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이주민과 다문화주의 ; 인종 간 결혼에 관한 트랜스내셔널 인식 -1920년대 초반 미국 태평양 연안의 아시아계 이민자들이 본 아시안과 백인 사이의 결혼-

        권은혜 ( Eun Hye Kwon ) 한국서양사학회 2012 西洋史論 Vol.0 No.112

        This work analyzes the ways in which Asian immigrants made sense of interracial marriage and race in the American Pacific Coast states in the early 1920s; interviews of life histories of Chinese and Japanese immigrants included in the Survey of Race Relations, 1924- 1927 were used. The views of Chinese and Japanese immigrants on interracial marriage and race differed from those of whites. Chinese and Japanese immigrants were mostly in favor of interracial marriage and believed that marriage across racial lines would solve the so-called race problem in the U.S. Due to the widespread belief in an eugenic idea of race, whites asserted that race mixing would lead to the degeneration of the white race. In the minds of white people, racial difference between whites and Asians were those of biological inheritance that could not be changed after race mixing. Chinese and Japanese immigrants understood differences between whites and Chinese or Japanese in social and cultural terms. By a transnational consciousness of interracial marriage by Asian immigrants, this work implies that Chinese and Japanese immigrants viewed the subject of interracial marriage from the perspectives of transnational immigrants with the tendency to compare perceptions of interracial marriage in China and Japan to those in the U.S. They also judged the desirability of interracial marriage by bringing in the ways in which gender, marriage and family were understood in China or Japan.

      • KCI등재

        인종간 결혼에 대한 법적 규제와 사회적 금기를 넘어서: 1880년에서 1945년까지 미국 서부에서 아시아계 남성과 결혼한 백인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권은혜 한국미국사학회 2011 미국사연구 Vol.34 No.-

        This paper reconstructs the experiences of white women who were married to Chinese and/or Japanese Americans in the American West between 1880 and 1954. It was a time when Asian immigration was gradually restricted. It was also a time when almost all ethnic groups from Asia were not allowed to marry whites by anti-miscegenation laws in western states. Anti-miscegenation laws and taboos of interracial intimacy were used to punish and scrutinize relationships between non-white men and white women. Nonetheless, a small number of white women and their Chinese and/or Japanese partners evaded anti-miscegenation laws and legalized their marriages. These white women’s stories reveal that common Americans challenged anti-miscegenation laws as early as late 19th century. While white society held prejudices about white women marrying Asian men, these white women claimed the legitimacy of their marriage, which was based on mutual respect and love. During the World War II internment of Japanese Americans, the white wives of Japanese Americans played a significant role of keeping their families intact. While the military did not release Japanese Americans married to white women during the war, more than half of the white women who were married Japanese Americans chose to enter camps with their husbands. The mixed marriage policy of the military denied the right of a Japanese husband to join his white wife and mixed-race children on the West Coast while the same policy upheld the right of a white husband to bring his Japanese wife and mixed-race children home. Some white wives of Japanese men called for an equal treatment of mixed marriage families consisting of a Japanese husband, a white wife, and their children. The experiences and voices of white women married to Chinese and/or Japanese Americans reveal that there were gaps in implementing regulations and rules about interracial marriage. Everyday white women who married Chinese and/or Japanese Americans raised questions about racial boundaries imposed by anti-miscegenation laws and other government policies. These white women believed that their interracial families should be considered as parts of American families. 이 글은 1880년에서 1954년까지 미국 서부에서 아시아계, 주로 중국계 및 일본계 미국인남성과 결혼한 백인여성들의 경험을 재구성한다. 당시는 아시아계 이민이 제한되고 서부에서 인종간 결혼금지법이 아시아계 미국인과 백인 사이의 결혼을 용인하지 않던 시절이었다. 인종간 결혼에 대한 법적 규제와 사회적 통제는 특히 백인여성과 비백인남성 사이의 관계를 처벌하고 감시하는 데 사용되곤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백인여성과 그들의 중국계 혹은 일본계 미국인 배우자들은 인종간 결혼금지법을 법적으로 회피하는 방법을 이용해 합법적으로 결혼한 부부로 살았다. 중국계 혹은 일본계 미국인과 결혼한 백인여성들의 이야기는 인종간 결혼금지법에 대한 평범한 미국인들의 도전이 19세기 말부터 존재했고 결혼제도를 통제함으로써 인종분리와 백인우월주의를 실행하려는 인종주의적 기획이 늘 성공적이지는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들 백인여성들은 백인사회의 인종간 결혼에 대한 뿌리깊은 편견에 맞서서 그들의 결혼이 상호존중과 애정에 근거했다고 주장했다. 2차 대전 중 진행된 일본계 미국인 강제수용을 겪으면서 일본계 미국인과 결혼한 백인여성들은 그들 가족의 결합을 유지하는 동력으로 등장한다. 일본계 미국인 소개 명령이 내려지자 일본계 미국인의 백인아내들 중 상당수가 수용소행을 선택한다. 군사당국의 혼합결혼정책은 백인 가장에게 그의 일본인 아내와 혼혈자녀들을 돌려보내면서 백인 가부장의 다인종가족에 대한 권리를 인정해 준다. 반면 백인과 결혼한 일본인 남성의 경우 수용소를 떠나는 것이 금지되었다. 일본계 미국인의 백인 아내들은 남편의 석방을 요구하면서 군사당국의 혼합결혼정책의 형평성을 요구했다. 중국계 및 일본계 미국인과 결혼한 백인 여성들의 경험과 목소리는 인종간 결혼에 대한 규제와 관리의 체계가 덜 정교하고 비균질적으로 작동했음을 보여준다. 평범한 이들 백인여성들이 이 체계가 당연시하던 인종간 경계에 의문을 제기하고 그들의 다인종가족이 미국가족의 일부로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확신했다.

      • KCI등재

        여성 결혼이민자의 구어 담화 특징 연구

        이정희 이중언어학회 2009 이중언어학 Vol.39 No.-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wives of interracial marriage’ and ‘foreign students’, various studies for effective and efficient Korean education are being published for them. However, most of them centered on status of two groups and ‘scheme’ for desirable Korean education. It is hare to find observation studies or experiment studies on their actual language usage. This study examines spoken language characteristic of wives of interracial marriage who are exposed the natural environment. Thus what kind of distinctive features wives of interracial marriage have when they use Korean language through focused group interview and observe what causes communication failure in the interaction and which strategies they use through operating of focused group. Particularly, it briefly looks into phonological, morphological, syntactic and conversational aspects of wives of interracial marriage. This kind of basic study is necessary in that this can offer basic information on educational policy establishment and an appropriate curriculum establishment for wives of interracial marriage who don’t have official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learning Korean individually for communication with families.

      • KCI등재

        국제결혼한 한국인 남편의 부부갈등 해결과정에 대한 연구

        고명숙 ( Moungsook Ko ),김경화 ( Kyonghwa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국제결혼을 한 한국인 남편의 부부갈등 해결 과정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결혼 이후 한국 사회에서 거주하게 되면서 외국인 아내들은 전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지만, 한국인 남편들은 익숙한 일상생활 및 관계를 통해 사회적ㆍ문화적 적응기제를 더 많이 갖고 있으며, 아내에게 주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결혼 기간 5년 이상이며, 자녀가 있는 국제결혼 남성 8명을 심층 면담하였으며, 내용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중심현상은 “국제결혼에 대한 후회”로 나타났다. 인과적 조건은 ‘가까워지지 않는 아내’, ‘확연히 드러나는 차이’로 나타났으며, 국제결혼 남편의 갈등 해결 경험은 3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갈등조절형, 갈등조절 포기형, 현실 유지형이다. 본 연구는 국제결혼 부부갈등 해결을 위해 통역을 통한 부부 상담의 필요성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rital conflict resolution process of Korean husbands who married internationally. In the case of international marriage, foreign wives have to adapt to a completely new environment as the married couple resides in Korean society after marriage. But Korean husbands can exert a leading influence on their wives because they have more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mechanisms through familiar daily life and relationships. It can be seen that the husband should be the main agent in resolving the conflict. For this purpose, 8 men who have been married for more than 5 years and who have been living in Daegu for international marriage were interviewed and the contents were used as analysis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entral phenomenon was found to be “regret about international marriage.” Causal conditions appeared as 'wife not close' and 'clear differences’, Conflict resolution experiences of husbands in international marriage were analyzed into three types. Conflict management type, conflict control abandonment type, and reality maintenance typ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necessity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couple counseling through interpretation for resolving marital conflicts in international marriage.

      • KCI등재

        한국인과 미국인 사이의 국제결혼을 위한 목회신학, 목회돌봄, 그리고 목회상담: 보웬의 가족시스템 이론의 문화적, 목회적, 그리고 임상적 적용

        손철우 ( Chul Woo Son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3 복음과 상담 Vol.21 No.-

        In reality, Koreans are one of the fastest growing ethnic groups in the United States. Recent Korean immigrants constitute the vast majority of the Korean American population. As a result, interracial marriag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s have increased, and have become a momentous issue in the Korean community. These couples face a harsh reality and have a difficult time adjusting to the differences in cultural norms and values. The entire paper is unified by frequent reference to the story of a Korean-American couple who has been married for twenty five years which forms the central clinical case for exploration. I believe that this case will provide a good example of a typical interracial couple`s marital problems that center in cultural differences, language barriers, and different family backgrounds. In addition, this paper will evaluate the case of a Korean-American couple utilizing Bowen`s approach to systems therapy. I want to critique its contribution as well as some perceived deficiencies in applying this framework to the context of Korean-American couples. If pastors and pastoral counselors can help interracial couples to accept, respect, and understand the partner`s cultural backgrounds, interracial marriage provides golden opportunities to understand both their own values and beliefs and learn from other`s values and cultures.

      • 20세기 초 “중국인 아내”가 된 한 백인 미국인 여성의 결혼 이야기

        권은혜 문화사학회 2015 역사와 문화 Vol.30 No.-

        이 글은 20세기 초 백인 미국인 여성 매이 왓킨스와 중국 남성 티암 프랭킹 사이의 인종 간 결혼을 검토한다. 이 부부의 편지와 캐서린 앤 포터라는 유령작가에 의해 쓰인 매이의 전기를 분석함으로서 이 글은 프랭킹부부의 국가적 경계를 횡단했던 결혼 생활의 역사적 의미를 끌어내고자 한다. 이 부부는 결혼을 개인적 선택의 문제로 보는 근대적 견해를 주장하며 미국과 중국 사회로부터의 반대에 맞섰다. 당시 이 두 나라는 민족적 동질성을 추구하기 위해 인종과 민족의 경계를 넘어선 결혼은 규제하는 것을 당연시했다. 매이 프랭킹의 결혼 이야기는 미국과 중국의 서로 다른 젠더체계가 국경을 넘어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녀는 태어난 나라와 결혼으로 선택한 나라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서로 다른 이상과 기대를 항해했다. 그녀의 결혼생활에서 미국과 중국의 가정적 이상이 서로 영향을 주는 관계에 있었다. This essay examines the interracial marriage between a white American woman named Mae Watkins and a Chinese man named Tiam Franking in the early 20th century. It analyzes their letters and her biography ghostwritten by Katherine Anne Porter to extrapolate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ir transnational marriage life. It finds that this couple put forth their belief in the modern idea of marriage as a matter of individual choice to defend their love against the oppositions from American and Chinese society when both societies took for granted the idea of regulating marriage across racial and ethnic lines in order to build a homogeneous nation. Mae Franking’s side of the story exemplifies how the different gender systems of America and China interacted across borders. She navigated the different ideals and expectations of marriage and family from her native and adoptive countries. The confluence of the domestic visions of two countries defined her marriage.

      • KCI등재

        코미디 영화에 나타난 인종 간 결혼갈등 연구

        신원선 ( Sin Won-seon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구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1

        본고는 인종 간 결혼 반대를 소재로 한 대표적인 코미디 영화인 <초대받지 않은 손님>& <게스 후?>, <나의 그리스식 웨딩>, <컬러풀 웨딩즈>를 통해 인종간 결혼갈등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들 영화는 인종 간 결혼갈등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영화적 허구 속에서 억지로 가짜 통합과 화해를 통해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가짜 통합을 주도하며 영화를 해피엔딩으로 이끈 인물들 모두 예외 없이 여자 주인공 아버지들이다. 이에 반해 등장인물들의 어머니들은 타인종 간 결혼에 대해 유연한 사고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들은 이러한 결혼갈등을 풀어갈 주도권을 지니지 못한다. 결국 이 네 편의 인종 간 결혼갈등을 다룬 영화들이 만들어낸 웃음코드는 가짜 통합내지 인종주의와 결부된 가부장제가 만들어낸 현실의 역설적 전이 현상에 의한 것들이다. 하지만 사회적 갈등을 다루고 있는 이런 코미디 영화들의 획일화된 결말은 앞으로 제작될 인종 혹은 다문화 갈등을 소재로 한 코미디 영화들이 지양해야 될 웃음코드이다. 이러한 웃음코드야말로 해결되지 않는 갈등과 상처를 희화화하는 또 다른 폭력일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looked at the meaning of interracial marriage conflict through < Guess Who’s Coming To Dinner >& < Guess Who? >, < My Big Fat Greek Wedding > and < Serial Bad Weddings > These films show that they are trying to resolve the heavy topic of interracial marriage conflict through fake integration and reconciliation. However, it can be seen that in all four movies examined in this article, the interracial marriage conflict is ended with happy endings or similar integration led by the father of the women.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mothers of the characters have more flexible thinking about interracial marriage than their fathers, they show that they can not reach the point of presenting the initiative or solution to solve the interracial marriage conflict. After all, the laughter codes created by these four interracial marriage conflicts are due to the paradoxical transmigration of reality created by the fake integration or the patriarchal clan system, which is linked to racism. However, the uniform ending of these comedy films dealing with social conflicts is a laughing code that should be avoided for movies based on ethnic conflicts or multicultural conflicts to be produced in the future. This laughing code can be another violence that comical of conflict and hurt that can not be solved.

      • KCI등재

        미국 내전 이후 인종 간 결혼 규제에 대한 법적 인식의 변화: 재건기 남부의 법정 사례를 중심으로

        권은혜 한국미국사학회 2016 미국사연구 Vol.43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s in which state laws banning interracial marriage were challenged and reinstated during and after the Reconstruction era. It uses four cases of appellate courts: Burns v. State (Alabama, 1872), Bonds v. Foster (Texas, 1871~1872), State v. Gibson (Indiana, 1870), and Pace v. Alabama (1883). In the Burns and Foster cases, the court upheld the right of a citizen to marry across racial lines on account of the 14th Amendment and the Civil Rights Act of 1866.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in the South brought by Reconstruction were short-lived and soon undone by white supremacists. Southern legislators and judges defended the state right of regulating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marriage in the name of the police power of the state. In the Gibson and Pace decisions, it was ruled that states’ ban on interracial marriage and relations was constitutional. The Pace decision, in particular, established the “separate but equal” thesis that the regulation of interracial marriage and relations was constitutional as long as it was applied to both partners in an interracial union. Despite the seemingly race and gender neutral language of the law, it tended to punish a black man and a white woman in a relationship more harshly than other kinds of interracial unions. Judges legitimized miscegenation laws by borrowing the eugenic notion that race mixing would yield undesirable results for both blacks and whites. Those judges in favor of miscegenation laws asserted that interracial marriage was unnatural because God intended to separate races. The post-Civil War South’s discourse on miscegenation laws severely deteriorated race relations and contributed to the rise of white supremacy not only in the South but also across the nation. 본 논문은 미국 내전과 재건기를 거쳐 짐크로 시기의 도래에 이르기까지 인종 간 결혼에 대한 규제를 정당화하는 법적이고 사회적 논리가 재건기에 일시적으로 도전을 받다가 재건기 직후에 다시 부활하는 과정을 항고법원에서 논의된 4개의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내전 기간과 재건기에는 연방헌법에 의해 노예제가 폐지되고 흑인의 시민권이 보장되자 인종 간 결혼의 자유도 인정되기도 했다. 앨라배마 주의 번즈 사건(Burns v. State, 1872)과 텍사스 주의 포스터 사건(Bonds v. Foster, 1871-1872)이 그 대표적 예이다. 재건기의 극적인 변화는 오래가지 못했고 인종 간 결혼에 대한 주의 규제는 그 어느 때보다 효과적인 인종분리의 수단으로 등장하게 된다. 재건기 이후 재집권한 백인우월주의자들은 인종 간 결혼 금지법을 정당화할 새로운 법적 논리로 결혼제도에 대해 주가 경찰력을 가진다는 주장을 관철시켰다. 인디애나 주의 깁슨 사건(State v. Gibson, 1870)이 그 대표적 선례로 결혼제도에 대한 규율은 공동체의 복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결정되어야 한다는 논리를 세웠다. 어떤 결혼이 덜 바람직한가라는 문제를 주에서 결정할 수 있다는 가정 아래 인종 간 결혼은 바람직한 결혼의 범주를 벗어난다고 간주되었다. 결혼 및 관련 사회제도에 대한 주의 경찰력에 대한 주장은 앨라배마 주의 페이스 사건(Pace v. Alabama, 1883)에서 합헌성을 확립한다. 이 판결은 재건기 이후 남부에서 백인 우월주의에 봉사하는 공공장소와 제도에서 인종분리를 법제화했던 짐크로 체제의 도래를 알렸다. 주의 경찰력 주장 이외에 재건기 전후 인종 간 결혼 금지를 지지하는 법정 논리에 동원된 논리는 인종 간 결합이 생물학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한다는 우생학담론이었다. 재건기 전후 인종 간 결혼 금지에 관한 법정 담론은 이후 -그리고 1967년 러빙 판결로 인종 간 결혼 금지법의 위헌성이 선언된 지 50년이 지난 지금도- 미국사회의 인종 간 관계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와 태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뉴욕의 혼종 가족들-다이애나 손의 『멈춰 키스』와 『위성들』에 나타난 탈 인종 정치성

        정미경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4 영어영문학연구 Vol.56 No.4

        In this study, I will examine the racial representation in Diana Son’s plays, Stop Kiss and Satellite. Stop Kiss has been considered as a so called post-racial drama by both mainstream theatre and Asian American theatre, as it seems to lack the typical racial agenda. This study’s first aim is to show that the post-racial representation of Stop Kiss still has the political effects. And that Satellites undermines the myth of the post-racial era with lots of racial issues—interracial marriage, inter-racial discrimination, intra-racial tension. Secondly, I will delve into the politics of Diana son’s representation of interracial couples in both plays. In Stop Kiss, there is an interracial lesbian couple, a Korean American woman and a Caucasian woman. Satellites also has an interracial family, a Korean American wife, Afro-American husband and their mixed baby. I will show that these interracial couples break away from the stereotypical interracial couple’s image; an Asian woman and a Caucasian man couple. And that these interracial couples can be read as a metaphor for the change and the future of racial identity in America.

      • KCI등재

        압둘 무이스의 『잘못된 교육』을 통해 본 식민시대의 사회상 연구

        김장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3

        본 논문은 전통적 가치에서 근대적 가치로 전환된 1920년대의 인도네시아 식민사회상을 압둘 무이스(Abdeol Moeis)의 『잘못된 교육(Salah Asuhan)』을 통해 인종차별, 혼합결혼, 그리고 정체성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의 세 요인은 상호 연관성이 강하고, 중층적인 모습을 띠고 있지만, 혼합결혼과 정체성의 중심에는 인종차별이 자리 잡고 있다. 서구교육을 받은 토착민 작가 압둘 무이스는 식민사회에서 민감한 문제였던 토착민에 대한 서구인의 인종차별이 식민정부가 식민통치의 수월성을 담보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구조적인 문제로 인식한다. 이런 인식의 토대 위에 압둘 무이스는 토착민 하나피(Hanafi)와 서구 혼혈여성 코리(Corrie)의 혼합결혼과 하나피와 라피아(Rapiah)의 강제결혼은 인종차별과 전통관습의 희생양이며, 결국 불행한 삶과 죽음으로 이끄는 동인으로 보았다. 하나피와 코리의 정체성 상실은 잘못된 교육과 가치관에서 비롯된 문제이기 때문에 전통 교육과 가치로의 회귀를 통해서 회복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 연구는 현재 다문화 사회로 급격히 진입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회 문화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article illuminates various social illnesses in colonial Dutch East Indies represented in Abdeol Moeis' novel, Salah Asuhan (Wrong Upbringing). In the novel, Moeis finds three fundamental social problems including racial discrimination, problem of the interracial marriage, and the loss of identity. The origines of these social illnesses are intertwined one another, and there lies the racial discrimination as the fundamental factor to these social illness. Abdoel Moeis, a Western-educated indigenous writer, perceives the racial discrimination as the structural problem created by the colonial regime, which aims to control the indigenous society more easily. Moeis sees that the interracial marriage between Hanafi (an indigenous man) and Corrie (an Eurasian woman) and the forced marriage between Hanafi and Rapiah are destined for their destruction because of the racial discrimination and the fallacies of the traditional marriage system. He sees that these social customs eventually drove them to the miserable lives and deaths. Yet, Moeis regards that the loss of identities of these victims results from the wrong upbringing and ruined value systems, and suggests that these people can recover their identities by restoring their traditional education and value systems. This article will provide an alternative perspective to examine and cure various social and cultural problems of Korean society, which are caused by its transformation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