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7세 어린이를 위한 책상 및 의자 디자인 개발 연구

        김태선 한국가구학회 2020 한국가구학회지 Vol.31 No.3

        Kids design industry is displaying rapid growth. The industry targeting single kid families is also on a rapid rise, even generating a new expression ‘No longer eight pockets but now ten pockets for one kid’. Korean domestic furniture brands are featuring kids line- up to take on the rising industry. In light of this trend, this research provides analysis on consumer requirements by looking into the kids furniture products and their domestic & international market size, and also interviewing consumers in-depth. In addition, this research also provides ‘My first desk and chair’ section for kids between 5 and 7. The research also featured consumer interviews to find their kids’ furniture needs and figure out design keywords. As a result, the research offers where the desk and chair design for kids between 5 and 7 should be headed based on the five main concepts; Together Play, Safe Play, Fun Play, Flexible Use, and Sustainable Use. The desk and chair, made of birch tree and coated in environment-friendly paint, utilized animal character design to provide happy time facing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esearch survey, consumers (parents) prefer natural-colored desk and chair to fit into the room environment, in contrast to colorful toys. Plus, they prefer furniture surface material easy to clean and flexible to use, so that the furniture does not restrict the kids’ scribbling behavior. What makes the Kids industry unique is that Manufacturers (Businesses), Consumers (Parents), and Users (Kids) are distinct in the Kids industry. If the Kids industry pays closer attention to kids’ behavior, environment, habits, supplementary products (toys and stationeries), and their requirements, and applies the findings to the product design, it will lead to higher consumer and user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음악적성검사의 타당도 연구Ⅱ

        현경실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0 음악교육공학 Vol.- No.11

        Kids' MAT, which is a music aptitude test for children of age from 5 to 7, has been developed since 200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predictive validity of Kids' MA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respect to 117 children with age 6 and 7 (1st and 2nd grade in school). Kids' MAT was administered to them in the beginning of the first semester of 2008. Music teaching was conducted by the class teacher according to the school curriculum. Music achievement was measured after a year's teaching. The predictive validity, represented as the correlation between Kids' MAT scores and the music achievement scores, is .49 for the first grade students and .36 for the second grade students These two indic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01 (p < .01)So Kids' MAT can be said to an appropriate music aptitude test for children of age from 5 to 7. Though it should be used with care, Kids' MAT can predict the success and failure of music teaching for children in a short time period. 이 연구는 2003년부터 만 5, 6, 7세의 아동들을 위한 음악적성검사인 Kids' MAT 개발의 계속적인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Kids' MAT의 예언 타당도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만 6, 7세 아동(1학년, 2학년) 117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2008년 학기 초 Kids' MAT이 실시되었으며, 음악수업은 학교 교과과정에 의해 담임교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1년간의 수업 후 음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Kids' MAT 점수와 음악성취도 검사 점수의 상관관계로 나타낸 예언타당도는 1학년이 .49, 2학년이 .36이었다. 이 두 지수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01 수준에서 유의하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p<.01). 결론적으로 Kids' MAT은 만 5, 6, 7세의 아동들에게 알맞은 음악적성검사라고 할 수 있다. 아동이 음악을 배울 경우, 제한적이긴 하지만 Kids' MAT은 그 아동의 음악 학습의 성패를 얼마만큼은 예측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국내호텔의 골드키즈 서비스 마케팅 사례 연구

        전미화,조재경,Jeon. Mi hwa,Cho. Jae Kyung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3

        키즈 관련 시장은 경제 불황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 어린이 수는 해가 갈수록 감소하고 있지만,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부모 들은 자신의 자녀들에게 더욱더 차별적이고 수월한 교육을 희구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활동 체험에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 고 있다. 골드 키즈(Gold kids)라는 신조어는 이와 같이 한 아이에게 관심과 투자가 집중되어 내 아이에게만은 아낌없이 소비하는 현상이며, 이에 관련하여 기업들은 골드키즈를 타깃으로 하는 “키즈 마케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고 특히 국내 유수의 호텔들이 기존의 시설과 시스템을 이용하 여 보다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 데 부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내 호텔의 키즈 마케팅 사례를 조사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마케팅 전략과 경쟁력 있는 상품과 서비스 개발에 기여하고자 함이고 둘째로는, 과시적 소비가 아닌 건전하고 풍요로운 서비스의 소비를 촉진시키고자 함이며 셋째, 국내호텔의 키즈 마케팅을 통해 국제적인 여객수요를 확장해 나가는데 있다. 오늘날 호텔들은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발전해왔다. 하지만 다양한 호텔을 경험한 고객들은 점점 나아가 기존에 느껴보지 못한 새로운 호텔의 경험을 요구하게 되었고 호텔업계의 다양한 키즈 마케팅의 도입도 이러한 현상의 일부분으로 써 골드키즈와 골드맘을 잡기 위한 다양한 프로모션과 상품들을 내놓고 있는 것이다. 국내호텔의 키즈 마케팅 관련된 사례들을 살펴보면 분명 어린이 소비자의 환심을 얻기 충분하다. 하지만 텔레비전 광고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장난감처럼 아이들이 사달라고 조르거나 어린이 스스로 소비의 최종 선택을 할 수 있는 쉬운 상품이 아닌 것도 분명하다. 가족의 여가 시간을 보낼 호텔을 선택할 때, 국내 호텔의 키즈 관련 상품이나 프로그램들을 선택하는 것은 부모 몫이며 부모들은 내 아이를 위해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원할 것이고 그에 따른 비용에 도전받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고 있는 바는 첫째로, 호텔에서 키즈 마케팅을 진행할 때 특화된 차별성을 갖추지 못한다면 진부한 마케팅으로 전락할 수 있고 둘째, 부모들의 과시적 소비성향으로 연결된다면 본질을 떠나 내 아이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고 셋째로, 호텔의 키즈 마케팅 상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국외 가족단위 관광객으로까지 확장시킬 수 있다는 긍정적인 기대를 해볼 수 있다는 점이다. 가족의 여가 시간을 이용하여 휴식과 함께 다양하고 알찬 국내호텔의 키즈 상품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사례가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Kids’ relevant market is booming even in economic depression. Although the number of children is increasingly reduced, improving the standard of living makes parents desire a more straightforward discrimination education as well as invest more time and money in cultural activities and experiences for their children. Gold kids is a neologism that parent’s interest and investment concentrates on their child lavishly, with respect to this, companies can actively promoting the "Kids marketing," targeting the Gold Kids in particular, the domestic leading hotels are developing a more differentiated business model using the existing facilities and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examine the various kids marketing practices of domestic hotels and contributes to creative marketing strategy and competitive product and service development, secondly to promote a healthy and abundant consumption of services rather than conspicuous consumption, thirdly to expand the international marketing of domestic passenger demand through the Kids marketing of domestic hotels. Today the hotel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our customers. However, customers who experience a wide range of hotels are increasingly demanding new experience never felt before. As an introduction of various Kids marketing is a part of this phenomenon, the hotel provides various promotion and goods for gold kids and gold moms. Looking at the Kid's marketing-related cases of domestic hotels is sufficient to obtain the favor of children consumers clearly. But like a toy that can be easily accessed from television advertising, it is clear that it not a easy product to the final choice of their own consumption. When choosing a hotel to spend your family's leisure time, choosing the Kid-related products and programs of local hotels parents, parents will want to share and get more information for my child and shall consider costs also.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ar and firstly when giving kids marketing the hotel does meet the specific differentiation can be reduced to trite marketing, secondly if the connection to the conspicuous consumption habits of the parents to leave my kid’s even nature can have a negative impact, thirdly the development of hotel deals Kids actively marketing is that you can try the positive expectations that can be extended to families overseas tourists. This case study is little hope that helps creating the various kids product or program for family leisure of the domestic hotel.

      • KCI등재

        어린이가 출연하는 유튜브 콘텐츠 보호에 대한 연구 : 유튜브 키즈 콘텐츠와 키즈 유튜버를 중심으로

        백민제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3 No.3

        디지털 기기의 보급으로 언제 어디서나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되면서 현재 동영상 콘텐츠 시장은 큰 성장을 이루고 있다. 특히, 유튜브는 세계 최대 동영상 플랫폼으로 콘텐츠가 올라오고 공유된다. 그 중에서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키즈 콘텐츠 채널이 유튜브 구독자 수 랭킹에서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키즈 크리에이터가 직접 등장하는 키즈 콘텐츠가 유튜브 구독자 수 상위권을 차지하게 되면서 초등학생 들의 장래 희망 순위에서 유튜버와 같은 크리에이터가 대세로 자리 잡게 되었다. 유튜브는 유튜브 키즈 콘텐츠와 키즈 유튜버 보호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유튜브 키즈 콘텐츠와 키즈 유튜버 현 황을 중심으로 키즈 유튜버 보호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키즈 유튜버를 중심으로 키즈 콘텐츠 현황을 살펴보고, 아동 보호 강화를 위한 방안이 과연 적절한지에 대해 해외사례와 함께 비 교·분석하고자 한다. 유튜브 키즈 콘텐츠 연구는 여러 영역에서 이뤄지고 있지만 어린이가 직접 출연하 는 키즈 유튜브 채널의 이면과 보호 방안에 대해 짚고 넘어가야 할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이들을 보 호하기 위한 올바른 정책 확립의 필요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 움을 주는 역할을 해줄 것이다. 유튜브는 키즈 유튜버와 영상에 출연하는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 변 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실행하고 있는 키즈 유튜버 보호를 위한 지침은 강제 성이 없는 권고 조치라는 점에서 한계점을 지닌다. 키즈 시장이 점점 커져가고 있고, 유튜브 키즈 콘텐츠 를 넘어 모든 키즈 콘텐츠 관련 가이드라인이 제대로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계기로 앞으로 새로운 변화가 나타나는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키즈 유튜버를 중심으로 키즈 콘텐츠 현황을 살펴보고, 아동 보호 강화를 위한 방안이 과연 적절한지에 대해 해외사례 와 함께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With the spread of digital devices, the video content market is currently growing significantly as videos can be viewed anytime, anywhere. In particular, YouTube is the world's largest video platform where content is uploaded and shared. Among them, the Kids Content Channel for Children ranks high in the YouTube subscriber count. Kids content, which features kids creators themselves, has topped the YouTube list, making creators like YouTubers a tren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ture hope ranking. YouTube has come up with measures to protect YouTube Kids content and kids YouTubers.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protection of kids YouTubers is properly carried out, focusing on YouTube Kids content and the status of kids YouTubers.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ids' content, focusing on kids YouTubers, and compare and analyze whether measures to strengthen child protection are appropriate with overseas cases. YouTube Kids content research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areas, but there are still challenges to address behind and protection measures for kids' YouTube channels starring children themselves. The need to establish the right policy to protect them is very important. This will help children grow up healthy. YouTube has brought about policy changes to protect kids YouTubers and video-starters. However, the guidelines for protecting children's YouTubers implement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abroad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are recommended measures without coercion.The kids market is growing, and guidelines for all kids' content beyond YouTube Kids content should be implemented properl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whether there will be new changes in the future.

      • SCIESCOPUSKCI등재

        Feeding Black Bengal Goat under Intensive Management : Milk Feeding in Pre-weaned Kids

        Chowdhury, S.A.,Faruque, S. Asian Australasian Association of Animal Productio 2004 Animal Bioscience Vol.17 No.1

        Despite higher fecundity, Black Bengal goat generally has lower milk production, which is often insufficient for their multiple kids. However, milk requirement of Black Bengal kids is poorly defined. Present trial was thus designed to determine the requirement and intake of milk of pre-weaned Black Bengal kids in relation to their growth rate age and sex. Thirty, one month old Black Bengal kids of either sex divided into two groups were allocated to two groups, suckling alone (T1) or suckling along with teat-bottle feeding of milk (T2). Ten kids were allocated for the T1 and 20 kids were allocated for the T2. Digestibility of milk was also determined in T2 animals. Average daily consumption of milk, milk energy and milk N were 773 and 722 g, 1,170 and 1,093 kJ/kg $W^{0.75}/d$ and 1,552 and 1,462 mg N/kg $W^{0.75}/d$, respectively. During 9 weeks trial period, male kids had significantly higher live weight (4.32 vs. 4.20 kg; p<0.01) and intake of milk (773 vs. 722 g/d; p<0.05), energy (117 vs. 1,093 kJ/kg $W^{0.75}$/d; p<0.01) and N (1,552 vs.1,462 mg/k $W^{0.75}/d$; p<0.01) than the female. Milk consumption and the corresponding milk energy and milk N intake increased linearly up to 5th week of the trial, which, then decreased quadratically up to 9th week i.e., up to the weaning. Overall milk DM intake during this period was 2.58% (range 1.5-3.0%) of live weight or about 36 g/kg $W^{0.75}/d$ (range 29-45 g/kg $W^{0.75}/d$). Pre-weaned Black Bengal kids of about 4.5 kg weight, growing at the rate of 60 g weight daily requires at least 750 g milk daily. Daily live weight gain, estimated as the regression between the live weights over time, was 60 g ($r^2$=0.99) and 55 g ($r^2$=0.99), respectively, for the male and female kids. Efficiency of milk energy utilization for weight gain ranged from 0.67 to 0.84 (mean 0.81) for the male kid and 0.75 to 0.91 (mean 0.82) for the female kids. Efficiency of milk protein utilization for weight gain ranged from 0.46 to 0.70 (mean 0.61) for the male kid and 0.51 to 0.81 (mean 0.64) for the female kids. Additional teat-bottle feeding of suckling kid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ir growth rate (54vs. 57 g/d). Average digestibility of milk DM, OM and N was 98.85, 98.99 and 98.69%, respectively and they were slightly (p>0.05) higher in the male than the female kids. Results suggest that the requirement of energy and protein and their utilization efficiency in Black Bengal kids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breeds of goat.

      • KCI등재

        유아용 가구를 위한 텍스타일디자인 개발 연구

        정재윤(Jae Yoon Chung),한정임(Jung Im Han),우승걸(Seung Keol W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저출산과 생활수준의 향상은 유아에 대한 관심과 소중함을 증가시켰으며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산업전반에 대한 투자와 질적 성장을 이끌어 오고 있다. 가구시장에 있어서도 유아용 가구는 더 이상 트렌드에 민감한 틈새시장으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독립적인 시장으로서 양적, 질적으로 확대되어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아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특성에 맞는 유아용 가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유아기는 3세부터 7세까지로 상상력이 풍부하고 주위 환경에 대한 호기심이 증가하는 등 인격형성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유아기의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면, 운동능력의 증가로 신체 발달이 급속도로 일어나며, 모든 정서가 분화되어 강하게 나타난다. 또한 주변인들과의 관계에서 다양한 사회적 태도들이 형성되고, 경험과 학습을 통한 사물을 인지하는 능력을 키우게 된다. 또한 5세 이후부터 형태와 색을 이해하고 다양한 색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다. 이러한 유아기의 발달과정에 적합한 유아의 가구를 사용한다면 유아들의 신체발달, 정서나인지 발달 그리고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될 것이다. 유아용 가구는 유아의 다양한 발달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유아의 신체와 접촉이 많은 물품으로서 안전성이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유아의 흥미와 욕구를 충족하는 디자인에 대한 고려도 있어야 한다. 유아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에 위치한 가구에 적합한 색채와 이미지의 적용은 유아의 미적 감성에 도움이 되고 정서적 발달에 많은 역할을 한다. 유아들이 선호하는 형태와 색을 살펴보면, 유아들은 형태보다는 색을 먼저 인식하며 난색계열과 높은 채도의 색을 선호한다. 형태적으로는 친근감을 주는 동물형태와 단순한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유아용 가구에 있어서 소재의 선택은 만지고 느끼는 것을 통해 사물을 인지하고 질감을 통해 심리적 반응을 보이는 유아들에게는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기본적으로 가구에 사용되어 지는 목재, 플라스틱 또는 금속소재에서 느껴지는 딱딱한 질감에 부드러운 질감을 가진 섬유소재의 적용은 유아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더해 줄 수 있으며 안전성과 기능성에도 장점을 가지고 있다. 유아용 가구에 있어서 섬유소재의 사용에 대한 가능성과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외 유아용 가구 시장에서 소비자의 인지도가 높은 총 16개의 브랜드를 선정하고, 브랜드별로 텍스타일디자인이 적용된제품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재의 경우천연소재인 면의 사용이 많았고, 기능적인 부분에서는 휴식용 기능과 유아의 특성을 고려한 놀이 기능이 접목된 가구들이 많이 나타났다. 색상에서는 난색계열인핑크의 사용이 많았고, 모티브에서는 단순한 형태와 스트라이프와 같은 기하학적 형태와 자연물 이미지를 적용한 디자인 사례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례 분석을 토대로 놀이기능이 적용된 유아용 가구에 유아의 안전성을 고려한 소재사용과 유아가구에 적합한 색채와 모티브를 사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유아가구의 안전성, 기능성, 심미성을 포함한 디자인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체적 발달과 정서 및 인성의발달 등이 활발히 일어나는 유아기의 특징에 적합한유아용 가구의 개발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특히 디자인의 독창성과 안전성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섬유소재의 사용과 텍스타일 디자인의 적용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따라서 유아용 가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 분석을 통한 형태와색 그리고 소재의 적용은 실생활에서 가구를 가장 가까이 접하고 있는 아이들의 정서적 발달과 미적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 되어진다. The low birth rate and increased quality of lifethese days naturally resulted in increased the level ofcare and affection to the kids, as well as material growthof investment and quality of the industries targeted tothe kids in general. The furniture market for them isno longer viewed as a niche market for the handful ofcustomers who are sensitive to the trend, but as anindependent, sustainable market after a series of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s and growth. Inthis regard, the need for a study specialized in the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ds anddevelopment of the kind of furniture that is relevant tosuch characteristics has arisen apparently. The kids are defined as children aged 3 to 7, whichis a critical period when the foundation of characters ofthe children is formed. The developmentalcharacteristics of the kids include rapid physicaldevelopment due to increased motor capabilities, differentiation and vivid manifestation of all emotions, formation of social attitudes of various kinds fromrelationships with other persons around, anddevelopment of the cognitive capabilities from theirexperience and learning. Once the children become five, they begin to understand the shapes and colors and showinterest in various colors. Therefore, it would be helpfulfor the development of their body, mind, cognitiveabilities, and social skills if furniture with suitablecharacteristics for this particular developmental phaseof the kids. As the furniture for the kids affect the developmentin many ways and are in frequent physical contactswith them,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afety of thefurniture as the priority, along with considerations ofthe designs that can satisfy the desires and curiosity. Using appropriate colors and images on the furniturethat is located in the space where the kids spend mostof their time would assist their esthetical sense andemotional development. As for the colors and shapespreferred by the kids, they recognize the color beforethe shapes, and the warm colors with high saturationare preferred over other colors. It is also apparent thatthey prefer animal shapes with friendly images andsimplified images in terms of the shapes. In addition,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for the furniture is also ofgreat importance, as the kids recognize things bytouching and feeling and show psychological reactionsto textures. Therefore, adding textile materials of softfeelings in addition to the cold, hard materials of wood, plastic, and metal can help providing psychologicalcomfort to them, as well as functional and safety relatedadvantages.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of applying textile materials to the toddler`s furniture, 16 well-known Korean and foreign toddler`s furniturebrands were pick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their products applying textile materials. The result ofthe analysis showed that a large proportion of theseproducts utilized cotton, which is one of the naturalfabric materials and had both of the resting and playingfunctions combined in a single product, which wasapparently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kids. The dominant color among these products waspink, which is one of the most profound kinds of warmcolors, with motifs of simple shapes and geometricalpatterns such as stripes. In addition, many casesinvolved use of the designs inspired by natural objects. The case analysis worked as the basis for thedevelopment of the textile design using colors andmotifs appropriate for the children, with considerationsfor the safety of the kids as well. It is expected thatthe outcome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development of sound designs for kids` furniture inconsideration of safety, functions, and esthe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ed and importance of applying textile materialsand textile designs with a view to extent the originalityand stability of the designs, as well as the recognitionof the overall import

      • 미술영재 판별을 위한 유아의 창의적 성격, 창의적 능력, K-CPM 지능 비교 : 4, 5세 유아를 중심으로

        최인혁(Choi In Hyuk)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4 특수·영재교육저널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영재의 선발방법에 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창의적 성격, 창의적 능력, K-CPM지능을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전소재 3개 지역(동구, 중구, 서구) 13곳의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교사추천으로 선발된 미술영재유아 20명, 일반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성격, 창의적 능력,K-CPM지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세 유아는 창의적 성격에서 평균값의 차이가 미술영재유아(M=57.39), 일반유아(M=58.88)간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고, 창의성 능력(언어창의력, 도형창의력), K-CPM지능에 있어서 미술영재유아의 평균값이 높았으나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5세 유아는 창의적 성격에서 평균값이 미술영재유아(M=57.97), 일반유아(M=42.78)로 미술영재유아가 평균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적 능력(언어창의력, 도형창의력)에 있어서 미술영재유아의 평균값이 높았으며 언어창의력에서 미술영재유아가 p<.01 수준에서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4~5세 전체를 본다면 창의적 성격, 창의적 능력, K-CPM지능에서 미술영재유아가 평균값이 높게 나왔으며 언어창의력에서 미술영재유아가 p<.05 수준에서 유의함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로부터 4~5세 유아의 미술영재성 판별에 따른 도형창의력에서는 4세 미술영재유아에게서(p<.082), 언어창의성에서는 5세 미술영재 유아에게서(p<.01)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으며 K-CPM지능의 차이는 통계상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미술영재로 추천된 유아와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창의적 성격, 창의적 능력, K-CPM 지능을 비교해 보았으며 미술영재유아의 효율적 판별이나 잠재적 능력들이 좀 더 다양한 가능성의 모색과 함께 확대되기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Discrimination criteria of gifted kids in art. And based on this,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abilities, K-CPM intelligence between the art gifted kids and normal kids. To achieve the purpose, compared and analyzed integrative creativity and recognition ability for kids 20 gifted and 20 normal kids were selected by teachers in 13 preschools in three local are Dae Jeon–city (Dong-gu, Jung-gu and Seo-gu).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or the 4 years old kids, there is no difference in average scores of the creative personality between art-gifted kids(M=57.39) and normal kids(M=58.88), and the average scores in creative abilities(Language creativity and shape creativity), K-CPM intelligence for the art-gifted kids are higher than normal kid’s scores, but the gaps a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For the 5 years old kids, the average scores in creative personality for the art gifted kids(M=57.97) are higher than normal kids(M=42.78) and also higher in creative abilities (Language creativity and shape creativity) and show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anguage creativity study for the art gifted kids as the level of P<.01. Considering the total of 4~5 years old kids, the result shows that the average scores for the art-gifted kids are higher in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and K-CPM intelligence with meaningful difference in Language creative as the level of P<.05. The overall result confirms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shape creativity for 4 years old kids (p<.082) and in language creativity for 5 years old kids (p<.01) according to the decision criteria for 4~5 years old gifted kids in art, and the difference in K-CPM intelligence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is study compared creativity personality, creative abilities, and K-CPM intelligences for selected art-gifted and normal kids suggesting the expansion of efficient determination and potential ability for art-gifted kids with a variety of possibilities.

      • KCI우수등재

        키즈 크리에이터 콘텐츠 수용 행태 연구 : 보람튜브를 중심으로

        김은진(Eun Jin Kim) 한국언론학회 2021 한국언론학보 Vol.65 No.2

        The study looked at how infants are embracing YouTube Kids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cusing on Boram Tube, Korea’s largest YouTube Kids channel. The results were analyzed largely by dividing the interviews into child and mother perspectives. First, children watched YouTube Kids because they liked the kid YouTubers who targeted their peers most favorite interests (e.g., toys, princesses, cosmetics) and felt homogeneity. Also, the children watched it because their friends did so as well. Second, the children watched the YouTubers play and played along, and they bought toys, and so on. In the process, parents copied the play on YouTube Kids with their children and bought their children items shown in the content. Also, children had various virtual experiences through their virtual friends on YouTube, or kids YouTubers, and they were growing their own dreams of becoming kid YouTubers. The guardian interviewees thought their children acquired vocabulary and decision-making skills by watching YouTube. This is a different finding from previous studies, which have shown that high media exposure during the infant and toddler years has a negative impact on language development, calling for follow-up research. Third, the guardians had an ambivalent view of the YouTubers, who they viewed both positively for engaging in fulfilling work and negatively for child-abuse reasons The guardians also feared that, because YouTube videos never disappear, this could become a problem when Kid YouTubers grow up. With increasing amounts of profitable YouTube, TikTok, and Instagram kids-created content, research and discussions regarding the right to be forgotten also need to be continued. Most of the guardians felt the need for the YouTube headquarters to regulate kid creators. However, the guardians expressed only a little interest and opinion about regulatory policy. This seemed to be because the guardians felt that, despite the controversy over the content, the content of YouTube Kids, especially Boram Tube, was less harmful to children than other content was. Finally, all the guardians had thought about their children becoming kid YouTubers and thought that they needed parental support to become such creators. Also, parents and children envied the kid YouTubers. One mother said she felt deprived. This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medias focus on the profits of the kid YouTubers. This is an era in which new media continue to emerge and the border of content use has disappeared. Therefore, discussion and research on the impact of the kid influencers as well as the YouTube Kids and related autonomous and legal regulations will be needed.

      • KCI등재후보

        <GROOVE 360 TM KIDS>를 활용한 한국무용교육 실기지도모형 제안

        김기화,백현순 한국무용연구회 2013 한국무용연구 Vol.31 No.1

        This study is to suggest an instruction model for Korean dance utilizing <The Groove Dance Method>. <GROOVE 360 TM KIDS>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 on <The First The Groove Dance Method Instructor Class> hosted by Korea Dance Contents Institute of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from December 15th to 16th, 2012. This study introduces a theoretical system of <GROOVE 360 TM KIDS> for instructors to improve their techniques to actually educate student groups of various ages and, by utilizing this, examines a technique teaching model for Korean dance. The technique teaching model for Korean dance is a result of modelization by utilizing <GROOVE 360 TM KIDS> based on lesson plans for phased and one-time instructions and it is mainly composed with phased and one-time lesson plans and daily technique lesson plans. For phased and one-time types, it starts with classifying Korean dance and unifying technique teaching. This unified classification system is again classified into subcategories and each of various dances composes daily lessons. Various Korean dances suggested in this way are actualized through daily technique lesson plans. The key of these daily lesson plans is to organize to make students feel accomplished only from the one-time instruction. It can be said that this daily technique teaching method is; (i) to feature composition of choreography as simple as <GROOVE 360 TM KIDS>, (ii) to arrange student-centered instruction strategies and (iii) to compose for inheriting Korean ethnic identity with interesting and enjoyable teaching of Korean dance technique and also with emotions and feelings inherent in Korean dance through 4 stages of clear composition in instruction system. 본 연구는 <GROOVE 360 TM KIDS>를 활용하여 한국무용교육의 실기지도모형을 제안한 것이다. <GROOVE 360 TM KIDS>는 2012년 12월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열린 한국체육대학교 한국춤 콘텐츠연구소 주최의 <제1회 The Groove Dance Method 지도자 강습회>에서 국내에 처음 소개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유아 및 초등학생 그룹에게 실제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지도자 자신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GROOVE 360 TM KIDS>의 이론적 체계를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여 한국무용교육 실기지도모형을 연구하였다. 한국무용교육 실기지도모형은 단계적이고 일회적인 수업안에 기반한 <GROOVE 360 TM KIDS>를 활용하여 실제화한 것으로 학생들의 창의성을 중심으로 구성화 하였다. 단계적이고 일회적인 구성안에서는 한국무용을 갈래로 분류하여 실기교육을 단원화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이 단원화 된 분류체계를 다시 하위범주의 분류체계로 나누어 각각의 다양한 춤들로 일일 수업을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제시한 다양한 한국무용 수업은 일일 실기 지도안을 통해 현실화 된다. 이 일일지도안의 핵심적인 사항은 반드시 일회적으로 성취감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 일일 실기 지도방안은 <GROOVE 360 TM KIDS>에서와 같이 첫째 단순한 음악의 안무구성, 둘째, 학생중심의 교수 전략 구성, 셋째, 네 단계의 명확한 교수체계구성을 통해 재미있고 즐거운 한국무용실기 교육과 함께 한국무용에 내재되어있는 감정과 정서를 바탕으로 한국적인 민족적 정체성을 계승시켜 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유튜브 어린이 콘텐츠 연구

        최미경(Choi, Mi-kioung)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0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9 No.-

        유튜브는 2020년 현재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동영상 플랫폼이자 한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앱으로 우리 삶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어린이와 어린이 콘텐츠는 이러한 파장의 주요 진원으로, 이 연구는 유튜브 어린이 콘텐츠의 현황을 개괄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은 구독자 수 상위 250위 안에 드는 국내 어린이 채널 65개를 목록화하여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유튜브 어린이 콘텐츠의 특징을 어린이의 참여가 커진 어린이 콘텐츠, 경험의 공유가 중심이 된 어린이 콘텐츠, 어린이 카테고리 밖으로 나온 어린이 콘텐츠라 정리할 수 있었다. 유튜브의 개방 생태계가 어린이를 미디어 주체로서 시청, 평가, 창작 영역을 넘나들게 하였으며, 유튜브로 공유되는 수억의 ‘개인적 경험’이 ‘장난감’과 ‘일상’을 유튜브 어린이 콘텐츠의 중심에 세웠고, 해시태그 등 유튜브의 개인화된 분류방식은 어린이 콘텐츠를 ‘어린이’라는 불특정 다수로 묶인 정형화된 카테고리 밖으로 끌어낸 것이다. As of 2020, YouTube is the world’s largest video platform and the app most used by Koreans, creating a huge impact on our lives. Children and content for children are the primary sources of this wave, and this study is intended to outline the current status of YouTube kids content and to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is undertaken by listing 65 domestic children’s channels that rank among the top 250 subscribers and, resultantly,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kids content are summarized as “kids content with increased participation of kids,” “kids content with a focus on sharing experiences,” and “kids content outside the kids category.” It organizes already available and accessible kids content. YouTube’s open ecosystem has allowed kids to cross the field of viewing, reviewing, and creation as a subject of media, and hundreds of millions of personal experiences shared on YouTube set “toy” and “routines” at the center of YouTube’s kids content and hashtags. YouTube’s personalized classification method draws kids content out of a formalized category that is grouped into an unspecified number of ki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