안사고 개념과 유사한 해변사고의 대응에서 일본 해상보안청은 교통부에 안전대책과에 안전정보제공센터를 두고, 안전정보제공센터와 같은 부서는 우리나라 해양경찰에 두고 있지 않고, 해양안 전에 관한 조직이 해양경찰청과 해양수산부에 분산되어 있다. 셋째로, 일본의 경우 해변사고의 인명 손실이 가장 많은 것은 자살 452명(348명, 77%)이다. 이에 비교하여 한국의 경우 자살자 통계가 없다. 자살자에 대한 통계를 작성할 필요성이 있고 관련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본의 경우 수영중, 낚시 중, 서핑중, 스쿠버 다이빙 중 그 행위별 통계를 산출하여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도 현상을 정확히 파악해야 대책이 마련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그 유형별로 정확한 통계를 작성해야 할 것이다. 넷째로, 연안안전에 대한 정보제공 시스템이 필요하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沿岸域 情報提栱시스템(MICS)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해양정보제공은 해양수산부 「 국립해양측위정보원」에서 운영하는 「해양안전 모바일 앱 해로드」가 있지만 소형선박, 레저선박에 유용하고 구조요청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해로드와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해양경찰청은 연안안전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