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주의에서 민주주의로 : 다문화사회의 공존을 위한 하나의 단상

        이화용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사회 Vol.6 No.6

        Due to the globalization of capital and labor over the past 20 years, the influx of various cultures and the differentiation of homogeneous nation-states, that is, multicultural societies, have become a global phenomenon. Social integration policies are implemented to alleviate conflicts in a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ism has been recognized as a norm of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despite its normative nature, multiculturalism is criticized for recognizing the cultural rights of minority groups as deficiencies, making them the object of management and control, and continuing the dominance of a mainstream culture. I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various cultures as our equal members of a democratic society. Futhermore, as long as it operates within the nation-states framework,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ism will inevitably persist. In this context, I develop a discussion on the multitude, which is one of the new democratic discourse. The multitude is global members of a global network beyond territorial boundaries. The transition from the bordered-people to the decentralized multitude is to have an opportunity to expand multiculturalism discourses and more fundamentally, to raise the issue of the exclusive universality of modern nation-states. 지난 20여 년간의 자본과 노동의 세계화로 인해 다양한 문화권의 유입과 동질적 국민국가의 분화, 즉 다문화사회가 지구적 현상이 되어가고 있다. 다문화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 간의 갈등을 완화하고자 사회통합정책을 전개하는데, 이는 차별적 배제, 상호문화주의, 다문화주의, 동화주의로 유형화될 수 있다. 이 중 다문화주의가 다문화사회의 규범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다문화주의의 규범성에도 불구하고, 다문화주의는 소수자 집단의 문화권을 결핍으로 전제하고 이들을 관리와 통제의 대상으로 보며 주류 문화권의 지배를 지속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필자는 다문화사회의 공존을 위해서 나와 타자화시켜 온 문화권의 사람들이 동등한 구성원이라는 공감과 연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주장한다. 나아가, 국민국가 체제의 안과 밖 경계에서 자유로워진다면, 다양한 문화권의 공존이 보다 안정적이고 성공적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필자는 다문화사회의 규범으로 새로운 민주주의 담론의 하나인 탈경계의 인민, 즉 다중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다중은 전 세계적으로 네트워크되어 있으나 단일한 동일성으로 환원될 수 없고 다양성과 개별적 독특성을 갖는 능동적 주체이다. 경계의 인민으로부터 탈중심, 탈경계의 다중으로의 전환은 다문화사회에 대한 문제 인식과 함께 다문화주의 담론의 확장을 위한 기회를 갖기 위함이고, 보다 근본적으로는 근대 국가의 배타적 보편성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 KCI등재

        국제기구와 시민사회: IMF의 민주화에 관한 시론적 고찰

        이화용 고려대학교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017 평화연구 Vol.19 No.1

        This article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role of civil society in the democratization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hich have become more powerful in scale and influence in the 21st century, are no longer blind spot of democracy. Elaborating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 necessity of democracy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 intend to identify what and how civil society should do for the improvement of accountability and participation, which are the core of its democratization. Based on these theoretical arguments, this article explores the activities and roles of civil society for democratization of the IMF. The IMF has been criticized for its undemocratic governance and decision-making process. I argue that civil society as a public sphere may play a significant role of being the transmission channel to connect the IMF with people and contribute to opening up a path for the IMF’s democratization. Also, pointing out the limits of civil society, this article reflects on the tasks of civil society in democratizing the IMF. 국제기구의 민주화란 국제기구에 더 많은 사람들의 의사와 이해관계가 반영될 수 있는 대중통제 시스템이 작동하는 것을 말한다. 21세기 들어 규모와 영향력에서 큰 정치적 권력을 갖고 있는 국제기구는 더 이상 민주주의 사각지대가 아니다. 국제기구의 민주화는 비민주적인 국제기구의 내부구조에서 이루어지기 힘들고 적합하지도 않다. 이런 이해 속에서, 본 논문은 국제기구 민주화의 추동 세력으로 시민사회에 주목하고, 시민사회의 민주화를 위한 역할을 정당화할 수 있는 몇 가지 이론적 입장을 살펴본다. 이들 입장이 제시하는 공통적인 논지는 새로운 공적 영역으로서의 시민사회의 위상이다. 시민사회의 역할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기반으로, 본 논문은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한 시민사회의 활동과 역할을 고찰한다. IMF는 세계은행과 세계무역기구 등의 자유주의 경제기구 중 민주화 정도가 가장 낮다. 본 논문은 민주주의 결핍이 심한 IMF에 대한 시민사회 활동이 IMF의 민주화에 미친 기여와 한계를 밝히고 지속가능한 시민사회의 역할을 위한 향후 과제가 무엇인지 성찰한다.

      • KCI등재
      • KCI등재

        Evaluation of Centres for Migrant Youth in Seoul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Korean-Chinese Migrant Youth

        이화용 한국지리학회 2023 한국지리학회지 Vol.12 No.1

        As diverse migrants and cultures flowed into Korean society amid globalizat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eclared a transition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formed government-led multiculturalism. In this context,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in the public school system.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migrant youth affected the need for centres for migrant youth.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stablishment and role of centres for migrant youth in local communities.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is spread through multicultural policies and can cause exclusion against certain migrant groups. Amo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jects implemented as part of multicultural policies, I pointed out that centres for migrant youth have set a goal of integrating migrant youth into mainstream society as good citizens. Furthermore, by suggesting that centres for migrant youth can be sites of connections where migrant youth, centres and local communities are linked, I highlighted that centres for migrant yout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achieving the ultimate goal of multiculturalism that both migrant youth and native Koreans pursue equal lives as a member of society.

      • KCI등재

        분위수 회귀분석을 이용한 ISO26000의 핵심요소가 카지노기업의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

        이화용,김상혁 대한경영정보학회 2013 경영과 정보연구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ISO26000의 핵심요소를 선행연구를 통하여 카지노 기업 에 적합한 ISO26000의 핵심요인을 도출하고, 둘째, ISO26000의 핵심요소별 조직신 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며, 마지 막으로, ISO26000의 핵심요소가 조직신뢰의 정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 위수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카지노기업의 CSR 경영 정책 수립과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ISO26000의 측정항목을 7개(환경, 인권, 지배구조개선, 공정 운영관행, 노동관행, 공동체사회경제발전, 소비자이슈)를 도출하였고 설문조사를 통 해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요인분석결과 ISO26000의 측정항목을 7개 중 지배구조개선과 공정운영관행은 하나의 요인(지배구조 및 공정운영)으로 단순화 되어 6개의 요인을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권을 제외한 나머지 5개의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분위수 회귀분석의 결과, ISO26000 핵심요소 중 인권과 공동체사회경 제발전을 제외한 4가지 핵심요소는 종사원의 조직신뢰 수준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카지노기업이 지속경영을 위한 CSR경영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여 조직신뢰를 높이기 위해 종사원의 조직신뢰수준에 따라 CSR경영방안을 다르게 모색하고 그에 맞는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제국과 도시국가, 인민주권의 태동: 역사적 맥락의 마르실리우스

        이화용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0 OUGHTOPIA Vol.35 No.2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popular sovereignty in Marsilius, who is a late 13th- and 14th-centuries thinker. Through this, I intend to explicate the popular sovereignty in Marsilius and its current implications. According to Marsilius, the sovereign authority, which is the legislative authority in the political community, lies with the whole body of citizens or people. The whole body of citizens is described as a universal political actor who contributes to the existence of a political community that makes a good life in both material and moral sense possible. Marsilius’ understanding of the people stems from a strong challenge to the Pope who destroys the peace of the political community. Marsilius understands the people as universitas through political unity with which to encompass the empire, the city state, the emperor and the citizens. In contrast, in contemporay politics, popular sovereignty seems to be sometimes used as a political tool for distorted populism or partisan politics. Through the exploration of Marsilius’s conceptualization of popular sovereignty in historical context, it is expected to have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current state of popular sovereignty today 이 논문은 마르실리우스 사상을 통해 14세기 인민주권론이 등장하는 정치적 환경과맥락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마르실리우스의 인민주권의 함의와 현재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마르실리우스에 의하면, 정치공동체의 최고의 권위인 입법적 권위는 전체시민 혹은 인민에게 있다. 전체 시민은 물질적으로, 도덕적으로 좋은 삶을 가능케 하는정치공동체의 존속에 기여하는 보편적 정치행위자이다. 마르실리우스의 인민에 대한이해는 정치공동체의 평화를 와해시킨 교황에 대한 강력한 도전에서 비롯되었다. 마르실리우스는 제국과 도시국가, 황제와 시민을 대립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그들을 아우르는 정치적 통합 속에서 보편적 존재로서인민을 개념화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현대 정치에서 인민주권론은 때로 왜곡된 포퓰리즘 혹은 당파 정치의 도구로 사용되고있는 듯하다. 역사적 맥락에서 제시된 마르실리우스의 인민주권론의 탐색을 통해, 오늘날 인민주권론의 현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