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포스트모던 시대, ‘세계’의 의미 재탐색: Hannah Arendt의 ‘세계’ 개념을 중심으로

        박은주(Park, eun ju)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현실과 가상, 존재하는 것과 존재하지 않는 것의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실재감을 상 실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세계 속에서, 교육에서 요청되는 세계개념은 어떠한 것일 수 있는지를 Hannah Arendt의 세계개념을 통하여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의 II장에서는 서구사상사에서 그 동안 세계의 의미가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지를 개관한다. III장에서는 Arend의 세계 개념에 대하여 탐색 한 후, IV장에서는 Arend의 세계 개념이 우리 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살펴본 다. 연구결과, Arendt의 세계개념은 인공세계 또는 인간들의 협의를 통한 사회적 구성으로서의 세계, 어 느 하나의 관점을 강조했던 기존의 입장과는 대조적으로 ‘인공세계를 둘러싸고 모인 인간세계’라는 중층 적 세계개념으로 모색된다. 이 독특한 세계개념을 통하여 Arendt는 우리가 공유하는 공동의 세계를 가 지는 것, 그리고 동일한 대상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것, 양자 모두가 필요함을 제 안한다. 다양한 관점에서 동일한 대상의 제측면이 드러나고 소통되는 경험을 통해서 아이들은 이 세계의 실재성을 경험할 수 있고, 이 소통을 통해 도달한 공동의 실재는 우리 공동세계를 새롭게 할 수 있는 가 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world in the increasing uncertainty of postmodernism in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reality and non-reality, existence and non-existence has been blurred. What is worried is that this phenomenon is connected to the process of deconstruction of meaning. Then, what kind of concept should be considered in education,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llenges of postmodernism such as nihillism or meaninglessnes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an alternative for this challenge by examining the concept of the world by Hannah Arendt. In doing it, I will outline how the concept of the world has been changed in the history of western educational thought and next, I will explore the concept of the world by Hannah Arendt. Then, I will draw an educational implication from the concept of the world by Hannah Arendt. From the metaphor of a common table which is the core of the Arendtian world, the world is presented as an image of the people(human world) sitting together around a table(common world). Through this unique and dual-layered world, Arend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for a student to share the common world which is discuss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Only through this process can a student experiences the sense of reality about the world. Furthermore, the world can be renewed by this common reality which reaches through the communication from diverse perspectives.

      • KCI등재

        Hannah Arendt의‘탄생성’의 교육학적 의미

        우정길(Woo, Jeonggil) 한독교육학회 201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8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dagogical meaning of ‘Natality’ by Hannah Arendt, which is one of the key concepts of her works The Human Condition and ‘The Crisis of Education.’ In the first chapter we try to sketch how the Natality-research has developed itself in the last decade and where it stands at the moment focusing on the research topography in Korea. In the second chapter we will show how the Natality became a competing concept - mainly through the work by Arendt- with Mortality, which has been the main perspective for traditional philosophy as well as pedagogy. In the next chapter, we will suggest three characteristics of Natality (plurality, contingency and relationality), the empirical factuality and pedagogical meaning of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the history of instrumental, subject-centered and rationality-based pedagogy. Drawing the border line between the traditional pedagogy and the new concept of pedagogy which can be called a Pedagogy of Natality, we will review and reconstruct the definition of education and pedagogical-anthropological concepts in the following chapter. And lastly we will also show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this new pedagogical concept inspired by Arendt pointing out the paradoxical essence of ‘preserving newness’ as an educational mission suggested by her. 본고는 Hannah Arendt의 ‘탄생성’이 갖는 교육학적 의미 탐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선 예비적 고찰이라 할 수 있는 제 I장에서는 근래 국내 교육학계에 고조되고 있는 Arendt 연구의 경향을 Arendt의 ‘탄생성’의 관점에서 스케치하고, 본 연구가 갖는 연구사적 위치와 의미를 확인한다. 제 II장에서는 인간실존의 근본조건으로서 탄생성이 Arendt를 통해 주목받게 된 배경을 고찰하되, 전통적 철학과 전통적 교육학의 주된 소재였던 ‘사멸성’과의 상대적 관련성이라는 관점에서 탄생성을 조명한다. 제 III장에서는 탄생성이 제공하는 교육학적 사유의 계기를 다원성, 우연성, 관계성 등으로 범주화하고, 그 의미를 탐색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 IV장에서는 탄생성이라는 새로운 관점의 교육학적 사유 또는 탄생성의 교육학적 계기들이 전통적 교육학의 사유방식과 나뉘고 갈등하는 임계점에 대한 성찰을 통해 전통적 교육학 및 이른바 탄생성의 교육학의 교육(인간)학적 성격을 더욱 분명히 함과 동시에, 이러한 차이와 갈등의 결정체라 할수 있는 ‘새로움의 보존’(Arendt)의 의미탐구를 통해 이른바 탄생성의 교육학의 한계와 가능성을 고찰한다.

      • KCI등재후보

        한나 아렌트의 “교육의 위기”를 통해서 본 ‘탄생성’ 교육의 의미

        조나영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4 No.1

        This article aims at the study on Hannah Arendt's <The Crisis in Education> and its meaning for our mordern age,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education of natality. Arendt suggests three assumptions - extreme child-centered education, unprepared education, absence of serious learning - about crisis in Education. In Arendt view, all these assumptions showed that natality is the core of Arendt's eucation. Educational implication of natality on Hannah Arendt's thought propose also three meanings - foundation in respect of conservation and expression of the newness, preparation and resposiblity for revealing of the newness, serious thinking and judgment toward one's life. In this aspect, I think that an existing conservative education can be modified by Arendt's educational meanings.

      • KCI우수등재

        Odd Fellows: Hannah Arendt and Philip Roth

        ( Ira Nadel ) 한국영어영문학회 2018 영어 영문학 Vol.64 No.2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and ideas of Hannah Arendt and Philip Roth including how they met, their correspondence and intellectual parallels, particularly in their shared criticism of Jewish ideals and culture in Europe and North America. It analyzes similarities in their careers and texts, especially between Eichmann in Jerusalem and Operation Shylock, as well as The Ghost Writer, while measuring their reception as social commentators and writers. Kafka was an important figure for both writers, Arendt’s earliest writing engaged with the significance of Kafka in understanding and criticizing twentieth century political and cultural values in Europe. For Roth, Kafka offered a similar critique of moral principles he found corroded in North American Jewish life. Arendt connected with other writers, notably Isak Dinesen, W. H. Auden, Randall Jarrell and William Styron who further linked the two: he knew both Arendt and Roth and cited, incorrectly, a work by Arendt as the source for the key incident in his 1979 novel Sophie’s Choice. He claimed it was Eichmann in Jerusalem; it was Arendt’s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 Arendt’s reaction to Roth’s fiction, however, remains a mystery: she died in 1975, before Roth began to seriously and consistently engage with Holocaust issues in works like The Ghost Writer (1979) and Operation Shylock (1993). Yet even in death they are joined. Their graves are only steps apart at the Bard College Cemetery in Annandale-on-Hudson, New York.

      • KCI등재

        한나 아렌트의 자유주의 비판-아렌트의 ‘사회적인 것’의 개념과 푸코의 생명정치 개념을 중심으로-

        전혜림 ( Jeon Hye Ri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 Vol.- No.81

        본 연구는 한나 아렌트의 ‘사회적인 것(the Social)’의 개념을 미셸 푸코의 생명정치를 선취한 자유주의 비판이라는 견지에서 분석한다. 아렌트의 주요 저작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시장을 통한 자유주의적 통치, 즉 생에 대한 집착이 어떻게 전체주의적 폭력으로 귀결되었는지를 추적하며, 이 과정에서 중심에 놓인 개념이 ‘사회적인 것’이다. 그런데 아렌트의 사회적인 것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선 그녀의 고전경제학 비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18세기 정치경제학자들은 개인의 이익추구가 전체의 이익으로 되돌아오며, 경제적인 상호의존이 질서를 만들어낸다고 생각했다. 즉 그들에게 시장의 자생적 질서는 공통선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아렌트는 사회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의 영역인 공적영역을 지배하게 되는 현상을 ‘세계(World)’에 대한 ‘생(Life)’의 위협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는 후에 푸코가 천착했던 연구 주제이기도 하다. 아렌트와 푸코는 삶의 필연성 속에서 안전보장기술로 전락한 행정으로서의 정치를 근대 정치의 핵심으로 파악하고, 행정으로 전락한 정치가 인종주의와 전체주의적 폭력으로 귀결됨을 주장한다. 본 연구는 아렌트의 고전경제학 비판이 내포한 사회적인 것의 문제의식을 탐구하고, 푸코의 생명정치 개념과의 비교를 통해 아렌트의 자유주의 비판이 여전히 현재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social’ which is the most problematic concept of Hannah Arendt from the standpoint that Arendt’s idea of the social is the critique of liberalism preempting Michel Foucault’s biopolitics. Arendt’s major works trace how liberal governmentality (obsession with life) through markets in capitalist society resulted in totalitarian violence. In her studies, the social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placed at the center. And, the understanding of her critique of classical political economy must be preceded in order to understand Arendt’s concept of the social. The classical political economists in the 18th century assumed the market’s spontaneous order through civil society as a kind of common good. In other words, they believed the pursuit of individual interest became the interest of the whole, and economic interdependence created the social order. However, Arendt regards the phenomenon that the social dominates the public sphere as a threat of ‘life’ to the ‘world’. This is also the subject Foucault later pursued. Arendt and Foucault grasp politics which has been reduced to a series of technologies that manage security and security of the population in the inevitable of life as the core of modern politics. This study explores some important aspects of the social implied by Arendt’s critique of classical political economy, and proves that Arendt’s theory still tells us important things through comparison with Foucault.

      • KCI등재

        한나 아렌트의 정치사상에서의 신학적 사유와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적 유산: 확장된 신학적 지평에서 조명하는 아렌트의 탄생성과 행위

        김정숙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3 신학과 사회 Vol.37 No.3

        This paper addresses the impact of St. Augustine’s theological ideas upon Hannah Arendt's political thoughts. Arendt's political thoughts emerged within the context of the tragic periods of the early 20th century, marked by two world wars, the dominance of totalitarianism, and the Holocaust. Throughout times of crisis, Arendt's efforts to comprehend and overcome the present and envision the future were driven by her sense of responsibility and love for the world. In this process, the concept of Saint Augustine's new principle of beginning is reinterpreted and applied within Arendt's political thought. It is noted that these theological concepts from Augustine's work laid the foundation for Arendt's mature political concepts. As such, Augustine's theological ideas played a crucial role in shaping Arendt's political thoughts. Consequently, exploring the theological ideas of Augustine embedded in Hannah Arendt's political thoughts reveal the bridging and expansion of boundaries between realm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perceived as separate: politics and religion, the worldly and the Christian, the secular and the ecclesiastical, divine love and worldly affection, as well as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and theological frontiers. Through Arendt's works, theological ideas that were previously confined within church doctrines and traditions extend beyond the walls of Christianity, finding reinterpretation and expansion in the language of various scholarly terms and in the events of the world and daily life, thereby gaining renewed vitality.

      • KCI등재

        세월호 참사와 악의 문제 - 아렌트를 중심으로

        박종균(Park, Jongkyunn)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0 기독교사회윤리 Vol.46 No.-

        아렌트는 그 누구보다 악의 문제와 직접 맞닥트린 흔치 않은 지성인이기에 만일 우리가 아렌트의 성찰을 진지하게 마주한다면, 그녀가 작업했던 악의 성찰이 세계의 이해를 시도하는 우리에게 모종의 유의미성을 전해줄 것임에 틀림없다. 연구자는 아렌트의 악에 대한 성찰이 오늘날에도 적실성이 있으며, 특히 아직도 끝나지 않은 ‘세월호 참사’에서의 악의 사태에 대한 비판적 혜안을 제공해줄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렌트는 정치영역에서 종교나 윤리에서와 같은 절대적인 선악 개념의 실현 의도는 공적 영역을 파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았는데, 악에 대한 성찰은 행위론 및 공적 영역에 관한 이론과 더불어 아렌트 정치철학에서 중요한 축을 형성한다고 말할 수 있겠다. 아렌트가 악을 피하는 최선의 유일한 방법이 정치라고 생각했다는 점에서, 그녀의 악의 이론에 대한 이해 없이 그녀의 정치철학을 이해한다는 것은 무리라 말해도 무방하다. 본 연구는 세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해서 논의가 전개된다. 첫째, 전통적인 방식으로 선과 악의 절대성을 무비판적으로 정치에 끌어들이는 것에 관한 아렌트의 경고가 함의하는 바가 논구된다. 둘째, 아렌트가 전체주의를 실제로 경험하고 나서 관심하게 된 근본적이고 절대적인 악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끝으로, 아렌트는 전체주의의 잔재인 아이히만 재판을 참관하면서 악에 대한 입장을 더욱 정교하게 가다듬게 되는데, 소위 ‘악의 평범성’(the banality of evil) 개념이 그것이다. 이 논문은 우리 사회의 가장 큰 트라우마, 세월호 참사의 악의 문제를 악에 대한 아렌트의 논의들을 통해 성찰한다. Hannah Arendt is an intellectual who has faced the problem of evil more than anyone else, and if we take Arendt’s reflection seriously, the reflection of the evil she worked on must convey some significance to us as we attempt to understand the world. This research argues that Arendt’s reflection on evil is still relevant today, and in particular can provide critical advice on the ills of evil in the Sewol ferry disaster has not ended. Uniquely, Arendt saw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e concept of absolute good and evil, such as religion or ethics, in the political realm, resulting in the destruction of the public realm, which can be said that the reflection on evil, along with the theory of behavior and public sphere, forms an important axis in the Arendt’s political philosoph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t is unreasonable to understand her political philosophy without understanding her theory of evil, since Arendt thought politics was the best way to avoid evil. This study focuses on three issues. First, what Arendt’s warning about the uncritical involvement of good and evil in politics in the traditional way is discussed. Second, we will examine the radical and absolute evil that Arendt became interested in after actually experiencing totalitarianism. Finally, as Arendt observes the Eichmann trial, a remnant of totalitarianism, she further refines his position on evil, which is the concept of the banality of evil. This paper reflects on the problem of evil of the Sewol ferry tragedy, the biggest trauma of our society, through Arendt’s discussions of evil.

      • KCI등재

        한나 아렌트의 『전체주의의 기원』에 나타나는 근대 민족국가와 인간의 권리문제-제도와 권리의 이율배반을 중심으로-

        김민수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8 사총 Vol.93 No.-

        A right to have the right, as argued in Hannah Arendt's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 provides an important theoretical source for dealing with the problem of contemporary rightlessness. It is possible to find the fundamental reason to accept refugees and refugees through the concept of concrete rights that can be acquired within an organized political community rather than an abstract human rights concept. However, a right to have rights implies the antinomy of the modern nation-state and the right. In particular, Arendt places the nation state as both a guarantor of rights and a repressor at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 In this regard, Arendt’s thought has been interpreted as having an ambiguous attitude toward the nation state. Rather, however, it can be interpreted that Arendt implies the antinomy of the national state and the rights, thereby enabling a radical thinking for the modern human rights problem.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validity of existing interpretations that point to Arendt's ambiguity in the nation-state. Then, in the works of Arendt, we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inking about the politics of human rights through the antinomy of the national state and the rights. This interpretation has an important implication for the human rights issues of the rightless, but it is also the task of reconfiguring Arendt with the central themes of modern political philosophy of democracy, rights, institutions and freedom. 한나 아렌트의 『전체주의의 기원』에서 제기되는 ‘권리를 가질 권리’는 현대 권리상실자들의 문제에 접근하는 중요한 이론적 원천을 제공하고 있다. 추상적인 인권개념이 아닌 조직화된 정치 공동체 속에서 획득할 수 있는 구체적 권리 개념을 통해 난민과 망명자 등을 수용해야 하는 근본적 이유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권리를 가질 권리는 근대 민족국가와 권리 사이의 이율배반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아렌트는 『기원』에서 민족국가를 권리의 보장자인 동시에 억압자로서 위치시키고 있다. 이에 대해 아렌트가 민족국가에 대해 모호한 태도를 지닌 것으로 해석되어 왔지만, 오히려 아렌트가 민족국가와 권리 사이에 이율배반을 함축시켜 놓음으로써 현대의 인권문제에 대한 급진적 사유를 가능하게 한다는 해석이 더욱 타당성을 지닐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민족국가에 대한 아렌트의 모호성을 지적하는 기존 해석들의 타당성을 살펴보고, 아렌트의 저작들 속에서 민족국가와 권리 사이의 이율배반을 통해 인권의 정치를 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할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권리상실자들의 인권 문제에도 중요한 함의를 지니지만, 아렌트를 민주주의와 권리, 제도와 자유라는 현대 정치철학의 중심 주제들과 다시 만나게 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 KCI등재

        교육과 정치에 대한 Arendt의 ‘구분’, 그 긴장과 화해가능성: 공통세계를 위한 ‘책임’

        조나영 한국교육사상학회 2023 敎育思想硏究 Vol.37 No.4

        이 연구는 교육과 정치의 상관성이 높고, 두 영역을 명확히 구분하는 일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Hannah Arendt가 교육과 정치는 분리되어야 하는 서로 다른 영역이라고 주장한 근본적인 이유를 고찰하는 데서 출발한다. 혁신적이고 급진적인 정치사상가로 알려진 Arendt는 아이러니하게도 교육에 대해서는 보수주의적인 관점을 취하고 있다. Arendt의 이러한 입장에 근거한 긴장 관계는 보통 세 가지 수준에서 거론된다. 첫째, 인간의 고유한 독특함을 상징하는 탄생성과 이 세계에 둘 이상의 인간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기반한 복수성이 어떻게 어우러질 수 있는가의 문제, 둘째, 다른 사람들과의 공존이 이루어지는 공적 영역과 개인의 소유와 생활이 보호되는 울타리로서의 사적 영역이 과연 엄밀히 구별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 셋째, 고유한 인격체로서 자신을 자유롭게 드러내는 행위와 이 함께함의 행위로부터 물러나야 가능한 사유의 문제가 그것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구분이 함축하고 있는 본래의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교육과 정치의 긴장 관계를 해소할 수 있는 접점이 우리의 공통세계를 위한 책임과 관련있음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는 오늘날 교육과 정치를 둘러싸고 제기되는 사안들을 고려할 때 우리가 무엇을 중시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새롭게 검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다. At a time when education and politics are highly interconnected, and when it has become difficult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two, this study starts by discussing the fundamental reasons why Hannah Arendt argued that education and politics are two different areas which should be separated. Arendt, who is known as an innovative and radical political thinker, ironically has a conservative view of education. This tension, based on Arendt’s view, is usually discussed at three levels: the first question is how to reconcile natality, which symbolizes the uniqueness of a human being, with plurality,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is more than one human being in the world; the second question is whether it is possible to strictly distinguish the public sphere, where people coexist with others, and the private sphere, which serves as a fence for one’s ownership and life; and the third question concerns the act of freely revealing oneself as a unique person and the reasoning, which is only possible by stepping away from this act of being together. By exploring the original meaning of these distinctions,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at the intersections that can resolve the tension between education and politics are related to a responsibility for our common world. It may serve as an opportunity for us to newly review what we should consider important when thinking about issues raised for education and politics in the modern context.

      • KCI등재

        Hanna Arendt의 ‘인간의 조건’과 현대의 성인교육: 성인교육철학으로서의 가능성 모색

        박응희,신서영,박창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현대사회는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달로 성인에 대한 기대 역할과 책임이 과거와는 다르게 변화되고있다. 따라서 현대 성인교육의 방향성과 목표, 내용의 준거가 될 수 있는 성인교육철학이 절실히 요구된다. Arendt는저서 ‘인간의 조건’을 통해 인간의 활동적 삶을 노동, 작업, 행위로 구분하고 노동은 생존을 위한 활동, 작업은 소모적노동을 대체할 소비적 도구 및 영속성을 위한 가치추구 활동, 행위는 타인과의 차이를 바탕으로 서로 교류 및 협의하고참여하는 활동으로 의미를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교육의 역사적 추이와 현황을 살펴본 이후, 현대사회의특성과 함께 오늘날 성인교육의 요구를 고찰하고 인간의 삶의 총체성을 바탕으로 Arendt의 이론이 현대사회의 성인교육에주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Arendt의 ‘인간의 조건’에 제시된 활동적 삶을 근거하였을 때 성인교육 프로그램은총체적이고,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며, 접근성이 좋아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modern society is changing the expected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adults differently than in the past. Therefore, adult education philosophy, which can serve as the basis for direction, goal and content of modern adult education, is desperately needed. Hannah Arendt divided the active life of human beings into labor, work and action, and distinguished the meaning of labor into activities for survival, consumer tools to replace consumptive labor and value-seeking activities for permanence, and activities to interact, consult and participate with each other based on differences with others. In this study, after looking at the historical trends and status of adult education, we examined the demands of adult education today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Hannah Arrent's theory based on the aggregate nature of human life in modern society. Finally, based on the active life presented in Hannah Arendt's 'Personal Conditions', adult education programs suggested that they should be holistic, community-based and acce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