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치젼〉과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의 상관관계 연구

        전은경(Jun Eun-kyung) 한국현대문학회 200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3

        본 논문에서는 〈국치젼〉을 축자적 번역이 아닌 최초의 장기 신문연재번안 소설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논의를 전개했다. 『대한매일신보』는 국문판 “쇼셜란”에 독립과 애국심을 돋우기 위한 한국의 역사전기물 소설과 문명개화를 배우기 위한 서양 문물 번안소설을 싣게 된다. 이는 애국과 문명개화를 소설이라는 장르를 통해 이루겠다는 『대한매일신보』의 의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연재되기 시작한 〈국치젼〉은 일본의 문명 사상가인 후쿠자와 유키치의 삶과 상당수 유사한 내용이 담겨 있다. 연설 속의 사상이나 전개되는 사건이 매우 유사하며 동시에 일본 사회 풍토의 모습 역시 담겨 있어서 이 〈국치젼〉은 후쿠자와 유키치의 삶을 허구적 전기로 꾸민 모본을 대상으로 번안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후쿠자와 유키치의 『서양사정』과 『문명론지개략』의 내용이 상당수 포함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치젼〉 후반부에 전개되는 “유람잡지”와 “개화 연설”은 유길준의 『서유견문』의 내용이 그대로 들어있거나 축약된 형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국 이것은 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사상과 유길준의 『서유견문』이 결합된 형식이라 할 수 있다. 즉 전반부는 일본의 모본을 참고하여 번안하여 나갔을 확률이 높으며 후반부는 유길준의 『서유견문』을 번역자의 사상과 의지로 그 모본과 다르게 전개해 나갔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치젼〉은 일본적이면서도 한국적인 요소를 담아 한국적 전통과 서양적 혹은 일본적 문명 사상이 접목되어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대한매일신보』가 주장한 서양의 문명개화 사상이 내부의 전통적인 토대와 만나 새로운 서적으로 창출되었으며, 이러한 “한국의 새서적”에 대한 욕구가 〈국치젼〉이라는 새서적을 탄생시켰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국치젼〉이라는 번안소설의 의의이자 “한국의 새서적”으로서의 의의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studied about 〈Kukchi-Jeon〉(국치젼) that was the first long-term adapted novels in the modern newspaper. This thesis focused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Kukchi-Jeon〉(국치젼) and Hukuzawa Yukichi(福澤諭吉). 〈Korean daily news〉(대한매일신보) published "the novels column" where were korean historical novels and western adapted novels. The former was in order to inspire Chosun's people with the spirit of patriotism. The latter was for introducing the modern 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This showed an indomitable will of 〈Korean daily news〉 that was eager to attain their ambition, the patriotism and the modern civilization through a genre of novel. 〈Kukchi-Jeon〉(국치젼) run a serial for about one year in the national news paper, 〈Korean daily news〉. For all that, a hero of 〈Kukchi-Jeon〉(국치젼), Kukchi was very similar to Hukuzawa Yukichi who was a man of modern thought in the Japan. Kukchi's behaviors and eloquences in the oratorical meeting were analogous to Hukuzawa's. Therefore 〈Kukchi-Jeon〉(국치젼) was quite within the realms of possibility that 〈Kukchi-Jeon〉 was adapted to the original text that converted Hukuzawa's life into a Fiction. Although 〈Kukchi-Jeon〉 included 〈the Occidental Circumstances〉(西洋事情) and 〈an epitome of theory about civilization〉(文明論之槪略) of Hukuzawa Yukichi, its latter half part, "a excursion magazine" and "a enlightened speech" included a partial Yu Gil-jun's 〈Seoyugyunmun〉(西遊見聞). Ultimately 〈Kukchi-Jeon〉 is a form combining Hukuzawa's civilization thought with Yu Gil-jun's 〈Seoyugyunmun〉(西遊見聞). Namely, the former part was connected with civilization thoughts in Japan and the latter part was related with Yu Gil-jun's thoughts by adapter's will including creative part. Consequently, 〈Korean daily news〉 created 〈Kukchi-Jeon〉 as "new book in the modern Chosun" in proportion to compound occidental civilization thoughts and inner traditional foundation in Chosun. This is the significance of 〈Kukchi-Jeon〉 as adapted novels and "new modern book" in Chosun.

      • KCI등재후보

        여훈서에 나타난 여성의 몸- 후쿠자와 유키치의 『여대학평론』을 중심으로

        김미영 한국여성철학회 2008 한국여성철학 Vol.9 No.-

        I'd like to review how the subjection of women is represented in <Onna Daigaku>, and how Hukuzawa Yukichi criticizes it through discourses on the body of women. Womanly virtue discussed in the past times, discipline of the body of women was important. Also, Hukuzawa Yukichi, who asserts Japanese modern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through the criticism of confucianism, emphasizes women's new awakening of their bodies as independent ones to be civilized. Because the principle of three obediences in confucianism means that a woman cannot be a master of herself. But I think even in his portrait of an independent woman he still has a controlling way of the body of a woman from the viewpoint of a modern nation. Because his <Nihon Hujinron> said that the reason a woman should be independent is to improve the Japanese race. Therefore, in this paper, I examined standpoints of how the body of a woman has been represented in a period of transition from the traditional age to the modern one through Hukuzawa Yukichi's criticism of The Book of Women's Education.

      • KCI등재

        공화주의의 시민적 덕의 관점에서 본 양계초(梁啓超)의 ‘공덕’(公德)

        이혜경(Yi, Hye-G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 Vol.46 No.-

        본고는 근대국가를 구상하면서 ‘덕’(德)의 고취를 핵심으로 한 양계초의 논의가 현대 공화주의 시각에서 볼 때 어떤 의미를 갖는지 검토했다. 특히 ‘지’(智)를 ‘문명’의 길을 열어줄 열쇠로 여겼던 후쿠자와 유키치와의 비교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일본과 비교되는 중국적 특수성이 어떻게 근대화의 구상에 반영되었는지를 보았다. 후쿠자와는 지의 발달과 이로 인한 자유의 성취가 문명이라고 생각했다. 국민의 지력이 성장하면 공공영역에서 발휘되는 개인의 덕, 즉 공덕(公德) 역시 지에 의지해 성장한다고 전망했다. 한편 그는 중국의 정체성을 ‘사덕’(私德)으로 상징하게 하고, 이를 비문명의 특징이라고 폄하했다. 후쿠자와를 통해 문명론을 학습한 양계초는 후쿠자와의 중국비판을 일면 수용하면서도, 후쿠자와가 비문명의 특징으로 비하했던 ‘사덕’을 ‘공덕’의 근원으로 선택했다. 즉 개인이 사적인 이익을 넘어 공공선을 위해 행동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써, 중국이 갖고 있던 자원인 유학을 불러온 것이다. 이로써 양계초는 국력의 집결이라는 긴급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지만, 그럼으로써 공화주의적 공공선 추구 이전에 전제되어 있는 개인의 자유와 평등한 권리를 사상하게 된다. 그러므로 양계초의 공덕을 바로 공화주의의 시민적 덕성과 연결시키기는 어렵지만, 그의 시도는 시민적 덕성의 함양에 유학적 덕이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거기에 동반되는 위험성에 대해 검토해 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Republicanism, Liang Qichao’s focus on the promotion of ‘virtue’ in his conception of the modern state. In particular, by comparing his stance to that of Hukuzawa Yukichi, who regarded ‘intellect’ as the key for civilization, the uniquely Chinese vis-a-vis Japanese characteristics present in Liang’s conception of modernism are identified. Hukuzawa regarded civilization to be the achievement of freedom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tellect, and predicted that growth in the intellect of the public would be accompanied by growth in individual virtue in the public sphere ? in other words, public virtue ? which was also based on intellect. In relation to this, it was maintained that the identity of the Chinese could be symbolized by ‘private virtue’, which he disparaged as a characteristic of an uncivilized society. Liang Qichao, who studied Hukuzawa’s theory of civilization, adopted some of Hukuzawa’s criticisms of China; however, in contrast to Hukuzawa’s disparaging view, he chose to regard ‘private virtue’ as providing the foundations of ‘public virtue’. In other words, he utilized Confucianism ? a resource that the Chinese already had ? as a tool which generated individual actions that went beyond individual interest and were done for the greater good. In doing so, Liang could hope for the swift realiz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national power, which was urgently required. Yet, this also meant the denial of individual right to freedom and equality which, according to Republicanism, must be a prerequisite for attaining the greater good. Therefore, while it is difficult to make a connection between the public virtue of Liang Qichao and the civic virtue of Republicanism, it may be argued that Liang’s discussions of public virtue demonstrate the contributions that Confucian virtue may make towards the cultivation of civic virtue, and the dangers that may accompany such an attempt.

      • KCI등재

        후쿠자와 유키치의 번역과 외국지명의 한자 표기 연구

        변상숙 ( Byun Sang-suk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7 日本語敎育 Vol.0 No.82

        In connection with Fukuzawa Yukichi’s view of transl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Kanji notation in his books written in the early Meiji Era, and compared it with that in other documents. First, place names translated into the same Kanji notations are found in all of Fukuzawa Yukichi’s books, among place names that had comparatively long been translated into Kanji. Second, in each book, translation of one place name into two or three Kanji notations shows the intention to gather various notations together; and on the other hand it demonstrates the view of translation trying to reflect the diversity of Kanji notation. Third, the place names translated by coining Kanji characters represent a positive aspect that it enabled early modern Japanese people to have easy access to the Western world. On the other hand, it shows limitations that the Kanji notations that were coined by excessively relying on the colloquial style did not play a proper role as Kanji characters representing the place names. Fourth, the comparison shows that the two documents have relatively similar notation pattern. However, since there is mixed use of Japanese-style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style of Chinese characters even in the same document depending on the translator, it confirms the transitional period of natation of place names.

      • 근대 초기 일본의 문명 개념 수용과 그 세속화

        박양신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8 개념과 소통 Vol.0 No.2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the adoption, in the early period of Japanesemodernization and secularization, of the concept of civilization originating in theWest, and how the use of the translated term spread to the common people. The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civilization and modernization of Japan istherefore addressed. First of all, it considers how the word ‘civilization’was translated into Japanese;while civilization was initially translated as ‘Bunmeikaika(文明開化),’‘Bunmei(文明)’and ‘Kaika(開化),’‘Bunmei’eventually overwhelmed the other terms, andsettled in Japanese society. Also examined is the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civilization by Japaneseintellectuals, particularly Hukuzawa Yukichi and fellow Meirokusha members. Intellectuals, including Hukuzawa, recognized that civilization is the highest stagein the development of human history, and has its own universality. In addition,according to them, civilization is a process of advancing out of savageness, withthe advancement of intelligence for energy. Furthermore, it centers on theadvancement of human comfort and dignity. Eventually, their purpose, concretelyspeaking, is to aim toward the Western model. This concept of civilization is secularized further as it spreads to the commonpeople. Through the textbook of the world geography, civilization is regarded asthe opposite concept of savageness. And the formula is formed that civilization isto the West as savageness is to Africa.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civilization included in the book for popular enlightenment is filled with thecontents informing the government’s reform policy. Therefore, it implies that theamelioration of customs and the policy of modernization are equal to‘civilization.’The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the concept of civilization in the early period ofJapanese modernization is that it is highly appreciated as a very positive value. Itsuggests that the concept of civilization at that time supported the process ofmodernization by which Japan had propelled to establish modern nation, with itstarget the West. 이 논문은 근대 초기 일본이 서구로부터 수용한 문명 개념과 그것이 일반에 전파되어 세속화되는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문명 개념과 근대화의 관계에 대한 시사를얻어 낼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영어의 civilization이 일본에 수용되어 어떠한 용어로 번역되었는지를 검토한다. 일본에서 civilization은‘문명개화’,‘문명’, ‘개화’등으로 번역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이중‘문명’이 다른 용어를제압하고 일본 사회에 정착하게 된다. 이어서 지식인들의 문명 개념 인식을 후쿠자와 유키치와 메이로쿠샤 동인들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후쿠자와를 비롯한 지식인들에게‘문명’은 우선 인류의 발전단계에서 최고에 위치하는 단계로서 하나의 보편성을 가진 개념으로 인식되었다. ‘문명’은 지(知)의 진보를 원동력으로 하여‘야만’의 단계를 탈각하여 진보하는 과정이며, 인간의 안락과 품위의 진보 상태로서 그 목표는 구체적으로‘서양’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이런 문명 개념은 일반인에게로 전파되는 과정에서 보다 더 세속화된다. 세계지리서를 통해 문명은 야만의 대칭 개념으로 인식되고, 더 나아가‘문명-서구/야만-아프리카’라는 식으로 시간적 단계가 지리적 공간과 결합된 형태로 인식되게 된다. 한편 대중계몽서 속의 문명은 정부의 개혁정책을 홍보하는 내용으로 채워져풍속개량과 근대화 정책이 바로‘개화(civilization)’라는 인식을 성립시켰다. 이와 같은 일본 근대 초기 문명 개념에서 특징적인 것은 문명이 대단히 긍정적인가치로서 칭양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당시의 문명 개념이 바로 서양을 목표로 근대 국가 수립을 추진해 가고 있던 일본의 근대화 과정을 뒷받침하고 있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적생조래(荻生徂徠)와 통신사 -조래(徂徠) 조선관의 형성과 계승에 주목하여-

        이효원 ( Hyo Won Lee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3 No.-

        본고는 18세기 일본의 사상가 적생조래(荻生徂徠)가 통신사, 나아가 조선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의 소라이 연구가 주로 일국사적(一國史的)인 관점에서 사상(思想)을 탐구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진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라는 맥락에서 상대화함으로써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소라이의 독특한 면모를 몇 가지 밝혀낼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소라이가 통신사에 대해 적대감 내지는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는점이다. 소라이는 자기 학파의 위상을 확립하기 위해 통신사의 시를 극렬하게 비판하였으며, 조선이 문학적 역량으로 일본을 굴복시키려 한다는 왜곡된 인식을 드러냈다. 두 번째는 소라이가 통신사를 폄하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통신사에 대한 선망을 지니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중화문명에 대한 동경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조선이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무력에 굴복하였으며 통신사가 일본에 조공을 바치러 온 것이라는 왜곡된 역사인식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당대 일본 지식인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던 자국중심주의와 상통한다. 세 번째는 소라이의 조선에 대한 왜곡된 인식이 소라이 학파 내부에서 계승되어 간 점이다. 1763년 통신사와 논쟁을 벌인 구정남명(龜井南冥)에게서 이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복택유길(福澤諭吉)에게까지 이어져 근대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는 근거로 작용하였다. In this paper I try to research what idea Ogyu Sorai(荻生徂徠) had about Tongsinsa(通信使) and Chosun(朝鮮). Until now, most studies of the Sorai are research of thought on a national history. But I try to search some peculial side of Sorai on a East Asia History. This point of view, first, Sorai had hostility or prejudice on the Tongsinsa. Sorai severely criticized chinese poetry of Tongsinsa, and he had distorted recognition that Chosun try to bring Japan to knees. Second, Sorai disparaged Tongsinsa, on the other hand, longed for Tongsinsa. It is originated from Chinese ancient civilization. Also he think that Chosun gave in force of Toyotomi Hideyoshi(豊臣秀吉) and have distorted perception of history that Tongsinsa come to pay tribute to Japan. It is similar to the nationality which most of Japan intellect have in The Edo(江戶) period. Third, Sorai`s distorted perception of Chosun succeed to a school of Sorai. We confirm it at the dispute between Kamei Nanmei(龜井南冥) and Tongsinsa. Sorai`s perception is also succeed to Hukuzawa Yukichi(福澤諭吉) and be based of invasion of Chosun.

      • KCI등재

        진보 개념의 수용과 근대 일본 - 역사, 정치의식의 전환을 중심으로 -

        박양신 일본사학회 2009 일본역사연구 Vol.29 No.-

        This thesis is to study the process by which[how] the Western concept of progress was accepted in the early period of Modern Japan. Thus are shown the aspects of how the concept of progress changed time-consciousness (historical consciousness) in Japan, spread across the whole range of Japanese society, and made the new political composition in Japanese politics. The term of 'Shinpo'(進步) had already been used with the meaning of advancement from the time before Modern Japan. Since the modern period, the modern concept of progress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accepting the Western concept of progress by Hukuzawa Yukichi and Taguchi Ukichi. The concept of progress established in the early period of Modern Japan was somewhat combined with the concept of civilization. For the connotation that the progress implies what advances toward civilization was so apparent. The spread of the concept of progress which has such connotation was partly due to several enlightenment books promoting civilization and the concept of 'evolution' in the process of accepting evolution theory. The concept of progress functioned as an axis[a pivot] for creating the new political composition in the middle of reorganization into the modern system of Japanese politics. That is, a new political composition consisting of two sides; progress and conservatism was created, by which one side promoting reformation toward civilization is called 'progress', whereas the other one not activating such enterprise is called 'conservative' What has clearly been revealed so far is that the concept of progress in the early period of Modern Japan was inextricably linked with civilization and showed the strong orientation toward civilization. The direct advancement toward civilization is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viewpoint of history, whereas the reformation toward that direction can be called progress in politics. This was shared by both government and political parties. This is just the evidence how enthusiastically Japanese society had desire to be civilized in the formation period of modern nation.

      • KCI등재
      • KCI등재

        여산 류병덕의 ‘원불교 실학론’

        조성환(Jo Sung-Hwan)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4 No.-

        지금까지 ‘실학’ 개념은 주로 서구 근대적인 실용성이나 실증성과의 관련속에서 이해되어 왔고, 실학자의 범위도 조선후기 유학자들로 한정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근대적인 의미의 ‘실학’ 개념은 조선후기 사상가들의 것이라기보다는 후쿠자와 유키치(1835~1901)의 ‘과학으로서의 실학’ 개념을 암암리에 차용하여 조선후기사상사 서술에 적용한 것에 불과하다. 이에 반해 류병덕은 1930년대의 정산 송규의 ‘실천 실학’ 개념을 단서로, 조선후기의 실학을 ‘이론실학’으로 규정하고, 구한말의 안창호나 백용성 그리고 원불교를 이론실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 ‘실천실학’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의미의 실학, 즉 실천학으로서의 실학 개념이야말로 사실은 조선후기 사상가들이 말하는 ‘실학’ 개념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류병덕의 실학 개념은 원래의 실학 개념으로 되돌아가도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조선후기사상가들은 어디까지나 도덕실천이라는 유학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제도개혁을 주장하였는데, 그런 점에서는 원불교에서 말하는 “도학과 과학의 병진”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류병덕의 ‘원불교실학론’은 기존의 ‘실학자=유학자’라는 편협한 도식에서 벗어나서 ‘실학’의 층위와 범위를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세분화하고 다양화해야 할 필요성을 촉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silhak)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has been mainly dealt with reference to Western modernity, and its scope has been limited to Korean Confucianism in the late Choson Dynasty. This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as a modern science might have come from Hukuzawa Yukichi (1835~1901) in Japan rather than Korean Confucianism in the late Choson Dynasty. Song Gyu, the second leader of Won-Buddhism in the 1930s, suggested that Won-Buddhism is a Practical Learning of action, that is, Practical Learning as a moral practice. Ryu Beong-deok in the 1990s, developed Song Gyu’s suggestion. and argued that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Choson Dynasty is a theoretical Practical Learning. In fact, the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Choson Dynasty is the same as Song and Ryu’s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Confucianists in the late Choson Dynasty pursued political reform based on moral practice. This is similar to the theory of the pursuit of both Dao Learning and science in Won-Buddhism. The Theory of Practical Learning in Won-Buddhism by Ryu Byeong-deok suggests that we should extend the scope and range of Practical Learning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 근대 초기 일본의 문명 개념 수용과 그 세속화

        박양신 ( Yang Shin Park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8 개념과 소통 Vol.0 No.2

        이 논문은 근대 초기 일본이 서구로부터 수용한 문명 개념과 그것이 일반에 전파되어 세속화되는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문명 개념과 근대화의 관계에 대한 시사를 얻어 낼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영어의 civilization이 일본에 수용되어 어떠한 용어로 번역되었는지를 검토한다. 일본에서 civilization은 `문명개화`, `문명`, `개화` 등으로 번역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이중`문명`이 다른 용어를 제압하고 일본 사회에 정착하게 된다. 이어서 지식인들의 문명 개념 인식을 후쿠자와 유키치와 메이로쿠샤 동인들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후쿠자와를 비롯한 지식인들에게 `문명`은 우선 인류의 발전단계에서 최고에 위치하는 단계로서 하나의 보편성을 가진 개념으로 인식되었다. `문명`은 지(知)의 진보를 원동력으로 하여`야만`의 단계를 탈각하여 진보하는 과정이며, 인간의 안락과 품위의 진보 상태로서 그 목표는 구체적으로 `서양`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이런 문명 개념은 일반인에게로 전파되는 과정에서 보다 더 세속화된다. 세계지리서를 통해 문명은 야만의 대칭 개념으로 인식되고, 더 나아가 `문명-서구/야만-아프리카`라는 식으로 시간적 단계가 지리적 공간과 결합된 형태로 인식되게 된다. 한편 대중계몽서 속의 문명은 정부의 개혁정책을 홍보하는 내용으로 채워져 풍속개량과 근대화 정책이 바로 `개화(civilization)`라는 인식을 성립시켰다. 이와 같은 일본 근대 초기 문명 개념에서 특징적인 것은 문명이 대단히 긍정적인 가치로서 칭양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당시의 문명 개념이 바로 서양을 목표로 근대 국가 수립을 추진해 가고 있던 일본의 근대화 과정을 뒷받침하고 있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the adoption, in the early period of Japanese modernization and secularization, of the concept of civilization originating in the West, and how the use of the translated term spread to the common peop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civilization and modernization of Japan is therefore addressed. First of all, it considers how the word `civilization` was translated into Japanese; while civilization was initially translated as `Bunmeikaika(文明開化),` `Bunmei(文明)`and `Kaika(開化),` `Bunmei`eventually overwhelmed the other terms, and settled in Japanese society. Also examined is the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civilization by Japanese intellectuals, particularly Hukuzawa Yukichi and fellow Meirokusha members. Intellectuals, including Hukuzawa, recognized that civilization is the highest stage in the development of human history, and has its own universalit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m, civilization is a process of advancing out of savageness, with the advancement of intelligence for energy. Furthermore, it centers on the advancement of human comfort and dignity. Eventually, their purpose, concretely speaking, is to aim toward the Western model. This concept of civilization is secularized further as it spreads to the common people. Through the textbook of the world geography, civilization is regarded as the opposite concept of savageness. And the formula is formed that civilization is to the West as savageness is to Africa.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civilization included in the book for popular enlightenment is filled with the contents informing the government`s reform policy. Therefore, it implies that the amelioration of customs and the policy of modernization are equal to `civilization.`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the concept of civilization in the early period of Japanese modernization is that it is highly appreciated as a very positive value. It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civilization at that time supported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by which Japan had propelled to establish modern nation, with its target the W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