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지>에 재현된 ‘동학’의 서술전략과 지리적 상상력

        문재원(Mun Jae Won)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3 No.-

        본 논문에서는 동학이 <토지>의 서사를 추동시켜 나가는 주요한 서사적 사건으로 개입되어 있음을 주목하여, 동학에 대한 서술전략과 이를 통해 변형되는 동학의 공간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작품 내에서 동학의 생멸(生滅)을 큰 축으로 동학이 민중들에게 재현되는 방식을 ‘소문과 상상’, ‘토론과 담화’, ‘후일담’의 세 양상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머슴, 곰보 목수, 화전민, 백정 등 가장 최하층계급에 속해 있었던 이들이 세상으로 나와 말하기 시작하는 데는 동학이 개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체화의 계기로 동학(운동)이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작품 안에서 동학군의 거점이 지리산으로 설정되어 있다. 기존의 지리산에 표상된 저항의 이미지에 동학당이 모여듦으로써 저항과 위반의 이미지는 더욱 강화된다. 이러한 저항과 위반은 동학당 해체 이후 근원적인 생명사상을 적극 포괄한다. 넷째, 동학의 ‘싸움’ 전략이 김개주-김환의 세대를 지나면서 구심력에서 원심력이 작동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을 관통하고 있는 근본은 ‘이 땅의 변혁’을 열망하는 모든 이들의 ‘생명의 존엄성’이라는 공통된 기반에 있으며, 이는 <토지>의 주제의식이자 작가의식과 연결된다. Taking note tha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s weaved into Toji as an important event that drives the narrative of the novel, this paper examines how Donhak is arranged in the novel and what strategies and effects are involved in such arrangement. The author conveys Donghak through an indirect utterance of a rumor and a direct utterance of an on-the-scene discussion. In addition, the author sets up Jirisan mountain as the main background of Donghak and concurrently expands the narrative stage by promoting a communic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untain. The narrative of Donghak is arranged as a narrative of resistance connected to anti-Japanese struggle starting from the Gobu Uprising, which is introduced in the first part of the novel. As the words by Unbong from Donghakdang emphasizes that “the blood of treason is the truth and hope of the oppressed subalterns,” the power of the people was at the very bottom of this revolt. Therefore, Kim Hwan's Donghakdang, which serves as the central axis of the narrative of Toji, is closely connected to a new placemaking. Here, Donghak can be viewed as a praxis that reveals the resentment and longing of the innumerable nameless, speechless, and voiceless people, and enables them speak for themselves. This process certainly demands a sensory order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rder for character subjectification. Moreover, this narrative of resistance requires a different way of reading besides the existing readings that converge on the three generations of the Choi family.

      • KCI등재

        고착되는 경계, 트랜스로컬리티의 불가능성 : 한국 영화에 재현된 조선족을 중심으로

        문재원(Mun, Jae- Won) 한일민족문제학회 2015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8 No.-

        This paper was to examine how the movie text accommodated and represented the transnational migration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facing at multiple impossibility. First, as recently the migration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being connected from remote regions to other remote regions presented in violent gangster movie practice, the knock-on imaginary structure connecting China-Yanbian- poverty-violence contributes to the production of negative images about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nd their space. Second, the discourse on issue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who are the familiar and also unfamiliar others to us coming in our society, has spread the discourse of exclusion and deportation rather than revealing hospitality for others, in which the device of rumor worked very effectively.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this kind of rumor present that today our country takes a stand of post nation-state superficially, but internally still solidifies the boundary inside a nation-state. Third and finally, nevertheless, these circumstances in the risk of deportation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lead to their own imagination, by which the planning of the solidarity with unfamiliar others and the competence being able to generate new communities are possible. However, as this imagination zone is possible only in the world of innocent pure love or the space of death, paradoxically it emphasizes how difficult those solidarity is. Likewise, the representation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being reproduced expansively in Korean movies doesn’t suggest post-modern nomadic imagination, but discloses its fabrication.

      • KCI등재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사의 경계와 해체 : 현월(玄月)과 가네시로 가즈키(金城一紀)의 작품을 중심으로

        문재원(Mun Jae-Wo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6

        The history of diaspora literature of Korean in Japan continues in the third generation's works, which changes from the history of migration to the one of settlement. Now, ethnic narration, aiming identity, does diverse formal experiments along with narratively seeking how to form their lives in that area. These change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re not only a generation gap, but premise of focusing on changes and migration is required. It is related to globalization in the real world, and world order, nation order(Japa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local order overlap one another. Thus, the narration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in Japan is never unified. Recent literary experiments done by the third generation writers are closely related to the matter of subject moving in diaspora, and show diverse layers which is not unified. However, it is clear that they are trying to escape from the forms of ethnic narration or change them. Especially, Hyeon-wol narrates Korean residents village in Japan as the effect of rumor and ritual space, and Kaneshiro Kazuki chooses ‘cheerfulness’ as subversion mechanism, representing character of Korean Diaspora in Japan.

      • KCI등재

        지역, 사건, 정치 -핵심현장에서 지역문학연구방법론을 구상하다-

        문재원 ( Jae Won Mu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1

        오늘날 세계-국가-지역 질서들의 교차가 끊임없이 변주하면서 지역은 이전 근대국민국가의 외부로만 재현될 수 없다. 주체들의 교섭이나 관계망의 다양화 등으로 지역의 형상 역시 하나로 수렴될 수 없다. 이러한 지역의 변동은 지역문학 장의 변화와도 연결된다. 본 논문에서는 오늘날 지역에 대한 위치성에 주목하면서, 밀양 송전탑을 둘러싸고 갈등이 첨예하게 일어난 현장의 목소리들이 지역문학 장 안으로 들어오는 과정들을 고찰한다. 하여, 비문학과 문학의 경계가 부딪치는 이러한 자리에서 문학의 영역을 어떻게 확장시켜 나가갈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론적인 사유를 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장소의 기원에서 시작되어 모사의 진위에 집중하는 지역문학의 클리셰는 오히려 그 지역의 전통적 방언성에 갇히게 된다. 지역문학의 새로운 지평은 지역 고유의 방언성에서 벗어나는 운동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데서 전망할 수 있다. 나아가 지역의 핵심현장에서, 이미 확고한 문학적 경계를 흔들면서 돌출하고 있는 글쓰기들이 제기하는 질문들을 사유하면서, 문학에 대한 재사유를 이끌어 내고자 한다. As the crosses of the orders among the world, the nation, and the local are unceasingly changed, the locality cannot be represented only by the outside of the past modern nation states. The shapes of the local cannot also be converged into one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in agents, the relationship network, etc. These locality changes cannot but be linked to the changes in the local literature field. This study takes notice of the process by which the voice of the field where conflicts acutely arose surrounding the transmission tower in MIlyang came into the local literature field, noticing the properties of today`s locality. The study aims to explore a methodological thinking over how the domain of the literature can be expanded in this place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non-literature and literature collide with each other. The cliche of the local literature that generally begins in the origin of the place and concentrates on the authenticity of the imitation is rather trapped in the property of the traditional vernacular. The new horizon of the local literature can be forecast in the consistent repetition of the motions escaping from the properties of the local inherent vernacular.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draw out the rethinking over the literature in the essential field of the local, thinking of the questions raised by the writings that stand out, shaking the already firmly established literal boundaries.

      • KCI등재

        지역문학관의 재현과 로컬리티

        문재원(Mun, Jae W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본 논문에서는 ‘박경리문학관’을 통해 ‘박경리’라는 국민적 작가를 여러 지역안에서 각각 재현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재현의 차이가 로컬리티와 어떤 상관성을 갖는지 고찰하였다. 현재 박경리 문학관은 원주(1999), 하동(2004), 통영(2010) 세 곳에 건립되어 있다. 원주의 경우 과거 군사도시에서 생명도시로 이미지 전환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자리에 박경리가 호출되었다. 여기에 ‘문학수도 하동’, ‘문화예술 도시 통영’이 경쟁하면서 박경리를 호출하고 있다. 도시 아젠다와 연결되면서 호출된 박경리가 각 지역에서 수용되는 방식은 상이하다. 원주에서는 ‘생명사상’, 하동에서는 소설무대 ‘평사리’, 통영에서는 ‘작가의 고향’과 연결되면서 재현 형식의 강조점이 각각 다르게 ‘결정화’되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지역에서 내세운 작가가 기왕의 평판과 명성에 기대어 기념화된다 하더라도 지역적 재배치의 과정을 거쳐 지역문학관의 위상이 확립된다는 점이다. 또한 원주, 하동, 통영에서 ‘박경리문학관’을 동시적으로 재현하고 있는것은 장소 영역주의를 넘어 문화적 이동과 교류의 현장으로 제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paper reviews different regional representations of the national writer Park Kyung-ni through the three existing Park Kyung-ni literature museums. Furthermor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differences in their representations and their locality are also investigated. The three current Park Kyung-ni literature museums are located in Wonju (built in 1999), Hadong (2004), and Tongyong (2010). In Wonju, Park Kyung-ni is summoned in places where there is an ongoing image transition from the military city of the past to the living city of the present, whereas the ‘Literature Capital Hadong’ and the ‘City of Culture and Art Tongyong are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 to draw attention to Park Kyung-ni’s presence there. The author, as represented in the cities’ agendas, is accommodated by them in different ways. Emphases on the form of exhibition are crystallized differently, with Wonju focusing on her life philosophy. Hadong on her novel’s setting ‘Pyongsa-ri’ and Tongyong on the image of her hometown. These differing representations show that the status of local literature museums is established through local redistribution, although on the regional level the writer is commemorated based on her existing reputation and fame. Additionally, the fact that Park Kyung-ni is commemorated and Park Kyung-ni literature museums are reproduced in Wonju, Hadong and Tongyong simultaneously suggests that those museums may be able to transcend the charge of territorialization and be considered as places of mutual cultural movements and exchanges.

      • KCI등재후보

        경계 횡단하기의 수행적 실천과 사이 정체성 - 경계지대의 문화번역으로서 이주민 영화와 공감장 -

        문재원 ( Mun Jae-won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8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2 No.-

        본 논문에서는 전지구화의 가속 안에서 국민국가의 경계를 넘은 이주민들을 고정된 영토성과 정체성에 기반을 둔 기존의 시민권에 도전하는 ‘새로운 인민(소문자 인민)’으로 재범주화하였다. 특히 복잡한 층위들이 횡단하는 이동경로 위에서 부딪치는 다양한 사건들과 갈등, 협상하면서 자신의 위치를 재조정해나가는 이주민들의 실천적 행위에 주목하고 이를 ‘사이 정체성’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이주노동자에서 영화감독으로 활동 지평을 넓히고 있는 이주민 감독 마문의 문화적 실천을 의미화했다. 특히 지속적으로 국민국가 안에서 미등록 이주노동자에 대한 기록을 하고 있는 그의 작업을 버틀러의 수행성을 원용하여 수행적 실천으로 매개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읽어냈다. 자기재현으로서의 마문의 영화적 작업은 이주민 이슈에 대해 사회적 공감장을 확보하고자 하는 데 일차적인 주안점을 두고 있다. 특히 당사자성을 내장한 자기발언을 제시한다거나 영화 밖의 사회적 발언들을 교차시키는 영화적 형식을 통해 이들의 실존에 대한 사회적 공감장을 형성해 내고자 하는 전략을 읽어낼 수 있다. 이 자리는 미등록 이주노동자라는 정체성을 결여나 침묵의 위치가 아닌 국민국가주의에 틈을 내는 정치적 거점으로 재전유하는 발화형식과 연결되어 있다. This paper categorizes migrants as ‘new people’ who challenge existing citizenship. Especially, I paid attention to the practical actions of migrants who readjust their position on the mobility and explained it as ‘trans-local subjectivity’. In this context, this paper has implied the cultural practice of the immigrant film director, who is widening the horizon of his work as a film director in migrant workers. In particular, I has read his work, which records continuously on undocumented migrant workers in the nation-state, as a possibility of mediating with “trans-performativity”. This place is connected to a form of speech which is re-appropriated as a political base which is not a place of silence but a gap for national nationalism, lacking the identity of undocumented migrant workers. As a self-representation, the film work has a primary focus on securing a social sympathy migrants’ issues. In particular, we can read a director’s strategy to create a social sympathetic field on the existence of undocumented migrants through a film format that representation self-narrative or intersects with social remarks outside the film.

      • ‘이카이노 (猪飼野)’의 재현을 통해 본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 공간의 로컬리티

        문재원(Mun Jae-Won),박수경(Park Su-Ky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5

        이카이노란 굳이 오사카 이쿠노구(生野區)에 있는 이카이노(猪飼野)가 아니라도 좋으며 일본에 있는 조선인 취락으로 우리말이 오가는 일상 공간이 있고 이웃 간의 정이 살아있는 장소라면 이카이노라고 생각할 정도의 상징성을 지니고 있는 장소이다. 이렇게 보면, 재일코리안의 표상으로 자리잡은 이카이노는 오랜 시간 초국가적 네트워크와 이주민들의 활동과 그들 간의, 그리고 그들과 토착민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장소화된 결과로 형성된 디아스포라 공간이다. 특히 정주민으로서의 ‘공간적 뿌리 내림’과 ‘보이지 않는 동네’의 역설의 효력이 발생하는 곳, ‘이카이노’에 대한 재일코리안들의 기억과 재현은 곧 ‘이카이노’를 둘러싼 장소정치라고 할 수 있다. 세계질서의 변화와 다문화 공생 안에서 관광으로 호출되는 이카이노의 재현이나 여전히 배제의 공간에 배치하고자 하는 근대 주체의 욕망 안에서, 이카이노 작가들의 문학적 기록은 국가의 집단적 기록에 대항하는 대항기억, 즉, 하위의 서사들(subnarratives)인 셈이다. “재일 조선인들이 조금 많이 사는 정도”의 “보통 동네”를 만들려고 하는 일본의 치안에 맞서, “이카이노가 이카이노 아닌 것”에 대항하며, 이카이노의 역사와 사람들을 기억하고 재현하고자 하는 재일코리안 작가들의 작업은 결국 현재 이쿠노(生野)의 공간 재배치와 장소성의 문제로 연결되며, 이를 통해 ‘특별한’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 공간을 구성해 내고자 하는 의지의 발현으로 볼 수 있다. Ikaino doesn't have to be Ikaino in Ikunogu (生野區) in Osaka. We can say it is Ikaino if Koreans in Japan live together, Korean is spoken as everyday language and love among neighbors can be seen. Ikaino which became a symbol of Koreans in Japan can be said to be Diaspora space born and developed with supernational network, immigrants' activitie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immigrants themselves as well as between immigrants and local natives. It is 'spatial rootage' as immigrants and the space of irony such as 'invisible village'. The memory and representation of Japanese-Koreans on ‘Ikaino’ can be said as place politics around ‘Ikaino’. In the representation of Ikaino which is summoned to tourism in the changes of world order and multi-cultural symbiosis and the desire of modern subjects to place it in the space of exclusion, the literal records of Ikaino writers are counter-memories against the official records of the nation, in other words, the subnarratives. The works of Korean writers in Japan who tried to fight against the public order of Japan to try to make it 'an ordinary village' in which “some more Koreans in Japan live”, fight “Ikaino (猪飼野) which is not Ikaino(猪飼野)”, and try to remember and representate the history and the people of Ikaino can be connected to the replacement and the issue of space of Ikuno (生野) at present. It can be seen as the revelation of the will to make it ‘special’ Diaspora Space for Japanese-Koreans.

      • KCI등재

        경계넘기의 서사적 재현 -국경을 가로지르는 여성의 서사: 『바리데기』, 『리나』, 『찔레꽃』

        문재원 ( Jae Won Mu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1

        오늘날 문화적 공간에서 재현되는 월경(越境)에 대한 서사는 전지구화의 반영이면서도 전지구화에 대한 문화적 대응양식으로 볼 수 있다. 전지구적인 문화의 헤게모니는 결코 단일한 힘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로컬, 계급, 젠더나 인종 등 다양한 사회적 차이와 결부되어 불균등하게 편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화적 대응은 결코 단일한 아이덴티티로 환원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힘들이 충돌해 가는 과정 속에서 복합적으로 생성된다. 그렇다면 월경에 대한 서사는 유행처럼 넘어가는 이주의 행렬에 주목할 것이 아니라, 이곳과 저곳의 경계들이 충돌하는 지점이 어디인가를 주시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 충돌지점이야말로 경계의 문턱(한계)을 드러내는 일이며, 이를 직면하는 일이야말로 월경(trans-)에 대한 진지한 모색으로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황석영, 『바리데기』(창비, 2007), 강영숙, 『리나』(랜덤하우스, 2006), 정도상, 『찔레꽃』(2008, 창비)을 중심으로 월경의 재현양상을 살펴보았다. 공통적으로 월경의 주체를 여성으로 내세운 이 작품들은 지역, 젠더, 계급 등의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경계넘기라는 보편적 사건 안에 다시 개별적이고 특이한 사건을 만들어 내고 있다. 또한 이들이 경계 밖으로 추방당한 타자의 얼굴로 재현되면서도 한편으로 기존의 경계가 강제하는 배치에 포획되지 않으려는 탈주의 선을 잠재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Narrations about transboundary represented in cultural space in these days are the reflection of globalization, and the aspects of cultural respondence about it. Hegemony of the globalized culture doesn`t exist in a single power, but is distributed inequally, combined with social differences such as locals, classes, genders or races in itself. Therefore, this cultural respondence is never returned to a single identity, but produced in combination in the process that different powers crash with each other. Then, it is important that narrations about transboundary focus on the spots where the boundaries crash rather than the parade of migration like an epidemic. That`s because these spots reveals the limitation of boundaries and facing them makes us earnestly seek transboundary. In this study, the aspects of the representation of transboundary are investigated, focused on Baridegi(Hwang Seok-yeoug, Changbi, 2007), Lina(Kang Yeong-suk, Random House, 2006), Jjile-ggot(Jeong Do-sang, Changbi, 2006). Those works which set females as the subject of transboundary produce individual specific events in the general events of transboundary. Also, it is remarkable that they are represented as the face of other who was deported to the outside of boundary, and they make the line of escape not to be captured by the arrangement which was forced by the existing boundaries.

      • KCI등재
      • KCI등재

        로컬서사 구성과 미학적 실천 - 광주 대인시장을 중심으로

        문재원 ( Mun Jae-wo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0

        주체화의 과정이 탈주체화-재주체화의 운동적 과정을 수반하듯이, 로컬은 글로벌화 기제를 수반하는 수동적인 위치에만 고정되지 않으며, 복합적이고 다중적인 스케일에 접속되면서 끊임없이 재구성된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본 논문에서는 광주 대인시장의 공간적 실천을 주목하였다. 특히 2000년 이후 대인시장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개입한 예술가들의 미학적 실천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후 예술시장, 문화시장, `대인夜시장`, `별장` 등으로 네이밍이 변화되는데, 이는 명명전략이 수행하는 공간적 실천을 함의하고 있다. 이러한 호명의 변화과정 안에서 대인시장-상인, 대인예술시장-예술가 집단, 대인예술夜시장-청년셀러 등의 수행적 주체들의 변화도 발견된다. 물론 이러한 전환이 직선적인 단계로 진행된다기보다 여러 겹들이 중첩되어 있다. 그러므로 대인시장에는 현재 상인-소비자뿐만 아니라, 예술가, 관람객, 지자체 정부, 관광객 등 다양한 층위의 주체들의 공간적 실천이 겹쳐지고, 다양한 주체들의 협상과 대화의 장을 통해 장소의 서사는 끊임없이 재구성된다. 이러한 대인예술시장의 사례는 일상/미학의 경계 해체 위에서 생성된 미학적 성취가 장소를 재맥락화하고, 재맥락화된 장소는 다시 로컬리티의 재구성에 깊게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attention is paid to the spatial practice of the art market-night market in Gwangju Daein Market,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local is not fixed only in a passive position accompanied by a globalization and is constantly reconstructed while connected to complex and multi-scales. Especially, I will focus on the aesthetic practice of the artists who actively engaged in the change of the Daein market since 2000. The emergence of artists and aesthetic practice lead to a change in the spatiality of the marketplace as the Daein market is re-contextualized as `art`. And then, naming changes such as `Daein Night Market` and `Byeoljang(star market)` occur again. In the course of this change of name, changes in subjects such as Daein market-merchant, Daein art market-artist group, Daein art night market-youth seller are also found. Of course, there are multiple overlapping layers in this transformation. Therefore, the spatial practice of various subjects such as artists, spectators, local governments and tourists overlap not only the merchant - consumer but also the narrative of the place is constantly reconstructed through negotiation and dialogue of various subjects. However, this process should be endlessly put to the critical question if the locality was instrumentalized again as another global product emphasizing `difference` or it really functions as a `driving force` of beco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