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매체 전이된 텍스트에 나타나는 상호 텍스트성이 흥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난지(Nan Ji Hong)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0 애니메이션연구 Vol.6 No.3

        수많은 매체들이 범람하여 하나의 텍스트가 매체 전이의 과정을 거듭하는 것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상이다. 연구자는 매체 전이를 통한 텍스트가 성공하는 데 있어 중요한 변수가 무엇일지를 연구하는 과정에 있다. 그 과정에서 매체 전이된 텍스트에는 이전 텍스트들의 여러 흔적들인 상호 텍스트성이 존재한다는 데 주목했다. 즉, 매체 전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나타난 원작의 흔적인 상호 텍스트성이 매체 전이 텍스트의 성공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매체 전이된 텍스트가 성공하는 데 있어 텍스트 내의 상호 텍스트성의 존재와 관객의 상호 텍스트성에 대한 지식의 유ㅌ무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에 대한 연구의 첫 시작으로 본 논문은 존재한다. 최근에 활발하게 영화로 만들어지는 미국의 슈퍼히어로 장르들은 대체적으로 큰 성공을 하고 있는데 그중 〈왓치맨(Watchmen)〉(2009)이 타 슈퍼히어로 영화보다 대중성을 확보하지 못한 이유를 상호 텍스트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왓치맨〉의 스토리는 상호 텍스트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원작인 그래픽 노블 〈왓치맨〉에 대한 상호 텍스트성과 미국 만화의 역사라는 텍스트 외적인 상호 텍스트성이 함께 존재하고 있다. 또한 〈왓치맨〉은 이러한 상호 텍스트의 요소들이 미국 만화의 슈퍼히어로 장르의 역사를 반영하여 성찰하는 스토리로서 수용자에게 상호 텍스트성의 네트워크화를 가져오게 되었는데 이것이 타 슈퍼히어로 영화만큼 크게 성공하지 못한 이유라고 보았다. 이로써 본문에서는 〈왓치맨〉에 나타나는 상호 텍스트성과 그와 함께 동반되는 자기반영성을 연구할 것이다. 우선 만화와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나타났던 상호 텍스트성과 자기반영성을 사례를 중심으로 알아본 후 〈왓치맨〉에 나타나는 상호 텍스트성과 자기반영성을 살펴본다. 4장은 상호 텍스트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텍스트에 대한 연구로 수용자들 간의 네트워크 강화로 인해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지 알아볼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상호 텍스트성과 자기반영성을 만화와 애니메이션 분야의 분석의 틀로 확대하는 것과 더불어, 상호 텍스트성이 나타나는 매체 전이 텍스트들이 성공할 수 있는 대안에 대해 고찰해보도록 한다. In line with the flood of media, it has become a frequent phenomenon that a text repeats to go through media transference. This research focuses on what makes successful such media transference of a text. And the researcher noticed that intertextuality, various traces of previous texts, is found in the transferred text. That is, intertextuality, which is a natural trace of the original tex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media transference. As to the success of a transferred text, it is thought that there would be a close relation between intertextuality and a person’s knowledge of intertextuality, which is the theme of this research. Recently, superhero fictions, made into movies, have been very successful in US. And this study will analyze the reason why 〈Watchmen〉(2009) has failed to win popularity compared to other superhero movies, centering around intertextuality. The story of 〈Watchmen〉 has strong intertextuality, which includes both intertextuality of the original work, the graphic novel Watchmen, and that of the American comic book history. Also, Watchmen is a self-examining story that such factors of intertextuality reflect the history of the American comic books, which eventually brings networks of intertextuality to the viewers. And this could be the cause of the film’s failure. Hence, this study will review the intertextuality observed in 〈Watchmen〉 and self-reflexivity together. First, we will consider the cases of intertextuality and self-reflecxivity found in comic books and animation and then those in 〈Watchmen〉. Chapter 4 will examine texts with strong intertextuality and what results from increased networks among viewers. Through this we can analyze intertextuality and self-reflexivity with cases of comic books and animation as well as examine how to make texts of media transference, showing intertextuality and self-reflixivity, more successful in the future.

      • KCI등재

        조세희의『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과 신경숙의『외딴 방』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오주리(Oh, Juri)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9

        조세희의『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은 1970년대 본격적인 산업문학으로 규정되며 노동자 소설(Arbeiter roman)의 모델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신경숙은 1990년대 내면성이라는 문학적 요구에 충실한 작가로 평가되지만 『외딴 방』 은 노동자 소설의 면모를 지니고 있다. 이 논문은 그와 같은 관점에서 조세희의『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과 신경숙의 『외딴방』과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을 구명하고자 한다. 상호텍스트성은 페터 지마(Peter V. Zima)의 텍스트사회학에서 그 개념을 원용하였다. 텍스트사회학은, 예술을 사회적 사실이자 다의적 기표로 합성된 자율적 구성물, 즉 사회어와 담론의 공동작용으로 인식한다. 문학 텍스트는, 단의성을 강요하는 이데올로기의 언어를 거부하고, 언어실험을 통해 언어의 보편태에 접근함으로써 양가성과 다성성을 형성하여 미적 저항, 허구적 저항으로 이데올로기 비판을 한다. 상호텍스트성은 내적 상호텍스트성과 외적 상호텍스트성으로 구분된다. 내적 상호텍스트성은 허구적 텍스트가 다른 텍스트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텍스트의 여러 동위체 층위들을 간섭하는 것이다. 외적 상호텍스트성은 허구적 텍스트가 비허구적 텍스트(사회어와 담론들)를 가공하거나, 문학 텍스트가 이데올로기 비판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우선 신경숙의『외딴 방』과 조세희의『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이 인물구성(직계 인물군: 전근대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세대 간 이동, 방계 인물군: 산업화 사회의 다양한 계층 분화) 면이나 문체(시적인 간결체) 면에서 상동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과, 후행 텍스트가 선행 텍스트를 인용․인유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두 텍스트의 내적 상호텍스트성을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이 논문은 두 텍스트가 1970년대의 산업화현실(노사갈등 및 빈민가 형성)을 사회언어적 상황으로 수용하고 있음과 동시에, 당대의 이데올로기(성장이데올로기와 안보이데올로기)에 대해 미적 저항으로써 비판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 외적 상호텍스트성을 밝히고자 한다. Jo’s A dwarf shoots up a little ball is evaluated as an industry literature and a laborer novel in the 1970’s, and although Shin is evaluated as a novelist of an interiority literature in the 1990’s, Shin’s An isolated room is a type of a laborer novel.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literature, this thesis examines the intertextuality between A dwarf shoots up a little ball and An isolated room. The concept of the intertextuality is invoked from text sociology of Peter V. Zima. Text sociologists recognize that art is both one of the social facts and the autonomous composition of the poly-semantic signifiers—in other words, the social language and the discourse. The literary text resists the ideologic language imposing the monosemy on people and approaches the universal shapes of the language implying the ambivalence and the polyphony by the experiment on the language. The intertextuality is categorized as internal intertextuality and the external intertextuality. The internal intertextuality interferes with the different isotopes of the texts in the course of processing one fictional text to the other fictional text. The external intertextuality processes the nonfictional text (e.g., the social language and the discourse) into the fictional text or criticizes the ideologic language. The internal intertextuality between two texts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positions of the characters (e.g., generations and classes), styles, and quotations and the external intertextuality from the viewpoint of the ideologic situations in the 1970’s (e.g., the development ideology and the security ideology) and the motifs (e.g., the labor management conflict motif and the ghetto motif) are analyzed in this thesis.

      • KCI등재

        A Study of the Intertextuality in Contemporary Chinese Pop Art

        까오메이단(Gao Meidan),고석인(Ko, Seok-i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21 조형디자인연구 Vol.24 No.4

        1980년대 이래 중국의 정치 경체 체제의 개혁에 더해 중서(中西) 문화의 충돌과 융합은 예술적 창조를 자극하게 되면서 우리의 시각 경험과 생존 방식을 전화시켰으며, 이러한 추세 속에서 중국의 팝아트는 복잡하고 다원적인 발전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중국 팝아트에서는 고전 작품을 차용(挪用)하거나 그래픽 혹은 이전 과거의 작품에 대한 흡수와 전환을 통한 창작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창작 현상을 텍스트 이론에서는 ‘상호 텍스트성’이라 칭하며, 이는 이미 중국 당대 팝아트에서 비교적 중요한 창작 수단이 되었다. 본 논문은 상호 텍스트성의 표현 방식에서 시작해 먼저, 거시적인 관점에서 상호 텍스트성과 관련된 이론적 개념에 대한 정리를 진행하고 상호 텍스트성 중 기성품에 대한 기성품 차용(挪用), 콜라주(collage) 집적, 기계 복제 등과 같은 세 가지 표현 방식에 대한 예술 창작에서의 응용을 통해, 이러한 방식과 예술가의 감정 표현 및 창작 주제의 연관성을 찾아낸다. 다음으로 중국 팝아트 발전 맥락 중 지도자(領袖) 주제와 ‘문화혁명’ 관련 소재, 통속문화와 상품문화 관련 소재, 역사와 전통 관련 소재 등과 같이 세 단계로 분류하고, 서로 다른 단계와 주제 아래 팝아트 창작에서의 상호 텍스트성의 변혁과 발전에 관한 분석을 전개한다. 마지막으로 예술가 이산(李山), 왕광이(王廣義), 위광경(魏光慶)등의 작품 속에 드러난 상호 텍스트성 기법을 결합해 이에 대한 심층 분석을 진행한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목적은 중국 팝아트 창작에 있어서의 상호 텍스트성의 작용 분석을 통해 예술가가 창작을 진행할 때 어떻게 중국 고전 작품의 그래픽을 차용, 콜라주(collage), 복제 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중국의 정치 문화적 기호를 현대적인 예술표현 방식 속에서 회귀와 재창조를 얻을 수 있게 만드는 데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국의 팝아트는 중국 특유의 역사적 낙인을 투영하고 있으며, 중국의 정치 변혁, 경제 발전,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일종의 정제된 표현이라는 점을 분명히 나타내고 있다. 비록 팝아트의 소재와 그 유형은 줄곧 변화를 거듭하고 있지만, 상호 텍스트성 표현방식은 예술가들의 관념표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경로로서 예술가의 문화적 소망을 담아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문화와 사회 현실에 대한 관객의 관심과 사고도 증진시켰다. Since the 1980s, the reform of China s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together with the collision between and fusion of Western and Chinese cultures have inspired artistic creation greatly and changed our visual experience and way of being, which has also brought about the complex and diverse formation of Chinese Pop Art. In Chinese Pop Art, we often see the appropriation of classical works and images or the absorption and transformation of previous works, and such way of creation is known as intertextuality in terms of textual theory. Intertextuality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of creation in contemporary Chinese Pop Art. Starting from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intertextuality, this paper firstly goes through concepts related to intertextuality theory in general terms, and present three types of expressive techniques of intertextuality: ready-made appropriation, collage integration and mechanical reproduction, pointing out how these methods are related to the artists emotional expressions and creative them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 Secondly, for the lineage of Chinese Pop Art, we summarize three stages of development: themes of leaders and the Cultural Revolution , themes of popular culture and commodity culture, and themes of traditional culture.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intertextual techniques with respect to different themes will also be discussed. Finally, we will analyze the intertextual techniques in the works of artists Li Shan, Wang Guangyi and Wei Guangqing in detai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explore how the artist creates their works by appropriating, collaging and images reproduction from classic Chinese works in order to revive and recreate Chinese political and cultural symbols in modern artistic expressions by analyzing the role of intertextuality in Chinese Pop Ar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Chinese Pop Art carries China s unique historical imprint and is a distilled expression of China s political change, history and culture, and economic development. Constantly changing as the subject matter of Pop Art is, intertextuality has become an important approach for artists to express their ideas, not only in terms of the artists cultural aspirations, but also arousing the audience s concern and reflection on their own culture and social reality.

      • 그림책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메타픽션 기법을 중심으로

        이효원,조희숙 부산대학교 보육종합센터 영유아보육연구소 2008 영유아보육연구 Vol.14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textuality and metafictive devices of children's picture books. For this purpose the three major research questions are selected as follows. Question 1. What is the feature of the intertextuality in children's picture books? Question 2. What is the feature of the metafictive devices in children's picture books? Question 3. How is the intertextuality represented through the metafictive devices in children's picture books? To prove those subjects, I analyzed the way metafictive devices are presented in the intertextuality, covering 4 selected picture books. All of the subjects 1, 2, 3, are composed of literature researches. The mtertextuality of the selected picture books was analyzed in the context of transtextuality, which was presented in the study by Harris and Mckenzie(2005). The metafictive devices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17 metafictive devices from the study of Panta1eo(2005). In the picture books, metafictive devices were actually used, so I focused on how the intertextuality is presented. The summery of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ing; First, the intertextuality in children's picture books is represented as a form of familiar characters in film, TV soap opera, or fairy tales. Other factors around text, such as book covers, book wings and end papers were used as cues for the authors to take note. Those surroundings provided a clue to understand the story. Second, the metafictive devices were presented as peculiar features of stories and illustrations because the technique bridges each text and induces active participation from readers. The metafictive device in the picture book shows more than two narratives are connected and conclude as one story. Differently sized, colored letters and typograpic methods were used as a way to exhibit metafiction. Third, the result of study to examine how the intertextuality was presented shows that pastiche or parody methods were used in characters, narratives, and background settings. This is due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a picture book. The intertextuality was exhibited sometimes in inner scenes of the books or sometimes in quotations from other genres or other authors' books, In particular, certain characters from well-known fairy tales showed more intertextuality.

      • KCI등재

        이용악 시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의 의미 -일제 말에서 해방기 시를 중심으로-

        박민영 ( Min Young Par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5

        이용악의 시에서 서사지향성은 1940년을 전후로 약화된다. 이 무렵 그의 시에서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현상이 발견되는데, 바로 서양고전과의 상호텍스트성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이용악의 시 「별 아래」와 「밤이면 밤마다」, 그리고 「나라에 슬픔이 있을 때」를 주요 텍스트로 원전과의 비교 및 다른 시들과의 교차 강독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해독하고, 궁극적으로 이용악 시에서 상호텍스트성의 역할과 의의를 알아보고자 했다. 2장에서는 그리스 신화의 탄탈로스 이야기와 상호텍스트성을 이룬 시 「별 아래」를 살펴보았다. 이 시에서 탄탈로스는 ‘채울 수 없는 욕망의 기갈’을 상징한다. 탄탈로스 신화는 이용악 전체 시를 가늠하는 상상력의 원형이다. 이용악 시에 나타난 궁핍과 굶주림은 탄탈로스 신화와 상호텍스트성을 이루면서 이상에 대한 채울 수 없는 갈망으로 변모한다. 3장에서는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명』과 상호텍스트성을 이룬 시 「밤이면 밤마다」를 살펴보았다. 이 시에서 멜레토스는 ‘죄의식의 그림자’를 상징한다. 그는 표면적으로 고발자지만, 혐의로써 시인을 성찰하게 한다는 점에서 역설적으로 자기성찰의 조력자 역할을 한다. 멜레토스는 원전과는 다르게 선악의 이분법을 넘어 갈등하고 성찰하는 자아를 나타낸다. 이 시는 원전을 창조적으로 변용한 상호텍스트성의 대표적인 예이다. 3장에서는 구약성서의 ‘다윗과 골리앗의 이야기’와 상호텍스트성을 이룬 시 「나라에 슬픔이 있을 때」를 살펴보았다. 이 시에서 다윗은 ‘원수를 향한 분노와 투쟁’을 상징한다. 시인은 원전의 인물을 알레고리적으로 해석하여 우리를 다윗에 원수를 골리앗에 대입시킨다. 이 시에서 이용악은 자신의 정체성을 전사에 두고 원수를 향한 투쟁을 선언함으로써 앞으로의 시작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서양고전과 상호텍스트성을 이루는 이용악 시의 인물들은 일제 강점기 자의식을 수렴하고 해방 공간에서 시인으로서의 위치를 새롭게 모색하는 역할을 한다. 이용악은 일제 말과 해방기, 혼란스러웠던 시의식에 고전 속 ‘그들의 이야기’를 차용함으로써 명료한 서사성을 회복하고 시적 전망을 확보한 것이다. 이용악 시의 상호텍스트성은 서사성이 위축되고 서정성이 강화되었던 시기에 대안으로 나타난 과도기적 현상이며, 이를 계기로 이용악은 사회주의적 이념과 그 이념을 실천하는 투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따라서 이용악 시의 상호텍스트성의 의의는 파탄의 지경에 이르렀던 시의식이 고전 속 인물과의 교감을 통해 과거를 성찰하고 미래를 전망하면서 현실에 대한 능동적인 태도를 갖추게 되었다는 데 있다. The narrative-orientation in Lee Yong Ak`s poetry reduced around 1940. His poems around the period feature a new phenomenon of intertextuality with Western classic texts.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his works through cross-reading with his other poems and comparisons with the original texts, while focusing on three of his poems, “Under the Stars,” “Night by Night,” and “When the Country Is in Sorrow,” and ultimately to identify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intertextuality from Lee Yong Ak`s poetry. Chapter 2 examines the poem, “Under the Stars,” which has intertexuality with Tantalos from the Greek Mythology. In this poem, Tantalos symbolizes ‘the insatiable hunger of desire.’ The myth of Tantalos is the archetype of imagination that penetrates the entire poetry by Lee Yong Ak. The deficiency and hunger in his poems are transformed into an insatiable desire for the ideal, while creating the intertextuality with the myth of Tantalos. Chapter 3 looks at “Night by Night,” which has intertextuality with The Apology of Socrates by Plato. Meletus in this poem symbolizes ‘the shadow of guilt.’ Apparently, he is an accuser, but paradoxically he plays the part of a helper in that he makes the poet turn to introspection. Unlike Meletus in the original text, Lee Yong Ak`s Meletus signifies the ego who struggles and introspects beyond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This poem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creatively transformed intertextuality. Chapter 3 addresses “When the Country Is in Sorrow,” which is in intertextual relationship with the story of David and Goliath from the Bible. In this poem, David symbolizes ‘the strife against and anger toward the enemy.’ The poet makes an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 from the original text and substitutes David with us and Goliath with the enemy. Lee Yong Ak makes a declaration of his strife against the enemy, establishing his identity as a warrior and presenting his future moves. The characters from Lee Yong Ak`s poems that have intertextuality with Western classic texts play the part of raising self-consciousnes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groping for the positions of poets in the liberated country. By borrowing ‘their stories’ from the classic texts and applying them into poetic consciousness which is lost in confusion, he recovers clear narrativity and secures poetic outlook. The intertextuality in Lee Yong Ak`s poems was a transitional phenomenon as an alternative when narrativity was dwarfed and lyricism was on the rise. With this move, Lee Yong Ak established his socialist ideas and his identity as a warrior who put the ideas into practice.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intertextuality from Lee Yong Ak`s poetry is that poetic consciousness, once ruined, comes to take a positive stance toward reality, introspecting the past through communion with characters from the classic texts while making prospects of the future.

      • KCI등재

        읽기 상호텍스트성의 기제와 교육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0 No.-

        읽기 교육은 다양한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상호텍스트성을 강조한 접근도 하나의 접근 방식이 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독자가 구성하는 텍스트의 상호텍스트성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독자가 구성하는 텍스트에 작용하는 상호텍스트성의 기제를 구체화하여 보고, 이들 기제들을 중심으로 한 읽기 교육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독자가 독서 과정에서 내재 텍스트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상호텍스트성의 기제는 속성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독자가 내재 텍스트를 구성할 때 외부에 드러나 보이는 외현 기제, 독자가 읽는 외재 텍스트와 내재 텍스트를 매개하는 매개 기제, 외부에 드러나 보이지 않고 내부에서 작용하는 내포 기제가 있다. 독자의 상호텍스트적 내재 텍스트 구성은 이들 기제의 상보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독자는 내재 텍스트를 구성할 때 이들 기제들을 활용한다. 읽기 교육에서는 내재 텍스트의 상호텍스트적 구성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호텍스트적 내재 텍스트 구성 특성과 구성의 기제를 학생들에게 이해시키고, 기제들을 익혀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접근 관점의 특성을 이해하고, 기제를 익히게 되면 학생들은 상호텍스트성이 강화된 내재 텍스트 구성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읽기 교육에서는 상호텍스트성 기제의 학습 지도 방법을 구체화하고, 다양한 상호텍스트성의 기제를 탐구하여 학생들에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e reading instruction approaches are several ways. The reading instruction based on intertextuality is one of these ways. In this paper, I study the intertextuality of reader's inner text which it is constructed idea in reader's mind during read the multiple texts. There are various mechanisms of intertextuality that was using by reader in constructing inner text. I classify the mechanisms as three categories by it's attribute. The first category is the exposed mechanism which is checked on the analyzation of text. It is included reception, modification, generation. The second category is the connoted mechanism which is checked on the progress of inner text construction. It is included combination, organization, sublimation. The third category is the mediation mechanism which is checked on the between exterior texts and inner text. It is included selection, movement, union. The reader uses these mechanisms for the constructing inner text reciprocally. The reading instruction help the students to understand trait of reading intertextuality, and to get mechanisms of intertextuality for inner text construction. If students would master how to intertextuality mechanisms, they produce the inner text that is included intertextuality. The reading study has to several approaches for using intertextuality mechanisms and for searching intertextuality mechanisms of reader.

      • KCI등재

        개인발표 : 매체 간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현대시교육 연구

        송여주 ( Yeo Ju S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0 문학교육학 Vol.33 No.-

        This study tried to figure out the use of Intertextuality for various interpretation of poems. It is not focused on intertextuality between same genre as literature, but on intertextuality between different genre as poems and films. It is aimed for readers to use intertextual experience from other media when using the intertextuality. It is analysed to Kim Ki-lim`s poems from 1930 Modernism period, which intertextuality clearly stands out between media. Kim Ki-lim has mentioned the relations between films and poems, and he started writing poems with intertextual relationship in his mind. It is tried to figure out similarities between Kim Ki-lim poem`s form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and the film`s form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The intertextuality that appeared in Kim Ki-lim`s poems is choosing camera`s view, applying cinematic technique called montage on poems, and more objective attitude than emotion in poems about tour which used modern transportation. It is suggested to choose viewpoint before reading poems, and to use intertextual experience and analogic imagination when reading poems. Intertextuality between films and poems helps interpretation by readers and acts as a scaffolding role. Through this, the students can accomplish the wider understanding about poems. To apply intertextuality between poems and films on to poetry education, we need information, experience, and ability to interpret about poems and films. Therefore, it is an appropriate education for upper highschool level.

      • KCI등재

        윤동주 시의 내재적 자질로서의 상호텍스트성

        정명교 ( Jung,Myeong-kyo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7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5 No.2

        이 논문은 윤동주의 내성이 내면으로의 고독한 칩거가 아니라 대화를 갈구하는 상호주관성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최근 필자의 발표를 뒤이은 글로서, 상호주관성을 상호텍스트성의 층위로 끌어올리는 시도를 담고 있다. 즉 윤동주의 내성이 상호주관성으로 이해된다면, 순결한 구도적 자세에 받쳐진 그의 자기단련적 시 역시, 상호텍스트성을 내재적 자질로 안고 있을 것이라는 추정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을 것이어서, 그것을 실제로 검증해 보려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윤동주 시 전반의 외재적 특성으로서, 어조가 대화 혹은 서간의 형식을 띠고 있고, 선배 시인의 시 혹은 옛 시의 흔적이 공공연하게 드러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 외재적 특성들이 내재화됨으로써 상호텍스트적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은 아주 특별한 성질을 띠고 있다는 것이다. 첫째, 참조텍스트들을 복수화 함으로써 텍스트들로부터 의미를 순간적으로 결락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의미가 비어 있는 새로운 텍스트’를 배태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절차의 일차적 현상을 ‘상호텍스트를 통한 상호텍스트의 실패’라고 할수 있다면, 한데, 이 실패는 아주 의도적인 것, 즉 구성적인 것이다. 다시 말해, 이 실패를 통해 의미는 결락되고 텍스트 형상만이 남게 되는데, 이 형상은 의미의 부재라는 상황 그 자체로써 독자에게 의미의 충족을 갈구케 한다. 즉 여기에서 의미가 결여된 형상은 계시로서 표지되는 것이다. 이것이 윤동주적 상호텍스트의 2차적, 혹은 심층적 현상으로서, ‘의미의 결여를 통한 계시의 출현’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인의 인식은 키에르케고르적인 것으로서, 그가 키에르케고르를 숙독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한다. 그런데 이 계시가 절실성을 획득하기 위해서, 형상은 더욱 정교하게 다듬어져야 했다. 즉 정화(精華)의 수준에 도달할수록, 계시의 의미가 더욱 정화(淨化)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윤동주적 상호텍스트성의 3차적 현상으로서, 그 구체적인 실례들을 탐색하는 것은 차후의 과제가 될 것이다. This article succeeds my recent presentation which argued that the YOON DONG JU’s introspection well-known as his distinctive characteristic is an inter-subjectivity, and tries to demonstrate that his inter-subjectivity is developed by an intertextuality on his poems. At first, I noticed that YOON DONG JU’s many poems have the styles as dialogue, correspondence, promise… But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hese extrinsic forms constitute a specific intertextual space which is structured by three dimensions of meaning. In the first dimension, YOON DONG JU’s intertextuality comes into view as ‘the failure of intertextuality through the intertextuality.’ But this failure is a constitutive, that is, it, by the temporal fracture of the meaning, incites the readers to long for fulfillment of the meaning. Now, the textual figures in poems turn out to be revelations about the meaning that will be arrived. This is the second dimension of YOON DONG JU’s intertextuality. I confirmed that this insight is very Kierkegaardian, therefore, this proves, though indirectly, that YOON DONG JU pored over the writings of Kierkegaard. Undoubtedly, the more his textual figures become refined, the more the meaning that they reveal become authentic. This is an enlightenment that was reflected not only on his spiritual life but also on his Muse (i.e. writing the poetry). The most refined metamorphosis of the other’s texts makes the third dimension of Yon Dong-joo’s intertextuality that, I expect, will be investigated in the next article.

      • KCI등재

        Intertextuality in Anne Bronte`s The Tenant of Wildfell Hall

        ( Sook Kyong Hyun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2 현대영어영문학 Vol.56 No.3

        This article focuses on the human involvement in the process of intertextuality in Anne Bronte`s The Tenant of Wildfell Hall. By examining various moments and degrees of intertextual process in the novel, I show that intertextuality is not a network of textual interplay that disregards any trace of human involvement but the site that allows for the writer`s and the reader`s active engagement in the text and with each other. The instances of "mixed intertextuality" show the writer`s force behind the textual web and his/her sense of interdependency with the reader in the meaning-making process. And the moments of "embedded intertextuality" demonstrate that the text`s meaning is derived not from the text itself but from the context in which the author situates other texts. As the writer actively synthesizes various elements from other texts by stitching together others` textual voices into a patchwork of intertext, he/she does it in such a way that the reader becomes a constituent part in the meaning-making process.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Seminary).

      • Introducing Intertextuality-Aware Instruction as a Novel Approach of Teaching Reading Passages in EFL Context

        ( Mohammad Saber Khaghaninejad ) 범태평양응용언어학회 2014 범태평양응용언어학회지 Vol.18 No.1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possible effect of intertextuality-aware instruction of reading passages on a sample of intermediate EFL learners of both genders. First, the intertextuality deployed through the reading passages of the study`s course-book was focused inspired by Fairclough`s (1992) framework in terms of genre, text type, vocabulary, and structures as well as the reporting modes and intertextuality types. Moreover, 40 homogeneous female and male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textualty-aware instruction on their comprehension of reading passages. The finding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ances of two groups on the final reading comprehension post-test in the way that experimental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he study`s treatment performed remarkably better than their peers in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gender was not a determining factor for intertextuality-aware instruction in the way that participants of both genders had more or less similar performance on the study`s post-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