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군 항공관제통합관리체계 內 안전보고 사례분석을 통한 지역(기지)별 위해요인 식별 및 개선 연구

        이학봉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23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17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safety reports received through the recently added SMS safety self-report in the Air Force’s “integrated air control management” system, identify hazards, present improvements by region (base), and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data-based safety management. To identify risk factors, it was first classified by base based on data classified into 16 groups in the autonomous reporting system, and second classified in detail based on the type and description. Risk factors were analyzed for the most reported control cooperation (306) items, and improvements were derived by dividing risk factors into information sharing, regulations, procedures, education, training, and equipment ite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risk factors and specific improvements vary by base (12), which is important data that can present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direction of safety management in the flight control field by base (region).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data-based risk factor analysis study for each specific base (region), it can be used in the future as basic research data for data-oriented safety management. 본 연구는 공군에서 운영되고 있는 “항공관제통합관리”체계 내 최근 추가된 항공안전관리시스템(SMS) 안전자율보고를 통해 접수된 안전보고 사례를 분석하여, 위해요인을 식별하고, 해당 지역(기지)별 개선사항을 제시하여, 향후 데이터 기반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위해요인 식별을 위해 자율보고체계 내 16개로 분류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1차적으로 기지별 분류를 하였고, 기종 및 기술된 내용을 기반으로 세부적으로 2차 분류하였다. 가장 많은 보고가 이루어진 관제협조(306건) 항목에 대하여 RCIAA(Reporting, Category, Identification, Analysis, and Action, 이하 RCIAA)과정(연구자 작성)을 거쳐 위해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위해요인을 크게 정보 공유, 규정, 절차, 교육·훈련 및 장비 항목으로 나누어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위해요인 및 특정 개선사항이 기지별(12개)로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통계적 분석을 바탕으로 기지(지역)별 운항관제분야 안전관리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民·軍을 통틀어 특정 기지(지역)별 데이터 기반의 위해요인 분석 연구가 부족한 점에 비추어 볼 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안전관리의 중요성을 재확인 할 수 있는 결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항공운송산업에서의 안전관리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임재진 ( Jae Jin Im ),한재현 ( Jae Hyun Han ),이현철 ( Hyun Cheol Lee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5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3 No.6

        1997년 발생한 대한항공 괌 추락사고 등을 계기로 항공운송산업에서의 안전관리는 정부와 산업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국제적인 수준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최근 발생한 일련의 항공사고 -아시아나 화물기 추락사고(’11. 07), 아시아나 샌프란시스코 공항 여객기 추락사고(’13. 07), 서울 LG전자 헬기 추락사고(’13. 11), 광주 소방헬기 추락사고(’14. 07), 아시아나 히로시마 공항 활주로 이탈사고(’15. 04)등- 는 여전히 국내 항공산업의 안전관리 능력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항공산업의 특성 상 안전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을 경우 소비자의 수요에 악영향을 미쳐 관련 산업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항공운송산업의 안전관리 관점에서 정부의 관리·감독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수행되었다. 국내 항공운송산업의 안전 분야에 대한 관리·감독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의 안전관리체계인 안전보증시스템(SafetyAssurance System, SAS)을 벤치마킹하여 안전관리·감독의 평가체계와 위험 분석체계 구축의 중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개발의 최상위 단계인 시스템 설계를 제안하고, 일부 핵심기능에 대해서는 시스템 상세 설계와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한다. 또한 설계된 시스템의 핵심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안전관리·감독의 평가 및 위험 요인분석을 위한 통합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가능한 다양한 분석의 예를 보이기 위해 현재 활용 가능한 미국 항공사고 데이터베이스인 Accident and Incident Data System(AIDS)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분석된 결과는 항공안전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항공산업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 사전적이고도, 능동적인 예방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관련 데이터베이스의 통합 구축, 공유 및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한다. Aviation safety management program, whose demand for activation was directly stimulated by Korean airlines crash at Guam in 1997, have been ranked one of the leading standards of the globe due to the continuous effort of the government and domestic air transportation industries. However, a series of recent aircraft accidents - Asiana cargo flight crash in 2011, Asiana airlines accident at San Francisco in 2013, LG helicopter crash in 2013, a firefighter helicopter crash in 2014, and Asiana plane runway excursion at Japan in 2015 - raises concern on the managerial ability of flights safety. Lack of aviation safety has been regarded as the critical issue in the related literature since it adversely affects the growth of air transportation businesses. We argue that the safety management, supervision, and analysis of risks for the aircraft aviation should be systemized, and we provide the primary level of system design while benchmarking Safety Assurance System(SAS) - the aviation safety management and supervision system of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FAA) in the United States(US). Moreover, we present the detailed design of a system component and the prototype of a system user interface. We also argue that various information of aircraft accidents in multiple databases, which are separately handled by related organizations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should be unified first. To explain the usability of the integrated database, we show how to analyze risk factors of flight accidents by using a dataset of Accident and Incident Data System(AIDS), which is the database of US aviation accidents, and how to consume the analysis results in producing policies for the aviation safety.

      • 철도시스템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스템 설계와 안전성 활동의 통합에 관한 연구

        김창원(Chang-Won Kim),이재천(Jae-Chon Lee) 한국철도학회 201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5

        시스템 설계 오류 등 여러 요인으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인명과 재산상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는 시스템을 안전중시 시스템이라고 하는데, 대표적으로 철도, 자동차, 항공, 국방 분야의 대형복합 시스템들이 해당된다.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시스템의 무인화 운영 등으로 안전성 위해 요소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는 매우 중요한 설계목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안전성 분석 활동이 반영된 시스템 설계 프로세스, 방법론 및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것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시스템 설계 프로세스와 안전 분석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안전성이 확보된 철도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시스템설계 활동과 안전성 분석 활동이 통합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A class of systems are called safety-critical systems in which systems failure may result in accidents with serious damage on human being and properties. As such, safety assurance has been a big necessity in large-scale complex systems in a variety of domains such as rail, automotive, aerospace, and defense. Therefore, a successful development of complex systems with safety assured has created a special concern on how to incorporate safety requirements in the system design process. To discuss what are needed to meet such concern 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do so, the relevant systems design processes and safety processes in a variety of domains are analyzed. The result is then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process for the rail systems design with safety assured.

      • KCI등재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상 기초자치단체 재난안전상황실의 운영체계 개선방안 - 재난안전상황실의 현장 실무를 중심으로 -

        김광수(Kim, Kwang-Soo),권한용(Kwon, Han-Yong)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東亞法學 Vol.- No.92

        재난관리에서 상황관리는 재난대응의 성패를 가늠할 만큼 중요한 요소이다. 상황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재난관리의 성공적인 임무수행이 어렵기 때문이다. 재난발생 초기 초동대응단계에서의 상황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요구된다. 그러나 각종 재난 및 재해 발생 시 그 발생 현장의 접점에 위치하고 있는 기초자치단체의 재난안전상황실의 운영체계는 아주 취약하기 그지없다. 재난관리의 성공적인 임무 수행을 위해서는 첫째, ‘재난안전법’에 의한 재난안전상황실의 운영체계 강화가 필요하다. 각 기초자치단체의 재난안전상황실의 설치근거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법 개정을 통해 재난관리 컨트롤타워로서의 명확한 정체성이 정립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기초자치단체의 기존 당직실과 통합 운영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재난관리 통합 상황공유 및 협업체계 운영 강화이다. 무엇보다 재난정보가 평상시 실시부서와의 공유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협업체계에 의한 협력기능 강화를 위해 재난관리 부서를 ‘총무부서’로 조정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중장기 대책으로 관할기관간의 협업체계에 의한 통합상황실 운영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재난안전상황실 전담 및 전문인력 충원이 필요하다. 방재안전직렬에 대한 별도의 추가정원을 확보하는 방안 등 중장기적 대책을 강구하는 한편, 단기적으로 기초자치단체의 자체인력 배치를 통해 재난안전상황실의 실질적인 운영이 지원되어야 한다. 현장중심의 재난관리 역량강화는 기초자치단체 재난안전상황실의 실질적인 운영체계에서 뒷받침되어야 한다. In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 mana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disaster management.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mission of disaster management if situation management is not carried out. Situation management in the initial response stage in the early stages of a disaster is required most importantly. But, in the event of various disasters and calamities, the operating system of disaster safety situation room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 located at the contact point of the site of the occurrence is very weak.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mission of disaster management, first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operating system of disaster safety situation room according to the ‘Disaster Safety Act’. The identity as a disaster management control tower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revision of the law that specifically specifies the basis for the installation of disaster safety situation room of each basic local government. Through this, in the short term, integrated operation measures with existing on-call offices of local governments are needed. Secondly,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 sharing and strengthening cooperative management. Above all, the sharing system of disaster information with the department in charge should be smooth. In addition, it is ideal to adjust the disaster management department to the ‘general affairs department’ to strengthen the cooperative function through the cooperative system. As a medium-and short-term measure, it is also necessary to seek measures to operate the integrated situation room by the cooperative system among competent agencies. Third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recruit the exclusive and professional personnel for disaster safety situation room. While devising medium-and short-term measures such as securing additional quota for line of work for disaster prevention safety, in the short term, the actual operation of the disaster safety situation room should be supported through the deployment of its own personnel by the local government. Reinforcement of field-centered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should be supported by the actual operating system of the disaster safety situation room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

      • KCI등재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상의 안전문화 법제개선방안 연구

        나채준(Na, Chae Jo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4 土地公法硏究 Vol.65 No.-

        최근 기후변화와 경제적, 사회적 환경 등 재난환경의 변화로 재난으로부터의 안전이 중요한 국가정책 이 되었고, 이 에 대 한 국민의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은 자연재해를 포함한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변화 된 재난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2013년 8월 대폭 개정하였으나 여전히 안전관리제도에 대한 개선 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지난 4월 16 일에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부근황해 상에 서 발생한 세월호 침몰사고는 우리나라의 안전관리시스템의 총체적 부실을 드러낸 참사로 아직까지 그 원인을 밝히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 다. 이번 사건으로 재난관리에 대한 정부 당국의 문제점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가 있어 야 할 것이지만 더욱 필요한 것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안전의식강화와 안전문화정착을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안전관리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국민의식 등 이를 실천하기 위한 사회적 여건이 마련되지 않으면 아무리 제도를 정비해도 이를 제대로 운영하지 못하면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전문화정착을 위하여 2013년에 개정된 재난 및 안전관리법의 내용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개정 법률 중 안전문화의 정착을 위하여 대국민 안전교육의 실시(제66조의5) 와 안전교육의 실시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제66조의 6)에 대한 규정, 안전관리정책의 효율적인 집행을 위하여 안전정보의 수집ㆍ관리, 수집된 안전정보의 통합관리시스템 구축ㆍ활용(제66조의7) 둥에 대한 규정을 중심으로 안전문화정착을 위한 법제 정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Large-scale natural disasters occur frequently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climate change. Specifically, Because of recent change of the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safety from catastrophic disaster is an important national policy and increase in the needs of the people. Framework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is to protect citizens from the various disasters, including natural disasters and is revised Significantly in August 2013 in order to cope with Changed disasters environment. However, an improvement o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s still needed. In particular, on April 16, the sinking of the Sewol, in southwest sea of Jeollanamdo Jindogun jodomyeon, appeared safety management system is still poor and the cause of the sinking is still not disclosed. Because of the tragic accident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is need for a full-scale review. What is more needed is enhance people's safety awareness and more effort to settle safety culture is need. Safety management system is important, but social conditions is more important to practice the system. No matter which system maintenance it is meaningless because it does not operate properly. Therefore in this paper, for the safety culture improvement of the Framework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which amended in 2013, review the contents and propose improvement. Review the provisions of the Act which is the regulations of safety training for people(sec.66-5) and regulations of professional manpower expansion for safety training(sec.66-6), regulations of Integration and utilization of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opose safety culture improvement.

      • KCI등재후보

        국방 드론봇 통합관제 체계 발전방향 연구: 대대급 작전에서 드론봇 통제 및 관제 중심으로

        윤성준,최용훈 광운대학교 방위사업연구소 2020 선진국방연구 Vol.3 No.1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the current battlefield situation is in need of a new way of fighting that "situation judgment-determination-response" can proceed simultaneously. The dronebot combat system developed so far is not enough to satisfy the new paradigm combat system. This is a time when it is desperately necessary to establish a network capable of performing "situation judgment-determination-respons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n integrated control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defense dronebot combat system and visualizing the dronebot. The infrastructure network is essential to establish an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managing the dronebot combat system. To build an integrated defense system for defense drones, the current paper aimed to establish a simultaneous infrastructure network system (a dronebot combat system, PS-LTE (disaster network), TICN (military tactical communication network)). Especially, it is necessary for setting such integrated defense system for defense drones. In the sense,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a control system and controls and integrates various drones in the South Korean Army that set up a dronebot specialized unit in the future. 현 전장상황은 고도화된 정보기술의 발달로 수초 내에 「상황판단-결심-대응」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새로운 전투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발전시킨 드론봇 전투체계로만으로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투체계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하다. 따라서 「상황판단-결심-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축 및 국방 드론봇 전투체계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통제하며 드론봇을 가시화할 수 있는 통합관제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드론봇 전투체계를 관리하기 위한 통합관제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기반 네트워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방드론 통합관제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동시 기반네트워크 체계(드론봇 전투체계, PS-LTE(재난망), TICN(군 전술통신망))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특히, 국방드론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통합관제 체계 구축이 중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현재 육군이 미래에 드론봇 전문부대에 편성예정인 드론 현황을 분석하고 다양한 드론을 통제하고 통합하는 관제체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현재 육군이 미래에 드론봇 전문부대에 편성예정인 드론 현황을 분석하고 다양한 드론을 통제하고 통합하는 관제체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가외성의 정당성과 한계: 지역 원전안전 감시체계 선택의 딜레마

        김창수(Kim, Chang Soo) 한국지방정부학회 2019 지방정부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지역원전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분산감시체계를 지지하는 가외성의 효용과 통합감시체계를 지지하는 가외성의 한계를 딜레마이론의 관점에서 해석해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장의 전문가들이 프랑스와 같은 통합원전안전협의체로 발전하는 선택을 원하지만 분산감시체계가 지속되고 있는데, 이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이해관계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5㎞ 범위를 넘어서는 30㎞까지 원전위험이 확장되면서 통합원전운영 안전감시협의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지만, 통합입법보다는 원자력안전위원회 훈령으로 원자력안전위원회 소속의 원자력안전협의회가 구성되고 한국수력원자력에는 소통위원회가 구성되는 분산감시체계의 방향이 지속되었다. 그리고 산업통상자원부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분립된 상태에서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단독으로 원자력안전 정보공개 및 소통에 관한 법률(안)의 제정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지역사회가 주도하는 원전안전협의체는 매우 분절적인 상황임을 알 수 있으며, 감시기능과 협의체 기능을 통합한 모델을 구성하는 선택이 용이하지 않은 딜레마상황에서 통합협의체와 분산협의체의 효용과 한계가 작용하기 때문에 5개의 서로 다른 원전소재 지역에서도 상황에 맞는 협의체 모델을 구성하는 대응방안을 제안했다. Korean government and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have been postponing the legislation of Nuclear Pow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ct since 2018. There are two opposing opinions about how Nuclear Safety Monitoring System should be managed: integrated management and dispersed management. Furthermore, there is a dilemma in choosing between these two management styles. Consequently, the government and National Assembly members have failed to make a compromise between these opposing management sty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undamental causes of this failure. Interviews with related actors revealed that bureaucratic politics and sectionalism between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and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NSSC) were the underlying causes of the failure in making a compromise between two opposing management styles. It caused the Nuclear Safety Monitoring system to be redundant and lack in path creation. Therefore, introducing Nuclear Pow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ct to coordinate redundant and dispersed functions of the nuclear safety monitoring system is suggested. Introducing appropriate regional nuclear safety and security system with the support of civil society and local governments is also suggested.

      • KCI등재후보

        재난관리표준을 위한 국가재난 및 안전관리 국가통계분석 및 통합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박덕근(Dug keun Park),오정림(Jeong rim Oh) 한국방재안전학회 2009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2 No.2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는 소방방재청과 부처 간 통계중복 및 연계성 부족으로 정책수립시 어려움이 초래되고 있으며, 통계인프라가 빈약하여 과학적 재난관리를 위한 통계관리 및 개발노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 분류체계를 통합하고 표준화하기 위한 통계체제 정립 안을 도출하고 통계지표의 개선 및 신규지표를 개발하며,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 통합 구축방안 마련에 있다. 또한 유관기관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 활용을 위한 법·제도정비, 방재센서스 실시방안, 통계 인프라 확충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정비를 통한 과학적 재난관리 정책수립의 환경을 조성하고 부처별, 재난 유형별 분산관리에서 통합형 통계관리로의 개선 및 공동 활용을 기대할 수 있으며, 재난유형별 국제비교가 가능한 통계기반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atistics of disaster and safety control which have been produced by NEMA(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other related agencies have some problems which show redundancies and the lack of connections. These problems can result in disbelief of disaster-management related policies and cause uncertainties on standardization. One of the main problems is caused by the lack of an integrated system that can coordinate available statistical resources.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propose possible ways for the rearrangement of statistics categories, the improvement of statistics indicators and the integration of statistics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based on the improvement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rough the integrated system for an efficient production of disaster and safety-related statistics,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more accredited disaster-management policies based on the scientific statistics and international standard.

      • KCI등재

        항행안전정보 통합 플랫폼 구축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김도훈 해양환경안전학회 202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6 No.2

        This study recognizes problems in the current system of providing navigation safety information (NSI), which is centered on merchant ships, to prevent maritime accidents of fishing boats and small vessels in coastal areas. The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method of providing NSI to support the safe navigation of small vessels such as fishing boats. First,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recent maritime accidents were examined, and NSI service targets were identified. Secon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NSI system were determined, and measures were proposed to establish an NSI Integrated Platform (NSIP) that ensures the integration,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NSI for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public. Third, to utilize the NSIP, various NSIs are applied as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chart system used in the e-navigation ship terminals being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the Korean e-navigation project. Functions that set the audiovisual alarm function to automatically operate when a ship enters a navigation risk zone is proposed. These functions are technically achieved by reviewing expert opinions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professional produc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SI can be applied to small vessels such as fishing boats, through the Korean e-Navigation project, to prevent maritime accidents caused by the human error of navigators. 본 연구는 연해구역에서 어선 및 소형선박의 해양사고 예방을 위하여 현행 상선 중심의 항행안전정보(NSI) 제공시스템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어선 등 소형선박의 안전항해를 지원하기 위한 효과적인 NSI 제공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주요 연구내용으로 첫째, 최근 해양사고 실태 및 특징을 고찰하고 NSI 중점 제공대상을 식별하였다. 둘째, 현행 NSI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통합성·대 국민 접근성·활용성이 강화된 NSI 통합플랫폼(NSIP)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NSIP 활용방안으로 한국형 e-Navigation(e-Nav) 사업과 연계하여 개발 중인 e-Nav 선박 단말기에 사용될 전자해도(ECS)에 부가정보 형식으로 다양한 NSI를 적용하고 선박이 항해위험구역 또는 속력제한구역 진입시 자동으로 시청각 알람기능이 작동되도록 설정하는 개선기능을 제안하였다. 이는 관련기관과 GPS플로터 전문제작업체의 전문가 의견을 검토 한 바 기술적으로 가능하며 상용화된 스마트폰 앱에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은 어선 등 소형선박에 NSI를 제공함으로써 해양사고 예방기능과 함께 e-Nav 서비스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대학 도서관 내 재난 대피 안전디자인 제안

        정시연,박효진,김광진,박지은,오상은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0 No.1

        대학 캠퍼스에서 화재, 지진, 공습과 같은 재난 상황 발생 시 행동 지침 및 탈출 동선 인지 부족, 안전불감증, 중앙 알림 시스템 미비의 문제로 안전사고의위험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Y대학교를 배경으로 삼아 해당 대학 도서관에 안전디자인을 적용하여 재난상황을 예방하고 안전한 캠퍼스 환경을 조성하고자한다. 연구 방법으로 Fly on the Wall 관찰을 통해 Y 대학교 도서관을 연구 대상 장소로 선정하였다. 설문을 바탕으로 도서관 이용자들의 주요 동선과 재난 상황에 대한 인지 상태를 파악하였으며, 이후 실험을 3 회 진행하여 가상의 재난 상황 시 이용자들의 실질적행동양식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적 요소를 적용하여 ‘이용 유형별 위험 요인’, ‘인지 부족 및 정보산재’, ‘동선 관련 장애 요소’의 해결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안전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앱(SAFE+Y)과 공간, 부착물을 활용한 실제 공간의 유도 장치로 구분하여 제작하였고두 유형이 연동되어 기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앱은 재난 상황 알림과 맵 기능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대피를 유도하도록 하였고 예방 및 대처 교육 목적의 게임 콘텐츠를 포함한다. 유도 장치는 두 가지로, 3D 모델링으로 구현한 ‘경로 안내 및 현 위치 파악 시스템’과 포스터 및 부착물 형태로 구현한 ‘최초행동자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경로 안내 및 현 위치 파악 시스템’은 대피 방향과 동선을 정확히 지시하여 대피 시 혼선을 방지하며 ‘최초행동자 시스템’은최초행동자가 올바른 대피경로를 파악하고 재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정보를 제공한다. and airstrikes on university campuses, there is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lack of awareness of behavioral guidelines and escape routes, insensitivity to safety, and lack of central notification systems. This study aims to prevent disaster situations and create a safe campus environment by applying safety design to Y University Seoul Campus. Through Fly-on-the-Wall observation sessions, we selected the Central Library buildings for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ain routes of library users and how aware they are of disaster scenarios through an analysis of survey results, and conducted 3 sessions of virtual disaster experiments, establishing an understanding of users’ behavior patterns in real-life situations. Thus we concluded that the following problems ‘Risk Factors by User Type’, ‘Lack of Awareness and Information Scattering’, ‘Obstacles in Escape Routes’ should be solved using visual factors, and based on this we propose three safety design prototypes. We devised the app SAFE+Y and guide devices including space design and posters. These were designed so that the two types could function cohesively. The app induces rapid and precise evacuation through a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and map features, while also including game content for the purposes of accident prevention and evacuation education. Guide devices consists of two types: a “route guidance and current location identification system” demonstrated through 3D modeling, and a “first actor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to help the first actor to properly respond to the disaster situations and understand evacuation rou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