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특수교육의 현황과 향후 과제에 대한 소고

        김진호(Kim, Jinho H)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5 특수·영재교육저널 Vol.2 No.2

        본 연구는 교육실천학의 학사적 탐색을 통하여 교육실천학의 한 분야인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과 향후 전망 및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는데, 첫째로는 현재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을 고찰하여 제시하였다. 특수교육은 다양한 장애유형과 그와 관련된 독특한 학문 영역과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을 전반적이면서도 이해 하기 쉽게 대학의 관련학과와 학술단체의 현황, 특수교육 기관과 교육 대상자에 따른 현황, 특수교육의 학문 내용에 따른 현황을 제시하였다. 둘째로는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을 바탕으로 특수교육 연구과 교육 적용과 관련되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향후 전망과 과제를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특수교육 현장에서 제기되는 개별화교육과 통합교육의 접목, 성인생활 준비를 위한 기능적 교육으로써의 전환교육과 직업 교육의 효과적 실행, 사후중재 패러다임의 특수교육에서 예방적 특수교육으로써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다루었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교육실천학의 학문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특수교육과 관련 학문의 오늘과 내일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and tasks of the special education field in South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was composed of two parts. First, current trends and research effort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ere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and current status of special education system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And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of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core education domains, and life span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future direction and tasks were suggested as challenging issues of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were the integration of personalized education practices and inclusion education, transition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outcomes, and the shift of special education paradigms.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변천 연구: 교육목표 및 구성체계를 중심으로

        백수진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9 특수·영재교육저널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educational goals and organizational systems of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for disabled students who are unable to apply general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courses have been chang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revised and announced nine times from the first special school curriculum established and announced in 1974 to the present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in 2015. The study found that the basic education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was applied equally with the educational goals of general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courses as a watershed for the basic education courses of 2008 in the life and curriculum system of the contents required for real life. If the real purpose of special education is to enhance the ability of disabled students to live independently, the educational goals and organization system for them should be able to systematically teach the knowledgeand functions necessary for disabled students to live on their own in various ecological life environments now and in the future. Therefore, it was proposed that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in the future should embody the educational goals for the independent liv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clude the relevant areas in the composition system that can teach them systematically. 본 연구는 일반 초·중등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어려운 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구성체계가 어떻게 변천 되어 왔는지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74년 처음으로 제정·고시된 특수학교 교육과정부터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까지 총 아홉 차례 개정·고시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은 실제 생활에 요구되는 내용의 생활 및 교과 영역 체계에서 2008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을 분기점으로 일반 초·중등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교과 체계를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었다. 특수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장애학생의 독립생활 역량 강화에 있다면, 이들을 위한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구성체계는 장애학생이 현재와 미래의 다양한 생태학적 생활환경에서 스스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체계적으로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은 장애학생의 자립생활 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목표와 내용을 구체화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관련 내용 영역을 구성체계에 포함할 것을 제안하였다.

      • 몽골의 특수교육 관련자들의 교육적 요구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김동일(Kim Dong il),이재호(Lee Jae ho),남지은(Nam Jee Eun Karin),장세영(Jang Se young),안예지(An Ye ji)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7 특수·영재교육저널 Vol.4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 education programs in Mongolia. Mongolia is one the recipients of the South Kore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gram and has received various national support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international educational cooperation project for special education in Mongolia since 2013. Mongoli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fessors,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traine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responses were used to explore the preconditions for establish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Mongolian special education representatives over a period of two weeks in 2015. From survey results, consistently increasing interests in special education were observe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already developed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Mongolia were identified. Recently, the only teacher training institute, Mongoli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newly set up a special education department in September 2015 followed by two years of short-term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Discussion was drawn from the observed results. 본 연구는 몽골의 특수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몽골의 특수교육 현황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몽골은 한국에서 중점협력국가로 선정되어 국가적으로 지원을 하고 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몽골의 특수교육을 위한 글로벌교육지원사업이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몽골의 현지 특수교육 관련자인 특수교사, 장애아동 보호자, 특수교육 담당 교수, 특수교육 연수생들이 생각하는 특수교육의 실태와 특수교사 양성체제가 구축되기 위한 선행조건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2015년 2월 2주간 몽골의 기관 방문을 통해 특수교육 관련자들에게 1월~2월에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다. 그에 대한 결과 몽골의 특수교육에 대한 관심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몽골의 특수교사 양성프로그램에 개선될 점과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단기과정인 특수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2년간 진행되었으며, 몽골 유일의 교원양성기관인 몽골국립교원대학교에서 2015년 9월부터 특수교육 전공 신입생을 뽑아서 국가적으로 양성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도출된 결론과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전문가 협업 기반의 직업교육이 비고용 지적장애성인의 식당취업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김영준(Kim Young Jun)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7 특수·영재교육저널 Vol.4 No.1

        본 연구는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전문가 협업 기반의 직업교육이 비고용 지적장애성인의 식당취업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고등학교 과정을 졸업한 후 1~2년째 일반가정에서 비고용의 상태로 머물고 있는 지적장애성인 세 명을 연구 대상으로서 선정하였다. 실험 환경은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조리 실습실과 사업체 내 주방, 가정 내 주방과 같이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실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 기법 중 한 가지인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른 실험 조건은 기초선, 중재, 유지, 일반화와 같이 네 가지로 구성되었다. 종속변인인 식당취업직무기술은 대학부설 평생교육원과 사업체의 산학협력을 통한 연구 대상의 채용약정 차원에서 적용되었으며, 연구 대상이 한식을 전문으로 하는 식당사업체 내의 주방에서 백숙 음식을 직접 조리하는 것으로 조작적 정의 되었다. 또한, 종속변인인 식당취업직무기술은 과제분석을 통하여 10가지의 하위 단계기술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독립변인인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전문가 협업 기반의 직업교육은 사전연수와 중재의 실제 적용과 같이 두 가지의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독립변인에서 말하는 전문가는 연구자, 교수요원, 사업주, 어머니를 가리키며, 이들은 교수자로서 연구 대상의 목표행동 습득을 실제 지도하였다. 독립변인의 구성체제는 이론 강좌와 실습 강좌의 두 가지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연구자는 나머지 교수자인 교수요원, 사업주, 어머니를 해당 유형의 강좌(이론/실습)에 맞춰 연구 대상에게 적용해야 할 교수 내용과 방법을 중심으로 사전연수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교수자가 사전연수의 절차에서 다룬 교수 내용(직무 수행 관련 등)과 방법(반응촉진, 시각적 자료, 시연 등)을 구체화하여 연구 대상에게 적용할 중재 절차와 방법을 구성하였고, 중재(강좌) 한 회기마다 3시간에 걸쳐 네 명의 교수자가 순차적인 협업의 맥락을 통하여 연구 대상을 직접 지도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은 중재를 통해 목표행동을 효과적으로 습득, 유지 및 일반화하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xpert collaborative based vocational educ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t university on the restaurant employment task skills of unemployed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ree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ve been living in homes for 1~2 years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course of special school were selected as subjects. As for the experiment design,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one of the single-subject research techniques, was used, and the subsequent experiment conditions consisted of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Expert collaborative based vocational educ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t university was used as independent variable to create instructional method based on verbal prompting and audiovisual cues(i.e., picture card, videos filming in smartphone etc.) through cooking performances for a chicken boiled with rice. Also in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previousness training and practical intervention were applied with mutually connected procedure and method. Restaurant employment task skills, the target behavior (dependent variable),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cooking of a chicken boiled with rice by the subjects and this performance was composed in a total of 10 stages through task analysis. The subjects effectively learned and maintained cooking task skills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In addition,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effects were similarly shown when generalized measurement was performed in kitchens at hom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expert collaborative based vocational educ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t university and restaurant employment task skills of unemployed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대학수월성 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노들(Ro, Dul)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4 특수·영재교육저널 Vol.1 No.1

        본고는 대학에서의 수월성 교육의 문제점과 필요성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따른 대학에서의 수월성 교육의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로, 고등학교에서의 대학으로의 연계성이 매우 낮다는 점과 이공계 이외의 부분에 대한 논의가 미비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대학에서의 수월성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활성화하여야 한다. 대두된 활성화 방안으로는 AP 제도 등을 더욱 활성화 하는 방안과 지속적이고 심화된 연구를 지원하는 시스템, 학ㆍ석사 통합과정 등의 방안들이 제시되어 왔다. 또한 이러한 대학에서의 수월성 교육은 지방대학의 재도약을 위해 꼭 해야 하는 부분임에 틀림없으며 현실적으로 가장 조속한 도입이 가능한 입학 전 프로그램 및 입학 후 가중치 과목의 운영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has studied the problems of excellence education in university and necessity and activation. It has two main problems. One is the connectivity is very low that from the high school to the university. Another is the lack of discuss about except for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refore, the necessity about the excellence education in the university has to be realized and to activate. The activation plan was suggested. It is further activating the system, such as AP, UP, bachelorㆍmaster degree system. Excellence education in the university is positively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local university. And needed to operation of before and after entranced into school programs as possible as.

      • 예비 특수교사가 인식한 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이미지 탐색

        권혜진(Kwon, Hye-Jin),유영의(Yoo, Yung-Eui),이상희(Lee, Sang-Hee)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5 특수·영재교육저널 Vol.2 No.2

        본 연구는 예비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사와 유아교사에 대한 역할이미지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년제 S대학교 특수교육과 예비교사 31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사와 유아교사 이미지를 은유(metaphor)와 이를 설명하는 그림, 텍 스트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은유, 그림, 텍스트 자료를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사의 역할이미지는 행동수정전문가, 안내자, 가능성과 잠재력 발견자, 양육자, 발달지원전문가, 개별화교 육전문가, 인내와 도전의 전문가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유아 교사의 역할이미지는 안내자, 양육자, 준비교육자, 발견자, 학습의 모델의 이미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이미지 특성 분석을 통해 통합교육의 실질적인 성공을 도모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images of special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by pre-service special teache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1 pre-service teachers were sampl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mong those students whose major are in Special Education at A University and attending the course of self‐development projects. Participants were surveyed on how they perceived special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were analyzed through hermeneutic interpretation. In the final analysis, data from 30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ole images of special teachers perceived by pre-service special teachers were behavior modification specialist, guide, possibility and potential discoverer, supporter, developmental support expert,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expert, patience and challenges expert, etc. Second, the role ima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by pre-service special teachers were guide, supporter, preparation educator, discoverer, class modeler, etc.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le images about special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by pre-service special teachers, implications for the further study discussed about the substantial success of integrated education.

      • KCI등재후보

        영재교육 질(Quality) 기준에 관한 국내외 현황 및 시사점 분석

        심승엽,박순흥,한기순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9 특수·영재교육저널 Vol.6 No.1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present-day state and talking points of the quality of gifted education based on two of the leading countries on gifted education, the US and the UK. First, the present status of the quality standards of the gifted education is derived from the changes in the overseas quality standards. We explored how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 of the US, and government-managed standards, The Institutional Quality Standards (IQS), The Classroom Quality Standards (CQS), and The Authority Quality Standards (LAQS), of the UK affected the gifted education scene of each county. In addition, quality standards of Netherland, Wales, Saudi Arabia, and New Zealand were analyzed. Second, we extracted the implications for our gifted educ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gifted education quality standards The result of analys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pplicability of gifted education on various layers based on the philosophical consensus, and appropriateness of the gifted education based on the level of learner and the subject. This study suggests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positive effects of the quality standards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e quality standards of gifted education abroad.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선도국가인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영재교육 질 기준에 관한 외국 현황과 시사점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질 기준의 변화에 따른 국외 영재교육 질 기준의 현황을 도출하였다. 미국의 오랜 영재교육 역사 속에서 질 기준에 입각한 핵심공통 교육과정(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도입에 따른 변화의 모습을 탐색하였고, 영국 영재교육에서는 기관 질 기준(The Institutional Quality Standards: IQS), 교실 질 기준(The Classroom Quality Standards: CQS), 교육청 질 기준(The Authority Quality Standards: LAQS) 이라는 세 가지 국가 질 관리가 있음을 파악하고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외에 네덜란드, 웨일스, 사우디아라비아, 뉴질랜드의 질 기준 현황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국외 영재교육 질 기준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영재교육 핵심 목적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철학적 합의와 다양한 계층(layer)에서의 적용성에 대한 고민, 그리고 영재교육과정이 각 과목의 특성 및 학습자에 따라 적절한 수준(levels)으로 반영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시사점을 바탕으로 개인의 역량에 한정한 평가 및 개선 도구로서의 질 기준에서 머물기보다 영재교육 시스템 맥락에서 질 기준에 대한 보다 사용자 중심의 평가모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외 영재교육의 질 기준을 통하여 국내 영재교육의 질 기준 제고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기 위한 몇 가지 현실적 제언을 제시한다.

      • 학령기 말더듬아동과 조음음운장애아동의 비유창성과 의사소통태도 비교

        박진원(Park, Jin-Won)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7 특수·영재교육저널 Vol.4 No.2

        본 연구는 말더듬아동과 조음음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비유창성과 의사소 통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령기 말더듬아동 8명, 조음음운장애아동 8명, 일반아동 8명을 대상으로 비유창성 점수, 비유창성 유형, 의사소통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세 집단은 비유창성 점수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유창성 점수는 말더듬아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조음음운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 집단은 비유창성 유형에서 차이를 보였다. 말더듬아동은 병리적인 비유창성 유형이 높게 나타났고, 조음음운장애아 동과 일반아동은 정상적인 비유창성의 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세 집단은 의사소통 태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말더듬아동이 조음음운장애아동과 일반 아동보다 더 부정적인 의사소통태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음음운장애아동도 일반아동보다 유의하게 의사소통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나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 다. 이러한 결과는 조음음운장애아동이 음운처리과정의 문제로 유창한 구어산출에 어려 움을 보이므로 의사소통 상황에서도 자신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임상실제에서는 말더듬아동과 조음음운장애아동을 위한 유창성 증진 프로그램들이 고안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말더듬아동뿐만 아니라 조음음운장애아동에게 유창성 증진 훈련 들을 실시하는 것은 유창성 향상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상황에서 자신감을 증가시켜 줄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dysfluency and communication attitude for the stuttering children, the phonological disordered children and the normal children. For 8 stuttering children in school age, 8 phonological disordered children and 8 normal children, the test of the dysfluency score, the dysfluency type and the communication attitude was perform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one-way ANOVA and posteriori tests. First,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ysfluency scores among three groups. The dysfluency score had the highest level in the stuttering children, the next came the phonological disordered children and the normal children. Second, there were the differences in the dysfluency type among three groups. The stuttering children had the high level in the pathological dysfluency type and the phonological disordered children and the normal children had the high level in the normal dysfluency type. Third,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munication attitude scores among three groups. The stuttering children had more negative communication attitudes than the phonological disordered children and the normal children. However, the phonological disordered children had higher scores on communication attitude than the general children, so they were negatively evaluate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honological disordered children had the low self-confidence in communicating situations too because they had difficulty in the production of the fluent speech due to the phonological processing problem. This study showed that the fluency-enhancing programs for the stuttering children and the phonological disordered children should be designed in the actual clinical practic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fluency-enhancing training to the phonological disordered children as well as the stuttering children can improve the fluency and increase the confidence in the communication situation as well.

      • KCI등재후보

        교사 및 자기 평가에 의한 학령기 말더듬 아동의 의사소통 태도 연구

        박진원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9 특수·영재교육저널 Vol.6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communication attitude by self-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for school-age children who stutter(CWS) and normal children. For this purpose, S-24 test was performed to 10 stuttering children and 10 normal children and TASCC test was performed to the teachers of the children, and both test result & correlation was analyzed. First, the S-24 test scores of the stuttering childre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eneral children group in the communication attitude by self-evaluation. The stuttering children can be evaluated as having a negative tendency about communication attitude. Second, TASCC test score of stuttering children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eneral children group in the communication attitude by teacher evaluation. Third, the stuttering children group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24 score as a result of analyzing group correlation between S-24 and TASCC sub-baromete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tuttering children of school age showed the negative tendency in self assessment and others' evalu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both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aspects from the viewpoint of the speech therapy to help smooth communication in school environment. It is hoped that in the future, the effective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s can be devised to help the stuttering children better adjust to school life as well as the normal children. 본 연구는 학령기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 평가에 대한 의사소통 태도와 교사 평가에 의한 의사소통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말더듬 아동 10명과 일반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S-24 검사를 실시하고, 대상 아동들의 교사에게 TASCC 검사를 실시하여 집단 간 두 검사 결과와 상관을 분석하였다. 첫째, 자기 평가에 대한 의사소통 태도에서 말더듬 아동집단이 일반 아동집단보다 S-24 검사 결과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말더듬 아동들이 의사소통 태도에 대해 부정적인 성향을 지닌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둘째, 교사 평가에 의한 의사소통 태도에서 말더듬 아동집단이 일반 아동집단보다 TASCC 검사 결과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집단 간 S-24와 TASCC의 하위 척도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말더듬 아동집단은 S-24 점수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학령기 말더듬 아동들은 자기 평가와 타인 평가에서 부정적인 성향을 보였으므로 언어치료적 관점에서 행동과 심리적인 면을 함께 평가하여 학교 환경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향후 일반 아동뿐만 아니라 말더듬 아동들이 학교생활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적인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들이 고안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학령 전 말더듬 아동 부모와 일반 아동 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행동 연구

        박진원(Park, Jin-Won)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8 특수·영재교육저널 Vol.5 No.1

        This  study  compared  the  way  of  child  rearing  between  parents  of  stuttering  and  normal  child  in  preschool  age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d  as  data  for  parents  educatio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stuttering  therapy.  The  study  researched  18  parents  group  with  stuttering  child  and  18  parents  with  normal  child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of  the  rearing  attitude  and  the  rearing  behavior  each  group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among  sub  factors  each  group. First,  the  rearing  attitude  of  parents  with  stuttering  child  had  lower  score  in  the  difference  of  the  rearing  attitud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led  and  rejective  rearing  attitude  among  sub  factors.  The  parents  with  stuttering  child  are  more  negative  and  controlled  than  parents  with  normal  child. Second,  the  rearing  behavior  of  parents  with  stuttering  child  had  higher  scores  in  the  difference  of  the  rearing  behavio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jection,  control,  allowance  and  neglect  among  sub  factors.  The  parents  with  stuttering  child  showed  mor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hostile  discipline  than  parents  with  normal  child. Third,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correlation  among  sub  factors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among  rejective,  affectionate,  and  autonomous  attitude  in  parents  with  stuttering  child.  The  allowance  and  neglect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rejection  and  control.  The  parents  with  normal  child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among  controlled,  affectionate  and  autonomous  attitud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ystematic  parents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recover  the  fluency  of  stuttering  children. 본 연구는 학령 전 말더듬 아동 부모와 일반 아동 부모의 양육성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말더듬 치료를 위한 부모중재교육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하 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말더듬 아동 부모집단 18명과 일반 아동 부모집단 18명을 대상으로 양육 태도와 양육행동의 차이를 비교하고, 집단 별 각 검사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첫째, 양육태도의 차이에서 말더듬 아동 부모의 양육태도 점수가 낮게 나타났고, 하위요인 가운데 통제적 양육태도와 거부적 양육태도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일반 아동의 부모보다 부정적이고 통제적인 성향이 강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둘째, 양육행동의 차이에서 말더듬 아동 부모의 양육행동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하위요인 가운데 거부와 제재, 허용과 방임 요인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일반 아동의 부모보다 부정 적인 감정표현과 적대적 훈육의 성향이 더 강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셋째, 양육태도와 양육행동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말더듬 아동 부모집단의 경우 거부적 태도와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 간 부적상관을 보였고, 허용과 방임 요인은 거부와 제재 요인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일반 아동 부모집단의 경우 통제적 태도와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 간 부적상관을 보였다. 향후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령 전 말더듬 아동의 유창성 회복을 위해 체계적인 부모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며 올바른 양육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