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적인 IoT-Cloud 서비스 실증을 위한 OverCloud 개념 설계 및 검증

        한정수(Jungsu Han),박선(Sun Park),김종원(Jong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5 No.1

        클라우드 기반의 ICT 인프라가 성숙함에 따라 기존의 획일적인(monolithic) 서비스 합성은 컨테이너(container) 중심의 클라우드-네이티브(cloud-native) 컴퓨팅을 기반으로 신속하게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구조(microservices architecture)로 진화하고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과 클라우드가 융합된 IoT-Cloud 형태의 Software as a Service(SaaS) 서비스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IoT-Cloud 서비스들은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이동하는 IoT 기기들을 자유롭게 인접한 클라우드와 연결해야 하므로, 지리적으로 분산된 클라우드 인프라를 동적으로 활용하는 서비스 합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클라우드 인프라가 제공하는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IoT-Cloud 서비스가 요구하는 동적인 서비스 합성을 지원하기는 힘든 제약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적으로 IoT-Cloud 서비스를 합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클라우드 활용 소프트웨어 개념으로, 클라우드 인프라 계층 위에 얇은(razor-thin) OverCloud 계층을 추가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OverCloud 개념의 실증적인 검증을 위해 동적인 OverCloud 계층의 구성/소멸을 위한 소프트웨어 구현을 수행하고, 스마트에너지 IoT-Cloud 서비스 사례에 적용하여 확인한다. The growth of cloud-based ICT Infrastructure has led to the evolution of service composition toward a MicroServices Architecture (MSA)-based cloud-native computing for agility and efficiency. Also, the bridging together of Internet of Things (IoT) and cloud, Software-as-a-Service (SaaS)-style, has led to an explosive emergence of IoT-Cloud services. These IoT-Cloud services are meant to dynamically use geographically-distributed cloud infrastructure since mobile IoT devices ar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cloud infrastructure. However, only with virtual machines provided by cloud service providers, supporting the dynamic service composition required for IoT-Cloud services is quite difficult. Thus, in this study, a new cloud-leveraged software concept, denoted as OverCloud, is provided, which builds a specially-arranged razor-thin overlay layer. For the feasibility validation of the dynamic OverCloud layer, a prototype software was implemented to verify the instantiation and clean-up of dynamic OverCloud layer and it was applied to an example service scenario for the Smart Energy IoT-Cloud service.

      • KCI등재

        SDN 기반 플로우 경로 제어를 지원하는 SmartXIoT-CloudHub설계 및 검증

        윤희범(Heebum Yoon),김주성(Juseong Kim),김승룡(Seungryong Kim),김종원(Jong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4 No.10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관련 서비스들은 분산된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기 위해 클라우드 인프라와의 연계가 기본이 되어가는 추세이다. 따라서 IoT와 Cloud를 직결하는 형태로 구축되는 다양한 SmartX IoT-Cloud 서비스들에 대응하도록, 유/무선다중-액세스(multi-access) 인터페이스들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SmartX IoT-Cloud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수준의 연결성(inter-connection)들을 다중-액세스 인터페이스들로 구성된 네트워킹 경로들과 적절하게 매칭하는 소프트웨어-정의 네트워킹(SDN: Software-Defined Networking)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관제(monitor & control)해야 한다. 또한 종단(end)에 분산된 각종 IoT 디바이스들과 이들을 지원하도록 에지(edge)에 배치된 계산/처리/네트워킹 융합형(hyper-converged) 장비들에 대한 포괄적인 관제를 지원하는 도구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DN 제어 기반의 플로우 경로제어(steering) 를 활용하여, WiFi, LoRaWAN, 유선을 포함하는 다중-액세스로 IoT-Cloud 서비스들의 원활한 데이터 연결성을 확보하는 SmartX IoT-Cloud Hub에 대한 설계와 검증 사례를 다룬다. In order to process and store collected sensor data from distributed IoT devices, most services related to Internet of Things (IoT) are gradually inter-connected to the cloud-leveraged infrastructure. For this kind of direct IoT-Cloud inter-connections, several types of wired/wireless multi-access interfaces should be interchangeably supported. Thu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software-oriented concept of SmartX IoT-Cloud Hub that supports 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enabled monitor and control of IoT devices for SmartX IoT-Cloud services. This SmartX IoT-Cloud Hub, located at the edge cloud, should also support distributed IoT devices managing hyper-converged (i.e., compute/storage/networking integrated) box-style equipments. Also, in this paper, SDN-assisted Flow Steering is employed, whil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X IoT-Cloud Hub is explained and a discussion is given on the methos used to maintain the required sensor data inter-connections with the multi-access coordination of WiFi, LoRaWAN, and wired accesses.

      • KCI등재후보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서 블록체인의 적용 가능성

        고인석 한국지급결제학회 2018 지급결제학회지 Vol.10 No.2

        IoT is an IT infrastructure that aims to create various added value by connecting all things in the world to the network. AI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other technologies, it is expected to greatly improv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economic activities. In addition, it attracts attention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s that arise in the aspect of aging, the economy of the demographic society, and social security. Various approaches have been taken by companies and industries toward practical and advanced IoT, but they are still used only in narrow applications such as optimization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in specific companies and factories. However, considering the potential of integration and utilization of various data, related companies are bound by data from upstream to downstream of the supply chain, and all of the society as well as the entire industry are connected to IoT, and it seems to be progressing in a direction to operate autonomously. In order to deploy IoT service to society as a whole, it is difficult to provide one company alone, and it is indispensable to open innovation where various companies provide services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we need a platform of IoT that can establish a collaborative system with other companies and provide a new service with the best connection. In the realization of such an IOT platform, centralized management is concentrated in the existing IT system. However, the management and the financial power of the management subject are the constraints of the functions and reliability of the system. So it is sometimes advantageous to form a distributed system that distributes it among participants. Blockchain is a distributed system, and its innovation and application possibilities are highly anticipated. Blockchai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and although each has characteristics or aptitud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re is a lot of discussion in a lump and thus it is properly recognized. Once you have fully grasped the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your class, you will not get the expected effect if you do not choose the purpose or system suitability. Blockchain is a technology of development. Considering the maturity of the current block, the use of a block chain called a consortium type is likely to be most suitable for the IoT platform. It is expected that interoperability among participants will be improved in order to expand the scalability that facilitates the connection of various objects or services that increase tolerance to the disorder by keeping the colon large. Moreover, by implementing the automatic enforcement function called smart contract in the block chain store due to its secondary advantage, participants are forced to follow common rules and contribute to standardization and open innovation promotion. For the realization of IoT widely spread to society, it is not necessary to demand complete correct answer (structure) from the beginning and consume a long time, but a consortium is formed with a small number of people, It is necessary to modify and expand. In that respect, there is an advantage in using the block chain of IoT. 사물인터넷(IoT)은 세상의 모든 사물을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다양한 부가가치를 낳는 것을 목적으로 한 IT인프라 스트럭처이다. 인공지능(AI), 빅 데이터 등의 기술과 함께 활용함으로써 경제활동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고령화, 인구감소 사회의 경제, 사회보장 등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도 주목을 끌고 있다. IoT의 실용화 및 고도화에 향하여 기업이나 업계에서 다양한 대처가 행해지고 있지만, 아직 특정 기업 및 공장 내의 최적화, 생산성 향상이라는 좁은 적용 범위에서의 이용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각종 데이터의 통합과 활용에 의한 잠재력을 생각하면, 공급망의 상류에서부터 하류에 걸쳐 관계기업이 데이터에 의해서 결속되고, 업계 전체는 물론 사회의 모든 사물이 IoT에 연결되어 사람의 관여 없이도 물건이 자동적이고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방향으로 진전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 전체에 IoT서비스를 전개하려면, 한 개의 회사 단독으로 제공하는 것은 어려우며 다양한 기업이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 이노베이션이 불가결하다. 이때 타사와의 협업 체제를 구축하고 재빨리, 최적으로 연결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가올 IoT의 플랫폼이 필요하다. 그러한 IoT플랫폼의 실현에 있어서, 기존 IT시스템에서 일반적인 중앙집권형이면 관리주체에 부하나 비용이 집중하는 데, 관리주체의 기량과 자금력이 시스템의 기능이나 신뢰성의 제약조건이 된다. 그래서 참가자 간에 분산 통치하는 분산형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가 있다. 블록체인은 분산형 시스템의 일종이며, 그 혁신성이나 응용 가능성이 크게 기대를 모으는 기술이다. 블록체인은 그 특징을 다른 3종류로 대별할 수 있으며, 각각 특징이나 적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괄적으로 논의할 것이 많다. 따라서 현상태에서는 제대로 인지되고 있다고 말하기도 어렵다. 분류별 특징 및 과제를 충분히 파악한 뒤 이용 목적이나 시스템에 대한 적합성을 가리지 않으면 기대하는 효과는 얻지 못할 것이다. 블록체인은 발전도상의 기술이며, 현재 시점의 성숙도를 감안하면, 컨소시엄형으로 불리는 블록체인의 활용이 가장 IoT플랫폼에 적합할 가능성이 높다. 대장을 분산하여 보관 유지함으로써 장애에 대한 내성을 높이는 여러 물건이나 서비스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확장성을 대비해서 참가자 간의 상호 운용성의 향상이 기대된다. 게다가 부차적인 장점으로 스마트 계약으로 불리는 자동집행 기능을 블록체인점에 구현함으로써 참가자는 공통의 규칙을 따를 수밖에 없어 표준화와 오픈 이노베이션 추진에 기여하게 된다. 널리 사회에 IoT의 보급과 실현을 위해서 처음부터 완전한 정답(구조)을 요구하고 장시간을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소수 관계자들로 컨소시엄을 구성해서 실현 가능성이 높은 곳에서부터 신속하게 시행착오를 반복, 운용하면서 수정,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관점에서 IoT의 블록체인 활용에는 장점이 있다.

      • KCI등재

        유비쿼터스 및 모바일 컴퓨팅 : 자가적응형 IoT 시스템 개발 동향과 자가적응형 개념을 활용한 IoT 비교분석

        황세영 ( Se Young Hwang ),서장일 ( Jang Ill Seo ),박성준 ( Sung Jun Park ),박상원 ( Sang Won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5 No.1

        IoT는 인간과 사물, 서비스, 이 세 가지 요소에 대해 인간의 명시적 개입 없이 상호 협력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처리 등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을 의미하고 현재 AllSeen Alliance, OIC 등과 같은 많은 IoT 그룹에서 IoT를 위한 플랫폼을 출시하고 있다. 자가적응형은 기기가 작동 중에 사람의 의사결정 없이도 가장 나은 대응을 스스로 판단하여 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기존 IoT와 IoT 플랫폼에 자가적응형 개념을 적용시켜 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IoT, IoT 플랫폼, 자가적응형 연구와 개발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IoT와 IoT 플랫폼에 자가적응형 분류체계를 사용한 비교 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활용한 예시로 아직 개발 단계인 OIC의 IoT 플랫폼에서 부족한 자가적응형 요소에 대해 제안한다. IoT means things space networks that form the intelligent relationship such as sensing, networking, information processing about human being, things and service without explicit mutual cooperation of human being. Lately many IoT groups such as AllSeen Alliance, OIC launched a platform for IoT. Self-adaptive is aimed at implementation without the need for decisions of human being during the operation, so that the machine can respond to changes in its own determination. There is a need to apply the concept of self-adaptive to existing IoT and IoT platform. So In this paper, We look for trends of existing IoT, IoT platform and comparisons by applying a self-adaptive concept to IoT, IoT platform. In addition as an example of this paper, we suggest lacking self-adaptive elements to OIC.

      • KCI등재

        IoT 생태계 S-P-N-D-Se 모형으로 본 국내 사물인터넷 보안 연구 동향 분석

        이정하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JSE) 2015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12 No.4

        본 논문은 2008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IoT 연구 150편에 대한 문헌을 분석한 연 구이다. IoT 생태계로 발표된 S-P-N-D-Se를 기준으로 IoT 연구의 동향을 알려주며, 특히 보안에 대하 여는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IoT에 대한 국내 연구는 2014년부터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보안(Se) 및 플랫폼(P)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저조하게 나타났다. 보안에 대한 연구는 문제점 도출 후 대안을 제시, 보안 정책 제안, 보안시스템 모델 제안, 인증 강화 모델 제안, 접근 통제, 개인정보보호, 규제 및 정책에 대한 동향 연구 등으로 나타났다. 국내 IoT 생태계의 발전을 위해 IoT 플랫폼 및 보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연구자는 IoT 생태계 모델을 기초로 연구문제를 도출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 하다. This paper reviews 150 Internet of Things (IoT) researches published in Korea journal articles from 2008 to 2014. I inform researchers about the trend of IoT research through IoT S-P-N-D-Se ecosystem. In particular, I analyzed in detail with respect to security. The research on IoT has been actively conducting since 2014, with few studies in journal articles focusing on the platform(P) and security(Se). IoT Security research focuses on suggesting an alternative to the security problems, security policy, security system model, enhanced authentication mod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privacy, regulatory and policy trends and etc. I recommend that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IoT platform and security to contribute IoT ecosystem in Korea and find various research questions through IoT S-P-N-D-Se ecosystem.

      • 동북아 지역 IoT 주파수 공동이용을 위한 동향분석 및 기술표준 방향 연구

        이동철,백승준,구교광,권태오,김승환 한국어정보학회 2018 한국어정보학 Vol.20 No.1

        몇 년 사이에 IoT는 통신 프로토콜과 디바이스 중심의 단순한 개념에서 점점 진화 하여, 디바이스, 인터넷기술, 그리고 사람(사물, 데이터 등)이 보 안, 프라이버시, 신뢰도 문제를 해결하는 것까지 포함한 비즈니스 혁신, 재현성, 상호 운용성을 위한 완전한 생태계를 창조하는 것으로 개념이 바뀌어 가고 있다. IERC는 실제와 가상의 사물들이 고유특성과 물리적·가상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지능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끊김없이 정보네트워크를 통합 하는 표준과 상호운용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자기 스스로 재구성이 가능한 동적인 글로벌 네트워크 인프라로 정의함으로써 IoT의 범위를 인프라까지 확대 정의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IoT 영역이 확대되면서, 일반적으로 IoT의 4대 기술 분야를 센싱기술,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술, 플랫폼 기술 및 서비스 기술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다양한 전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선통신망 구축이 필수이며, 이를 실현 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자원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를 실현화 시킬 수 있는 동북아지역 IoT주파수 동향 및 표준화에 대하여 결과를 제 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IoT 환경에서 HCI 증진을 위한 홈 네트워킹 프레임워크 디자인 제안 연구

        홍은정,김세웅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1

        This study proposed and designed a home networking framework for HCI enhancement in IoT environ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HCI which the recent development of IoT technology is aimed at, focusing on IoT home networking for the implementation of HCI. This study proposed a dynamic framework of home network by organically connecting various sensors and smart devices existing around the user, and suggested a method of providing services using them. This study proposed a dynamic mesh-type network configuration technique to analyze the situation and provide real-time services to which the people and devices interact closely. This study proposed a mechanism that the user context through abstraction and this behavior of the user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or the user-configured on the IoT home network service provider networks. It is said that the system framework design proposed in this study helps users to interact with space and devices more smoothly and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allows immersion in IoT service. Thus, it is expected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IoT services centered on service users rather than systems in the IoT environment proposed here, by combining into various fields, the dynamic network configuration and context awareness mechanism of the home networking framework for HCI enhancement. It is thought that IoT can be utilized as a technical design model in which the user is the subject in the space through the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people and the devices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IoT.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IoT 기술발달이 지향하는 HCI 구현을 위하여 IoT 홈 네트워킹을 중심으로 IoT 환경에서 HCI 증진을 위한 홈 네트워킹 프레임워크를 디자인하여 제안하였으며,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여러 센서 및 스마트 장치를 위치 기반으로 유기적으로 연결함으로서 홈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을 분석하고 사람과 기기가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는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서 동적 매쉬형 네트워크 구성 기법을 제안하고, 구성된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 중심의 IoT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행동 및 주변 환경의 추상화와 이를 통한 사용자 상황인지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 프레임워크 디자인은 이용자와 공간 및 장치간의 상호작용을 보다 원활하도록 도와주고, IoT 서비스에 몰입하게 해주는 환경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IoT 환경에서 HCI 증진을 위한 홈 네트워킹 프레임워크의 동적 네트워크 구성 및 상황인지 메커니즘을 다양한 분야에 접목시켜 시스템 중심이 아닌 서비스 사용자 중심으로 다양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며, IoT의 궁극적 목표인 사람과 기기간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으로 공간 안에서 사용자가 주체가 되는 기술적 디자인 모형으로서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KCI등재

        IOT 홈서비스 국내 이동통신 체험매장의 서비스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정준웅(석사과정) ( Jun Ung Jeong ),이돈일(조교수) ( Don Il Lee ),김주연(교신저자) ( Joo Yun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IT기술의 발달로 고도화된 통신기술과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인하여 IOT홈서비스에 대한 needs가 다양하게 요구 되고 있다. IOT는 사람 사물 공간이 인터넷으로 연결된 기술로 특히, 이동통신기술에 많은 부분이 집중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IOT는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분야로 자리잡아가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스마트 홈을 지향하는 IOT홈서비스이다. 현재 IOT홈서비스는 IT업체와 가전업체, 통신사 중심의 플랫폼 속에서 발전하고 있으며 주로 이동통신매장에서 판매, 홍보되고 있다. 따라서 IOT의 특성상 IOT홈서비스 기기는 기존 스마트 기기와는 소비연령층, 구매 사유 등 여러 측면에서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므로 구매 전부터 구매 후까지의 제공 서비스는 일반 이동통신매장의 서비스와는 다르게 제공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IOT홈서비스 체험매장의 특성요인에 대하여 상품특성요인, 물리적 환경 특성요인, 고객서비스 특성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체험매장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디자인적 요소는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인 ‘고객여정 맵’을 통하여 서비스가 시작되는 시작과 끝인 사전 서비스, 현재 서비스, 사후 서비스로 나누어 사전 서비스는 체험 전, 현재 서비스는 체험 중, 사후 서비스는 체험 후로 구분 하였다. IOT홈서비스 체험매장을 방문한 고객이 제공 받게 되는 서비스의 순서에 따라 각각의 터치 포인트를 체계적으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서비스디자인특성을 고객이해, 예절, 유형성, 커뮤니케이션, 대응성, 신뢰성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표 통신사 SKT, KT, LG유플러스의 IOT홈서비스 체험 존을 직접 방문 경험이 있는 이용자와 이동통신 매장에서 3년 이상 근무경력이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IOT홈서비스 체험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특성을 인터뷰 및 평가지를 통해 평가한 결과, 고객이해와 대응성의 특성은 다소 부족하게 나타났고, 커뮤니케이션, 유형성, 신뢰성의 특성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IOT홈서비스 체험매장의 서비스디자인 특성에 가장 적합한 공간은 체험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이고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매장으로 성장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ue to the advanced development of IT-based communication technology , Network-based smart device, several IOT home service needs have been required. In the IOT (Internet of things) people-object-space are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and it is fact that a large part of it is concentrated speciall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OT field is becoming indispensable in our lives and the oriented IOT home service Smart home is their representative. Customers existing smart device customer IOT home services are different. So, Providing service to after purchase before purchase, unlike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shop service is believed that it should be provided. In this study, through theoric study about the IOT Home Services Experience Shop characteristics factors, and service design. The characteristic of the service design and experience store was drawn. Based on this, the representative domestic communication companies SKT, KT, LGU + were evaluated through evaluation form and interview with the target user that had visit IOT home service experience shop. As a result, the customer``s understanding and responsiveness characteristics appeared somewhat insufficient and the communication, tangibles, and reliability characteristics showed relatively higher. Accordingly, in the service design characteristics of IOT Home Services Experience Store, through the most efficient and high customer service satisfaction shop it can be seen that the growth is possible.

      • KCI등재

        IoT환경에서 무아레 현상을 이용한 사용자 얼굴 인증 기법

        조익현,이근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2

        현대에는 모든 사물, 기기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IoT 제품을 쉽게 접하면서 IoT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들의 편리성을 위하여 원격으로 IoT 제품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들이 IoT 제품을 이용하여 생활의 편리성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편리성만을 추구하다 보니 보안적인 측면에서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노출이 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 제품에 무아레 기술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보안의 성능을 향상하고, 무아레 현상 방법인 그림자식 무아레, 영사식 무아레를 이용한 사용자 얼굴 인증으로 IoT 제품의 안전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IoT 제품과 무아레 기술이 적용된 IoT 제품을 비교해 보면 무아레 기술이 적용된 IoT 제품이 보안적인 측면에서 안전하다. In modern times, many IoT products are being used as all things and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IoT products become easily accessible through the network.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IoT products can be remotely operated automatically without manual operation.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underwa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rs by using IoT products. However, since only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is pursued, in terms of security, there is a serious problem that expose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is paper has proposed a method to apply moiré technology to IoT product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ecurity, and a method to increase the safety of IoT products using user face authentication based on shadow moiré as a moiré phenomenon method, and the projection moiré. When comparing the existing IoT products and IoT products applied with moiré technology, IoT products applied with moiré technology are safer in terms of security.

      • KCI등재

        IoT 기능을 보유한 냉동·냉장 제품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시험항목 프레임워크 설계에 관한 연구

        조경록 ( Cho Kyoung Rok ),이정재 ( Lee Jung Jae ),이은서 ( Lee Eun-ser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0 No.6

        최근에 시판 되고 있는 냉동·냉장 가전제품은 사물인터넷(IoT) 기능이 추가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IoT 기능에 대한 시험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기존의 시험체제에서는 IoT 기반의 냉동·냉장 가전제품에 대해 IoT 시험항목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제품을 제조하는 업체의 경우에는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원인을 쉽게 찾기가 어려우며, 시험기관의 경우에도 IoT와 관련한 시험항목 선정 및 방법의 부재로 올바른 성능시험 수행에 제약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전기기 분야의 제품 중 IoT 기능이 포함된 냉동·냉장 제품의 성능시험 프로세스에서 제품 결함을 찾아내고 그 원인을 식별할 수 있는 시험항목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이를 이용한 시험방법 및 관리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연구를 통해 제조사 및 시험기관은 IoT 기반의 냉동·냉장 제품의 올바른 성능시험이 가능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Recently, frozen and refrigerated appliances on the market are being released with additional IoT functions, but there are few tests on IoT functions. In particular, the existing test system does not have IoT test items for IoT-based frozen and refrigerated appliances, making it difficult for companies to find the cause even if defects occur, and test institutions are also restricted from selecting IoT-related test items and conducting correct performance tests. In this paper, we design a test item framework that can identify product defects and identify causes in the performance test process of frozen and refrigerated products with IoT functions among products in the home appliance field, and propose test methods and management measures using them. Through the proposed research, manufacturers and testing institutions can test the correct performance of IoT-based frozen and refrigerated products, thereby enhancing the completeness and securing reliability of the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