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 구조에 관한 연구: 네트워크 중심성과 중개자 역할을 중심으로

        양창훈,허정은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2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is widely seen as a collaborative research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which is often driven by common agenda or problems in pursuit of a particular common objective. Thus, the purpose of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in convergence research is to bring each discipline’s unique perspective together with the academic expertise of researchers in order to share common problems that cannot be solved effectively without research partnership. We present empirical evidence on how interdisciplinary research relationships are formed to facilitate research networking in convergence relations. In particular, we used network analysis to investigate how interdisciplinary linkages and convergence research networks has formed over time. We found that the convergence research networks were implemented by th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support program as intended. We did find that research field with high indegree and outdegree in a network played critical roles on the dynamics and degree of interdisciplinarity. Finally, we could find evidence that the role of liaison brokers triggered relational dynamics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collaboration. 본 연구는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 지원과제를 대상으로 연구 분야간 협력적 연계관계 구조와 그 속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학제간 연구협력은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개별 연구 분야들이 보유한 지식, 정보, 자원 등을 다른 분야들과 결합하고 공유하는 상호 협력적인 연구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2009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한 183개 융합과제를 대상으로 98개의 연구 분야를 추출하고 이를 관계형 네트워크 데이터로 구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다양한 분야들이 상호 연계되어 군집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협력적 융합연구 활동이 고르게 분포되는 구조적 속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외향 및 내향 연결 중심성이 높은 분야들이 전체 년도구간에서 학제적 연구협력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연결자(Liaison)의 중개 역할이 전체 네트워크에서 이종 지식과 정보의 흐름을 중개하는 연구 분야의 대표적인 특성이라는 점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제간 연구협력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을 파악하고 융합연구에 있어서 네트워크 방법론의 적용이 가지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구집단 특성이 융합연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이봉재(Bong-Jae Lee),박주형(Joo-Hyoung Park),이희상(Hee-Sang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1

        최근 연구개발의 패러다임은 다학제간 융합연구를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융합연구 성과창출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집단의 주요 특성을 발굴하기 위해, 연구집단의 투입 특성(연구비, 참여연구원 수, 연구집단 운영기간), 학제 특성(다종성, 균형성, 이질성), 협력 특성(협력파트너 수, 연구집단 위치, 성별 균형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선도연구센터 사업의 104개 센터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융합연구 성과는 센터에서 창출한 5,217건의 SCI 눈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집단의 학제 특성인 학제간 균형성, 연구집단의 협력 특성인 협력파트너 수는 융합 연구성과와 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과학융합 분야와 이학공학 분야 등 통제변수로 도입한 연구집단의 연구분야는 융합연구 성과 창출을 달리하는 효과를 보였다. 융합연구는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인식해야 하며, 융합 연구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연구집단 내 학제간 참여연구원의 구성 비율을 균형성 있게 구성하여 수평적인 협력 환경을 마련하고 연구집단 외부 연구주체들과 개방적 협력을 전략적으로 강화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R&D paradigm has become oriented toward convergence technology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this study,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groups that promote the performance of convergence research, we take into account the input characteristics, disciplinary characteristics and collaborativ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groups. For this study purpose, 5,217 SCI papers published from 104 centers in Advanced Research Center Projects are analyzed as research outputs. The research findings are that the disciplinary balance in the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and the number of partners in the collaborative characteristic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convergence of R&D outputs. The research field of a group introduced as a control variable exert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vergent R&D output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organize internally with the same number of each disciplinary researcher in a research group and to activate external collaboration with partners in order to produce more outputs of convergent research.

      • KCI등재

        과학기술 연구자들의 경험을 통해 살펴본 학제간 협업 -인식, 어려움 그리고 극복전략을 중심으로-

        이준기,황효정,백수복,신세인 한국과학교육학회 202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3 No.2

        This study identified the percep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s about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collaboration process and the types of strategies they set up to overcome them.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five-point Likert-scale questions that confirm attitudes towar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nd qualitative questions that describe difficulties and strategies to overcom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collaboration experience. A total of 79 domestic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cognition of the efficacy of collaboration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collaboration, but the level of the recognition of the efficacy of collaboration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there were four types of difficulties in th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process, and seven types of strategies were identified to overcome these.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reflect the pluralistic nature of modern science and the features of various collaborations that occur within it. 이 연구에서는 학제간 융합 연구를 수행해본 경험을 가진 과학기술연구자들이 학제간 협업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협업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및 그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세우는 전략들에는 어떠한 유형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제간협업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는 5점 리커트 척도 문항들과 협업 경험에서 겪는 어려움 및 어려움 극복전략에 관해 서술하는 개방형 문항들이 혼합된 형태의 설문지를 개발하여 국내 과학기술 연구자 79명에게투입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양적⋅질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과학기술 연구자들의 협업 태도 하위구인 중 협업의 효능감 인식이 협업의 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협업의 효능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인식 수준은 비교적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제간 협업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4가지 유형(가치지향 상충, 사고방식 차이, 용어나 개념 차이, 상대분야에대한 편견과 상호 몰이해)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은 7가지 유형(협상과 타협을 통한 상호 양보, 공통의 언어나 매개물의 설정과 유지, 명확한 역할의 분담, 지속적인 만남과 토의, 용어의의미조율과 모델과 가정에 대한 사전 규정, 상대 분야에 대한 있는그대로의 인정, 타자에 대한 배려와 관심)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 과학의 주요한 본성인 다원주의적 특성과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협업의 특성을 반영하는 융합교육이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 문학치료 연구 패러다임 -국내학위논문을 중심으로(2004-2014)

        허선아(Heo, Seon-Ah) 대한문학치료학회 2020 대한문학치료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국내 문학치료 관련 학위 논문을 분석하여 문학치료 연구 동향(動向)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4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문학치료 관련 학위 논문 164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방법, 연구 내용, 주요 키워드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가 44.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혼합연구(20.1%), 양적연구(17.7%), 질적연구(15.2%)순이었다. 연구 대상으로는 청소년이 62.7%로 가장 많았으며, 성인(25.3%), 유아(3%), 노인(2.&%)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문학치료 프로그램 분석에서는 자존감과 표현력 향상, 스트레스감소와 우울 감소를 위한 목적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문학치료가 학제간 융복합 학문임을 알 수 있는 교육학, 국문학, 상담학, 예술치료학, 신학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특히 교육학(국어교육전공) 전공의 연구자들이 문학치료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한 수업모형 탐색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research status and trends in literature therapy and establish one of the foundations for upcoming research based on domestic dissertation. For this research, 164 dissertations, which are published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14, in literature therapy are used as sample. The coverage of research includes year-by-year trends analysis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main contents of research, keyword, etc. According to the analysis, 44.5% of research uses ‘literature research’ as a research methodology followed by ‘mixed research’ (20.1%), ‘quantitative research’ (17.7%) and ‘qualitative research’ (15.2%). Majority of the researches are done with the teenager (62.7%), and also done with the adult (25.3%), infant (3%) and old people (2.7%). The purpose of analysis on the literature therapy program is found mainly for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and the relief of stress and depression. Also, the research on literature therapy is appearing in various academic domains such as the pedagogy, Korean literature, counseling, art therapeutics and theology. Particularly, in pedagogy (Korean language education) many studies try to explore a class model by seeking educational use of the literature therapy. Based on the finding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summarized.

      • KCI등재

        미국 인문학재단 (NEH)의 디지털인문학 육성 사업

        김현(Kim, Hyeon),김바로(Kim Ba-Ro)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4

        이 글은 미국 디지털인문학의 실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우리나라의 디지털인문학 육성 시책 개발에 참고가 되게 하려는 목적에서, 미국 인문학재단이 디지털인문학 진흥을 위하여 수행하고 있는 지원 프로그램 및 이를 통해 수행되고 있는 디지털인문학 연구 프로젝트의 실제 내용을 조사, 분석, 정리한 것이다. 미국 인문학재단(NEH)의 디지털인문학단(ODH, Office of Digital Humanities)에서 지원하는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의 유형은 5가지이다. 그 첫 번째인 ‘디지털인문학 초기 조성 지원금’(Digital Humanities Start-Up Grants)은 디지털인문학의 경험이 없는 순수 인문학자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연구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금이다. 본격적으로 디지털인문학 연구의 수행이 가능해지면, ‘디지털인문학 실행 지원금’(Digital Humanities Implementation Grants)을 통해서 실제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인문학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지원금’(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을 통해서 전통 인문학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교육하고 전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인문학 빅데이터 분석 과제’(Digging Into Data Challenge)는 다양한 분야에서 축적된 빅데이터를 인문학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 하고 있으며, 독일의 연구진흥협회(DFG)와 공동으로 미 · 독 양국의 협력 연구팀을 선발 · 지원하는 ‘NEH/DFG 디지털인 문학 협력 프로그램’(NEH/DFG Bilateral Digital Humanities Program)은 디지털인문학 분야에서의 국제 협력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까지 NEH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는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는 전통적인 인문학에서 다루어 오던 연구 주제를 디지털 시대에 디지털 기술의 도움을 받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성과를 도출하려는 시도가 주류를 이룬다. 중요한 시사점은 이러한 프로젝트 기획 및 수행의 전 과정이 인문학 연구자들의 주도로 이루어지며. 디지털 기술의 이해와 운용 또한 인문학자들 스스로 담당해야 할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개인 연구보다는 공동 연구를 지향하며,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연구 소통을 강조하여 연구 과정에서의 학제 간 공동연구 방법이나 연구 결과의 완전 공개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도 NEH 디지털인문학 육성 프로그램에서 의미 있게 짚어보아야 할 사항들이다.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digital humanitie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n particular, this survey is mainly focused on the various projects supported by the Office of Digital Humanities (ODH) of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NEH). The grant programs offered by the NEH include the Digital Humanities Start-Up Grants, which support the initial stages of planning digital humanities researches, as well as the Digital Humanities Implementation Grants, which are involved with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research projects. Also, the 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is designed to support training programs for humanities scholars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n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ies. The Digging Into Data Challenge seeks for a new research method to use big data that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diverse digitalization projects, and the NEH/DFG Bilateral Digital Humanities Program displays exemplary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s for humanities research. The most fundamental implications of the NEH’s Digital Humanities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actors of the researches should be humanities scholars whose academic bases are on the traditional humanities disciplines. Second, a certain kind of training programs are required to transform these scholars into “digital humanities scholars,” since they are not familiar with the methodology related to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uch training program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projects and properly supported during the initial phases for promoting digital humanities. In Korea, along with digital humanities, “cultural content” studies have been emerged as a result of methodological convergence between humanities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Cultural content studies in Korea succeeded in achieving positive outcomes in terms of industrial application of humanities studies. However, unlike the United States, this approaches turned out to be insufficient for providing solid foundation for humanities studies and innovating relevant research methodologies. It is expected that Korean humanities researchers will discover a mutual, complementary progress both for the traditional humanities disciplines and the applied humanities contributing to creative industries throug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analysis on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digital humanities of the world.

      • KCI등재

        학제간 연구를 통한 IPR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쟁점

        김동용,박영철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8

        인문·사회과학 연구원들과 데이터베이스 전문가들이 태평양문제연구회(IPR)가 작성한 IPR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기 위해 함께 하였다. 본 논문은 그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서 IPR 자료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쟁점과 해결책을 제시한다. 우리는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성을 위해 웹에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여 연구원들이 웹 브라우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편리성을 위해 통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연구원들이 그 속에서 모든 작업을 수행하게 하며, 구축한 IPR 자료의 완전성을 위해 입력된 각 IPR 자료의 책임 소재를 밝히는 책임 입력과 책임 승인을 지원하며, 승인의 즉시성을 위해 연구원들의 입력을 원활히 하는 대화형 승인 과정을 지원한다. 또한 구축한 IPR 자료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우리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질의 처리, 트랜잭션 관리, 검색과 정렬 기법들을 사용한다. 특히, 레코드들 간의 존재 종속관계를 이용한 동시성 제어를 통하여 운영체제 파일과 그 파일의 경로 간의 정확성을 보장한다. 향후 연구로 내용 검색, 데이터베이스의 다운로드와 업로드, IPR 자료의 저작권 관련 작업을 포함한다.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ers and database experts have teamed up to build a database of IPR materials prepared by the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 (IPR). This paper presents the issues and solutions inherent in the database construction for ensuring the quality of IPR materials. For the accessibility of the database, we maintain the database on the Web so that researchers can access it via web browsers; for the convenience of the database construction, we provide an integrated interface that allows researchers to perform all tasks in it; for the completeness of IPR materials constructed, we support the responsible input and the responsible approval that identify responsibilities of each IPR material entered; and for the immediacy of the approval, we support an interactive approval process facilitating the input of researchers. We also use database design, query processing, transaction management, and search and sorting techniques to ensure the correctness of IPR materials entered. In particular, through concurrency control using existence dependency relationships between records, we ensure the correctness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files and their paths. Our future studies include content search, database download and upload, and copyright related work on IPR materials.

      • KCI등재후보

        Quantitative Definitions of Collaborative Research Fields in Science and Engineering

        Mathew Schwartz,박귀순,이성종 아시아기술혁신학회 2016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Vol.5 No.3

        Practical methodology for categorizing collaborative disciplines or research in a quantitative manner is presented by developing a Correlation Matrix of Major Disciplines (CMMD) using bibliometric data collected between 2009 and 2014. First, 21 major disciplin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re defined based on journal publication frequency. Second, major disciplines using a comparing discipline correlation matrix is created and correlation score using CMMD is calculated based on an analyzer function that is given to the matrix elements. Third, a correlation between the major disciplines and 14 research fields using CMMD is calculated for validation. Collaborative researche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partially accepting the definition of pluri-discipline from peer review manual, European Science Foundation, inner-discipline, inter-discipline and cross-discipline. Applying simple categorization criteria identifies three groups of collaborative research and also those results can be visualized. Overall, the proposed methodology supports the categorization for each research field.

      • KCI등재

        Quantitative Definitions of Collaborative Research Fields in Science and Engineering

        Schwartz, Mathew,Park, Kwisun,Lee, Sung-Jong Asian Society for Innovation and Policy 2016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Vol.5 No.3

        Practical methodology for categorizing collaborative disciplines or research in a quantitative manner is presented by developing a Correlation Matrix of Major Disciplines (CMMD) using bibliometric data collected between 2009 and 2014. First, 21 major disciplin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re defined based on journal publication frequency. Second, major disciplines using a comparing discipline correlation matrix is created and correlation score using CMMD is calculated based on an analyzer function that is given to the matrix elements. Third, a correlation between the major disciplines and 14 research fields using CMMD is calculated for validation. Collaborative researche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partially accepting the definition of pluri-discipline from peer review manual, European Science Foundation, inner-discipline, inter-discipline and cross-discipline. Applying simple categorization criteria identifies three groups of collaborative research and also those results can be visualized. Overall, the proposed methodology supports the categorization for each research field.

      • Promot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Collaboration in Instructional Technology

        ( Yonjoo Cho ) 한국교육공학회 2016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1

        Interdisciplinarity is defined a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cross academic disciplines. Instructional technology has claimed to have an interdisciplinary nature influenced by neighboring fields such as psychology,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However, it has been difficult to find outstanding evidence of the field``s interdisciplinary efforts, except with psychology. IT and neighboring fields including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learning science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share common goals of learning and performance in diverse contexts. These fields are converging in terms of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people in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learning, development, and innovation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of IT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on research collaboration between IT and neighboring fields.

      • KCI등재

        A Transdisciplinary Case Study of a Day Care Center for Older Adults Utilizing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이선욱,정석연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23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84

        This case study is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AR) study, enabling a partnership among a community institution director and staff, service users, and transdisciplinary scholars. This seven-phased PAR process seeks to create physical and social change. The space’s transformation emerged from the interior design (ID) practitioner philosophy of evidence-based design, informed by the ideas of theory-based partnership. A combined method of participatory observations,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inform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act scale (REIS), which measur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using a community facility. The study participants reported REIS items including “adequacy of space,” “availability of objects,” “variety of objects,” “availability of people,” “provision of information,” “time demands,” “appeal of activities,” “routines,” and “decision-making” as requiring interven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occupational therapy (OT) practitioner, the needs of the research space were derived as a spatial vocabulary, which includes flexibility, variability, diversity, simplicity, and inclusiveness. The derived spatial vocabularies suggested the basic direction of design, thereby helping the interior designer accurately identify the problems that need to be solved. We found the collaboration between OT practitioners and ID practitioners in the real context of community enabled a more practical and tangible approach to interior design results. The findings suggest an empirical option is needed to ensure a successful transdisciplinary, practice-and-scholar, and service-user-based creation of a space, facilitating the participation of marginalized pop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