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거동의의 본질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현대적 의의

        이흔재(Lee, Hun-Jae) 한국형사법학회 2016 刑事法硏究 Vol.28 No.1

        우리 형사소송법에서 증거동의 규정의 본질에 관한 논의는 증거법의 체계와 관련하여 아직 현재 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다. 다수설은 동의의 본질을 반대신문권 포기라고 보아 전문증거만을 동의의 대상으로 한정하고 있다. 따라서 물건과 피의자신문 조서는 동의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러나 이런 해석은 법문의 문리적 해석에 반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무에 있어서 물건과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한 동의가 이루어지고 있어 법이론과 법현실의 괴리가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괴리현상에 대한 이 론적 규율이 불가능하여 전문증거이외의 증거에 대하여는 판례법의 영역으로 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동의규정의 본질에 대한 역사적 해석을 시도하여 보았다. 동의규정은 과거 대정 일본 형사소송법의 제정시 처음으로 입법화되었다. 입법과정의 자료를 검토해보면, 일본은 영국의 당사자 대립구조의 처분권주의에 착안하여 동의규정을 변용하여 직접주의의 예외로 도입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 규정이 해방 후 우리나라의 형사소송법 제정과 함께 직접주의의 예외로 계수된 것이다. 그 후 군사혁명정권에서 형사소송법을 개정하면서 일본으로부터 전문법칙을 도입하면서 통설은 동의규정은 전문법칙의 예외규정이며 그 본질은 반대신문권의 포기라고 해석하게 된 것이다. 역사적 해석과 문법적 해석에 비추어 볼 때, 동의의 본질은 처분권주의에 가깝다. 그러나 법문상 당사자가 증거에 동의하더라도 ‘법원에서 진정하다고 인정하여야 증거로 할 수 있다’고 하여 직권주의적 요소를 두고 있어 당사자에게 증거에 대한 완전한 처분권을 부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처분권주의에 대한 제한적 해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물건과 피의자신문조서를 증거의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현대사회에는 새로운 유형의 증거, 즉 디지털 증거가 등장하게 되었고, 법현실에서는 디지털 증거, 예를 들면 전자녹음기, 사인 작성의 컴퓨터문서 등에 대한 증거동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위 증거들은 종래의 전통적인증거와는 다른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진술증거이면서 물적증거라는 이중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조작이 용이하고 취약하며 원본과 동일한 사본이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원본과의 동일성, 진정성, 무결성의 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반대신문권 포기설은 이러한 디지털 증거에 대한 동의에 있어서 아무런 해답을 줄 수 없다. 진정성의 문제는 반대신문권의 포기와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동의규정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해석론이 필요한 시기이다. Discussion of the nature of the evidence consent provisions of our Code of Criminal Procedure,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evidence law, is still progressive. The existing majority theory says, the Article 318 of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is related only to hearsay evidences. They say, the basis of agreement system of evidence is to give up of confrontation right by parties. However, such an interpretation, has a disadvantage which is contrary to the grammatical interpretation of the code because it excludes a protocol in which the investigative agency recorded a statement of a defendant, or ‘thing’ that is provided in express terms in the article 318 from object of consent. In addition to, it is inappropriate to the reality of law. Paying attention to these problems, the author tried to attempt a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consent provisions. The provision of the agreement was first enacted at the time of Taisho Japanese Code of Criminal Procedure. Japan was focusing on the principle of right to disposal of the United Kingdom’s adversary system and introduced as exception of “Unmittelbarkeitsgrundsatz”. In the light of the literally and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law, the nature of the consent provisions is similar to the principle of disposal right. However, on the letter of the code, even if the parties are in agreement to evidence, it can be used as evidence by judge’s approval of authenticity, which is the elements of the inquisitorial system. The parties have not granted the full disposal rights of the evidence. Ultimately, the essence of the consent is the parties, in particular the accused’s conduct in procedure which allows the admissibility for evidence and if it passes through the authenticity of examination of the court,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has admissibility of evidenc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was supposed to be new types of evidence appeared in modern society. For example, recording tape, digital evidence may be mentioned. They have the character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evidence. The characters are the vulnerability, variability and duplication. Therefore, the integrity issue has emerged as a new problem. The majority theory can not give any answer them. In this respect, it requires a new interpretation theory for the nature of consent provisions.

      • KCI등재

        예비교사에게 사료란 무엇인가?:객관성, 사실, 그리고 증거

        李美薇(Lee, Mimi),朴芝媛(Park, Jee-won) 역사교육연구회 2017 역사교육 Vol.144 No.-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have been highlighted in history education as a way to move history lessons beyond fact memorization. With the focus on historical sources, the concept of evidence, as well as the skills of reading historical sources, has been emphasized in the literature and recent studies explored how students read, understand, and evaluate historical sources. However, teachers’ perception on what counts as historical sources has not been much explored. Since teachers design and enact history lessons selecting sources and creating activitie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how teachers conceptualize historical sources. This study analyzed 160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n what counts as historical sources based on survey data.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reservice teachers used four criteria in evaluating historical sources: ① pictures of past, ② facts, ③ media, ④ the way the given resource was constructed and the value of the given resource. When evaluating historical sources, preservice teachers showed reliance on naïve objectivity and their understanding of media was closely related to this notion of objectivity. It was not easy to locate sophisticated level of understanding of historical sources as evidence.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 possible future research topics and ways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evidence.

      • KCI등재

        이덕무의 청대고증학 수용

        권정원 ( Jung Won Kwon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8

        李德懋는 조선후기 博學으로 널리 알려진 학자이다. 그의 박학적 면모는 30대 이후보이는 고증학적 성향이 농후한 저술에서 확인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덕무의 학문 성향은 청대고증학의 영향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과연 그러한가? 이덕무는 20대 중반에 청대고증학자 黃宗羲를 접했고, 30대 전후하여 고증학자들의 서적을 열독하였으며, 30대 중반 이후의 저술에 적극 활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덕무가 청대고증학에 큰 관심을 가졌고, 그들로부터 영향 받았음은 틀림없다. 하지만 이덕무가 접한 청대고증학자는 黃宗羲, 顧炎武, 毛奇齡, 朱彛尊, 徐乾學으로, 이들은 청대 초기 고증학 형성기에 활동한 학자들이다. 청대고증학의 전성기에 활동한 戴震, 錢大昕, 章學成 등에 대한 언급은 그의 문집 어디서도 찾아볼 수가 없다. 이덕무는 청대고증학 전체의 흐름을 꿰뚫을 수 있는 입장은 아니었고, 다만 청대 초기 고증학의 일부만을 접하고 수용할 수 있었다. 이덕무는 청대고증학자 중 顧炎武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덕무가 열독한 서목과 인용한 내용을 통해 모기령, 주이준, 서건학 등의 영향도 적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학자들은 학문적 지향과 삶의 행적이 판이하다. 顧炎武가 대명의리를 지킨 절의의 인물이자 주자 학문을 옹호하는 측면이 강했던 반면, 毛奇齡은 청에 벼슬한 이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대명의리를 지킨 인물을 논박하기까지 했으며, 주자를 철저히 비판한 반주자학자였다. 이덕무는 대명의리와 주자 옹호적 입장을 중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모기령과 주이준의 박학과 고증학적 학문방법을 대단히 높이 평가하였다. 이는 이덕무가 청대고증학을 수용함에 있어서 ‘치밀한 考據를 바탕으로 한 考證學的 학문방법’을 중요시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덕무는 유년시절부터 名物學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고, 考據.辨證을 중요시 하는 학문 자세를 지녔으며, 20대 시절에는 鄭樵와 馬端臨을 본받아 백과사전식 類書를 만들고자 기획하기도 했다. 이는 이덕무가 청대고증학을 접하기 이전에 이미 名物度數學에의 깊은 관심과 고거.변증하는 학문방법을 가지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그리고 이덕무는 30대 전후하여 청대고증학을 수용하면서 특히 고증학적 학문방법에 깊은 공감을 보였는데, 이는 이덕무가 평소 지향하던 博學과 考據.辨證의 학문방법과 잘 맞아떨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이덕무 학문의 고증학적 성향은 청대고증학의 수용만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타고난 꼼꼼함과 유년시절부터 지니고 있던 명물도수학에의 관심과 고거ㆍ변증을 좋아하던 성향이 청대고증학의 수용과 결합되어 나온 결과라 이해하는것이 타당할 것이다. Lee Deok-Mu is a scholar well known for erudi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His erudite aspect is identified in his writings with a strong documental archaeological tendency in his 30s and thereafter. Lee Deok- Mu``s academic tendency as such has been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effects of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owever, is it really so? Lee Deok-Mu encountered Hwang Jon-Hee, a scholar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n his mid-20s and enthusiastically read the books of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ncluding Goh Yeom-Mu and cited the contents in his writings in his mid-30s thereafter. Therefore, the fact that Lee Deok-Mu was greatly interest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and enthusiastically read the books of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s indisputable. However,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encountered by Lee Deok-Mu were Hwang Jong-Hee, Goh Yeom-Mu, Mo Gi-Ryeong, Ju Ee- Jun, and Seo Geon-Hak who acted in the early part of the Qing Dynasty Period when documental archaeology was being formed. Mentions about Dae Jin, Jeon Dae-Heun, and Jang Hak-Seong who acted in the prime of documental archaeology in the Qing Dynasty Period cannot be found anywhere in the collection of his works. Given Lee Deok-Mu``s birth and death date, it is natural that the documental archaeology accessed by Lee Deok-Mu is part of the documental archaeology during the period of Qianlong in the early part of the Qing Dynasty Period. Therefore, although Lee Deok-Mu was greatly interest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and wanted to obtain and read the books of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e was not in a position to completely understand the stream of the entire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but could accommodate only part of the documental archaeology at the beginning of Qing Dynasty Period. Lee Deok-Mu is known to have been affected the most by Goh Yeom-Mu among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owever, though the titles of books enthusiastically read by Lee Deok-Mu and the contents cited by them, it could be identified that the effects of Mo Gi-Ryeong, Ju Ee-Jun, and Seo Geon-Hak were not small. However, the academic orientation and course of life of Goh Yeom-Mu /Seo Geon- Hak and those of Mo Gi-Ryeong/Ju Ee-Jun are completely different. Whereas Goh Yeom-Mu was royal to Ming Dynasty and strongly advocated neo- Confucianism, Mo Gi-Ryeong not only had been in government service for Qing Dynasty but also argued against those who were royal to Ming Dynasty and thoroughly criticized Chutzu. Despite that Lee Deok-Mu was royal to Ming Dynasty and regarded the position of advocating Chutzu as being important, he evaluated highly, the erudition and documental archaeological academic methods of Mo Gi-Ryeong and Ju Ee-Jun. This should mean that when Lee Deok-Mu was accommodating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e regarded important, the ‘documental archaeological academic methods based on elaborate historical evidence.’ It is said that Lee Deok-Mu had a habit to think over history for notes and seek for historical evidence for doubtful contents from when he was young, had wide knowledge as he read diverse books, in particular, had profound knowledge of studies of grass and trees, birds and beasts, mountains and rivers, and customs, and carefully sought for historical evidence and demonstrated when he was writing books. He planned to write encyclopedic books such as <Tongji> of Jeong Cho and, <Munheontonggo> of Ma Dan-Rim when he was young.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Lee Deok-Mu already had deep interest in and affected by speciality studies before he encountered Qing Dynasty Perioddocumental archaeology. When he was accommodating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n his 30s, Lee Deok-Mu deeply sympathized with documental archaeological methods in particular probably because these methods were well consistent with erudition and the academic methods of seeking historical evidence and demonstrating that he pursued at normal times. Therefore, the documental archaeological tendency of Lee Deok-Mu``s studies should be understood as a results from the combination of his meticulousness and tendency toward seeking historical evidence and demonstrating that he had from when he was young and his accommodation of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rather than just a result of accommodation of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 KCI등재후보

        心遠子 韓在濂의 학문과 문학에 대하여 - 18세기 송도지식인의 한 측면

        김승룡(Kim Seungry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2 No.-

          본고는 심원자 한재렴(1775~1818, 자 霽園)의 학문과 문학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송도학맥의 성장은 18세기에 와서 이루어지는 바, 徐敬德에서 비롯한 학맥은 趙有善, 韓敬儀, 馬游, 金憲基, 金天復을 지나면서 꽃을 피웠고, 한재렴은 林景翰의 글씨, 臨皐子의 그림과 함께 시로써 송도 3奇로 꼽혔다. 그는 한재렴은 『心遠子詩抄』(51제 122수),『讀書甲乙問對』, 『高麗古都徵』(7권 3책, 1850년경)을 남기고 있다.   한재렴의 생애를 결정지었던 만남이 두 차례가 있었으니, 하나는 연암과의 만남이고, 하나는 정조와의 만남이다. 그는 연암을 통해 漢學, 즉 고증학을 습득했고, 정조의 지우를 통해 문학적 재주를 인정받아 중앙무대에서 신진 문인들과 교유할 수 있었다. 특히 한학은 자신의 고향인 松都의 고적을 애상과 추억 속에 머물도록 하지 않았고, 나아가 고증을 통해 고적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수정하려는 모습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그 성과가 『고려고도징』이다. 또한 그는 春夏 속의 산거에서 마주한 일상을 그리움과 한가로움으로 그려내며 자신의 삶을 다독이기도 했다. 이런 시적 취향은 實事를 추구하던 학문적 취향과 닿아있을것이다.   송도는 조선시대를 통틀어 가장 소외된 지역 가운데 하나였지만 조선후기 학문과 문학의 개방성과 다양성을 설명하기 위해 지성사적 복권의 의미가 있으며, 한재렴의 학문과 문학은 그 磁場 안에 있던 생산물로 서, 18세기 송도지식인을 탐색하기 위한 포스트로서의 의미가 있다.   This is to discuss a study and literature of Simwonja Han Jaeryeom (1775~1818). In the eighteenth century, Songdohakmak (It is a community to study together) grew, and the community started from Seo Gyoungdeok became very popular through the age of Jo Yuseon, Han Gyoungui, Mayu, Kim Hungi, Kim Cheonbok. And with his poetry, Han Jaeryoem is one of the three eccentric people with Yim Gyounghan"s handwriting and Yim Goja"s paintings. Han Jaeryeom has left 『Simwonjasicho(心遠子詩抄)』, 『Dok- seogapeulmundae(讀書甲乙問對)』, 『Goryeogodojing(高麗古都徵)』.   He could meet two great people and the first was meeting with Yeonam and another was with King Jungjo. I could learn a scholar of Chinese classic which is ta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through Yeonam. He was acknowledged as a literary man through King Jungjo"s close friends and he could interchange his literary ideas with rising writers in the literary circles in the metropolis. Especially, as for a scholar of Chinese classic, he didn"t leave historical remains of his hometown Songdo in sorrow and remembrance and furthermore, it was developed to correct the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about the historical remains by studying historical evidence. And the product is 『Goryegodojing』. He also tried to comfort himself by describing his daily life as yearning and peacefulness inside the spring and summer mountain. This poetical taste would be in connection with his literary taste that chases the actual things. Songdo was one of the shunned plac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but Songdo is very meaningful of intelligent historical rehabilitation to explain the openness and diversi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and the study and literature of Han Jaeryeom are the products from a magnetic field, it has a meaning as post to investigate the Songdo intellectual people in the eighteenth century.

      • KCI등재

        역사에서 ‘증거’와 ‘설명’

        안건훈(Ahn Geon-Ho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2

        역사에서는 증거가 사료로서 매우 중요하다. 역사현상이나 사건을 주장하기 위해 그 논거로 증거를 제시 한다. 그러나 증거제시를 통한 주장은 삼단논법에서 후건긍정의 오류를 범하게 된다. 반박가능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과학명제가 그렇듯이 말이다. 그러나 그런 오류나 반박가능성을 지닌다 해서 증거의 역할이 축소되는 것은 아니다. 증거가 많으면 많을수록 역사에서의 주장은 그 확증가능성을 높혀 나간다. 이런 점에서 역사와 과학은 비슷한 면들이 있다. 서술방식이 과학에 비해 일상언어적인 표현이고, 가치성을 띤 평가와 도덕적인 비젼이 더 언급되는 경향이 있지만 말이다. 역사현상이나 사건을 규명하는데는 원인을 밝히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원인은 결과와, 이유는 행위와 각각 관련지어 논의되기도 하지만, 넓은 의미의 원인에는 이유가 포함된다. 본 논문에서는 넓은 의미로 원인을 사용한다. 원인에 의한 설명이면서 설명력이 있는 대표적인 모형으로 D-N형설명이 있다. 이는 자연현상이나 사건을 자연법칙, 일반법칙에 의해 포섭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설명형이다. 역사에서도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진술들을 찾아내어 그런 진술을 유사법칙(준법칙)으로 채택하면서, 역사현상이나 사건을 설명해 보자는 견해가 있다. 주류적인 견해는 아니지만, 역사를 과학화하기 위해서나, 방법론적 일원론이라는 관점에서는 나름대로 의의있는 견해라 여겨진다. A valid argument in deductive reasoning includes the claim that the conclusion follows from the premisses in the sense that the premisses logically imply the conclusion. However, historical evidences are not conclusive for historical views or theories. In the case of historical arguments, the conclusions are not deduced logically from their evidences. The argument through evidences is basically founded on the invalid one because it violates the fallacy of affirming the consequent in the syllogism. We accept the historical conclusion by the inductive reasoning based on evidences instead of deductive one. One of the most recent and influential explanations of history is the form of D-N explanation. The theory is especially associated with the name of C. G. Hempel. According to him, the genetic accounts given by historian are not purely nomological kind suggested by the examples from physics. But the D-N model can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phenomena. The explanatory role of history is basically nomological in character. Unfortunately, his arguments are not mainstream these days, although they are new, significant, and comprehensive.

      • KCI등재

        해방 전 기독교 선교사를 위한 조선어교육에 관한 기록의 발굴

        오대환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어 교육 Vol.22 No.3

        This research marks the initial step toward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ristian missionaries in the colonial period. There have been some discussion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ristian missionaries in the field of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Yet these do not go beyond mere conjecture, and there have not been any study which is supported by historical evidence. By using a meeting record, Annual Meeting of the Federal Council Protestant Evangelical Missions and a journal, The Korea Mission Field, both published by the Federal Council Protestant Evangelical Missions, this research managed to show that there in fact was a Korean “Language School” at least between 1920 and 1936. With the same materials, there search also made clear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Language School” and its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under went changes five times, as well as the text books used and their transform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this time is considered to have been terminated after 1942, when the Pacific War occurred and missionaries were chased away from Korean Peninsula.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after the liber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resumed for the missionaries returned to, and newly coming to, Korean Peninsula. It is also probable that this may have some connec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Yonsei University Korean Language Institute, where the so-called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rted.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to be done on this historical continuity.

      • KCI등재
      • KCI등재

        신학의 근거로서의 인간이성과 역사성에 대한 연구

        신성원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3 가톨릭신학 Vol.- No.43

        신학은 theos(하느님)과 logos(말, 이성)에 그 뿌리를 두고 믿을 바를 인간의 이성을 통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신학은 오랜 기간 동안 하느님에 대해서이야기하면서 인간이성으로 대표되는 서양철학의 언어와 사고를 토대로 신앙을 탐구하였다. 각각의 개인과 공동체가 같은 문화나 역사를 공유하지 않을수록, 또한 그들이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지 않을수록 신학을 하기 위해서이성적이라는 기준점에 대해서 고찰할 필요성이 생겨난다. 인간의 이성에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있을 수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신학의 근거가 되는인간이성에 대한 논의 중 역사성이 만들어 내는 역사를 신학이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를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인간이 지닌 역사성은 교회 안뿐만 아니라 밖에서도 역사를 대하는 인간의 태도를 살필 수 있기에 이 두 태도를 살피는 과정을 통해서 복음이 세상과 이성적으로 연결되는 또 다른 접점을 모색하기 위해서이다. 역사의 일반적인 특징들은 역사 서술들이 지니고 있는 관점들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그리스도인에게는 역사를 구원이라는 하느님의 초대로 이어지는 하나의 흐름으로 살피는 것이 익숙하지만역사를 우연적으로 바라보는 사관도 있으며, 역사를 하나의 흐름으로 파악하더라도 하느님이 아닌 다른 것을 그 중심에 놓고 생각하는 사관도 있다. 이 사관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서 역사가 신학의 근거가 되기 위해서고려되어야 할 역사의 특징들이 도출된다. 교회 안의 역사뿐만 아니라 교회밖의 역사 중 사실성이 뒷받침된 역사는 신학의 이성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 또한 역사가 신학의 논거가 되기 위해서는 역사 안에서 그 의미가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분석이 되어야 한다. 이 작업을 바탕으로 그 역사는 신학에확실한 타당성을 지는 논증에 명확한 이유를 제시하지 못하더라도 가능성있는 타당성을 지닌 논증의 토대가 될 수 있다. 사실성과 의미에 대한 분석은 역사가 신학의 논증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토대를 제시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되는 것 외에도 이성적으로 논증되는 논거의 폭을 넓힐 때 그리고역사 안에 담긴 사람들의 구체적인 삶과 상호작용 할 때 교회는 아직 교회안에 머무르지 않는 사람들과도 한 자리에서 복음의 희망을 함께 나눌 수있을 것이다. Theology is the study of faith through human reason, with its foundation in theos (God) and logos (word, reason). Theology has a long history of talking about God and exploring faith through the lens of humanity, that is, the language and thinking of Western philosophy. The more individuals and communities do not share the same culture or history, and the more they do not share the same time and space, the more it become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ference point of rationality in order to do theology. There are many different discussions of human reason. In this study, the discussion of human reason as a basis for theology will focus on how theology should view the history that historicity creates. The historicity of human beings allows us to examine human attitudes toward history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Thus, the process of examining these two attitudes toward history will allow us to explore another point of contact where the gospel can reasonably connect with the worl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istory can be seen through the perspectives of historical narratives. While Christians are accustomed to seeing history as a flow leading to God’s invitation to salvation, there are other views that see history as contingent, and others that see history as a flow but place something other than God at its center.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se perspectives reveal features of history that must be considered if history is to be a basis for theology. History, both within the Church and outside the Church, can be a rational basis for theology if it is supported by factual evidence. In addition, for history to be a theological argument, it must be analyzed in terms of how its meaning is handled in history and its factuality. Based on this work, the history can be the basis for an argument that has probable validity, even if it does not provide clear reasons for an argument that has definite validity in theology. By broadening the range of reasoned arguments, the church will be able to share the hope of the gospel with those who are not yet in the church.

      • KCI등재

        성령의 초월적 은사의 지속성을 위한 근거에 대한 연구

        유진열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6 영산신학저널 Vol.38 No.-

        There are two major views on the reality of the charismatic gifts of the Holy Spirit: cessationism and continuationism. The argument of the former is that the gifts were given by God during in a limited time, ended by the time of the closure of the canon, and thus are not in operation today. The cessationist’s view is grounded in the interpretation of 1 Corinthians 13:8-12, and in the authority and uniformity of prophecy. On the other hand, the continuationists view the disputed verses differently and regard such expressions as like ‘cease, perfect, face to face’ in them as closely related with the second coming of Jesus or the eschaton. They make a distinction between canonical prophecies and noncanonical ones, which are still in operation, and contend that the latter prophecy as a charismatic gift is possible anytime. In this situation, this thesis argues for the continuation of the gifts by suggesting three rationales; Biblical, theological, and historical. Appealing to the text of 1 Corinthians 13:8-12 as a proof-text for cessationism raises problems because of the uncertainty inherent in the verses. It seems more plausible to interpret them as indicating the end of the gifts in the second coming of Jesus, considering the whole context. Moreover, the Acts and the church history report that the Holy Spirit works in a consistent manner. In a theological perspective, God demonstrates novelty and consistency working through the Son and the Spirit for building up His church. Divine freedom and power make the gifts possible anytime. Historically, the church experiences the miracles performed by the Spirit. Motivated by the experience, Christians strengthen their feeble faith, demonstrate the power of serving the Lord and others, and have passion for spreading the gospel. These historical results function as a strong case for upholding the continuationist’s cause. 성령의 초월적 은사의 실재에 대한 두 가지 주요한 견해가 있다: 중단설과 지속설. 전자는 그 은사를 하나님이 한시적으로 부여했다고 하며, 정경이 확정되어 계시가 완성되면서 은사는 중단되어 더 이상 수여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중단론자의견해는 고린도전서 13:8-12에 대한 해석, 예언의 권위와 통일성에 근거하고 있다. 한편, 지속론자들은 문제가 되는 그 구절들을 다르게 해석하며, ‘그치다, 완전한, 대면하여’와 같은 표현을 예수의 재림이나 종말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간주한다. 그들은 현재도 나타나는 비정경적 예언(계시)을 정경적 예언과 구분하며, 초월적 은사인 비정경적 계시는 언제나 가능하다는 입장을 유지한다. 이 상황에서, 이 논문은 세 가지 근거를 제시하며 은사의 지속성을 제기한다: 성서적 근거, 신학적 근거, 역사적 근거. 고린도전서 13:8-12을 증거 자료로 삼는 중단설은 그 구절들에 내재한 불확실성 때문에 문제를 갖게 된다. 전체 문맥을 고려하여 해석한다면, 그 구절들은 오히려 주의 재림 시에 은사가 중단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 더 나아가, 사도행전과 교회 역사는 성령이 일관된 방식으로활동한다는 것을 보고한다. 신학적 관점에서, 하나님은 교회를 확고히 세우기 위해성자와 성령과 함께 역사하는 가운데 창조성과 함께 지속성을 드러낸다. 신적 자유와 능력은 그 은사가 언제든지 가능한 것으로 만들고 있다. 역사적으로, 교회는 성령에 의한 초자연적 은사와 기적을 경험해 왔다. 그 경험에 힘을 얻어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의 약한 믿음을 강화하며, 주님과 이웃을 섬기는 능력을 나타내고, 복음을전파하는 일에 열정을 보여준다. 이 역사적 결과들은 지속론의 명분을 옹호하기 위한 강한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 특집논문 3 : 치과대학 치과의학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주연 ( Jue Yeon Lee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2010 연세의사학 Vol.13 No.2

        The first dental history class took place in 1949 at th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y the mid-2000s, eight of the eleven dentistry schools in Korea taught dental history. However, dental history education was dropped from curricula following the requirement by the Korean Institute of Dental Education and Evaluation (http://www.kidee.org) that the course “Recognition Standards for Colleges or Graduate Schools of Dentistry” include dent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education and that the subject inculcate communication skills, morality, professionalism, and critical thinking. Currently, eight schools (72%) run classes related to dental history; these are worth on average 0.88 units. Of these schools, only three retain the name “dental history” for such classes; two schools use dent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related names. One school has included dental history in its “Introduction to Dentistry” and “Society and Dentistry” courses, and two other schools have included the topic in “Social Responsibility of Dentists” and “Ethics and Oral Hygienists,” respectively. The classes continue to include more modern than diachronic dental history. The study of dental history seeks to produce dentists who possess a general understanding of humanity as social beings, their illnesses, and the nature of and changes in medical treatment. It also aims to produce dentists capable of reacting creatively to societal change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nd to ensure that the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the field are more closely connected and perfected, the term “dental history” must be reinstat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more systematic education and research on modern Korean dental history that is related to dentists’ professionalism. The revival of dental history education should yield a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to writing and discussion that can eventually aid the search for historical evidence-based solutions to the many difficulties that Korean society and medical treatment 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