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 접촉으로 육지 해녀의 언어에 나타난 제주 방언 연구

        김지숙 ( Kim Jisuk ) 한국방언학회 2020 방언학 Vol.0 No.32

        그동안 언어 접촉에 의한 언어 변화는 동일 언어권 안에서 방언 간의 접촉에서 언어 내적 요인을 밝히는 데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 해녀와 육지 해녀 간의 언어 접촉을 사회언어학의 측면에서 언어 외적 요인과 언어 내적 요인을 함께 검토하였다. 육지 해녀의 언어에서 제주 방언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었는데, 제주 해녀들의 육지로의 이주와 결혼이 그 원인이 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육지 출신의 해녀들은 자신의 지역 방언 외에도 물질과 관계되는 어휘에서 자연스럽게 제주 방언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제주 방언은 본래의 형태, 의미, 음운의 변화가 나타나기도 했지만 대부분 원래의 제주 방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해녀들이 육지로 이주한 시기가 오래 되었음에도 육지 해녀의 언어에 제주 방언이 보전되었다는 것은 제주 방언이 이들 직업에서 특수화된 언어로 존재했기 때문이다. 즉 특정 지역의 언어라기보다는 특수 직업어로서 역할을 한 것이다. 그래서 육지 해녀들은 해당 지역 공동체에서는 해당 지역의 방언을 사용하면서도 이들이 속한 사회 공동체에서는 제주 방언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처럼 육지 해녀의 언어에서 제주 방언이 나타난 것은 해녀들이 중복되는 여러 언어 공동체에 속하게 되면서 해녀 공동체의 사회 규칙과 더불어 새로운 의사소통 규칙을 습득해야 하는 필요와 요구 때문으로 볼 수 있다. So far, most of the language changes by language contact have been only performed by contact between dialects within the same linguistic sphere. For this reason, the researches on language change have tended to pay attention to revealing the internal factors of language. This study reviewed the language contact between Jeju female divers and land female divers together with the external factors of language in the aspect of sociolinguistics. Focusing on Jeju Language shown in the language of land female divers, it was verified in the category of man, tool, and collection. The external factors causing this language contact were Jeju female divers’ marriage and move to land. Because of this, the Jeju language could be easily found in the language of female divers originated from land. Even though this Jeju language showed some changes in the original form, meaning, and phoneme, mostly, i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original Jeju language. Even though it was a long time ago for the female divers to move to land, the Jeju language was preserved in the language of land female divers because the Jeju language was existing as a specialized language for their occupation. In other words, it was working as a special jargon, rather than a language of a specific region. Thus, the land female divers used the dialect of the relevant region in the relevant community while they also used the Jeju dialect in their social community. In other words, the Jeju language was shown in the language of land female divers because those female divers who belonged to many overlapping linguistic communities were needed and required to acquire the communication rules and the social rules of female divers’ community.

      • KCI등재

        제주어 창작동요의 노랫말 분석과 제주어 보존

        강스텔라(Kang Stell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UNESCO에서 제기하고 있는 소멸 하는 언어의 보존을 위해 제주어 창작동요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방법 이를 위하여 총 114곡의 창작동요를 통해, 제주어 창작동요를 확인하고, 주제별로 분류하고, 다빈도 단어를 분석하고, 제주어 창작동요의 한 면인 국악 창작동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결과 첫째, 총 114곡의 제주어 창작동요를 추출하였고, 제목이 제주어인 창작동요는 96곡이다. 둘째, 주제별로 보면, 자연환경 관련이 38곡, 제주 문화와 생활양식 관련은 각 21곡, 19곡이다. 놀이와 관련된 곡은 14곡, 학교와 관련하여 7곡, 제주어 관련은 10곡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다빈도 단어로 어머니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할머니이다. 자연과 동요의 밝음과 어울림을 표현하는 단어, 놀이와 관련한 표현이 있다. 넷째, 제주어 창작동요 작사가는 총 52명이고, 국악 창작동요는 16곡이 제시되었다.결론 다양한 제주어가 창작동요를 통해 불리며, 초등 음악교육을 통한 제주어 보존의 긍정성을 확인하고, 제주어 사용의 다양성을 위한 제주어 창작 동요의 보급 및 활용으로, 향후 제주어 보존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to preserve the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 proposed by UNESCO Methods Through a total of 114 Creative Children s song, We identified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categorized by subject, analyzed frequent words, and investigated and One aspect of Jeju Creative Children s songs, investigated the creative Korean traditional songs. Results In conclusion, first, a total of 114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were extracted, and the Jeju-language titled Children s songs were 96. Second, by them, there are 38 thematic song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21 songs and 19 songs for Jeju culture and lifestyle, respectively. It was classified into 14 songs related to play, 7 songs related to school, and 10 songs related to Jeju language. Third, mother were the most frequent words, followed bt grandmother, words that express the brightness and harmony of nature and nursery rhymes, and expression related to play. Fourth, a total of 52 lyricists for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and 16 song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Conclusions As a suggestion, various Jeju-language are sung through Creative Children s songs, confirming the affirmation of preservation of Jeju-language through elementary music education, and making a great contribution to the conservation of Jeju-language in the future by disseminating and utilizing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for diversity in the use of Jeju-language, I think it will do.

      • KCI등재

        제주어의 보전과 활용 방안

        김순자(Soon Ja Kim) 제주학회 2011 濟州島硏究 Vol.36 No.-

        제주어는 제주 사람들의 생각이나 느낌을 전달하는 데 쓰는 전래적인 언어다. 이러한 제주어가 사라지거나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 이에 따라 학계와 행정기관, 시민단체, 연구자, 뜻있는 도민 등을 중심으로 제주어 보전을 위한 크고 작은 사업들을 펼쳐왔다. 그럼에도 사라져가는 제주어를 온전히 보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들은 부족한 상태다. 유네스코도 2010년 12월 8일 제주어를 인도의 코로(KORO)어와 함께 사라지는 언어 5단계 가운데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로 분류하였다. 유네스코의 이런 진단이 내려진 이후 행정에서는 제주어연구소 설립 방침을 밝히고, 교육 당국에서는 제주어 교육 강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신문이나 방송 등에서도 제주어 보전을 위한 지면과 방송 시간을 늘리는 등 제주어 보전에 힘을 보태고 있다. 각종 상품과 상호 이름으로 제주어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제주어 보전을 위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한 상태다. 사라져가는 제주어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주어의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또 일상생활에서 제주어가 생활화할 수 있도록 제주어 교육이 전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주어 교사 양성과 연구자 육성 등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 방안의 하나로 연구자와 교사 양성 등에 필요한 기금을 지원할 수 있는 제주어 기금 설립도 서둘러야 한다. 제주 사람들의 삶과 정신이 깃는 문화의 정수인 제주어 보전은 제주어 정책을 담당하는 제주특별자치도, 연구를 담당하는 대학 당국, 그리고 제주도민 모두 에게 주어진 과제다. Jeju language is traditional language delivering thoughts and feelings of Jeju people but it is endangered nowadays. So academia, administrative agencies, civic organizations, scholars and other interested citizens engage in various preservation projects of Jeju language.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alternatives conserving Jeju language entirely. UNESCO categorized Jeju language and KORO India language as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 which is fourth degree out of five in December 8, 2010. After UNESCO s decision, administrative agencies decided to establish Jeju language Institute and educational authorities implemants a policy on Jeju language education. Newspapers and broadcasting also expand their air time and articles. More Jeju language is used for the namas of goods and shops. However, we still need more support. It is important to take a systematic approach in preserving Jeju language and keep educating people Jeju language as a part of life. For this, Jeju language teacher and researcher training is needed. First of all, Jeju language funding is need to be found to raise teachers and researchers. Jeju language preservation is the task for the governman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ducational authorities and even all of us.

      • KCI등재후보

        제주형 마을만들기를 통한 제주어 보전방안 연구

        양정철,고영희,고용진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preserve and utilize the Jeju language by utilizing Jeju-type village development. In order to preserve and utilize the Jeju language, we are promoting projects including the Jeju language in the Jeju-style village development project being promoted in Gimnyeong-ri, Gwannaeup, Jeju City. As a result, by promoting a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in the region, the Jeju language will be used more frequently in the region, and opportunities for tourists to communicate in the Jeju language will be created. When the elderly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the biggest problem was communication with the younger gener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y setting up a place where people can communicate in Jeju language, the elderly will be able to use Jeju language freely, and young people and tourist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learn Jeju language in real lif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Jeju language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through town development projects and recognized as a tourism product. To that end,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policy support using a two-track strategy, divided into specialized areas such as Jeju language preservation and usage, and general areas. 본 연구에서는 제주형 마을만들기를 활용하여 제주어를 보전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주어를 보전하고 활용하기 위해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지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제주형 마을만들기 사업에 제주어를 포함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어르신들의 일자리 창출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제주어 사용빈도를 높이고 관광객에게 제주어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어르신들이 이 사업에 참여하면서 가장 문제로 삼은 것은 젊은 층과의 소통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어로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어 줌으로써 어르신들은 자유로운 제주어 사용과 젊은 층 및 관광객은 실생활에서 제주어를 사용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마을만들기 사업을 통하여 제주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고 하나의 관광상품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 제주어 보전과 사용 등 전문분야와 일반분야로 나눠 투 트랙 전략을 활용한 정책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제주지역에서 제주어 보전 및 사용빈도를 높이기 위해 마을만들기 분야에 제주어를 포함시켜 어르신들이 마을만들기 분야에 참여하여 제주어가 전수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 줄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지역별로 다양한 언어적 자원을 가지고 있는 제주어를 활용하여 위기의 언어를 보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는 것이 핵심 포인트이며, 향후 제주어 보전정책을 수립하는데에도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 제주어 동시를 활용한 정서교육 연구

        김신자 ( Kim Sin-ja ) 백록어문교육학회 2023 백록어문교육 Vol.32 No.0

        이 연구는 제주어 교육 현장에서 제주어 동시를 활용한 제주어 감정과 관련한 정서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습 대상은 초등학교 3∼6학년을 말하며, 제주어를 보다 쉽게 접근하고 제주어 정서 어휘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제주어 감정을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자신의 감정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감정 어휘에 대한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원활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정서 표현에 대한 제주어 감정 어휘의 유의어 목록을 구성하였다. 또한 이를 의미 항목으로 분류하여 일상생활에서 ‘지꺼지다(기쁘다)’, ‘부에나다(화나다)’, ‘□□다(무섭다)’를 표현할 수 있는 가장 기본 단계부터 체계적으로 어휘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제주어 교육 현장에서, 제주어를 학생들이 차근차근 익혀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감정을 제주어로 표현하여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다양한 정서를 개념화하고 정서 개념을 확장하는 데 유의미한 자료로 활용하다 보면 자신의 정서를 이해하는 폭이 넓어지게 되고, 소멸 위기 제주어를 전승ㆍ보존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emotional education measures related to Jeju language feelings using Jeju-language children’s poem at the Jeju-language education site. The subject of learning refers to third to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it is important to clearly convey Jeju-language emotion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others in order to access Jeju-language more easily and effectively educate Jeju emotional vocabulary. A list of Jeju-language feelings vocabulary synonyms for emotional expression was organized so that learners could express their feelings effectively and communicate smoothly through feelings vocabulary education. And also, vocabulary education was systematically to be made from the most basic stage where we could express ‘지꺼지다(delighted), ‘부에나다(angry), and ‘□□다(scary)’ in our daily lives by classifying them into meaning items. Students can steadily learn Jeju-language at the Jeju-language education site, express their feelings in Jeju language in daily life, and communicate smoothly. Ultimately, if you use it as meaningful data to conceptualize various emotions and expand emotional concepts, you will be able to broaden your understanding of your emotions and contribute to the passing down and preservation of Jeju-language in danger of disappering.

      • KCI등재

        제주방언에 대한 방언 태도 연구-제주 지역 공무원을 중심으로-

        권미소,배영환 한국방언학회 2020 방언학 Vol.0 No.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alect attitude of public officials in Jeju on Jeju dialect. To this end, we organized the concept of dialect attitude, and reviewed the status of language policy on Jeju dialect which is in danger of extinction. Then, we analyzed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awareness on dialect attitude, dialect use area and dialect policy for public officials in Jeju. Jeju dialect shows high preservation awareness at the risk caused from stimulation due to change in external environment and internal active response. The change in external environment and stimulation can be roughly summarized into 3 stages of the Rise of Common English Language Theory,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Korean Language, and the registration of UNESCO Crisis Language. Accordingl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nacted and promulgated an ordinance to prepare education and conservation policies for local languages to be developed only in the country. The survey targeting Jeju official‘s attitudes toward Jeju dialect confirmed that Jeju dialect is rated as a very positive image ('friendly'(38.3%)' and 'warm'(26.1%) accounted for 64.4% of the total). The survey on the area of Jeju dialect usage also showed that Jeju officials use Jeju dialect in a [-public] situation, and standard language in a [+public] situation. In the meantime, Jeju officials were found to be not well aware of Jeju language policies such as the "Basic Jeju Language Development Plan" and the "Jeju language notation."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that Jeju officials need to be more active in promoting its language conservation policy. 본고는 제주 지역 공무원들의 제주방언에 대한 방언 태도를 조사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방언 태도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 보고, 소멸 위기의 제주방언에 대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언어 정책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러고 나서 제주 지역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방언 태도, 방언의 사용 영역, 방언 정책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제주방언은 외부 환경의 변화와 자극에 따른 위기에 내부의 적극적인 대응으로 높은 보전 의식을 보인다. 외부 환경의 변화와 자극은 영어 공용화론의 대두, 국어 기본법의 제정,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등록의 크게 세 단계로 요약된다. 이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조례를 제정, 공포하여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역어에 대한 교육과 보전 정책들을 마련할 수 있었다. 제주 지역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제주방언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제주방언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이미지(‘친근하다(38.3%)’, ‘정겹다(26.1%)’가 전체 64.4%를 차지)로 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제주방언 사용 영역에 대한 설문을 통해 제주 지역공무원들이 [-공적]인 상황에서는 제주방언을 사용하고, [+공적]인 상황에서는 표준어를 사용한다는 결과도 알 수 있었다. 한편 제주 지역 공무원들은 실제 ‘제주어 발전 기본 계획’이나 ‘제주어 표기법’ 등과 같은 제주어 정책에 대해서는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주 지역 공무원에게 제주어 보전 정책의 홍보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오사카 지역 제주어 화자의 언어 혼용에 관한 연구* -제주어 기반 발화의 일본어 ‘な’ 혼용을 중심으로-

        김보향 한국언어연구학회 2020 언어학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ixing patterns and reasons of Japanese ‘な(na)’ in the conversation based on Jeju language used by the first generation Jeju residents in Osaka, Japan. To examine this study, the Jeju language oral data was analyzed. The first generation Jeju residents in Japan are bilingual speakers. They selectively use either Jeju language or Japanese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onversation partner, but they often mix both languages. The reason why Japanese ‘な’ is used in the conversation based on Jeju language is that ‘な’ is similar to Jeju languague ‘게(ge)’. The structural and semantic similarity between two languages cause interference and a mixed usage of the two languages. This mixed usage did not only cause individual phenomena but also formed a unique language system by being delivered to language community. The mixed usage of Japanese ‘な’ in the conversation based on Jeju language used by the first generation Jeju residents in Osaka, Japan demonstrat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first generation immigrants, as well as the universality of a language mix in immigrant societies.

      • KCI등재후보

        오사카 이쿠노쿠 지역 재일제주인의 제주방언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김보향 ( Bo Hyang Kim ) 영주어문학회 2014 영주어문 Vol.28 No.-

        오사카 이쿠노쿠는 많은 제주 사람들이 모여 생활해 온 대표적인 곳으로 일본으로 이주한 제주 사람들은 정착 초기부터 같은 고향 사람들과 사회를 형성 고향을 재현하며 생활해 왔다. 모어를 습득한 후 일본으로 건너간 제주 사람들은 일본으로 이주해 가면서 자신들의 언어까지도 고스란히 가지고 가서 일본에서 생활해 왔다. 이들은 상황에 따라 제주방언과 일본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이중 언어 화자이다. 그리고 제주방언과 일본어가 섞인 혼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지역에 제주방언이 보존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지 확인하고자, 이중 언어 사회에서 재일제주인의 언어 선택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언어 태도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 방언인 제주방언이 해외 이민 사회에서 지속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그것은 제주방언이 세대 간의 전승이 이루어지지 않아 2세대 이후에서는 제주방언이 일본어로 교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나마 이민 역사 100년 동안 재일제주인 사회에서 제주방언이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재일제주인이 집단을 이루어 생활해 왔고 일본과의 정식적인 교류가 끊겼던 시기에도 지속적으로 많은 제주방언 화자들이 유입되면서 언어 집단이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이민 1세들이 생을 달리하여 그 수가 점점 줄어들면서 일상생활어로 제주방언은 설 자리를 잃었고, 다만 제주 출신자들 간의 친목, 유대감을 유지시켜주는 언어 역할을 하고 있을 뿐이다. Ikuno-ku, one of the wards of Osaka, is a representative place where a number of Jeju people have lived together, reenacting their hometown by creating a community with those from the same homeland since the early stage of their settlement. Jeju people who had acquired Jeju dialect before emigrating to Japan brought their own language with them as it was, and have settled in the region. They are bilingual speakers who choose either Jeju dialect or Japanese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Or, they use elements from the two languages in the same sentence. Previous reports suggest that Jeju dialect has been preserved in the said region. This document has examined whether the preservation is sustainable, how Jeju people make their language choices, and what language attitudes they have. The document has concluded that chances appear to be slim that local Jeju dialect will remain in the Korean communities abroad. The reason is because Jeju dialect is not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s, and is replaced with Japanese, starting with the third generation immigrants. Jeju dialect managed to remain in the immigrant communities in its century-old history as the Jeju people have lived in groups and the region saw a continuous inflow of many Jeju dialect speakers even during the period when psychological exchanges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were suspended. The number of first generation immigrants is decreasing as many of them have passed away. Therefore, Jeju dialect lost its status as a daily spoken language, but only serves as a language to maintain the friendship and fellowship among those people from Jeju.

      • KCI등재

        제주어와 제주방언, 이름의 정치언어학

        조태린(Cho, Tae-Rin) 한국어문학회 2014 語文學 Vol.0 No.126

        There are many ways which call the vernacular of Jeju island. For example, Jeju dialect, Jejudo dialect, Jeju patois, Tamla language, Jeju language, etc. Recently, the frequency in use of ‘Jeju language’ is on the increa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nge of names which call vernacular of Jeju island and to analyse the reason of this change. First of all, this paper starts with a critical review of the precedent discussions about the concept of language and dialect and their relations. This review enables u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formal linguistic viewpoint about the relations between language and dialect. And then, examining the use aspect of the term ‘Jeju language’ and ‘Jeju dialect’, this paper analyses the concept of ‘Jeju language’ and the reason of this usage. This analysis result facilitates, not only our understanding of extralinguistic strained relations between ‘Jeju language’ and ‘Jeju dialect’, but also a good grasp on significance and problem of using the term ‘Jeju language’ which supplants the term ‘Jeju dialect’.

      • KCI등재후보

        제주 방언의 언어활력 평가

        김은희(Kim, Eun-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4

        유네스코가 제시한 위기언어에 대한 9개의 평가 요인을 적용하여 제주 방언의 언어활력을 측정해 보았다. 제주방언의 위기의 정도와 지속가능성을 밝히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제주방언의 언어활력 지수는 5단계 중에 평균 1.9이다. 종합적으로 2단계의 분명히 위기에 처한 언어(definitely endangered language)로 판정할 수 있다. 방언 레벨의 언어임을 감안하면 활력지수가 높은 편이다. 제주방언은 가정 내 사용 비율이 비교적 높고 자신의 방언능력을 높이 평가하는 등 언어 유지에 필요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공적 기관의 언어정책과 지역주민의 자기언어에 대한 태도가 아주 긍정적이다. 그러나 위의 결과는 위기언어 등록 이후 방언부흥운동의 성과가 반영된 것으로 위기언어 등록 당시의 사정과는 다를 수 있다. 유네스코의 위기언어 등록은 언어공동체의 위기감을 반영하기 때문에 언어 활력 지수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제주방언의 경우는 지역주민의 위기감이 위기언어 등록으로 표출된 것이다. 실제 위기언어 등록은 방언 레벨의 언어도 소멸돼서는 안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더 발전적인 보존정책을 실시하기 위한 계기가 되었다. 위기를 기회로 삼은 전형적인 예이다. Crystal은 위기언어의 진행을 더디게 하는 요인으로 공동체 내에서의 위신의 향상, 경제적 축적, 합리적 권력의 증가, 강인한 교육제도, 언어의 기록, 전자기술의 이용의 6요인을 들고 있는데 제주방언은 강인한 교육제도를 제외하고는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특히 잠재적 위신이 높고 언어의 기록, 전자기술의 활용이 두드러진다. 교육용 CD제작, 홍보 동영상 제작, 방언 자료의 전산화, 모바일 콘텐츠의 개발 등 미디어와 새로운 영역에 대한 대응이 신속하였다. 앞으로 제주방언의 언어재활성화 전개과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The Jeju dialect have been included in UNESCO’s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in 2010. This study is about sustainability and vitality assessment of Jeju dialect. Understanding the language vitality is the first step toward reinvigorating its usage. Language communities are complex and diverse, and measuring absolute number of speakers are tremendously difficult. Thus, UNESCO proposed key nine factors that are especially useful when evaluating vitality, degree of endangerment and sociolinguistic environment of its language. Following are nine factors UNESCO suggested: (1) Intergenerational Language Transmission, (2) Absolute Number of Speakers, (3) Proportion of Speakers within the Total Population, (4) Trends in Existing Language Domains, (5) Response to New Domains and Media, (6) Materials for Language Education and Literacy, (7) Governmental and Institutional Language Attitudes and Policies, (8) Community Members’ Attitudes toward Their Own Language and (9) Amount and Quality of Documentation. From this measurement, vitality of Jeju dialect was found to be 1.9 out of 5 grades, where lower number indicates safer situation. So, Jeju dialect is considered rather safe language in terms of dialect level language. However, Jeju dialect is registered as “Language in Danger” by UNESCO. These contradicting understanding on Jeju dialect vitality is from twofold: one is imprecise language assessment, and the other is Jeju people’s insecure feeling toward their native language, where community response becomes critical measure point, not language vitality itself. With the fear of losing Jeju’s own language, people of Jeju wanted it to be registered in UNESCO’s “Language in Danger.” After this, areas of the dialect usage have been expanded and this event became a catalyzer for reactivating Jeju dial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