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망경관에서 구릉지의 역할에 따른 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 -진주시를 대상으로

        모수민 ( Mo Su-min ),윤영미 ( Yun Young-mi ),안재락 ( Ahn Jae-rak ) 한국경관학회 2011 한국경관학회지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구릉지의 지형적 특색과 이용자의 특성 및 의식을 분석하여 그동안 구릉지 경관지구에 제기되었던 문제점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하고, 우리 도시의 구릉지를 어떤 시점에서 어떤 방법으로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와 연구의 전제를 통해 기존 연구의 한계점과 본 논문의 독창성을 밝혔으며, 조망경관 관리 수법과 선진 사례를 비료 분석하였다. 또, 구릉지의 형태에 따른 특징과 개발의 진행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구릉지를 이용하는 실제 이용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모았고 이를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값을 토대로 경관 시뮬레이션을 해보았다. 진주시의 구릉지 조망경관 관리를 위해서는 파노라마적 관점과 시퀸스적 관점 모두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의 앙각에 의한 경관 관리와 함께 부감에 의한 경관 관리도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앙악에 의한 규제는 개발의 규제가 심하여 진주시와 같이 개발의 수요가 큰 구릉지에 있어 항상 문제를 제기해 왔다. 기존의 조망경관 관리를 바탕으로 하여 관리하되, 개발의 수요가 높은 지역이나 경관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에 한해, 부감에 의한 조망경관 관리를 실행하게 되면 개발의 양을 기존의 개발량보다 더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이는 개발과 보존의 합리적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hillsid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wareness of the users to provide solution for the problems of the hillsides landscape management zone and to discuss when and how to manage the hillsides in our city. Through preliminary preliminary studies. we have verified that this study is different compare to the existing researches, so we have only pointed out the terms associated with the view landscape, management techniques of the view landscape and case studies. In addition, we hav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gress of development of the hillside. Then, we have performed a survey and analyzed the actual users of the hillsides to collect data; we have done landscape simulation with its result. In order to manage the view landscape of the hillsides in the Jinju City, we must consider the panoramic views and sequence view and sequence view and must effectively perform landscape management on the existing Angle of Elevation and landscape management on the Angle of Depression. Especially, the regulation for Angle of Elevation is so strict, so strict, so it has been an issue for hillsides like Jinju City, where the demand is high. These hillsides should be managed by existing view landscape management but should perform view landscape management on the Angle of Depression for the areas that has high demand for the development or that does not have any landscape issues; then we’ll be able to provide much more benefits. This has been proved to be the reasonable alternative for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 A year-round monitoring to confirm free of the spotted-wing drosophila, Drosophila suzukii (Diptera: Drosophilidae), at the strawberry greenhouses

        Eun Ju Hwang,Min Jee Kim,Deuk-Soo Choi,Iksoo Kim 한국응용곤충학회 201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04

        Drosophila suzukii Matsumura (Diptera: Drosophilidae) is known as a pest that has a wide host rang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D. suzukii by trapping D. suzukii in Korean strawberry greenhouse and its surrounding woodland from November, 2017 to April, 2019. As a result of trap monitoring, the greatest capture was recorded in fall and secondary peak was confirmed in summer in a lower cap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ccurrence among inside and outside of the greenhouse and the woodland. The strawberry greenhouse cultivation area of Korea is mainly located in the plain region, whereas most of the other host plants for D. suzukii are usually grown at the ridge of the mountain or hillside. Therefore, if consider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host plant, monitoring result that showed more capture in woodland than strawberry greenhouse would be explained.

      • KCI등재

        부산의 산동네와 해역 이주 : 근현대의 연속성에 주목하여

        최민경(Choi Minky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부산 산동네의 역사적 형성 과정을 근현대의 연속성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고찰의 결과, 부산의 산동네는 크게 세 시기에 걸쳐 등장, 전개, 확대되어 왔으며, 모든 시기에서 해역 이주 현상과 뒤얽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초반, 1940년대 후반, 그리고 1950년대 초반의 급격한 인구의 사회적 증가가 부산 산동네의 역사적 형성의 결정적인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일제강점기 부산역과 부산항을 중심으로, 도일을 희망하는 노동자의 적체로 인해 등장한 산동네는 해방공간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귀환동포와 피난민의 대규모 유입을 통해 부산 내 여러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바꾸어 말하자면, 부산의 산동네를 근현대 전반에 걸쳐 장기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면 그것은 바다를 통하여 여러 가지 의미에서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동과 맞물리는 형태로 역동적인 형성 과정을 거쳐 왔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고찰은 일반적으로 한국전쟁 피난민 유입에 부산 산동네의 기원을 찾는 기존 연구에 해역인문학적 시각을 더하여 부산 도시 형성의 역사를 살펴보는 작업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즉, 한국전쟁 피난민 유입은 부산의 산동네가 오늘의 모습에 이르는 가장 극적인 계기가 되었음은 분명하지만, 이는 부산이 근대와 현대에 걸쳐 경험한 바다를 통한 고유의 인구 이동과 증가의 역사를 바탕으로 중층적으로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부산이라는 지역, ‘로컬’은 해역, 구체적으로는 동북아 해역을 가로지르는 인문 네트워크와의 상호 작용 속에서 초국가성/국가성을 내포하며 전개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국제 비교 연구를 통해 이론적, 사례적 함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historical formation process of hillside town in Busan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continuity of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illside town in Busan had appeared, developed, and expanded over three major periods, and was intertwined with the phenomenon of migration through sea region at all times. Specifically, the rapid social growth of the population from the mid-1920s to the early 1930s, late 1940s, and early 1950s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historical formation of hillside town in Busan.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hillside town appeared mainly in Busan Station and Busan Port area due to the congestion of workers who wanted to move to Japan. And afterwards, the area was expanded to various parts of Busan through the liberation space and the Korean War with large influx of repatriated Korean diaspora and refugees. In other words, the long-term analysis of Busan s hillside town throughout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shows that it has undergone a dynamic formation process in which it coincides with the movement of various people across borders throughout the sea. This study s analysis is generally meaningful as a work to examine the history of Busan s urban formation by adding a perspective of sea region humanities to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origin of Busan s hillside town which only focusing on the influx of refugees during the Korean War. That is the influx of refugees from the Korean War was the most dramatic point for Busan s hillside town to reach its present appearance, but it was formed multi layered way based on the history of unique migration movement through the sea and population growth that Busan experienced throughout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hrough this study, we can see that the ‘local’, Busan has been developed with transnationality/nationality in interactions with humanities networks across sea region, specifically Northeast Asian sea region, and future comparative international studies will enhance theoretical and case implications.

      • Transforming the economic value of hillside housing—A case study of Seoul, South Korea

        Elsevier 2017 URBAN FORESTRY AND URBAN GREENING Vol.24 No.-

        <P><B>Abstract</B></P> <P>This study examines transforming real estate value of urban hillside for residential developments, drawing on two-fold panel analyses: a random-effect panel modeling and a growth-curve panel modeling, in Seoul, South Korea from 1990 to 2015. The results reveal the reduced gap between the land values in hillside and low-lying residential sites as moving toward 2015, evidenced by the rapidly growing <I>rate of increase</I> of land value in the former, whereby the parabolic curvature of the land value trajectory increased from 0.00152 to 0.00156, compared to that of the latter, whereby the equivalent to that decreased from 0.00224 to 0.00214.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negative effect of higher elevation has decreased to approximately zero (−0.625% per 10-m increment) and projected to turn positive, in hillside residential sites, while the equivalent to that in the low-lying residential sites has been exacerbated (−3.786% per 10-m increment). By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ast, current and future hillside housing development—how the hillside sites have been and will be reevaluated by passage of time, this study will provide practical lessons in planning urban housing and natural amenity resources.</P> <P><B>Highlights</B></P> <P> <UL> <LI> Past constraints on hillside development have been offset by valuable amenities. </LI> <LI> The increasing rate of the value of hillside residential sites is higher than that of low lying sites. </LI> <LI> The negative elevation effect on land value in High Hills has decreased to zero and may turn positive. </LI> <LI> The equivalent effect on land value in Low Land (up to 40m above sea level) has been exacerbated. </LI> </UL> </P>

      • KCI등재

        일본 구릉지 정비방식에 관한 고찰

        최정민(Choi, Jung-Mi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산지와 구릉지에 대한 지금까지의 도시정비 방식이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개발할 것인가라는 측면만을 강조하고 있어 경사지 거주자들의 삶과 커뮤니티 등의 거주환경 측면이 경시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와 같이 전 국토의 70%가 산지인 일본의 대표적인 5곳의 경사지 도시를 추출하여 해당 지자체의 담당 공무원에게 설문지를 우송하여 답변을 받고, 사례도시 일부의 인터뷰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해 일본의 경사시가지가 안고 있는 현황과 과제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일본 경사시가지가 당면한 주요 문제는 경사지에서의 교통제약,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저층고밀주택의 노후화, 인구유출 및 고령인구의 증가에 따른 빈집 증가와 지역의 활력 쇠퇴, 고령 복지서비스의 수요 증대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도시는 경사엘리베이터 등 이송수단의 도입으로 경사지역을 매력 있는 지역으로 전환하려고 시도하고, 지역주민 밀착형 마을만들기로 접근하고 있으며, 다양한 주거유형을 도입한 공동재건축을 추진하여 다양한 지역적 문제에 입체적으로 대응하고, 기존의 정비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주거환경 정비를 도모하고 있다. This research is derived from the awareness of the issues that have been belittled from the value of life in local residents and communities residing in hillside residential areas. The renewal method of the urban improvements in mountain and hillside residential areas in Korea tends to be emphasized more on development in an efficient way. The survey was sent out to five different city officials’ in charge of hillside areas in Japan. In addition, a few interviews coupled with site visits helped to understand suggested solutions to some of the problems presently facing hillside areas. As a result, the present questions for these hillside cities include: limited access to the hillside, the deterioration of all the spontaneously occurring low-rise housing, the increase in unoccupied housing due to the spill of the urban population out and elderly people growth etc. To solve these problems, the main findings are: 1) introduction of the elevator in area with steep slopes; 2) the intensive response to the various regional problems with the adoption of various housing-typology; and 3)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hillside areas with taking advantage of the existing urban redevelopment and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산복도로(山腹道路)에 대한 동상이몽- 부산 산복도로 재현의 시선들에 대한 고찰

        문재원 ( Jae Won Mu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4 담론 201 Vol.17 No.3

        일제 식민지의 부두 노동자, 한국전쟁기의 피난민, 산업화시기의 노동자들이 몰려들면서 중층적으로 형성된 원도심 주변의 부산 산동네는 오늘날 부산의 로컬리티를 구현하는 주요한 장소가 되었다. 최근 들어 산복도로를 둘러싼 기억,경관, 문화의 재구성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매스미디어에서는 산복도로공간을 ‘원시적 열정’의 공간으로 여전히 근대적 공간의 탄생을 지속화시키면서 타자화하고, 지방정부는 글로벌스케일을 차용하여 ‘산복도로 르네상스’라는 청사진으로 디자인하려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또 한편으로는 산복도로의 일상과 구체적 장소에 기반한 사적(私的) 목소리를 복원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재현 양상을 바탕으로 산복도로 재장소화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욕망의 전치와 오인의 구조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오늘날의 지역에 대한 성찰은 장소로부터 유리된 추상화된 지식체계로부터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내 삶의 근거가 되는 지금-여기의 장소에 기반한 성찰로부터 제기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Busan mountain villages around the original downtown, which were formed in a multi-layered way as stevedor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fugees of the Korean War, and workers of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flocked to the city, became a major place for realizing Busan’s locality today. Recently, relocation projects for memory, scenery, and culture around hillside road are proceeding actively. Mass media otherizes the space of hillside road as the space of “primitive passions,” as it still continues the birth of modern space. The local governmentis progressing a project to design it with a blueprint, “Hillside Road Renaissance,” by borrowing a global scale. On the other hand, a movement has been observed to restore private voices based on the daily life of hillside road and specific space. Based on the aspect of these representations, this study has studied critically the displacement of desire and structure of misconception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re-placing hillside road. Through this, it emphasized that the reflection on today’s region can be brought up from self-examination based on now-here place that becomes the foundation of one’s life, not based on aknowledge system that is disengaged and abstract from the place.

      • KCI등재

        부산지역 결합개발방식 운용에 관한 연구

        이동현,윤상복,김형보,박동현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2

        This study is analysis about Conjoint Renewal Program that offers to hillside areas reorganization strategy. Conjoint Renewal Program is that deteriorated housing on hillside areas connects to subway station area and makes one district. So hillside area changes for low-rise · low density and ecological environmental-friendly housing, protects urban scenery and accelerate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is analysis about combination form like a residential area(hillside area)+a commercial area(subway station area) and a residential area(hillside area)+a residential area(subway station area). There are not incentives on the first, because basic floor space index is 900% on the commercial area in Busan. The other is be analyzed into it has possibility for promote the business, because offers more floor space index to housing area in subway station area for incentive. It requires further examination a plan that be more activated by changes general residential area into semi residential area. 본 연구는 구릉지 지역에 대한 정비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결합개발방식을 검토, 분석한 것이다. 결합개발제도란 불량주택지가 형성되어 있는 구릉지 지역을 비교적 개발이 용이한 역세권 지역과 하나의 단지개념으로 묶어 정비사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구릉지는 저층 저밀 친환경주거지로, 역세권은 토지이용을 고도화하여 도시경관보호와 도시재정비를 촉진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지역(구릉지)+상업지역(역세권) 결합형태와 주거지역(구릉지)+주거지역(역세권) 결합형태를 분석하였다. 전자의 경우 부산시 상업지역의 기준용적률이 900%에 달하여 구릉지와 결합개발시 인센티브로 작용할 여지가 별로 없는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주거지역+주거지역 결합케이스는 역세권의 주거지역에 대해 일정부분 용적률을 인센티브로 제공함으로서 사업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경우 기존의 일반주거지역을 준주거지역으로 변경시킴으로서 사업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방안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 경사지 재생 활성화방안 - 전문가조사에 기반한 지방정부의 법정계획 개선을 중심으로

        장한두(Jang, Han Doo),손창희(Son, Chang Hee) 한국지역개발학회 2022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mprovement directions of local governments and management policies for regeneration of hillside residential areas. The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summarizing precedent researches. Second, analyzing data by expert questionnaire survey. Third, practical implementation items were suggested for regeneration of deteriorated hillside neighborhoods in private and public sectors. Fourth, proposing improvement directions for regeneration and management policies of hillside residence. Finally, the law system proposes measures to support. These results may be useful to manage and plan hillside neighborhoods. Implementation of pilot projects and improvement of legal systems in local governments are required for regeneration of hillside residential environments.

      • KCI등재

        전문가 조사를 통한 경사주거지 경관개선을 위한 설계요소와 정비방향 도출에 관한 연구

        김민주(Kim, Min-Ju),노세희(Noh, Se-Hee),장한두(Jang, Han-Doo)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5

        The aim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design factors and guidelines to improve the value of landscape in hillside residential area. In order to evaluate the present condition of hillside residence, we gathered the problems and design factors by field investigation and document survey, then found out major factors for landscape improvement through expert questionnaire survey. After analyzing the data, the study found that the typical problems of hillside residential area: the view blockage, the degener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e shortage of infrastructure, and the narrow road. Specialists consider the color of building, preservation of geographical features, green corridor and disaster prevention design as important factors for hillside landscape improvement. The study suggests the design alternatives and guidelines with the citizen-participational landscape agreement in hillside residence. These results may be useful to plan hillside neighborhoods and house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mprove the design guidelines by drawings and illustrations and to reform regulations for practical designing.

      • KCI등재후보

        비탈면 배수로 설계기술 개선에 관한 연구

        이영대,김종순,Lee. Young-Dai,Kim. Jong-Soon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8 No.1

        호우 시 비탈면에서 배수로(측구 및 도수로)의 기능저하는 우수의 표토유입을 가속시켜 지반의 강도정수를 저하시키고, 도수 등에 의한 유수이탈은 비탈면 표토세굴을 유발하고 이는 2차적으로 경사지 직하류 유역에 재해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하류부에서 하천범람에 따른 홍수재해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과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상류유역에서의 비탈면유실이나 세굴 및 부유물에 따른 침수문제 등에 대해서는 관심과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따라서 비탈면의 산마루측구나 도수로 등 배수로의 기능향상은 도시고지대와 같은 비탈면유역에서의 강우에 따른 재해방지를 위하여 해결해야할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방에서의 강우와 재해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도시고지대에서의 재해방지를 위하여 비탈면에서의 지표수가 측구 등 배수로내로 잘 유하하고 도수로에서의 유수이탈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자료수집 및 분석과 모형 실험을 통하여 설계개선안을 얻었다. Malfunction of gutter systems in the slope area accelerate to percolate surface flow into underground and to cause the decrease of soil strength, Overflowing from gutter causes soil erosion from slope surface, secondary it is one of the main reasons to cause disaster in the hillside area. Much researches were reported and are undergoing about flood disaster in the down stream area, but rare in the upper reach(hillside). It is considered that improving function of gutter in the hillside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the disaster caused by rainfall. In this paper, After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disaster on the hillside in Busan, researches about having surface flow run into gutter effectively and preventing from overflowing outside of gutter on the hillside in Busan were carried out. Improved design methods of gutter are suggested to mitigate disaster in the sloping area by analysis of collected data and hydraulic model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