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아버지의 비공식 양육비 제공

        최유석(Choi You-Se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2

        본 연구는 미국 위스컨신 주에서 수행된 아동양육비 이행 시범사업 서베이 자료를 이용하여,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아버지와 자녀를 양육하는 빈곤층 어머니의 가족구조 특성이 아버지가 제공하는 비공식 양육비 수준과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공식 양육비 수준은 해당 자녀 부모의 현재 결혼상태, 자녀의 출생 당시 결혼상태와 관련이 있었다. 아버지의 자녀를 낳은 배우자 수는 비공식 양육비 수준과 관계가 없었다. 여러 배우자 사이에 자녀를 가진 경우, 아버지는 첫 번째 배우자 사이에 출생한 자녀에게 더 많은 비공식 양육비를 제공하였다. 아버지 자녀의 구성과 관련하여, 해당자녀의 형제/자매의 존재, 해당자녀의 이복형제 등 또 다른 자녀의 존재도 비공식 양육비 수준과 관련을 맺었다. 또한 공식적 아동양육비와 비공식적 아동양육비는 보완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밝혔다. Using the Survey of Wisconsin Works Families, the survey of the Child Support Demonstration Evaluation (CSDE) project in Wisconsi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family structures of nonresident fathers and resident mothers are associated with nonresident fathers’ economic contributions, measured by the level of informal support provided to their children living in the mothers' households. Findings show that the level of informal support is associated with not only individu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nonresident fathers and resident mothers, but also family structures and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child support arrangements and the CSDE experiment. Both mothers' repartnering with another man and fathers’ repartnering with another woman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informal support. Fathers who lived together with mothers when their children were born provide more informal support than do fathers who did not. Fathers' multiple partner fertility is not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informal support provided. Among fathers who have children with multiple partners, fathers provide more informal support to their children born by their first partner. Fathers who have multiple children with the mother of the focal child provide more informal support. Fathers who have other biological children living elsewhere provide less informal support. Fathers who pay higher levels of formal child support also provide higher levels of informal support. Fathers associated mothers assigned to the CSDE experiment group provide more informal support. The findings suggest that child support programs may increase informal support, thereby improving the well-being of resident mothers and their children living in poverty.

      • KCI등재

        무형식학습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정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7 평생학습사회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innovativeness, superiors’ support, and peer support among the types of workplace learning among the manufacturing workers of large corporations.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on innovation,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support. To do this, we set up a research model by using informal learning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nov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supervisor support and peer support as control variabl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00 regular workers employed in manufacturing industry of large corporations using colony sampling method and 451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research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formal learning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shows that positive learning effect and innov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Second, ‘Supervisor support will control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on innovativ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innovativeness through informal learning by the supervisor. Third, it was shown that ‘support for peers will control the influence of informal learning on innovation’, and peer support does not control improvement of innovativeness through informal learning. Through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boss’ s interest and effort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innovation improvement through the informal learning of the members, and the support of the peer does not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the innovation. This study will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effective workplace learning managemen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의 제조업 직장인을 대상으로 일터학습의 유형 중에서 무형식학습과 혁신성, 상사지원, 동료지원 간의 상호 관련성을 실증 분석하여, 무형식학습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상사지원과 동료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다. 이를 위해 무형식학습을 독립변수로, 혁신성을 종속변수로, 상사지원과 동료지원을 조절변수로 구성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는 대기업의 제조업에 근무하는 일반 직장인 500명을 대상으로 집락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51부를 회수하여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무형식학습은 혁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다’는 무형식학습과 혁신성은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지원은 무형식학습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는 상사의 관심과 노력은 구성원의 무형식학습을 통한 혁신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료지원은 무형식학습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는 동료지원은 구성원의 무형식학습을 통한 혁신성 향상을 조절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상사의 관심과 노력이 구성원의 무형식학습을 통한 혁신성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점과, 동료의 지원이 혁신성 향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점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차원에서 효과적인 일터학습 관리를 위해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내 이민자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유형화 연구 -공적 영역의 구조적, 기능적 지지 유형을 중심으로-

        김양정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support network for foreigners staying in Korea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rapidly increasing social support network for foreigners staying in Korea, focusing on the public domain. This study analyzed existing literature and policy documents related to social support theory and social support, summariz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support for immigrants in Korea, and approached an exploratory study that presents implications for future activities. The study looked at the concept and type of social support, analyzed the reality of social support for foreigners staying in the public domain,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and presented implications to help improve social support in the public domain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ocial support in the public system for immigrants in Korea showed tangibl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and instrumental support. The limitation is that it has not been actively dealt with in terms of evaluation, such as whether social support served as a true protective factor in establishing a social network for immigrants.

      • KCI등재

        노년기 비공식적 지원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전혜정(Hey Jung Jun) 한국노년학회 2003 한국노년학 Vol.23 No.4

        본 연구는 노년기 사회적 관계에 관한 기존 연구들이 노인을 사회적 지원망으로부터 일방적으로 지원과 부양을 받기만 하는 존재로 간주함으로써 비공식적 지원제공활동을 통한 노인들의 사회적 기여가 그 동안 간과되어 왔음에 주목하여 경험적인 분석을 통해 노년기 비공식적 지원제공의 현황과 그 관련 변인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60세 이상의 남녀노인 27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녀, 형제자매, 다른 친척, 친구ㆍ이웃, 동료에 대한 정서적ㆍ도구적 지원제공의 경험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첫째, 주위 사람들에 대한 지원제공은 대다수의 노인들에게 있어 보편적인 경험이며 자녀나 친족뿐만 아니라 친구ㆍ이웃ㆍ동료에게까지 포괄적으로 제공되는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에 대한 지원제공은 노인들 사이에 매우 일반적인 경험으로서, 거의 대부분의 노인들(96.7%)이 어떤 형태로든 자녀에게 도움을 주고 있었다. 둘째, 노인의 특성에 따라 지원제공경험에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는 지원수혜자와의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 대한 지원제공은 노인의 성별, 연령, 생활수준,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친족에 대한 지원제공은 노인의 연령, 배우자 유무, 생활수준에 따라, 비친족에 대한지원제공은 노인의 연령, 종교유무, 건강상태, 배우자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비공식적 지원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특정 변인이 노년기 지원제공에 일관성 있게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지원수혜자와의 관계(자녀, 친족, 비친족)에 따라 지원제공을 결정하는 변인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형태(정서적 지원, 도구적 지원)에 따라서도 다소간의 결정변인의 차이가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지원형태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사회적 배경 변인 중에서는 노인의 성별과 생활수준이, 상황변인은 건강상태와 근무시간이, 심리적 변인 중에서는 주관적 종교성과 자존감이 노인의 지원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노인들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노년기 사회적 지원교환에 대한 균형적인 시각이 필요하며, 정책적 차원에서도 관점을 확대시켜 인구고령화에 대한 대책으로서 노인에게 지원을 제공해주는 사회적 지원망을 활성화시키는 방안뿐만 아니라, 노인을 자원으로 활용하여 다른 사람에 대한 비공식적 지원체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Much of the past research on social relationships in later life has focused on receiving help from others, reflecting the stereotype of older adults as burdensome and needy dependents. Following a gradual recognition that older adults have the capacity and ability to make significant conhibutions to others and society providing support to others in older adulthood has begun to receive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revalence of providing informal support to others among older adults in Korea, and to identify older adults'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upport giv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72 Koreans over 60. Major findings are (1) among Korean elderly providing support not only to children or kins but also to non-kins is very prevalent. (2) The correlates of providing support vary due to differences in the type of the relationships with the recipient of support. Providing support to children was higher for older women with more self-esteem and in better health. Providing support to kins was higher for older women in better economic status, and providing support to non-kins was higher for older adults with more subjective religiosity and less work hours, and in better health.

      • KCI등재

        미국노인의 사회적 지원제공과 정신건강

        전혜정(Hey-Jung Jun)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1

        기존의 노년기 사회적 관계에 관한 연구들은 노인을 사회적 지원망으로부터 일방적으로 지원과 부양을 받기만 하는 존재로 간주함으로써 대다수 노인들의 보편적인 경험인 지원제공 경험에 대하여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해 왔다. 본 연구는 많은 노인들이 건강하고 활동적이며 동시에 생산적 존재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여, 노년기 사회적 지원의 제공이 노인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1)지원제공자의 성별, 2)제공되는 지원의 유형(정서적 지원, 도구적 지원), 3)지원수혜자와의 관계(자녀, 친족, 비친족), 4)정신건강의 하위차원에 따라 지원제공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였다. 미국의 대단위 종단적 자료인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NSFH)를 이용하여 60세 이상 85세 이하의 노인 1658명을 대상으로, 지원수혜변수 그리고 주요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함께 제1차 조사시기에서의 정신 및 신체건강을 포함시킨 시차효과모델(lagged effect models)을 이용하여 제1시기(1987-88)에서의 지원제공경험이 제2시기(1992-93)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년기 지원제공 경험이 항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노인의 성별에 따라, 제공되는 지원의 유형에 따라, 지원수혜자와의 관계에 따라, 그리고 정신건강의 하위차원에 따라 사회적 지원제공과 건강간 관계의 정도와 방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의 경우 정서적 지원제공은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도구적 지원제공은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반면에 남성노인의 경우 자녀에 대한 정서적 도구적 지원, 비친족에 대한 도구적 지원제공은 오히려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st research on social relationships in older adulthood has focused on how receiving help from other people may enhance the well-being of older adults. The potential benefits of elders providing help to others, however,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roviding informal support to others on the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in US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influence of giving support varied due to 1) gender differences among the providers of support, 2) differences in type of support given(instrumental or emotional support), and 3)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with recipients of support (adult children, kin or nonkin). Data from N=1,658 persons aged 60-85 who were respondents to two waves of the U.S.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 1987-1993 were used for these analyses.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s(lagged effect models) controlling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t time 1, receipt of social support, and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were estimated. Results suggest that providing informal support to others is not always associated with positive effects on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older adults. The benefits of providing support to others depend on the gender of the provider, the type of support given, and the typ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recipient of support. Providing emotional support was clearly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benefits for older women; providing instrumental support was not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benefits for older women. In contrast, providing support to adult children and non-kin was clearly associated with detrimental effects on the well-being of older men.

      • KCI등재

        사회적 학습지원과 혁신행동과의 관계 - 무형식 학습의 매개효과, 조직정치 지각의 조절효과 -

        조윤형,박서정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9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6 No.1

        Among the elements of 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Baldwin & Magiuka, 1991; Kontoghiorghes, 2002),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ocial learning support.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cial learning affect on innovative behavior which reflect of learning transfer theory and focus on process used terms such as informal learning and context ussed terms as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POP) in hospital situations. The concept of social learning support defined the degree of individuals perceived that their learning support and valued by workplace sources, such as supervisor and coworker.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are consist of ‘go along to get ahead’ and ‘pay and promotion polici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draw the main,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the hypothesis, total 406 questionnaires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learning support have positive impact on informal learning. Second, informal learning leading to innovative behavior. Third, informal learning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earning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Finally, POP are partially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innovative behavior, specially go along to get ahead are have moder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practical value as it helps organizations understand what types of social learning support of employees should invest in to learning on the other hand reduce POP. There are many strategies that an organization can use to increase both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of learning, such as increase training budget for enhancing informal learning. Also take up of learning supportive policies, which in turn may lead employees to perceive the organizational climate as more learning supportive, which relates to lower POP. This study shows how important it is for organizations to invest in selecting and developing managers who are able to provide positive learning support for employees generally on the innovation issues. 교육훈련과 직무성과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교육훈련이 어떻게 전이되는지에 대해 초점을 두고 학습자 특성, 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개발, 업무환경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다. 특히 업무 환경의 여러 요소 중(Baldwin & Magiuka, 1991; Kontoghiorghes, 2002) 사회적 지원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일부 연구들만이 수행되어져 왔으므로 연구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학습지원인 상사 학습지원과 동료 학습지원이 무형식 학습과 조직정치 지각을 통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과 상황/맥락을 설명하였다. 무엇보다 학습에 대한 전이결과로 혁신행동을 살펴보는 것은 의의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학습지원, 무형식 학습, 혁신행동과 조직정치 지각과 관련된 기존 문헌을 검토하였는데 조직정치 지각은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것과 임금/승진 정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가설, 매개효과 가설 그리고 조절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병원과 종합병원 등을 대상으로 병원간호사와 의료기사 그리고 행정직원들로부터 설문지를 수거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총 406개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 학습지원과 동료 학습지원은 무형식 학습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형식 학습은 혁신행동을 높이고 있었다. 셋째, 무형식 학습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학습지원인 상사 학습지원, 동료 학습지원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정치 지각은 무형식 학습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었는데 조직정치 지각: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기가 높은 경우 무형식 학습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더욱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정치 지각: 임금/승진 정책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무형식 학습의 중요한 선행요소로 사회적 학습지원이 의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사 뿐만 아니라 동료의 학습지원이 무형식 학습활동을 높인다는 것이다. 또한 학습전이와 관련하여 사회적 학습지원은 무형식 학습을 촉진시키며, 높아진 무형식 학습의 학습전이 결과로 혁신행동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조직정치가 높은 경우는 무형식 학습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낮추고 있어 조직정치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사회적 지원 수준에 따른 여가만족의 차이와 관계 검증

        최마리,하미향 한국체육과학회 2011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0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badminton club members and to identify social support factors influencing their leisur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we sampled 230 badminton club members, and performed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multivariate analysis for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support, and 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l of the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between the group perceiving high the emotion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of social support and the group perceiving them low. As for informational support,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l the factors except physical satisfaction. Moreover,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leisure satisfaction was analyzed,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in all the factors except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informational support. Lastly, i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predicting leisure satisfaction using social support, apprais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of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leisure satisfactio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from the viewpoint of field application

      • KCI등재

        지역거주 정신장애인을 위한 공식 및 비공식 지원 간의 상호관계와 영향요인

        민소영(So Young Mi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1

        이 연구는 장기적이고 복합적인 지원이 필요한 정신장애인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공식 및 비공식적 지원 사이의 상호관계와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공식적 및 비공식적 지원의 결정 요인을 통합적으로 발굴하기 위하여 앤더슨(Andersen)과 뉴먼 (Newman) 모형 그리고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을 적용하였다. 심각한 정신질환을 가진 경기도의 지역거주 정신장애인 총 399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3단계 최소자승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공식적 지원이 증가할수록 비공식적 지원에 대한 의존이 증가하였 다. 또한, 앤더슨과 뉴먼 모형에 근거하여 진단 질환은 공식적 지원에, 연령과 결혼상태 는 비공식적 지원에 대한 의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계획된 행동 이론에 근거하여 서비스 만족도는 공식적 지원에, 자존감 및 낙인 지각은 비공식적 지원에 대한 의존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of substitu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support and factors influencing behaviors seeking the external support among persons with serious mental illness(SMI). Andersen and Newman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s were considered with regard to seeking the external help. 399 persons with SMI who utilized community-based services were surveyed and analyzed, employing 3 Stages Least Squares analysis. Major findings showed that the increased amount of formal support enhanced the amount of informal support. Based on Andersen and Newman, formal support was predicted by diagnosis and informal support by age and marriage status.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mal support was predicted by the positive attitude to mental health services and informal support by the positive attitude to self and self-stigma. Implications were addressed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 KCI등재후보

        한국 노인의 비공식적 지원제공과 정신건강

        전혜정(Hey Jung Jun) 한국노인복지학회 2004 노인복지연구 Vol.0 No.26

        본 연구는 많은 노인들이 건강하고 활동적이며 동시에 생산적 존재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노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비공식적 지원제공의 개인적·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노년층의 지원제공이 주변적인 사안으로 취급되어왔다는 점에 주목하여, 우리나라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년기 비공식적 지원제공이 노인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았다. 구체적으로 1)지원제공자의 성별, 2)제공되는 지원의 유형(정서적 지원, 도구적 지원), 3)지원수혜자와의 관계(자녀, 친족, 비친족), 4)정신건강의 하위차원에 따라 지원제공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였다. 충청남도 천안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80세 미만의 노인 161명을 대상으로, 지원제공경험이 정신건강의 긍정적차원인 자기숙달감과 정신건강의 부정적 차원인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년기 지원제공 경험이 항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노인의 성별에 따라, 제공되는 지원의 유형에 따라, 지원수혜자와의 관계에 따라, 그리고 정신건강의 하위차원에 따라 사회적 기원제공과 건강 간 관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의 경우 지원제공은 수혜자와의 관계나 제공되는 지원의 유형에 상관없이 자기숙달감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6가지 지원유형 중 비친족에 대한 정서적 지원제공은 우울증을 낮추는 데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남성노인의 경우에는 수혜자와의 관계나 제공되는 지원의 유형에 상관없이 6가지 지원형태 모두에서 자기숙달감 또는 우울증과의 유의미한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Most research on social relationships in older adulthood has focused on how receiving help from other people may enhance the well-being of older adults. The potential benefits of elders providing help to others, however,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roviding informal support to others on the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influence of giving support varied due to 1) gender differences among the providers of support, 2) differences in type of support given(instrumental or emotional support), and 3)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with recipients of support (children, kin, or nonkin). The respondents were 161 persons aged 60-79 residing in the community.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s controlling for physical health and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were estimated. Results suggest that providing informal support to others is not always associated with positive effects on the mental health of Korean older adults. The benefits of providing support to others depend on the gender of the provider, the type of support given, and the typ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recipient of support. The gender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modifying the association between giving support and mental health. Providing informal support was clearly associated with benefits for older women. In contrast, providing support to others was not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of older men.

      • KCI우수등재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내 리뷰어의 내적속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정보행동에 관한 연구

        박지연(Ji Yeon Park) 한국경영학회 2016 經營學硏究 Vol.45 No.3

        As a consequence of enhanced importance of brand, it has been understood as one of intangible assets which creates value for corporations and strategic trend in business management has been changed with brand value as the core. Online brand community is an interactive place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 is created and developed, and accordingly it is the place which people share interests and experiences and interaction is found in. Online brand community can form an important role which maintains a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brand and consumers efficiently by continuing culture and history of brand, sharing information and providing social supports. On that score constructing and creating strong online brand community is meant to understand more closely a reviewer’s personal traits and their informative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re fu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 traits (self enhancement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supports(emotional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on a reviewer’s informative behaviors (information generation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in online brand community. This study uses a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research constr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wo kinds of a reviewer’s internal traits, self enhancement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formation generation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Both personal traits, particularly, have the greater effects on information generation than information transmission. In addition, self enhancement is proved to be a more influential factor than public self-consciousness in boosting a reviewer’s informative behaviors. Second, in the perspective of the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all significantly modify a reviewer’s informative behaviors. In detail, the higher emotional support or informational support a reviewer with strong public self-consciousness perceives, the more he acts information generation rather than information transmission. The conclusion offers a summary an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mak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