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 있어서 내외통제성의 매개효과

        조한익,이현아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academic burnout in high school students. Also,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whether internal-external contro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92 high school students(Male:257, Female:135).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burnout and also with internal-external control. Especially, perfectionism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external control. Second, when perfectionism and internal-external control were simultaneously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predict academic burnout, only internal-external control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burnout. Third, it was found that external control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However, internal control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와 내외통제성 및 학업소진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학업소진과의 관계에서 내외통제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392명(M:257, F:135)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는 학업소진과 정적 상관을, 내외통제성과도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완벽주의일수록 통제소재를 많이 사용하며, 완벽주의일수록 학업소진이 많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완벽주의와 내외통제성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내외통제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학업소진에 대한 완벽주의의 설명력보다 내외통제성이 학업소진을 더 잘 설명하였다. 셋째, 외적통제가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반면에, 내적통제는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이로써 완벽주의는 외적통제를 증가시킴으로써 학업소진에 이른다는 것을 밝혔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상담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내외통제성 매개효과

        양주미,김봉환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7 복지상담교육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heck the effects of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to peer relationship and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in this process.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data obtained from 375 male and female adolescent at high school in Seoul, Gyeonggi, Daegu and Jeonju area, firstly it is shown that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and peer relationship has negative relationship. It implies that as the convert narcissism is strong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hip Secondly, it was shown that the adolescent’s convert narcissism has significant effects to the internal & external locus of control. As the convert narcissism gets stronger, the internal control gets weakened and the external control gets stronger. It is interpreted that this is the serious narcissism thus a person tries to avoid failure and frustration by placing control factors according to the tendency, recognition and faith for external factors such as luck, destiny and other strong behavioral activities. Thirdly, it is shown that the internal and external lotus of control has effects to the peer group. As the internal control gets higher, it has positive effects to the social support, intimacy and opposition.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external control has negative effects to the social support, punishment and leadership are positive and the opposition has negative effects. Forth, it was shown that the internal and external lotus of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onvert narcissism and peer relation are mediated partly or completely except when the desire for recognition and the enormous self-illusion have effects to the punishment and leadership. It implies that inadequacy in the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 can be effectively improved by mediating internal control and external control adequat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implications of convert narcissism, peer relationship, relationship of internal and external lotus of control and practical counselling and the suggestions on follow-up study have been discussed in this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내외통제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구, 전주 지역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 375명의 연구대상으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또래관계는 부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현적 자기애가 강할수록 또래관계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는 내외통제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가 강할수록 내적통제성은 약해지고, 외적통제성이 강해졌다. 이는 지독한 자기 사랑으로 자신에게 일어나는 사건의 원인을 보는 성향, 지각, 신념에 따른 통제의 소재를 행운, 운명, 다른 강력한 행동 등 외부 요인에 둠으로써 실패나 좌절을 회피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내외통제성은 또래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통제성이 높아질수록 사회적지지, 친밀, 대립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외적통제성은 사회적지지, 처벌/주도권과 정적이며, 대립과 부적 관계를 맺는 것을 확인했다. 넷째,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또래관계에서 내외통제성은 인정욕구/거대자기환상이 처벌/주도권에 영향을 미칠 때를 제외하고, 부분적 또는 완전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에 따라 내적통제성 및 외적통제성을 적절히 매개시킴으로써 청소년의 또래관계 부적응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내현적 자기애와 또래관계, 내외통제성의 관계 및 상담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내・외 통제성이 시설거주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희정,조무신,김동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1 No.1

        Objective : This study is to know how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of the elderly in care facilities affect the relational aggression’s perception. Methods : I analyzed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nd the relational aggression‘s perception through a survey of the elderly in care facilities. For data collection, 148 of 165 questionnaires, excluding 17 questionnaires with missing questionnaire and middle-level abandonment,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negative and bullying behaviors, and controlled variables were general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depending on the length of a care facili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relational aggress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the period of admission, the presence of spouses, and the level of econom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of relational aggression perceptions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Fourth,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ffected the recognition of relational aggression.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nd relational aggression percep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facilities,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ffected the level of relational aggression perception of the elderly in the facilities. 목적 : 시설에서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내・외 통제성이 시설의 노인들에게서 나타나는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 시설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내・외 통제성과 관계적 공격성 인식을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 165부를 배부하여 결측지와 중도포기 17부를 제외한 총 148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독립변인은 내・외 통제성의 내적 통제성과 외적 통제성, 종속변인은 부정적 행동과 괴롭힘 행동의 관계적 공격성, 통제변수는 노인의 일반사회학적 특성으로 구성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시설 거주기간에 따라 내・외 통제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수준과 입소기간, 배우자의 유무, 경제수준에 따라 관계적 공격성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내・외 통제성에 따른 관계적 공격성 인식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내・외 통제성은 관계적 공격성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결론 :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시설거주 노인의 내・외 통제성과 관계적 공격성 인식은 차이가 있고 내・외 통제성에 따라 시설거주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인식도 차이가 있으며 내・외 통제성은 시설거주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인식 수준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중증치매노인보호자의 돌봄스트레스와 내외통제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석범,김동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치매노인보호자의 내·외적 통제성과 돌봄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요인을 파악하여 작업치료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의료기관에서 CDR을 통한 중등도이상의 치매판정을 받은 노인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내·외통제성, 돌봄스트레스, 우울정도를 설문지를 통하여 검사하였다. 내·외통제성, 돌봄스트레스에 의한 우울정도는 독립표본 t-test와 ANOVA를 사용하였고 내·외 통제성과 돌봄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내·외 통제성 구분에 따른 우울정도의 차이는 유의하였다. 둘째, 돌봄스트레스의 항목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였다. 셋째, 내적 통제성, 돌봄스트레스가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 분석된 결과를 근거로 중증치매노인의 보호자는 내적통제성과 돌봄스트레스가 우울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작업치료 중재에서 보호자의 내적통제성을 높이고 돌봄스트레스를 낮추어 줄 수 있는 작업치료사의 역할모색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of the caregivers of elderly with severe dementia and the effects of care stress on depress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Methods :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care stress, and depression were examined in questionnaires for the caregivers of elderly who were diagnosed with moderate or higher degree of dementia through CDR by medical institutions.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nd depression by care stress was analyzed by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ANOVA, and the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nd care stress on depression were analyzed by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 The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egree of depression according to difference of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Th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egree of classification in the care stress. The third, the effects of internal controls and care stress on depression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e caregivers of elderly with severe dementia needs to seek the role of a occupational therapist who can enhance internal control and lower care stress in intervention of occupational therapy because internal control and care stress can affect depression.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Glasser 내·외부통제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변인으로

        두흔,박재황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levels based on Glasser’s choice theory and the acculturative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5 Chinese students of two universities located in D city. The measuring tools used were the Scale of Internal-External Control, the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ross-tabu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wo-way ANOV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When the influences caused by sex and the duration of stay were controlled,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levels were identified as psychological factors having meaningful influences on Chinese students’ acculturative stres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internal control had a negative influence and that of external control had a positive influence. When the influences caused by sex and the duration of stay were controlled,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levels were identified as psychological factors having meaningful influences on Chines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internal control had a positive influence and that of external control had a negative influence. 본 연구는 Glasser의 내·외부통제성 이론(선택이론)에 입각하여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내․외부통제성 수준과 그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도와의 관련성이 어떤지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위치한 2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135명이고, 사용한 측정도구는 내부-외부통제 척도,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교차분석, 신뢰도분석, 이원배치 분산분석, 계층적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성별 및 체류기간의 영향력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내·외부통제성 수준은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해 매우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 심리적 요소로 확인되었으며, 내부통제성 수준은 부적 영향을 미치고 외부통제성 수준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에 대한 성별 및 체류기간의 영향력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내·외부통제성 수준은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에 대해 매우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 심리적 요소로 확인되었으며, 내부통제성 수준은 정적 영향을 미치고 외부통제성 수준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부적응에 대한 내․외부통제성의 기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상 내부통제제도의 개선방안

        박세준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一鑑法學 Vol.- No.51

        The sub-prime mortgage crisis that broke out in 2007 triggered a global financial crisis. After the crisis, the importance of corporate governance was emphasized worldwide. In particular, in Korea, the 「Act On Corporate Governance Of Financial Companies」 was enacted on July 31, 2015 and implemented on August 1. 2016. However, despite the legislative efforts to improve the corporate governance, various financial accidents have occurred since the 2010s. In particular, as the CEO of the bank that recently sold a derivative-linked fund(DLF) filed an administrative lawsuit against the supervisory authority’s heavy sanction, there is a controversy over how financial companies should establish and operate internal control standards. COSO defines ‘internal control’ as a control process that provides reasonable assurance to company management in order to achieve company goals. The purpose of internal control is to provide a ‘reasonable assurance’ to the company, not an ‘absolute assurance’. Therefore, in studying the internal control system of financial companies, the purpose and function of such internal control should be considered.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how the internal control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In addition, legislative improvement plan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internal control standards and to strengthen the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ism of compliance officers who oversees internal control work will be proposed. In particular, since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Act On Corporate Governance Of Financial Companies」 is to establish a internal control culture based on financial companies’ autonomous responsibility, the revision of the act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should be actively discussed so that the financial companies can stably establish a corporate culture that actively prepares and complies with internal control standards. 2007년 발발한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불러일으켰으며, 이러한 금융위기 이후 전세계적으로 금융회사 지배구조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도 2015년 7월 31일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2016년8월 1일 시행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입법적 노력에도 불구하고2010년대 이후 각종 금융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사고의 원인으로 금융회사의내부통제 실패가 지적되고 있다. 특히 최근 파생상품연계펀드(DLF)를 판매한 은행의CEO가 감독당국의 중징계 처분에 대하여 행정소송을 제기하면서 금융회사들이 어떻게 내부통제기준을 마련하여 운영해야 하는지 논란이 되고 있다. COSO는 ‘내부통제’를 회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회사 경영진에 합리적인 보증을제공하는 통제과정으로 정의하였다. 내부통제의 목적은 회사에 ‘절대적인 보증’이 아닌‘합리적인 보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금융회사의 내부통제 제도를 연구함에있어서는 이러한 내부통제의 목적과 기능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내부통제기준이 어떻게 마련되어야 하는지 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내부통제기준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내부통제 업무를 총괄하는 준법감시인의 직무 독립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의 입법취지가 금융회사들의 자율책임에 의한 내부통제문화를 정착시키고자 하는 점에 있으므로, 금융회사들이 책임감을 갖고 내부통제기준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준수하는 기업문화가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의 개정과 제도적 보완이 적극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 간의관계에서 내적통제성과 외적통제성의 다중매개효과

        조준오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he Multi-mediating Effect of Internal Control and External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ndJob-seeking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Junoh J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whether internal control and external control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nd employment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preschool teachers.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related to academic and employment stress,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conducted targeting 547 preschool teachers located in city B.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chool teachers’ academic and employment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both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Second, the academic and employment stress of pre-primary teache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internal control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Fourth, internal control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nd employment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preschool teachers. Key Word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ademic and Job –seeking Stress, Academic Achievement,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Multi-mediating Effect 예비유아교사의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 간의관계에서 내적통제성과 외적통제성의 다중매개효과조 준 오* 요약: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내적 통제성과 외적통제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B시에 소재한 예비유아교사 547명을 대상으로 학업 및 취업 스트레스, 내외통제성, 학업성취도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업 및 취업 스트레스는 내적통제성과 외적통제성 모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업 및 취업 스트레스는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내적통제성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업 및 취업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내적통제성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성취도 증진과 관련한 영역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우수한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예비유아교사, 학업 및 취업 스트레스, 내외통제성, 학업성취도, 다중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2월 1일, 수정일: 2022년 2월 14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연구교수(Professor, Busan National Univ., Email: drjunoh@gmail.com)

      • KCI등재

        内部控制审计有关问题探讨

        오추생,김확열 한국회계정책학회 2009 회계와 정책연구 Vol.14 No.3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internal control audit, internal control consulting, internal control evaluations, and internal control test which are included in the financial statements audit.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ternal control audit should be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financial statements audit in order to improve its efficiency. It is also suggested that internal control audit should be implemented with a view to meeting the demand of the externality of internal control. This study puts forward the viewpoint that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practice of internal control audit in China, the existing audit problems such as audit extent, audit objectives, audit procedures, audit cost and so on should be solved as soon as possible. 本文厘定了内部控制审计与财务报表审计中的内部控制评审、内部控制咨询、内部控制评价等工作之间的关系,认为为了降低内部控制审计的成本,提高内部控制审计的效率,内部控制审计应当与财务报表审计整合进行,以便将对被审计单位内部控制进行审查的结果同时应用于财务报表审计和内部控制审计。负责财务报表审计的事务所不能同时为同一公司提供与财务报告相关的内部控制的咨询服务,以避免自我评价情况的发生; 内部控制审计,是适应政府监管部门对内部控制自我评价报告需要进行审计的要求而产生的,其目标就是对内部控制自评报告的真实性和合法性发表意见; 实施内部控制审计是监管内部控制外部性的必然要求; 美国内部控制审计的经验和规范可以为我们提供有价值的借鉴; 中国要实施内部控制审计必须尽快解决审计范围、审计目标、审计程序、审计成本等问题。

      • KCI등재

        어머지의 내·외통제성과 자녀의 창의적 인성 및 창의적 사고력과의 관계 : 아동학과ㆍ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성은현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내·외통제성이 자녀의 창의적 인성 및 창의적 사고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아동학과·유아교육과 학생 62명이 응답한 창의적 인성정사와 창의적 사고력 정사 및 그들의 어머니 62명으로부터 회수한 어머니의 내외통제성 검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내적 통제성은 자녀의 창의적 인성 요인인 독자성, 개방성, 호기심과 창의적 인성 총점 그리고, 융통성, 독창성과 창의적 사고력 총점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어머니의 외적 통제성은 위의 어떤 요인과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어머니의 내적 통제성은 자녀의 독자성, 개방성, 호기심과 창의적 인성 총점 그리고, 융통성, 독창성과 창의적 사고력 총점을 설명하는데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반면 외적 통제성은 유의한 설명력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내적 통제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자녀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사고력 요인들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준 반면, 외적 통제성이 높은 집단과 맞은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녀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데 어머니의 내적 통제성이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thers'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The 62 students majoring in child studie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their moth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th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to the autonomy, openness, curiosity and total score of creative personality of their daughters and sons. And it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flexibility, originality and total score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their daughters and sons. But the mothers' external locus of control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factor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moth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utonomy, openness, curiosity and total score)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total score), while the mothers' external locus of control wasn't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ose factors. Finally the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belonging to the high moth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low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In contras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mothers'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and the low mothers'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in the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th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facilitate their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 KCI등재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과 교직 만족도의 관계: 내적통제성에 따른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양난미 ( Yang Nanmee ),이아라 ( Lee Ara ),신현우 ( Shin Hyeonwo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과 교직 만족도의 관계에서 내적통제성을 통한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중등교사 375명을 대상으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 내적통제성, 교사 직무스트레스, 교직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과 교직 만족도의 관계를 교사 직무스트레스가 부분매개하였다. 둘째, 교사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과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내적통제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이 교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적통제성을 통한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job stress according to internal control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teachers’ personal belief in a just world for self (BJW-self) 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jobs. For this purpose, BJW-self, the internal control, teacher’s job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jobs were measured from 375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BJW-self and STJ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teacher’s job stress. The higher BJW-self, the lower the teacher’s job stress and the higher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the higher the teacher’s job stress, the lower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rnal 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BJW-self and the job stress. When BJW-self was low, the group with high internal control had higher job stress than the group with low internal control. However, when BJW-self was high, the group with low internal control had higher job stress than the group with high internal control. Third, in the effect of BJW-self on satisfaction with a teaching job,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job stress through internal control was moderated.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if a teacher with a weak BJW-self had high internal control, the teacher’s job stress increased, thereby lowering satisfaction with the job as a teache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eachers with strong BJW-self had higher internal control, lower job stress which increases satisfaction with the job as a teach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