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ow English Speakers Perceive Non-native Speech Sounds : A Preliminary Study

        Meesook Kím,Sang-Hyok Lee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02 영어영문학연구 Vol.4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모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다른 나라 언어에만 존재하는 음소적 대조를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모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다른 나라 언어에만 존재하는 음소의 대조를 인지하는데 중요한 음성적 실마리가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한국어에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세 가지 무성 파열음들의 음성적 차이점을 인지할 수 있는가를 소리인식 방법인 AX 변별 방법을 사용해서 알아보았다. 이 연구 결과 영어 모국어 화자들은 한국어의 세 가지 무성 파열음의 음성적 차이점을 대체로 잘 구별하였지만, 한국어 평소리 파열음(/p,t,k/)과 유기음 파열음(/p^h, t^h, k^h/)을 구별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보이는 반면에 된소리 파열음(/p^*, t^*, k^*/)을 다른 파열음과 구별하는데는 아무런 문제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한국어와 영어의 VOT 범위를 비교한 결과 한국어의 평소리 파열음과 유기음 파열음은 영어의 유기음 파열음의 범위속에 포함되고, 한국어의 된소리 파열음은 영어의 유성 파열음과 비슷한 범주에 포함된다는 사실은 왜 영어 모국어 화자들이 한국어 무성자음들 중 평소리 파열음과 유기음 파열음을 식별하는데 어려움을 보였는가를 설명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실험은 VOT가 모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소리들을 음성적으로 구별하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또 다른 중요한 증거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영어공손표현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05 영어영문학연구 Vol.47 No.1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ragmatic aspects of English politeness phenomena and principl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ve expressions of politeness in one speech society may differ from another speech society. Therefore, it can be an important factor for Korean English learners to understand and acquire the correct politeness expressions of the English language in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politeness expression by analyz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strategies of English politeness. Communicative politeness can be judged relative to a particular context and cultural expectations. Koreans express politeness with sophisticated honorific systems according to many variables such as age, power and social familarity. The major feature of English politeness expression is the use of volitional strategy. The English politeness strategies for communication include positive politeness strategy, negative politeness strategy and off-record strategy. The linguistic devices of the negative politeness are important in English politeness. This study is not enough to explicate English politeness in communicative behavior. And so it is expected that further propound research will be done.

      • KCI등재
      • How English Speakers Perceive Non-native Speech Sounds: A Preliminary Study

        Kim Meesook,Lee, Sang-Hyok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02 영어영문학연구 Vol.4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모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다른 나라 언어에만 존재하는 음소적 대조를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모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다른 나라 언어에만 존재하는 음소의 대조를 인지하는데 중요한 음성적 실마리가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한국어에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세 가지 무성 파열음들의 음성적 차이점을 인지할 수 있는가를 소리인식 방법인 AX 변별 방법을 사용해서 알아보았다. 이 연구 결과 영어 모국어 화자들은 한국어의 세 가지 무성 파열음의 음성적 차이점을 대체로 잘 구별하였지만, 한국어 평소리 파열음(/p,t,k/)과 유기음 파열음(/p^h, t^h, k^h/)을 구별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보이는 반면에 된소리 파열음(/p^*, t^*, k^*/)을 다른 파열음과 구별하는데는 아무런 문제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한국어와 영어의 VOT 범위를 비교한 결과 한국어의 평소리 파열음과 유기음 파열음은 영어의 유기음 파열음의 범위속에 포함되고, 한국어의 된소리 파열음은 영어의 유성 파열음과 비슷한 범주에 포함된다는 사실은 왜 영어 모국어 화자들이 한국어 무성자음들 중 평소리 파열음과 유기음 파열음을 식별하는데 어려움을 보였는가를 설명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실험은 VOT가 모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소리들을 음성적으로 구별하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또 다른 중요한 증거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Korean EFL Learner's Comprehension Strategies for Idiomatic Expressions

        Jong-Hee Lee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03 영어영문학연구 Vol.4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영어학습자가 숙어표현이 지니고 있는 비유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접근하는 방법을 파악하여 이로부터 적절하고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질문주제를 정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1) 실험참여자들이 숙어의미를 파악하는데 활용한 이해전략은 무엇인가?; (2) 모국어로 된 숙어의 인지과정을 설명하는 인론적 기초 중 어떠한 모댈이 영어숙어표현에 대한 한국학습자들의 의미인식에 적용되는가?; 그리고, (3) 이러한 두 가지 연구주제에 대한 해답은 한국의 영어교사들에게 어떠한 외국어 지도방안을 암시하는가? 등이다. 이 실험(한국인 대학생 60명 참여)에는, decomposable idion (이하 DI 숙어라 함)이 전체의 2/3인 30문항과 non-decomposable idiom(이하 NI 숙어라 함)이 전체의 2/3인 30문항이 초급수준(30명) 및 중급수준(30명) 참여자들에게 각각 제공되었다. 위의 실험결과를 연구주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 연구주제-이해전략; 대다수의 실험참여자들은 DI 숙어보다는 NI숙어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더욱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 두 가지 경우의 의미파악과정에서 모두 다단계 이해전략에 의존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두 실험집단이 활동한 숙어의미파악을 위한 접근방식에는 분석가치가 있는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즉, 초급수준의 영어능력을 갖춘 실험대상자들은 DI 숙어에서 그 구성성분인 개별단어 자체의 의미를 분석하는 기법에 73.90%의 높은 의존률을 보였으나, 중급수준의 영어능력을 갖춘 실험대상자들은 NI 숙어에서 위와 같은 기법에 대한 의존률이 59.3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반면에 전자의 실험대상자들은 해당 숙어의 문맥적 요소에 의존한 비율이 17.57%이었으나, 후자의 실험대상자들은 이러한 문맥적 요소에 30.00%까지 의존한다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자료분석에서 얻은 중요한 결과는 해당 숙어표현이 지닌 전체적인 의미와 그 구성성분인 개별단어의 의미간에 존재하는 상호 연계성 또는 근접성의 정도가 그 숙어의 전체적 의미파악을 위한 접근방식 또는 이해전략을 선택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한국의 영어학습자들은 목표어의 숙어표현이 지닌 의미를 파악하는 과정에서는 위에서 지적한 해당 숙어를 구성하고 있는 개별단어의 분해가능성에 따라 이해전략을 자발적으로 선정하는 발견적 접근방식을 취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2) 제 2 연구주제-이론적 기초; 제 1 언어의 숙어에 대한 이해모델들은 모국어화자들의 언어 및 문화적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한 즉각적인 인식이 특징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한국으 영어학습자들은 이러한 배경지식이 불충분하므로 해당 숙어표현의 전체적 의미파악에서 주어진 개별단어의 개념적 의미와 그 숙어와 연관되어 있는 문맥적 요소들을 활용하여 다단계적인 해석접근방식에 의존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 제시된 제 1언어의 네 가지 숙어이해가설들은 모국어화자들에게 제한적으로 적용된다고 간주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모델들은 대다수의 한국 영어학습자들이 활용하는 인지적은로 복잡한 다단계 숙어의미 도출과정을 설득력 있게 설명하는 데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3) 제 3 연구주제-교육적 암시; 위의 이해전략의 연구주제로부터 얻은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영어학습자들의 자발적인 다단계 숙어의미 도출과정을 원활하게 실행하도록 하는 영어교사의 효과적인 지도방안으로써 숙어표현이 담고있는 사회언어학적 요소 및 숙어의미의 생성원리 등을 학습시간에 적절히 제공하는 "유사-발견적 접근방식 또는 준-학습자중심 이해전략"을 본 논문의 결론으로 제시할 수 있다.

      • Korean EFL Learner's Comprehension Strategies for Idiomatic Expressions

        이종희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03 영어영문학연구 Vol.4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영어학습자가 숙어표현이 지니고 있는 비유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접근하는 방법을 파악하여 이로부터 적절하고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질문주제를 정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1) 실험참여자들이 숙어의미를 파악하는데 활용한 이해전략은 무엇인가?; (2) 모국어로 된 숙어의 인지과정을 설명하는 인론적 기초 중 어떠한 모댈이 영어숙어표현에 대한 한국학습자들의 의미인식에 적용되는가?; 그리고, (3) 이러한 두 가지 연구주제에 대한 해답은 한국의 영어교사들에게 어떠한 외국어 지도방안을 암시하는가? 등이다. 이 실험(한국인 대학생 60명 참여)에는, decomposable idion (이하 DI 숙어라 함)이 전체의 2/3인 30문항과 non-decomposable idiom(이하 NI 숙어라 함)이 전체의 2/3인 30문항이 초급수준(30명) 및 중급수준(30명) 참여자들에게 각각 제공되었다. 위의 실험결과를 연구주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 연구주제-이해전략; 대다수의 실험참여자들은 DI 숙어보다는 NI숙어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더욱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 두 가지 경우의 의미파악과정에서 모두 다단계 이해전략에 의존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두 실험집단이 활동한 숙어의미파악을 위한 접근방식에는 분석가치가 있는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즉, 초급수준의 영어능력을 갖춘 실험대상자들은 DI 숙어에서 그 구성성분인 개별단어 자체의 의미를 분석하는 기법에 73.90%의 높은 의존률을 보였으나, 중급수준의 영어능력을 갖춘 실험대상자들은 NI 숙어에서 위와 같은 기법에 대한 의존률이 59.3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반면에 전자의 실험대상자들은 해당 숙어의 문맥적 요소에 의존한 비율이 17.57%이었으나, 후자의 실험대상자들은 이러한 문맥적 요소에 30.00%까지 의존한다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자료분석에서 얻은 중요한 결과는 해당 숙어표현이 지닌 전체적인 의미와 그 구성성분인 개별단어의 의미간에 존재하는 상호 연계성 또는 근접성의 정도가 그 숙어의 전체적 의미파악을 위한 접근방식 또는 이해전략을 선택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한국의 영어학습자들은 목표어의 숙어표현이 지닌 의미를 파악하는 과정에서는 위에서 지적한 해당 숙어를 구성하고 있는 개별단어의 분해가능성에 따라 이해전략을 자발적으로 선정하는 발견적 접근방식을 취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2) 제 2 연구주제-이론적 기초; 제 1 언어의 숙어에 대한 이해모델들은 모국어화자들의 언어 및 문화적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한 즉각적인 인식이 특징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한국으 영어학습자들은 이러한 배경지식이 불충분하므로 해당 숙어표현의 전체적 의미파악에서 주어진 개별단어의 개념적 의미와 그 숙어와 연관되어 있는 문맥적 요소들을 활용하여 다단계적인 해석접근방식에 의존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 제시된 제 1언어의 네 가지 숙어이해가설들은 모국어화자들에게 제한적으로 적용된다고 간주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모델들은 대다수의 한국 영어학습자들이 활용하는 인지적은로 복잡한 다단계 숙어의미 도출과정을 설득력 있게 설명하는 데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3) 제 3 연구주제-교육적 암시; 위의 이해전략의 연구주제로부터 얻은 내용을 바탕으로 ...

      • KCI등재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English Teachers in Korea: Korean Bilingual Teachers of English and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최수정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2 영어영문학연구 Vol.54 No.1

        The study examines the way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understand different types of English teachers and who they believe to be most suitable for contemporary Korean society. Working within a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Bogdan & Biklen, 1998), I gathered data through students’ reflection papers and analyzed them using a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regarded Korean bilingual teachers of English (KBTEs) as the most appropriate teachers in the Korean context given their expertise in the exam-oriented English education of Korea. KBTEs’ previous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and their ability to predict learners’ challenges were also positively perceived. The students further thought highly of KBTEs’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Several students considered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NESTs) to be most proper, noting the societal endorsement of NESTs as the only legitimate type of English teacher in Korea. A few students reported that both KBTEs and NESTs were necessary, believing that these two types of teachers differ in their expertise. Despite the overall favorable attitude toward KBTEs among university students, quite a few of them showed their belief in the superiority of NESTs, suggesting the need for KBTEs to gain oversees experience and a high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before they can be considered as qualified as NEST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both teachers and learners of English are discussed.

      • KCI등재

        Bakhtin’s View on Language and Discourse and Its Implications for ESL Students’ English Writing

        Woosung Kim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1 영어영문학연구 Vol.53 No.3

        This paper investigates Bakhtin’s view on a language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ESL students’ English writing in the era of globalization. Bakhtin’s primary concern on a language is the ‘word’ which he places in a dialogic condition. In his terms, the word is organic and contextual in its nature and is not a fixed entity. Consequently, he situates utterances in a culturally and historically specific environment. Bakhtin also makes a distinction between authoritative discourse and internally persuasive discourse. Within the realm of the authoritative discourse, which is the words of father, no dialogic relationship is possible, and the participants only succumbs to its authority.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ly persuasive discourse has become a place where words from different people clashes each other and contacts to other discourses are freely made. Individuals who are in the area of internally persuasive discourse are apt to create new words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new materials and contexts. Bakhtin’s socio-culturally specific view on a language helps us to understand ESL student’s peculiar epistemological dimension. Also his distinction of two discourses provides an effective way to approach ESL students whose positions are situated in a politically and also ideologically complex plan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