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적 책임이 기업문화와 고용 및 노동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김용재(Kim, Yong-Ja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ISO 26000은 사회적 책임이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나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등 모든 형태의 조직에도 똑같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됨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에서 기업을 뜻하는 C를 뺀 사회적 책임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기업이외에 정부, 노조, 시민단체 등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사회적 책임 가이드라인의 제정을 추진하였다.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려는 시민운동은 유럽, 미국등 선진국에서는 일상화된 일이다. 특히 기업과 산업 및 금융영역에서 ‘지속가능한 경영과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양한 시민운동은 사회책임과 지속가능 경영논의의 확산을 위해 필수적인 원소이다.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는 ‘새로운 거버넌스’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우리 기업이 더욱 지속가능하게되고, 또한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더 성숙해지고 건강해지는 길이기도 하다.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SR)에 대한 논의가 CSR에서 출발했다는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 볼 때, ISO 26000에 대한 산업계의 대응 방안도 매우 중요하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기업의 본질적인 목적인 이윤극대화와 배치되거나 동떨어진 주장이라는 시각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ISO 26000은 지금까지의 소극적이고 수세적인 자세에서 보다 사회적 책임 논의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정부정책차원에서도 지속가능 경영과 ISO 26000이행을 기업 경쟁력 제고 요소로 보고 있다. As the argument that Social Responsibility should be equally applied to not only enterprise but also government, NGO and any other organizations has been alleged, ISO 26000 extended the range of Social Responsibility by omitting C( meaning corporate) from CSR to promote the guideline of Social Responsibility that could be applied to governments, labor unions, civil groups not to mentioning enterprises. Citizens’ campaigns for reinforcing sustainability of enterprises are common things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various Citizens’ campaigns making sustainable management and investment in the area of enterprise, industry and finance are essential points in spreading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management of substantiality. Establishing ‘New Governance’ that various stakeholders join makes our enterprises more sustainable and it is also the way of making our society more healthy. Considering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initiated from CSR, countermeasures of industries to ISO26000 are also very important. It’s true that there exist arguments pointing out opposing points and irrelev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to profit maximization, the essential object of enterprise, ISO 26000 should be more active in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than the present, passive status. Management substantiality and implementing ISO are also regarded as boosting factors of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 on government policy. ISO 26000은 사회적 책임이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나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등 모든 형태의 조직에도 똑같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됨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에서 기업을 뜻하는 C를 뺀 사회적 책임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기업이외에 정부, 노조, 시민단체 등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사회적 책임 가이드라인의 제정을 추진하였다.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려는 시민운동은 유럽, 미국등 선진국에서는 일상화된 일이다. 특히 기업과 산업 및 금융영역에서 ‘지속가능한 경영과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양한 시민운동은 사회책임과 지속가능 경영논의의 확산을 위해 필수적인 원소이다.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는 ‘새로운 거버넌스’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우리 기업이 더욱 지속가능하게되고, 또한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더 성숙해지고 건강해지는 길이기도 하다.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SR)에 대한 논의가 CSR에서 출발했다는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 볼 때, ISO 26000에 대한 산업계의 대응 방안도 매우 중요하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기업의 본질적인 목적인 이윤극대화와 배치되거나 동떨어진 주장이라는 시각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ISO 26000은 지금까지의 소극적이고 수세적인 자세에서 보다 사회적 책임 논의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정부정책차원에서도 지속가능 경영과 ISO 26000이행을 기업 경쟁력 제고 요소로 보고 있다. As the argument that Social Responsibility should be equally applied to not only enterprise but also government, NGO and any other organizations has been alleged, ISO 26000 extended the range of Social Responsibility by omitting C( meaning corporate) from CSR to promote the guideline of Social Responsibility that could be applied to governments, labor unions, civil groups not to mentioning enterprises. Citizens’ campaigns for reinforcing sustainability of enterprises are common things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various Citizens’ campaigns making sustainable management and investment in the area of enterprise, industry and finance are essential points in spreading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management of substantiality. Establishing ‘New Governance’ that various stakeholders join makes our enterprises more sustainable and it is also the way of making our society more healthy. Considering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initiated from CSR, countermeasures of industries to ISO26000 are also very important. It’s true that there exist arguments pointing out opposing points and irrelev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to profit maximization, the essential object of enterprise, ISO 26000 should be more active in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than the present, passive status. Management substantiality and implementing ISO are also regarded as boosting factors of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 on government policy.

      • KCI등재

        ISO 26000 이행이 기업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7대 핵심주제와 지속가능성보고서를 중심으로

        최성보,박현숙 韓國商品學會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4

        연구목적: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국제표준인 ISO 26000의 이행이 기업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ISO 26000 이행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기업이미지가 매개하는지, 그리고 ISO 26000 이행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CSR 활동의 진정성 등이 조절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ISO 26000 제도의 순조로운 국내 정착을 지원하고자 한다. 연구설계: ISO 26000의 7대 핵심주제에 대한 정의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측정항목을 구성하고,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하고 많 이 알려진 5개 업체를 표본기업으로 선정하고, CSR 개념을 알고 있는 25세 이상의 대중을 설문응답자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ISO 26000의 충실한 이행은 기업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세부적으로는 7대 핵심주제 중 조직 거버넌 스, 노동관행, 소비자 이슈, 지역사회 참여 및 발전 4개 주제가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SO 26000 이행과 구매의 도 간의 관계를 기업이미지가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CSR 활동의 진정성, CSR 활동의 사회기대부합도 및 지속가능성보고서 의 충실도 3개 변인은 비록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업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독립변인 성격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CSR 활동의 적합성 변인은 조절효과도 독립변인 성격도 나타나지 않았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기업이미지 향상을 위해서는 조직 거버넌스, 노동관행, 소비자 이슈, 지역사회 참여 및 발전에 대한 ISO 26000의 지침을 성실히 이행하고, 진정성이 있고 사회 기대에 부합한 CSR 활동을 하며, 지속가능성보고서를 충실히 공시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표본기업수와 응답자수의 제약은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점이다. 향후 연구방향: 향후 연구에서는 ISO 26000 지침에 따른 CSR 활동에 대한 일반대중의 시각과 관심사를 더욱 심층적으로 살펴보 기 위해 조사대상기업을 더욱 다양화하고 설문응답자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공헌점: ISO 26000은 7대 핵심주제별로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으며, CSR 활동과 기업 특성의 부합을 뜻하는 ‘CSR 활동의 적합성’에 대해서는 소비자 등 일반대중의 시각이 공유가치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과 마케팅 연계 측면에서 부 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양립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the implementation of ISO 26000, international standard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rporate Image(CI), whether CI mediates the impact of ISO 26000 implementation on purchase intention, and whether the authenticity of CSR activities etc. moderate its impact on CI. Design: Based on the definitions of seven core subjects of ISO 26000 and preceding studies, measuring items were constructed; five companies that published a sustainability report and were well known were selected as sample companies; and the general public over 25 years old, who had understood the concept of CSR, were set up as respondents. Results/findings: Faithful implementation of ISO 26000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I, and specifically, subjects of organizational governance, labor practices, consumer issues and community had significant impacts on it.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CI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ementation of ISO 26000 and purchase intention. The authenticity of CSR activities, conformity to societal expectations of CSR activities and fidelity of sustainability report did not have any moderating effects; however, they were found to be independent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t impacts on CI.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I, it was implied that a heartful implementation of ISO 26000, CSR activities conforming to social expectations, and sincere public announcement of sustainability report would be important. The numbers of sample companies and respondents is a limitation of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Future research: Future studies should extend research samples to more types of business and more respondents, so as to look deep into differences in views and concerns of general public for CSR activities according to ISO 26000. Originality/valu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mpacts of seven core subjects of ISO 26000 on CI, and there were dual views on the fit of CSR activities: a positive view in terms of shared value and a negative view in terms of connection to marketing.

      • KCI등재

        KEJI과 ISO 26000에 선정된 기업들의 기업가치와 경영성과 비교

        강경이 한국상업교육학회 2019 상업교육연구 Vol.33 No.3

        ISO 26000은 강제성을 띠지 않고 자발적 채택을 권유하는 즉 인증(certification)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국제적인 표준이다. 그러나 여기에 참가한 대부분의 국가와 이해관계자들은 기업간, 국가간 거 래와 계약질서에서 ISO의 SR Guidance가 매우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ISO 26000 지표는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국제적인 지표인 ISO 26000 을 적용하여 선정된 기업(이하 ISO 26000)과 경제실천정의연합의 좋은 기업으로 선정된 200대기업 (이하 KEJI 200이라고 한다)중에서 어떤 지표에 의해 선정된 기업들의 기업가치(Tobin's Q)와 경영 성과(ROA, ROE)가 더 높은지 또는 영향을 더 주는지 T-검증과 회귀분석 및 추가로 Mann-Whitney법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SO 26000선정된 기업과 KEJI 200대 선정된 기업과의 T-검증, 회귀분석을 한 결과 ISO 26000에 선정된 기업들이 KEJI선정된 기업들보다 Tobin’s Q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 다. 둘째, 시가총액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T-검증, 회귀분석을 한 결과에서는 ISO 26000에 선정된 기업들이 KEJI선정된 기업들보다 Tobin’s Q, ROA, ROE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CSR 활동의 대용치로 주로 KEJI 200 또는 ISO 26000 을 단독으로 기업가치 또는 경영성과를 분석했던 것과는 다르게 본 연구는 국제표준 ISO 26000을 적용하여 선정된 기업과 국내표준 KEJI 200대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가치와 경영성과를 비교· 연구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그러한 연구결과는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ISO 26000지표를 향후 우 리나라에서도 CSR평가지표로서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활용하여야 함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obin's Q, ROA and ROE of 30 companies (or 50 companies) selected in ISO 26000 are better than Tobin's Q, ROA and ROE of 200 companies selected by KEJI index. The sample period for this study is from 2015 to 2017. T-tests and Regression analyze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mpanies selected by ISO 26000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obin's Q than those selected as KEJI 200 companies. Second, Among the 100 largest companies with market capitalization, Tobin's Q, ROA, ROE of companies selected by ISO 26000 were higher than companies selected as KEJI 200 companies. I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CSR activities of enterprises selected by the ISO 26000 index in general show better performance in enterprise valu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ISO 26000 CSR activities of companies are certified by stakeholders in the market. Theref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panies do not have the mandatory ISO 26000 index, but participating voluntarily in fulfill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can be a useful means for enhancing corporate value. It is also an opportunity to review the policy implications of adopting the ISO 26000 index.

      • KCI등재

        분위수 회귀분석을 이용한 ISO26000의 핵심요소가 카지노기업의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

        이화용,김상혁 대한경영정보학회 2013 경영과 정보연구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ISO26000의 핵심요소를 선행연구를 통하여 카지노 기업 에 적합한 ISO26000의 핵심요인을 도출하고, 둘째, ISO26000의 핵심요소별 조직신 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며, 마지 막으로, ISO26000의 핵심요소가 조직신뢰의 정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 위수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카지노기업의 CSR 경영 정책 수립과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ISO26000의 측정항목을 7개(환경, 인권, 지배구조개선, 공정 운영관행, 노동관행, 공동체사회경제발전, 소비자이슈)를 도출하였고 설문조사를 통 해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요인분석결과 ISO26000의 측정항목을 7개 중 지배구조개선과 공정운영관행은 하나의 요인(지배구조 및 공정운영)으로 단순화 되어 6개의 요인을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권을 제외한 나머지 5개의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분위수 회귀분석의 결과, ISO26000 핵심요소 중 인권과 공동체사회경 제발전을 제외한 4가지 핵심요소는 종사원의 조직신뢰 수준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카지노기업이 지속경영을 위한 CSR경영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여 조직신뢰를 높이기 위해 종사원의 조직신뢰수준에 따라 CSR경영방안을 다르게 모색하고 그에 맞는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공생발전, 연성규범,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권재열 법무부 2013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61

        공생발전은 2011년 이명박 대통령이 국정지표로 제시한 것으로서 시장만능주의를 극복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강자와 약자가 공존하는 따뜻한 자본주의를 지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국정지표는 2013년 2월 하순에 출범하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변화없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공생발전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차지하는 영역은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거래이다. 이들 사이에는 교섭력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불공정거래관행이 빈번하게 노정되고 있다. 대·중소기업간 거래에서 대기업의 거래상 우월적 지위에 근거한 남용행위를 규제하기 위한 법체계가 초기에는 민법(계약법)에서 시작하여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그리고 이제는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과 대규모 유통업에서의 거래공정화에 관한 법률 등으로 점점 강화되어 가고 있지만, 이들 법률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 연성규범은 국가 이외의 자에 의하여 형성된 규범으로서 국가가 물리적 제재나 정당한 처벌 등을 권력적으로 강제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2011년 11월에 발표된 ISO 26000은 ISO라는 국제기구에서 제정한 표준으로서 사회적 책임에 관하여 현존하는 가장 보편적인 기준이다. 또한 ISO 26000은 국가가 강제하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기에 전형적인 연성규범에 해당한다. ISO 26000에 따르면 조직은 이해관계자의 이해 존중과 공정한 사업관행을 준수하여야 하는데, 이는 공생발전의 이념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ISO 26000이 CSR의 연성규범으로서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자발적인 준수가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CSR의 준수여부의 판단을 위해 마련된 기존의 평가지표를 ISO 26000의 세부적 규정과 정합성을 추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ISO 26000의 내용으로 보완된 평가지표를 사용하고 그 결과를 공표함으로써 기업들에 대한 심리적 강제를 통한 공생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밖에 단기적으로는 ISO 26000을 충실하게 준수한 기업에 대해서는 이자감면 또는 조세감면 등의 유인책을 마련하는 것도 생각해 봄직하다. On the National Liberation Day of 2011, as Korea's new path for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big and the small, President Lee Myung-bak presented “ecosystemic development” which aims at expanding warm capitalism through narrowing income gaps which have been widened under neoliberalism. The concept of “ecosystemic development” calls for the paradigm shift from greedy management to compassionate management. It is also consistent with a “fair society” where a win-win growth strategy between big and small companies is pursued. It seems that the Park Geun-hye's government to be launched in late February 2013 continues to engage in shared growth between the big and the small without any big change in the concept of “ecosystemic development.” Between big and small companies,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bargaining power, the unfair trade practices have been frequently noticed. A specific set of laws that apply to commercial transactions between big and small companies have been enacted but the laws do not score a success. In more detail, several positive laws, such as the Antitrust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and the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are now in force to eliminate unfair trade between big and small companies, but their effectiveness does not reach our expectations. The soft laws can be defined to mean norms which are formed by entities other than government, and are not prearranged to be under physical sanctions or legitimate punishment. The ISO 26000, a universal standard regarding social responsibility of organizations, was published in November 2011. Since the ISO is a private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e ISO 26000 falls into the category of soft law. As the ISO standard requires organizations to comply with fair trade practices, there is a thread of connection between the standard and the concept of “ecosystemic development.” In brief, the ISO 26000 will work as a good soft law for ecosystemically developing the society.

      • KCI등재

        ISO 26000 이행과 구매의도

        최성보(Choi Seong bo),박현숙(Park Hyeon suk)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ISO 26000(조직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표준 지침) 이행의 기업이미지를 통한 구매의도에의 간접효과가 CSR 활동의 진정성(Authenticity)과 CSR 활동의 적합성(Fit)에 의해 각각 조절된다는 것을 최신 분석방법론을 활용하여 밝히는 것이다. 측정항목은 ISO 26000의 7대 핵심주제에 대한 정의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성하였으며,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하고 소비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7개 업체를 표본기업으로 선정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개념을 알고 있는 25세 이상의 대중 550명이 설문응답자로 설정되었다. Andrew F. Hayes 교수가 개발된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방법론과 PROCESS macro 툴이 가설검정에 사용되었다. ISO 26000 이행이 기업 이미지를 경유하여 구매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매개효과)는 CSR 활동의 진정성(Authenticity)과 CSR 활동의 적합성(Fit)에 의해 각각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SO 26000 지침의 성실한 이행이 기업이미지의 향상과 구매의도의 증대로 나타나는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CSR활동에 진정성이 담겨 있어야 하고, 또한 CSR 활동이 해당 기업의 특성 및 전략과 부합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조사대상 표본기업수와 설문 응답자수의 제약은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indirect effect of ISO 26000 implementation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corporate image is moderated respectively by the authenticity of CSR activities and the fit of CSR activities. ISO 26000 is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hereinafter "CSR"). Based on the definitions of seven core subjects of ISO 26000, measuring items were constructed. Seven companies that published a sustainability report and were well known to consumers were selected as sample companies and the general public(550 persons) over 25 years old, who had understood the concept of CSR, were set up as respondents.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nd PROCESS macro developed by Andrew F. Hayes was used to hypothesis testing. It was verified that the authenticity of CSR activities and the fit of CSR activities respectivel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ISO 26000 implementation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corporate image. It was implied that CSR activities should have sincerity and should correspon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for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image and the enhancement of purchase intention through implementation of ISO 26000. Limited numbers of sample companies and respondents is a limiting factor of the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 KCI등재

        ISO 26000 선정 과정의 의사소통적 타당성 분석: 국제 커뮤니케이션 관찰을 통하여

        이진랑 ( Jin Rang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0 No.2

        2010년 11월 1일 발효된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새로운 표준, ISO 26000은 모든 조직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지침(guideline)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전통적인 ISO의 표준화 대상(사회적 책임) 및 방식(이해당사자주의)과 다른 ISO 26000이 어떻게 국제표준화의 대상으로 선정되었는지 2001-2005년 ISO를 둘러싼 국제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여 알아본다. 하버마스의 상호 이해에 기반을 둔 의사소통적 ``타당성``의 평가 기준(객관적 사실성, 규범적 정당성, 주관적 진실성)을 중심으로 그 선정 과정을 살펴 본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국제 표준화의 대상으로 선정된 것은 국제 무역의 수단으로서의 국제 표준화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타당성을 인정받을 수있으나, 그것이 모든 조직의 사회적 책임으로 확대되고, 애초 경영시스템표준이었던것이 가이드라인으로 그 의제가 변경된 것은 타당성을 인정받기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이것은 국제 무역이라는 경제적 합리성에 근거하고 있는 ISO의 국제 표준화의 대상이 정치 사회적 영역으로 확대되는 경우, 현 비정부국제기구(NGO)로서의 ISO의 정체성과 이해당사자의 대표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여야 하는 과제를 남긴다. ISO 26000, published on November first 2010, is a guideline standard on Social Responsibility, applicable for all types of organization at the voluntary level.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round 2001-2005 in ISO to understand how this new initiative, different from other traditional ISO`s standards, could be adopted as a target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of Habermas, the concept of communicational ``validity`` gives the main evaluation criteria(objective factuality, normative legitimacy, subjective sincerity). With this methodological frame, we get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adop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uld be valid because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trade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the decision of its scope and type from CSR Management System Standard to SR Guideline is problematic in terms of the actual political status of ISO as an NGO and of the representativeness of stakeholders engaged.

      • KCI등재

        종교의 사회적 책임의 ISO 26000 이해관계자 모델 적용 연구

        손의성 ( Eui-seong Sohn ) 한국신종교학회 2021 신종교연구 Vol.44 No.-

        현대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위기 속에서 종교에 대한 사회적 역할과 책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20세기 이후 주된 화두가 되어온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종교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지속 가능한 발전의 문제는 전 지구적인 협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한 사회적 책임의 국제표준으로 ISO 26000 가이드라인이 마련되고 기업과 사회 조직들이 사회적 책임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에 참여하고 있는 상황에서 ISO 26000에 적용할 수 있는 종교의 사회적 책임 모델을 탐색하였다. 그 대안으로써 ISO 26000의 이해관계자에 기반한 종교의 사회적 책임의 투 트랙(two track) 모델을 제시하였다. 협의의 이해관계자와 광의의 이해관계자를 중심으로 사회적 책임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며, 이 두 체계는 전체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통합적 이해관계자 협의체를 통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다. 여기서 광의의 이해관계자를 중심으로 한 사회적 책임 가이드라인은 ISO 26000과 연동될 수 있다. 이러한 투 트랙 모델의 적용을 통해 종교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함에서 종교의 고유성을 유지하면서 종교가 사회로부터 객관성과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 is a demand for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for religion amid the various social crises facing modern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religion i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cial responsibility, which has emerged as a major issue since the 20th century. Because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resolved through cooperation around the world, ISO 26000 guideline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social responsibility, have been prepared, and companies and social organizations are participating in cooperative governance for social responsibility.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d the social responsibility model of religion as applied to ISO 26000. As an alternative, two track models of religious social responsibility based on stakeholders in ISO 26000 were presented. The two track model establishes a social responsibility guideline based on the narrow stakeholders and broader stakeholders, and these two tracks can be organically linked through an integrated stakeholder council in which all stakeholders participate. Here, the social responsibility guidelines centered on the broader stakeholder can be linked with ISO 26000.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is two track model, the objectivity and credibility of religion can be recognized by society while maintaining the uniqueness of religion and fulfill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religion.

      • KCI등재

        사회적 책임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강호 ( Kang Ho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4

        21세기에 들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하여 경영학분야에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선진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실적을 환경보고서, 지속가능보고서, CSR보고서 등과 같은 형태로 정리하여 발표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가별 국제기구별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ISO가 2004년에 사회적 책임의 국제규격을 위한 검토를 시작하여 2010년에 ISO 26000이라는 안내규격을 제정하였다. 한국표준협회는 2011년 6월에 우리나라 100대기업을 대상으로 사회적 책임의 국제규격(ISO 26000)도입실태를 조사하였다. 국제규격에 대응하고 있는 기업은 47%에 불과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을 기업경영에 도입하는 것에 소극적이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은 사회적 책임의 국제규격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기업들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우선 사회적 책임이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국제규격의 중요성을 규명하고자 탐색적인 연구를 하였다. 논문의 목적은 사회적 책임의 국제규격인 ISO 26000의 범위와 그 내용을 검토하고, 이것이 기업경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사회적 책임의 핵심주제인 조직 거버넌스, 인권, 노동관행, 환경, 공정한 사업관행, 소비자이슈, 지역사회 참여 및 발전 등 7가지와 각 주제별 이슈 36가지를 살펴보았다. 이 이슈를 구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액션리스트들을 예시하고 있다. 이 규격은 그 동안 기업, 정부, NGO, 소비자단체, 노동단체, 기타관련자 등에서 논의되어 왔던 사회적 책임이 폭넓게 수용되어 그 범위가 매우 넓다. 사회적 책임이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은 사회구성원의 일원으로 사회적 책임 경영을 요구받고 있다. 기업의 경영관리 순환과정 (plan-do-check-act)에 사회적 책임을 흡수시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책임 있는 경영을 수행해야 한다. 둘째, 사회적 책임헌장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환경경영헌장’과 ‘기업윤리헌장’을 제정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지도하고 있다. 이 헌장을 국제 규격과 비교해 볼 때 인권과 노동관행에 관한 원칙들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 헌장은 약속을 이행하기 위한 규범으로 기업경영 활동의 기본지침이 된다. 이런 관점에서 사회적 책임의 국제규격은 경제단체 및 기업의 헌장 개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경영활동의 인식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조직의 교육 및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잘 인식하고 있는 환경 및 지역사회의 문제뿐만 아니라, 글로벌한 관점에서 인권 및 노동 등에 관한 사회적 책임을 균형 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교육도구로서 이 규격을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사회적 책임투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실적은 금융기관의 기업평가에 의한 사회적 책임투자(SRI)의 규모 및 방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평가 요소로 기업의 재무적 성과뿐 아니라, 인권, 환경, 노동, 지역사회 공헌도 등 다양한 사회적 성과를 고려하고 있다. 유엔의 글로벌 콤팩트과 유엔환경계획금융이니셔티브(UNEPFI)가 지속가능한 금융시장의 책임투자원칙(PRI)을 통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기업에 우선투자를 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다섯째, 기업은 전략적 사회적 책임을 수행해야 한다. 전략적 사회적 책임은 기업의 경제적 책임과 법 적책임뿐만 아니라, 윤리적 책임과 사회공헌적 책임까지 감당하는 것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혁신과 경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원천으로 활용해야 한다. 전략적 사회적 책임을 지속가능한 발전을 담보하는 핵심요소로 인식하고, 경영전략과 연계하여 장기적으로 기업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여섯째, 사회적 책임의 브랜드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적 책임의 브랜드화는 기업의 상품 및 서비스가 우수하며, 사회적 책임의 성과가 투명하게 공개되고 책임성 있게 설명될 수 있을 때에 구축된다. 환경과 자원을 고려한 상품 및 서비스를 개발해야 하며, 누구나 이용하기 쉬운 유니버설 디자인도 고려되어야 한다. 기업 활동의 전제 조건인 법규 준수에 기반 한 부정부패의 예방은 물론, 환경에 대한 배려, 종업원의 인권, 소비자 보호, 공정한 사업관행, 지역사회의 공헌 등의 성과가 투명하게 공개되어 신뢰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탐색적 연구로 사회적 책임이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사례와 문헌적 연구에 의한 정성적인 자료들만을 사용했다는 것에 연구의 한계가 있다. 향후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효율적으로 도입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는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연구들이 계속되어야 한다. Into the 21st century, a new concep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s spreading rapidly in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Advanced companies have announced environmental reports, sustainability reports, and CSR reports related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formanc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has drawn attention and expectation. In 2004, together with an ongoing brisk discussion on social responsibility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SO started its review for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It enacted its ISO 26000 guidance standard in 2010, which was the world`s first international standard on social responsibility for all organizations (including companies). In June 2011, th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investigated the top 100 Korean companies concerning their adoption of ISO 26000. Only 47%had adopted the international standard. Most companies are experiencing difficulty in adapting social responsibility to their corporate management. They are pass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problem of domestic companies facing these difficulties.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contents and range of ISO 26000, an international standard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to analyze its impact on corporate management. First of all, exploratory research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responsibility on corporate management and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standards. The core subjects of social responsibility include seven elements: organizational governance; human rights; labor practices; the environment; fair business practices; consumer issue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and development. Thirty-six kinds of issues are also proposed. Some of actions list are provided. The range of the ISO 26000 standard is very wide. It incorporates social responsibilities that have been discussed by corporations, governments, NGOs, consumer groups, labor organizations, and other stakeholders. It also includes many issues related to social responsibility, not only for corporation but also for all organization. The influence of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ISO 2600 on corporate manage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panies, as members of a society, are being asked for social responsibility management. By absorbing a social responsibility in a management cycle process (Plan-Do-Check-Act),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managem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ust be performed. Second, it has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charter. Our country`s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FKI) is coaching social responsibility by enacting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Charter” and the “Corporate Ethics Charter”. When compared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these Charters do not mention principles of human rights and labor practices. A charter is a norm to fulfill a promise and to provide basic guidelines for corporate management activities. In this sense,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the social responsibility will have a big influence on charter revision of business group and the company, which may also strongly influence on a change of the recognition in management activities. Third, it affects the education and motivation of an organization. This international standard introduces several applicable methods about social responsibility; its usage as a motivator through education can especially be emphasized. In this way, it enables not only understanding well-recognized environmental or community problems, but also social responsibility related to human rights and labor from a global perspective. Fourth, it affects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SRI). It is expected to influence the scale and direction of SRI by company evaluation from financial institutions. It considers a variety of social outcomes that include the company`s financial performance, as well as human rights, environment, labor, and community contribution. The United Nations Global Compact and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Finance Initiative (UNEPFI) suggest giving priority investment to companies that practice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through the sustainable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PRI) of financial markets. Fifth, companies should perform a strategic social responsibility, which covers their economic, legal, ethical, and social contribution responsibilities. This social responsibility should be a source of achieving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c social responsibility should be recognized as a key element in ensuring sustainable development. Methods should be studied that can contribute to long-term corporate performance linked to management strategies. To this end, how much we can create the “shared value” while giving attention to a company`s and society`s “mutual influence” needs to be stressed. Sixth, it affects the branding of social responsibility. Such branding can be established when a company`s products and services are excellent; when the result of social responsibility becomes transparent to the public; and when it is well explained. Products and services considering the environment and resources need to be developed. Universal design, easy to be used by anyone, needs to be considered. The prevention of corruption based on compliance with the law is a company`s prerequisite condition. In addition, however, the performance of caring for the environment, employees` rights, consumer protection, fair business practice, and the contribution of the local community should become open, thereby gaining trust from the public. This paper, as exploratory research,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responsibility on corporate management and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standards. The study has limitations of using only qualitative data in the literature and case studies in its analytic method.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hat can become a useful indicator should be continued for future companies to introduce social responsibility efficiently.

      • KCI등재

        ISO 26000 적용을 위한 의료기관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고찰

        조경원,사공미 보건의료산업학회 2018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12 No.1

        Objectives : As the management philosophy of hospital social responsibility is diversified, we systematically reviewed the literature to apply ISO 26000 to the monitoring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social needs and changes. Methods : PubMed Database, NDSL and RISS were searched for articles related to CSR based on ISO 26000.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aims, methods and results. Results :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CSR tools of hospitals, including human rights, labor practices, and consumer issues, which are parts of the seven key topics of ISO 26000. Conclusions : Based on ISO 26000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hat reflects legal and institutional situations of Korean hospit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