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기 김정희 서풍(書風) 확장의 한 예, 석재 서병오

        이인숙(Lee, Insuk) 한국서예학회 2017 서예학연구 Vol.31 No.-

        석재(石齋) 서병오(1862〜1936)는 대구를 중심으로 활동한 시서화 삼절의 서화 가로 1922년 ‘교남 시서화 연구회(嶠南詩書畫硏究會)’를 설립하여 영남 서화의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을 여러 차례 지내며 전국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서병오는 안진경체에 바탕 한 행서를 잘 썼으며 추사(秋 史) 김정희(1786~1856) 서풍을 창조적으로 계승한 행서, 예서 작품을 남기기도 했다. 이 연구는 서병오의 서예 중 김정희 행서, 예서의 영향을 받았음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작품을 김정희의 작품과 상호 비교하여 김정희 서풍이 근대기에 서병오의 개성을 통해 확장되었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서병오는 18세 무렵 서울에 머물 때 김정희의 제자인 석파(石坡) 이하응 (1820~1898)의 지우를 받아 운현궁을 드나들게 되었고 이무렵 김정희 서풍을 열심히 배웠다. 그러나 이후 과거 공부에 매진하여 진사과에 급제하였고 잠시 관직을 지내기도 했다. 한학지식인 출신 서병오는 다양한 사회 활동을 하며 시서화를 향유 하였고, 중년에 중국을 여행하며 운미(芸楣) 민영익(1860~1914), 포화(1830〜 1911) 등과 교유하며 그들의 서화에 영향을 받기도 했다. 서병오는 50대 말경부터 서화가로 본격적으로 활동하게 되는데, 이 때 다시 새롭게 김정희의 다양한 필적을 연구하며 학습하였다. 서병오는 ‘문자향(文字香)’, ‘서권기(書卷氣)’라는 핵심어로 대변되는 김정희의 서화론과 우연적 의지를 중시하는 ‘우연욕서(偶然欲書)’의 창작론을 수용하였으며, 김정희가 주장한 서예 학습 방법론을 따라 서한 예서인 고예(古隸) 임서 작품을 남기 기도 했다. 1920년대 중반 이후 서병오는 안진경체의 바탕 위에 김정희의 금석기 있는 강건한 획법과 참치한 결구법을 소화한 김정희풍 행서 작품을 다수 남겼다. 예서에 있어서도 이체자(異體字)의 활용, 곡직(曲直)의 운용이 자유로운 필획, 졸박한 결구, 상투를 벗어나는 파격적인 장법 등 김정희 예서의 조형성을 자신의 필성(筆 性)으로 소화한 예서 작품을 남겼다. 서병오는 근대기 서예가로는 거의 유일하게 김정희 서풍을 계승하여 김정희 서풍이 갖는 조형성을 자신의 개성으로 재창조하였다. 그가 만년에 김정희 서풍을 다시 배운 이유는 한중일을 두루 여행한 풍부한 견문을 통해 김정희가 이룬 탁월한 조형적 성취를 확신했기 때문일 것이다. 아울러 김정희의 제자인 이하응의 문하에서 보다 직접적으로 김정희 서풍을 접했던 개인적 연고와 서병오가 태어나고 활동한 대구지역의 김정희 서예 애호 분위기도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서병오가 외국의 대가가 아니라 조선시대 김정희를 학습한 사실은 중국이나 일본의 당대 유행서풍에더 많은 영향을 받은 근대기 서단에서 주목되는 사실이다. 서병오는 국제화의 시기 였던 근대기 서단에서 성숙한 자기화를 통해 김정희 서풍의 확장을 이룸으로서 조선 서예의 전통을 계승했다. This study is to reveal the fact that Seokjae Seo Byeong-oh in modern times inherited the calligraphic writing style of Kim Jeong-hui, by looking at the works of Seo Byeong-oh which were influenced by Kim Jeong-hui. In 1922, Seo Byeong-oh founded the first art organization in Daegu, Kyonam Association for research on poem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he had a great influence on it. He was very active in various areas and participated in Joseon art exhibition as a panel of judges five times in a row from the beginning. Seo Byeong-oh, in his 20s, learnt Kim Jeong-hui’s calligraphic writing style by coming in and out as a pupil of Seokpa Lee Ha-eung, and he was also influenced by the theory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the theory of writing opportunity in ‘spontaneous urge for writing’ of Kim Jeong-hui which are represented by ‘character fragrance’, ‘book of spirit’. Seo Byeong-oh followed the theory of learning calligraphy asserted by Kim Jeong-hui and left some copied works which were written in Ye-seo that were commonly used in correspondences. After stopping in the middle, Seo Byeong-oh re-learnt Kim Jeong-hui’s calligraphic writing style after his 60s by studying various documents including signboards in Buddhist temples. As a result of this kind of learning, Seo Byeong-oh’s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combined the un-fancy beauty of Kim Jeong-hui’s Haeng-seo on the basis of Anjingyeongche. In his Ye-seo, Seo Byeong-oh showed his matured personalization combined his own style with the formativeness of Kim Jeong-hui’s Ye-seo and the un-fancy beauty of Ye-seo. It is considered that the reasons why Seo Byeong-oh, as a modern calligrapher, became almost the only successor of Kim Jeong-hui’s calligraphic style. Seo Byeong-oh inherited the calligraphic tradition from Joseon dynasty by learning and making use of Kim Jeong-hui’s calligraphic writing style in modern times when the calligraphic styles from China and Japan were flowing in.

      • KCI등재

        秋史 金正喜의 尙書 今古文論과 僞書考證

        金萬鎰(Kim Man-il)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2 泰東古典硏究 Vol.28 No.-

        This thesis is on Chusa(秋史) Kim Jeong-hui(金正喜) s demonstration of authenticity of two versions of Shangshu(尙書; Sangseo in Korean), a.k.a. the Book of Historical Documents through analyzing his Sangseo Keumkomun Byun (尙書今古文辨), Demonstration of Jinwen and Guwen versions of Shangshu and Wikomun Sipyukeonseol Byun (僞古文十六言說辨), Demonstration of Kim Jeonghui s Comment on the Forged Guwen Sixteen-letter Phrase included in Eungwajip (凝窩集) by Yi Won-jo(李源祚). Shangshu had had two versions from Han dynasty. One version was written in Jinwen (今文; the Old Texts ), and the other was written Guwen (古文; the New Texts ). Guwen version is also known as the version of Mei Ze(梅賾) who found and presented it to a emperor in Eastern Jin(東晉) dynasty. Mei Ze s version was Guwen Shangshu Kong Anguo Zhuan (古文尙書孔安國傳), Guwen Shangshu annotated by Kong Anguo. The authenticity of two versions had been a highly controversial topic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Kim Jeong-hui added his own historical consideration and analysis to the long list of controversy. Kim Jeong-hui classified Shangshu into three groups that were a Jinwen version, a Guwen version, and a scattered and lost version. He analyzed the table of contents of Mei Ze s version, and compared it with Jinwen and Guwen versions of Han dynasty. He concluded that Mei Ze s was a fabricated book. He also ascertained that Mei Ze s was selected to Shangshu Zhengyi (尙書正義) in Thirteen authorized compilation of Confucian classics compiled in Tang dynasty, and that Zhu xi (朱熹) s disciple Cai Chen (蔡沈) s Shujizhen (書集傳), annotation of Shangshu adopted Mei Ze s version. Kim Jeonghui s argument gave Chosun a shock because Cai Chen s Shangshu was the most influential in Chosun dynasty. Kim Jeonghui classified Guwen Shangshu into four groups and Jinwen into two groups. Through this classification he demonstrated that Guwen and Jinwen Shangshu labelled by Cai Chen in his Shujizhen cannot be the original Guwen and Jinwen versions in the days of Han dynasty. He emphasized that the demontration of Jinwen and Guwen Shangshu on the basis of Cai Chen s classification, therefore, would be misled into the wrong conclusion. Chosun dynasty became to acknowledge the fallibleness of Cai Chen s Shujizhen by Kim s raising a question. Kim Jeong-hui s Wikomun Sipyukeonseol (僞古文十六言說), Comment on the Forged Guwen Sixteen-letter Phrase in Shangshu is not included in his own collection of works called Wandangjip (阮堂集), but partly included in Yi Won-jo s collection called Eungwajip. In his demonstration Yi criticized Kim s argument, and Kim s original comment can be inferred from Yi s writing. Kim Jeonghui insisted that the Sixteen-letter Phrase (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 The mind of man is restless, prone to err; its affinity for the right way is small. Be discriminating, be undivided, that you may sincerely hold fast the Mean.) in Shangshu s Dayumo (大禹謨: the Counsels of the Great Yu) Chapter was from Xunzi (荀子), and that Mei Ze rephrazed and manufactured it. This was rearranged from Yan Ruoqu (閻若璩) s Shangshu Guwen Shuzheng (尙書古文疏證), A Critical Commentary on the Old Texts Chapters in Shangshu. Yi Wonjo held an unfavorable opinion of Kim s argument by saying that the Sage s mind cannot be demonstrated by syntactic analysis. Yi maintained his opinion that the Sixteen-letter phrase must be a genuine saying of the ancient Sage, and that therefore it cannot be manufactured in after ages. Kim Jeong-hui adopted various achievements of Qing dynasty scholars such as Yan Ruoqu, and attempted his own demonstration on the fabricated Old Texts chapters of Shangshu. This thesis gave the first attention towards a hitherto unknown text of Kim Jeonghui s comment on Shangshu in Yi Won-jo s writing, and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Kim developed his argument on the text of Shangshu, which will help to grasp an entire picture of 이 논문은 완당집에 수록된 추사 김정희의 상서에 대한 저술과 응와 이원조의 문집에 실린 「위고문십육언설변」에 대하여 분석ㆍ고찰한 것이다. 김정희는 한대에 출현한 상서 금문 고문에 대하여 밝히고, 이것과 비교를 통하여 매색의 고문상서공전이 한대 상서의 금문ㆍ고문과 관련이 없는 위서임을 고증하였다. 또한 채침의 서집전이 매색본을 이어 받은 것을 밝혔다. 상서 금문과 고문의 전래과정과 변천을 기준으로 하여 금문을 두 가지로 고문은 네 가지로 분류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서집전의 고문은 당대에 개작된 곽충서의 고문을 이어 받은 것이며 금문 또한 당대에 위포의 개작본을 이어 받은 것으로 한대의 금문 고문과는 다른 것임을 밝혀냈다. 김정희는 금문ㆍ고문에 대한 분류를 통하여 채침전의 오류를 지적하고 채침전에만 의거하여 금문ㆍ고문을 논한다면 왜곡된 결론에 이를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이것은 당시 조선에서 채침의 서집전을 유일의 주석본으로 사용해온 것에 대하여 문제점을 제기한 것이다. 김정희가 「상서금고문변」 을 통해서 고증하고자 한 것은 매색의 고문상서공전이 위작임을 밝히고 채침의 서집전의 오류를 밝히려는 것이다. 응와 이원조의 문집에 실린 「위고문십육언설변」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이 글 가운데 김정희의 글이 인용되어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人心惟 危, … 允執厥中’의 열여섯 글자가 순자에서 나왔으며 매색이 만든 것이 라고 밝힌 김정희의 「위고문십육언설」의 일부를 확인하였다. 제주목사였던 이원조는 제주 대정으로 유배 온 김정희로부터 「위고문십육언설」을 받아 보고서, 이에 대해 고증학적 방법으로 경전을 연구하려는 것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김정희의 설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비판하였다.

      •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와 황지우의 <유리끼운 세한도(歲寒圖)>의 비교 연구

        여지선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논집 Vol.22 No.-

        본 연구는 19세기에 그려진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세한도(歲寒圖)>가 당대와 현대를 가로지르면서 시대적, 문화적 차이를 통해 수용된 다층성을 밝히고자 한다. 김정희는 조선후기의 뛰어나 서화가(書畵家)이자 금석학자(金石學者)이자 실학자(實學者)이다. 그는 1844년, 그의 나이 58세 때에 제주도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그때 김정희를 기억해준 유일한 제자, 역관 ‘李尙迪’을 기리는 마음으로 <세한도>를 그렸다. 이 <세한도>는 네 종류의 글로 오늘날까지 기억되고 있다. 그 첫 번째는 김정희가 이상적을 기리기 위한 발문이다. 두 번째는 이상적이 김정희의 의사와 무관하게 정치적인 이유로 청나라 명사 16인에게 보여주고 받은 찬문찬시이다. 세 번째는 광복 후 김석준, 오세창, 이시영이 더한 찬문찬시이다. 네 번째는 황지우를 비롯한 여러 시인이 남긴 현대시이다. 롤랑 바르트가 제기한 것처럼, 하나의 기호는 2차 의미체계에 의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해낸다. 그런 측면에서 바라볼 때,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는 오늘날 황지우의 <유리끼운 세한도>에 영향을 미쳤다.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를 통해 자신에게 의리를 지킨 이상적을 기억하며 19세기의 ‘의’를 밝혔다면, 황지우는 추사 <세한도>를 20세기에 불러내어 현 시대의 문제와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거대담론이 사라진 것처럼 인식된 현실세계에서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를 다시금 불러 세워, 아직은 사회적 문제, 거대담론의 문제로 행동해야할 때임을 드러냈던 것이다.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는 당대 개별적 작품성뿐만 아니라 시대를 넘나드는 시대사적 의의를 지닌다. 이를 드러낸 현대 시인이 바로 황지우이다. A highway stretches out between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 Thus the fact that only readers can spread the highway determines whether the highway is comprised of only one road or many forks according to the extent of the reader's interest.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 are scholars and artists of the century who first walked the same path then went on their separate ways. Most of all, I will focus on four aspects of the path they walked together.Firstly,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 are regarded as pioneers who led a change in a transitional period. Hwang Ji-u witnessed the miserable lives of his father and uncle who had suffered during the Japanese Ruling and Korean War. Therefore he has developed his revolutionary esprit from the Japanese Ruling, even though he was born in 1952. Secondly, both Kim Jeong-hui and Hwang Ji-u were exiled for political reasons. Thirdly,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 wished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Lastly,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 led religious lives after they returned from exile. As Hegel said that all beautiful arts flow into religion or philosophy, Kim was converted to Buddhism in his later years, even though he was a privileged elite in the Confucian society. He became a monk after receiving Buddhist code of conduct in Bong-eun Temple. Hwang also revealed that he is interested in oriental spirit, buddhism, and Taoism.In short,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walked the same path. This junction not only resulted in similarities between Kim's Sehando and Hwang's Midwinter Picture Seen Through Glass, but also created contrast. In order to look into their differences.

      • KCI등재후보

        추사 김정희의 영물시 고찰

        정숙인(Jung Sook-In) 중앙어문학회 2010 語文論集 Vol.45 No.-

        Kim Jeong-hui(1786~1856) is an excellent artist, a literary man, and an epigraphist in the late Joseon. His achievements, which were accumu1ated as a calligrapher based on documental archaeology, is what is great enough to draw one stroke in our country's art hi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osely examine literary characteristics that his poem has through Yeongmulsi(詠物詩 : Poetry on Objects), which was selected and recited the limited materials among not a few works left by Kim Jeong-hui. Yeongmulsi is one branch of Hansi(漢詩 : Chinese poetry), which revealed a poet's feeling and creative intention through recitation of a Chinese poem in objects such as tree, flower, bird and animal. The characteristic of Yeongmulsi by Kim jeong-hui is what acquires and precisely depicting on inherent characteristic of object. This characteristic is revealed even in material of Yeongmulsi that he selected. A plant is overwhelmingly holding a dominant position. This is associated with his precise and documental learning attitude, and can be said to be have a thread of connection even with 'Hyeongsa(形似),' which is creative method of Yeongmulsi. Also, it uses Jeongo(典故), which passed through accurate historical research with well-informed academic attitude, thereby revealing affection for our country's territory. Another characteristic of Kim Jeong-hui's Yeongmulsi is the aspect of artist. Jehwasi(題畵詩 : Painting Poetry) was much created among his Chinese poems. Especially, Jehwasi, which had Yeongmul as medium, is outstanding. This can be said to be characteristic peculiar to Kim jeong-hui's Yeongmulsi.

      • KCI등재

        정정렬제 춘향가의 전승 및 유파․바디에 따른 분화

        송미경 한국공연문화학회 2019 공연문화연구 Vol.0 No.39

        This paper aimed to clarify the identity and category of the Jeong Jeongnyeol-je Chunhyangg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nsori transfer, while revealing the trajectory of Jeong Jeong-ryeol-je Chunhyangga, which remains in the modern pansori. Jeong Jeong-ryeol's Chunhyangga pansori part has been handed out to date, and except for the love song section, the pansori sec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love-separate-suffering-reunion paragraph, is almost complete. In the case of "Lee Doryeong enters Dongheon," "Hwangneungmyo song," and “The royal secret inspector visits Chunhyang's house to console 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ansori rhythm compared to Chunhyangga, which is currently held. "Why Yi Doryeong came to Chunhyang's House" is used in the form of an Aniri in the current Chunhyangga and "Chunhyang is treated as a virtuous woman in Namwon" is the only one included in Park Rokju’s Changbon. "The royal secret inspector gathers people of Namwon to give a feast" is a new part that is not found in Chunhyangga, which is now being held, and can be seen as the Changgeuk sori of pursuing theatrical fun.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period between 1936 and 1937, when the Joseon Traditional Vocal Music Group actively performed Changgeuk and the record companies released a series of Changgeuk records, such as <Vitor Chunhyangjeon> and <Okeh Chunhyangjeon>, was an important time for the re-establishment of the Jeong Jeong-ryeol-je Chunhyangga, and that the Chunhyangga of those who had learned it before 1936-1937 was different from those who had learned it after that period. The preceding group includes Park Rok-ju, Kim Yeo-ran and Kim So-hee, while the latter group includes Kim Yeon-soo, Jung Kwang-soo, Park Dong-jin, Jung Kwang-soo and Kang Do-geun. In addition, except for Kim So-hee, these two groups are divided by the time they have learned Jeong Jeong-ryeol-je, whether they inherit the Jeong Jeong-ryeol-je from beginning to end, and by the gender of male and female singers. In teaching his pupils, Jeong Jeong-ryeol chose to use the "old-fashioned pansori" teaching method with impromptu plate-making in mind and the "modern pansori" teaching method with stereotyped sounds in mind. As a result, there were two aspects of Jeong Jeongryeol-je Chunhyangga's succession: a female singer-centered succession, which was held as learned from beginning to end, and a male singer-centered succession, which was hel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ansori schools or versions. 본 논문은 판소리 전승의 관점에서 정정렬제 춘향가의 정체와 범주를 명확히 하는 한편, 현대판소리에 남아있는 정정렬제 춘향가의 궤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전하는 정정렬 창 춘향가 소리 대목은 총 44개로, 사랑가 부분을 제외하고는 결연-이별-수난-재회 단락에 해당하는 대목이 거의 빠짐없이 갖추어져 있다. ‘이도령이 동헌으로 들어가는 대목’, ‘황릉묘 대목’, ‘어사가 춘향 집을 찾아가 위로하는 대목’은 현행 춘향가와 장단 구성을 달리하는 차이가 있고, ‘이도령이 춘향 집 찾은 연유를 밝히는 대목’은 현행 춘향가에서 아니리로 구사되며, ‘남원에서 춘향을 열녀 대우하는 대목’은 박록주 창본에만 유일하게 나타나던 것이다. ‘어사가 남원 사람들을 모아 잔치 배설하는 대목’은 현행 춘향가에서 발견되지 않는 새로운 부분으로 연극적 재미를 추구한 창극소리에 해당한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조선성악연구회의 활발한 창극 공연 및 <빅타판 춘향전>, <오케판 춘향전>의 연이은 발매가 있었던 1936년~1937년이 정정렬제 춘향가의 재정립에 중요한 시기였을 뿐 아니라, 그 이전에 정정렬제 춘향가를 사사한 창자들의 소리와 그 이후에 사사한 창자들의 소리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자에는 박록주, 김여란, 김소희, 후자에는 김연수, 정광수, 박동진, 정광수, 강도근이 속한다. 또 하나, 김소희의 경우를 제외하면, 정정렬제 춘향가의 이러한 두 전승군은 정정렬제의 학습 시기에 따른 구분이면서 정정렬제 춘향가의 전판 계승 여부에 따른 구분,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성별에 따른 구분이기도 하다. 정정렬은 제자를 가르칠 때, 즉흥적인 판 짜기를 염두에 둔 ‘옛날식 판소리’ 교수법과 판에 박은 소리를 염두에 둔 ‘근대적 판소리’ 교수법을 병행하여 선택적으로 활용했다. 그 결과 정정렬제 춘향가의 전승에는 여성 창자 위주의 오롯한 전판 계승과 더불어 남성 창자 위주의 유파․바디에 따른 분화 두 양상이 공존하게 되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고전 속 여성 신화의 전복적 양상 -김혜순, 김승희, 문정희 시인을 중심으로-

        이명희 ( Myoung Hee Yi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2

        문화가 시작된 이래로 인간은``존속과 야망``의 서사에서 공존과 평화의 담론으로 회귀하고 있다.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고 남성과 여성이 공존하는 생태적 조화를 견인하는 서사들이 21세기의 키워드가 되는 것은 마땅하다. 따라서 신화적 상상력은 시원의 생태적 담론을 견지하며 세계와 인간, 인간과 인간이 조화하며 살아가는 이야기로 견인된다. 그간 한국 여성신화 속의 여성들은 전승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수성과 사회적 배경을 간과하고 무속신의 대표로 폄하되어 평가되었으며, 대부분의 서사에서 희생을 강요당한 모습으로 그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신들은 다양하고도 주체적인 방식으로 운명에 대응하고 있다.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대지는 한국 문학의 주요한 메타포로 작용한다. 한국의 여성신화는 대지신의 본령인 생산, 즉 생리와 출산을 남성적 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기록되었다. 따라서 현대 여성시인의 시세계에는 한국의 설화와 신화를 전복적으로 수용하고 배치한다. 김혜순, 김승희, 문정희는 고전의 여성신화를 여성적 관점에서 서사를 재배열하고 있다. 이들의 시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전복시키고, 치유의 서사를 지향한다. 따라서 본고는 현대 여성 시에 나타난 여성 신화가 어떻게 전복되어 신화적 상상력을 담지하고 있는가를 살필 것이다. 또한, 신화 속 여성의 서사를 수용하고 있는 여성시인들이 준열한 자기반성과 도전을 통해 치유와 화합의 세계를 모색하고 있음에 주목할 것이며, 수용과정 중에서 서사의 전복양상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필 것이다. 이들은 전복적이고 반성적인 어조로 여성들의 삶을 재구성하였는데, 특히 출산을 통한 여성과 모성의 이미지에 집중하고 있다. 그 이유는 타자화 되어 버린 여성의 몸이 남성적 권력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식민화된 여성의 몸의 주체성을 회복 하는 길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들의 시는 강요된 모성신화의 허구를 탈식민주의적 관점으로 환기시키고 있다. Mythic imagination is the original research method that can study humans and nature, man and the world as well as ecological discourse that can restore modern humans into healthy culture of origin. Since the beginning of culture, humans have been returning to discourse of coexistence and peace from the narration of survival and ambition. It is no doubt that the narrations leading the ecological balance where men and women coexist and nature and humans coexist become the keywords of the 21st century. Therefore, the research on ``mythic imagination and narration`` can be an opportunity to study on the basis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erms that it has the same way with on ``mythic imagination`` of each country including East Asia where Korea belongs. The poems in which mythic imagination is revealed among poems that appear in modern women poetry are based on or modified from tales and myths of Korea. Points of sameness that appeared in these works are that allegory of mythic imagination is similar or the same as the one found in Asian literature. Among these, mythic imagination of Bango and Seowangmo of China and Amenoumez, Izanagi of Japan along with Mago, Barigongju, Arang, Mt. Seongmo myth, Jacheongbi of Korea is related to original images of women poetry. For this, I try to focus on the poetry worlds of Kim, Hye-soon, Kim, Seung-hui and Moon, Jeong-hui, who are the representative poets of feminist sight. Kim, Hye-soon is fully exposed to the story of myth baridegi or Danggeum baby and grandma Mago. Land which is important in an agricultural society acts as the main metaphor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original critical method on Kim, Hye-soon, Kim, Seung-hui and Moon, Jeong-hui who will be discussed in this paper, we can review the basis of the imagination deeply rooted in Korea women`s consciousness and this shows contemporariness and seriousness. This study becomes a good opportunity to introduce the myths of Korea,a along with feminist sight of Korean modern women poets. Therefore, this study, ``Mythic imagination and narration expressed in modern women poetry`` will be an opportunity to weave weft and warp of imagination understand the East Asian Culture in the narrow sense along with enhancement of Korean mythic imagination.

      • KCI등재

        金正喜의 변려문 인식과 騈體 활용 양상 연구

        신윤수 한국한문학회 2023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9

        본 연구는 金正喜의 변려문 인식을 확인하고, 실제 창작에서 변체 활용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김정희는 淸 문단과 선진적으로 교류한 인물이다. 당시 淸에서는 변려문에서 변체와 산체를 혼용하는 문풍이 유행하였고, 김정희 역시 이를 포착하였다. 완원의 문론이 담긴 「사륙총화후서」를 초록함으로써, 완원이 주장한 것처럼 문장이 처음 생겨났을 때부터 변려문이 존재하였음을 선언적으로 밝혔다. 또한 그는 청대에 문장과 학술 경향이 유리되어 있지 않음을 이해하였다. 김정희는 산문 창작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변체를 산체와 혼용하였다. 이는 김정희가 변려문 중에서 지나치게 꾸밈에 치중한 문장이나 과거 급제만을 위한 글을 비판적으로 바라본 것이며, 실제 창작에서도 이러한 비판 의식을 견지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Kim Jeong-hui(金正喜)'s recognition of pianliwen(騈儷文) prose and investigate the patterns of its use in actual creative works. Kim Jeong-hui was an individual who engaged in exchanges with the Qing Dynasty and its literary trends. Kim Jeong-hui also recognized and adopted this trend. By analyzing the Siliuconghuahouxu(四六叢話後序), which contains Wanwon(阮元)'s literary theory, it is declaratively stated that pianti(騈體) prose existed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 creation of sentences, as Wanwon(阮元) asserted. In addition, he understood that writing and academic tendencies were not separated in that period. Kim Jeong-hui actively employed pianti(騈體) in his prose creations. This can be seen as a critical perspective on sentences that are overly adorned or writings solely focused on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ithin pianti(騈體) prose. This critical awareness is evident in his actual creative works as well.

      • KCI등재

        유산(酉山) 정학연(丁學淵)의 회인시 연구 -『추일회인절구십일수(秋日懷人絶句十一首)』를 중심으로-

        김영진 ( Young Jin Kim ) 한국시가학회 2016 韓國 詩歌硏究 Vol.40 No.-

        This paper will introduce Chuilhuiyinjeolgu 11 verses(「秋日懷人絶句十一首」). This is a kind of hui-yin(the theme is gathered people) poetry(懷人詩) created by ‘Jeong Hak-yeon(1783~1859) who is the son of Dasan Jeong Yak-yong (1762~1836). These verses are the earliest work of the poet’s collection of poems(1826~27). In the poems, there appear 11 different people and Jeong Hak-yeon created this under the influence of his friends, Shin Yui(申緯) and Lee Hak-gyu(李學逵). Of eleven people, some belong to Nam-yin(Lee Hak-gyu and Gwon young-jwa), and some related to the networks of Shin Yui and Kim Jeong-hee(Yoo Chui-gwan, Kim Jeong-hee, Yoon Jeong-hyun, Bak Jang-am, Han Man-sik, Shin Yui, Lee Jo-heon, Nam Seong-jib), and the last one, Lee Roh-young, is the poet’s neighbor. Jeong Hak-yeon leaves several hui-yin poems, and these show special trait-irregularity. The eleven people are in the extension of their relationship of adulthood. Lastly, we presume that the poet’s other hui-yin poems-still not excavated-could show the poet’s latter years.

      • KCI등재

        추사 김정희 <세한도>의 재해석 : <세한도>와 <쌍송도>의 관계, 그 동인(同人)의 철학적 의미

        조송식 ( Song-sig Jo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7 美學·藝術學硏究 Vol.52 No.-

        김정희의 <세한도>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세한도>에 그려진 소나무의 비덕과 이에 의탁된 화가의 우의(寓意)에 따라 <세한도>는 세 가지로 읽을 수 있다. 변함없이 사계절 시들지 않은 이상적의 절조, 오랜 제주도 유배 생활을 견뎌내면서 어려운 환경과 외압에 굴복하지 않은 김정희의 강직한 기개, 김정희와 이상적 간에 함께할 수 있는 우의(友誼)와 그로 인한 앞날에 대한 기대와 희망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것을 회화 형식인 <세한삼우도>, <언송도>, <쌍송도>와 관련하여 살펴본다. 특히 지금까지 거론되지 않았던 동아시아 회화 형식 중 하나인 <쌍송도>와 <세한도>의 긴밀한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주역』의 ‘동인괘’와 관련시켜 보면서 <세한도>에 내포된 철학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세한도>의 황량하고 쓸쓸한 분위기의 초가집 앞 소나무 두 그루는 어렵고 힘든 환경에서 김정희와 이성적이 함께하면서[同仁] 이를 극복하여 “성대하고 풍요로움”으로 향하고자 하는 기대와 희망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세한도>에 대한 접근은 <세한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How do we understand Wintry days of Kim Jeong-hui? According to The pine tree of Wintry days and The Allegory of the artist given to it, Wintry days can be understood in three ways. First is the Li sang-juk's unchanging integrity in four season constancy. Second is the Kim Jeong-hui's stiffening spirit lived in exile in Jeju Island and kept his chin up in the difficult circumstances and pressures. Third is the friendship with whom Kim Jeong-hui and Li sang-jeok could join, and the expectation and hope for the future due to it. This thesis is to look at them in relation to the style of painting, Three friends of winter , The supine Pine, Two pine trees. Especially, to analyze closely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Wintry days and Two pine trees has not been mentioned so far. Two pine trees in front of a thatched cottage with a bleak atmosphere is to symbolize the expectation and hope forward Great wealth and abundance that Kim Jeong-hui and Li sang-jeok will share their life and overcome with the hard and difficult circumstances. Such attempts for Wintry days will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f Wintry days.

      • KCI등재

        김정희 관련 인장의 실증적 분석: 김정희 자각 인장을 중심으로

        최준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0

        This study was intended to academically redefine the art of seal engraving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seal analysis related to Kim Jeong-hui and to widely promote its excellence. Previous studies on seals were examined, and comparative studies were conducted focusing on the seals engraved by Kim Jeong-hui and the related seals. The importance of the real seal study, not the stamp, was confirmed. If there was a byeongwan on the side of the seal,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Kim Jeong-hui directly carved the seal. Also,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tone quality of the seal, the method of writing, the method of layout, and the method of holding graver. The imitation seal engraved with a tool rather than hand made it easy to grasp the uncertain production intent. All were analyzed by actual tensile, so it was a possible study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n indicator to judge the authenticity of the seal when evaluating an ancient painting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김정희와 관련된 인장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전각예술을 학술적으로 재정립하고 그 우수성을 널리 선양하고자 했다. 인장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고, 김정희가 새긴 인장과 그와 관련된 인장 중 변관이 있는 인장을 중심으로 비교 연구 분석했다. 인영이 아닌 실제 인장 연구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인장 측면에 변관이 있는 경우 김정희가 직접 인장을 새긴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인장의 석질, 사용된 필법, 장법, 도법 등의 확인이 가능했다. 수작업이 아닌 공구로 새긴 모각인장을 통해 불확실한 제작 의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모두 실제 인장을 분석했기에 가능한 연구 결과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고서화를 감정할 때 인장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가 되길 기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