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SCISCOPUSKCI등재

        Women and Water Issues in Gujarat, India

        Upadhyay, Bhawana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4 Asian Women Vol.19 No.-

        The majority of villages of Gujarat, India, are in water stress conditions and conflicts over water are common. In reference to the strategic and practical gender needs, this paper delineates women's issues in water management. Based on empirical work done in 2003 in villages of Gujarat, the paper highlights women's roles as domestic water managers. It also discusses the institutional issues vis-a-vis women's involvement in water management. Participatory appraisal techniques encompassing survey of respondent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focus group discussion were used to generate primary data. The findings suggest that rural women are the ones to suffer from the ever-increasing scarcity of water in rural areas, since providing domestic water is their domain. Access to water in rural areas is dominated by gender inequality on top of caste and class based discrimination. Importance of institutional assistance in enhancing women's status and reducing their drudgery is also exhibited in the paper. The paper recommends that women's productive and domestic uses of water be well acknowledged. Rural water allocation policy regimes should ensure equitable access to adequate water to all users. In order to allow both men and women to have their say and stake in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ropriate institutional and policy environment is needed.

      • KCI등재후보

        A new species of Ilyoplax (Decapoda, Brachyura, Dotillidae) from Gujarat, India

        Jigneshkumar N. Trivedi,Gunjan M. Soni,Dhruva J. Trivedi,Kauresh D. Vachhrajani 국립중앙과학관 2015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Vol.8 No.2

        A new species, Ilyoplax sayajiraoi, belonging to the family Dotillidae is described from Gujarat state, India. It differs from its closely related species, Ilyoplax stevensi and Ilyoplax frater by differences in shape and proportions of the carapace, shape, and setae arrangement pattern on chela and morphologies of male and female abdomen. The details on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are presented in this study.

      • KCI등재

        식민 통치하 자이나교도 여성의 사원 건축 후원 ― 인도 서부 구자라트를 중심으로

        구하원 ( Ku Hawo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2

        본고는 19세기 중반에 활동한 자이나교도 여성 두 명의 사원 건축 후원과 그 건축양식을 분석하여 이들이 가부장제와 식민 통치라는 이중적인 억압에 대응한 방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구자라트에서 가장 큰 도시 아메다바드 출신의 우잠바이는 1840년경 구자라트 남서부에 위치한 자이나교의 성지 샤뜨룬자야에 난디슈와라드위빠 사원을 지었으며, 구자라트 남부 출신의 하르꾼바르바이는 1848년 아메다바드에 그 남편의 이름으로 알려진 하티싱 사원을 지었다. 성지에 거대한 사원들을 지음으로써 세속적인 신용과 사업 관계를 과시하였던 남성 후원자들과 달리, 우잠바이는 띠르탕까라들이 해탈에 대해 설법하는 이상향인 난디슈와라드위빠를 형상화함으로써 남성들과 차별화된 자신의 신실함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동시에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난디슈와라드위빠를 재현하고 그 곳에서 스스로 경배함으로써 경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으며, 이는 여성으로서 가부장제 사회에 의해 주어진 한계들에 상징적으로 저항하는 행위였다. 이에 반하여 하르꾼바르바이는 남편의 유언에 따라 하티싱 사원을 완공하면서 남성 후원자들이 전통적으로 따랐던 복고주의적 자이나교 건축양식을 받아들였고, 이를 통해 남편이 세상을 떠난 후 그 역할을 이어받은 가장으로서 자신의 지위를 부각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그녀는 사원 건축과 같은 종교적인 후원 대신 교육기관이나 병원 설립 등의 공적 후원으로 옮겨감으로써 19세기 구자라트의 엘리트 남성들이 새로운 환경에서 스스로의 사회적 지위를 표출하던 방식 역시 차용하였다. 두 여성 후원자의 건축과 후원에 나타나는 어긋남(discrepancy)을 통해 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당시 빠르게 변화하는 식민 사회에 개입하면서 전통적인 가부장제에 “대치하지 않으며 저항하고 이와 경합하는 태도”를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wo Jain women and their patronage of temples during the 19th century, and how such patronage embodied a “non-confrontational resistance and contestatory behavior”. Ujambai, a wealthy Jain woman from Ahmedabad, built the Nandīśvaradvīpa Temple at Śatruñjaya (1840), one of the most sacred pilgrimage sites for Śvetāmbara Mūrtipujak Jains, and Harkunvarbai built the Hathi Singh Temple in Ahmedabad (1848), after the death of her husband. I suggest that in comparison to Ujambai’s temple, which aimed to differentiate her faith from the worldly approach of the Jain merchants while simultaneously challenging the symbolic limits set by traditional patriarchy, Harkunvarbai’s temple appropriated the temple architecture of male patrons to proclaim her status as householder. In addition, I argue that Harkunvarbai’s shift from religious patronage to civic duties also displayed the facility with which she replicated the patterns of contemporary male patronag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The untold story of the modernization thesis: Urbanization and corrup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dou Kouakou Donatien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2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Vol.25 No.3

        How does urbanization affect corruption? Modernization theory suggests a negative relationship. Existing empirical studies tend to confirm this hypothesis, showing that urbanization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corruption. In this paper, I provide an alternative perspective on corruption, focusing especially on Sub-Saharan Africa. I argue that the modernization process, ironically, can exacerbate rather than ameliorate corruption. Urbanization is conducive to corruption in an African context because urbanization is characterized by a more individualistic lifestyle reducing thus the cost of being corrupt as there are fewer social sanctions and peer pressure compared to community-based traditional life. A time-series cross-sectional analysis (1972−2015) shows across several regression models and estimators that urbanization is directly associated with corruption in a sample of African countries, but it has mixed effects on a global sample. Re-conceptualizing how urbanization shapes political culture in Africa is important for a continent that is rapidly urbanizing, working to control corruption, and in need of further development.

      • KCI등재

        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Post-Apartheid) 남아공의 인종차별 논쟁:남아공 인도인사회를 중심으로

        장용규 한국아프리카학회 2019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6 No.-

        Recently, ‘racial populism’ has become a keyword that captivates South African society. Malema’s hate speech for South African Indians is a case in this point. As a matter of fact, the history of racial hatred against South African Indians has spanned for hundreds. The reason of this racial hatred has been diagnosed as the result of brutal apartheid. It was the Apartheid regime’s tactful strategy to position Indians in between the white and the African population to bumper the latter’s anger to the prior. So, South African Indians were “sandwiched” between the white and the Africans. Rather, in this paper, I attempt to view the problem from ‘introvertive’ perspective: the problem of South African Indian communities. South African Indians were not homogenous, rather, they were comprised of diverse racial and ethnic backgrounds. As they were successfully established in South Africa, they conceive that they were superior to the Africans, and distanced and barricade themselves from the African communities. I try to point that the Africans’ hatred to South African Indians derives partially from this South African Indians’ self-isolation. 이주(migration)와 디아스포라(diaspora)는 단순한 인구이동이 아니다. 이는 이주대상이 모국과 전혀 다른 환경에서 선주민 사회의 저항과 수용의 과정을 거쳐 다양한 형태의 정체성 변형이 나타남을 의미하기도 한다. 어느 사회든 정체성이라는 것은 사실 다양한 정체성들이 소통하는 가운데 형성(Cohen 1991, Ludden 1990)된다. 아프리카 대륙 곳곳에 정착해 온 인도인 디아스포라도 아프리카인 사회와의 다양한 접촉을 통해 새로운 사회정체성을 형성해왔다. 남아공 인도인 남아공 인도인의 정확한 명칭은 ‘인도계 남아공인’(Indian South African)이다. 하지만 ‘인도인’ 정체성을 강조하는 대부분의 인도계 남아공인은 ‘남아공 인도인’(South African Indian)이라는 표현을 선호한다(장용규 2005). 들은 특히 자신들이 백인과 흑인들 사이에 낀 ‘샌드위치 신세’라고 하소연 한다(장용규 2005). 반면 아프리카인들은 흔히 인도인들이 시장경제를 장악하고 있는 경제 권력자라는 차가운 시선을 보낸다. 서로에 대한 이런 오해는 오랜 역사를 통해 쌓인 것으로 남아공에서 아프리카인과 인도인 사이에 놓인 ‘벽’은 생각보다 견고하다. 왜 남아공 아프리카인 사회와 인도인 사회 사이에는 이처럼 견고한 벽이 놓이게 되었을까? 남아공의 국민을 구성하는 두 집단 사이에 서로에 대한 어떤 역사적 경험이 축적되었기에 화해와 공존보다 대립과 갈등의 감정이 쌓이게 되었을까? 이 논문에서는 이런 질문을 중심으로 최근에 불거지고 있는 인도인에 대한 인종차별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