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古代 東北亞細亞 出土 琉璃器의 移入經路와 歷史的背景

        박천수 한국고고학회 2016 한국고고학보 Vol.101 No.-

        This study reviews data from mainland China in order to examine the import routes of glassware into Northeast Asia (i.e. Chinese Mainland, the Korean Peninsula, the Japanese Archipelago), as well as their historical background. It has recently been suggested that the glassware excavated from Daeseongdong Tomb No. 91 was introduced via Silla,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glassware excavated from Wolseongro Tomb No. Ga 13 in Gyeongju City, dating to the late 4th century, and the many glass vessel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Daeryungwon Complex. Based on the five pieces of Roman glassware excavated from the Tomb of Feng Sufu, Beipiaoxian, Liaoning Province (遼寧省 北票縣 馮素弗墓), it appears likely that the glassware found in Silla ancient tombs represented a continuation of the burial custom of the northern nomadic people; the glassware appears to have been introduced into Silla via Yan (燕) and Rouran (柔然) in the 5th century. This study shows that the glassware excavated in the Japanese Archipelago, (previously claimed to have been imported from China through direct trade) came to Japan via Silla. In particular, the glassware excavated from Daisen Ancient Tomb, the greatest royal tomb in Japan of the mid 5th century, which was introduced into Japan via Silla, is indicative of the presence of direct political relations between the Silla Kingdom and the Japanese Kingdom at the time. The country nearest to Japan that had the goods from the West that the kingdom needed the most since the 5th century, including gold, silver and glass, was Silla. A Sassanian Persian glass boat, dating to around the late 6th century, was excavated from the Okinosima Island Tomb No. 8 in Fukuoka. This glass boat is assumed to have been introduced into Japan as a result of direct trade between Silla and Northern Zhou Dynasty, China. This is because a Silla gilt古 代 東北亞細亞 出土 琉璃器의 移入經路와 歷史的背景 | 207 bronze harness was found at the tomb, and also due to the similarity of the glass boat to another example excavated from the Northern Zhou tombs of Li Xian and his wife. This implies that Silla maintained an advantageous position in terms of trade with China, since it occupied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trade between Baekje and Japan Wa at the time was impossible since Silla had occupied the eastern parts of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former lands of the Gaya Kingdom. The 7th century glasswares of the Kamigamo Shrine in Kyoto became the focus of interest when it was revealed that Kamo (賀茂) and the Silla immigrant Hata clan (秦氏) had been in-laws. This suggests that glassware may have been introduced into Japan through trade between the Hata clan (秦氏) and Silla, and handed to the Kamo clan (賀茂氏). A ring decorated cup (圓環文杯) stored in Shosoin (正倉院), in Nara Prefecture, was introduced into Japan in the late 7th century. It appears to have come to Japan from Persia via Silla through the oasis route, since it is similar, in shape and pattern, to that which was excavated from the Brick Pagoda of Songnimsa Temple in Chilgokgun; such goods also appear in the mural of Xinjiang Kumutual Shiku (新疆 库木吐拉石窟) and in Hejiacun, Xianshi, Shanxi Province (陝西省 西安市 何家村). The 8th century light yellow tall cup (淡黃色高杯) and phoenix headshaped glass bottle (鳳首甁) stored in Shosoin (正倉院) are typical examples of Islamic glassware; they are assumed to have been introduced into Japan via Silla, along with Silla ink sticks (墨), Silla harps (琴), Silla bowl (佐波理), Silla family registration (帳籍) and the Silla Avatamsaka Sutra. The 9th century historic site of Kourokan in Fukuoka yielded Silla stamped earthenware along with Islamic glassware; these items are assumed to have been introduced into Japan through the wide network of Silla’s maritime silk road, which ranged from Dengzhou (...

      • KCI등재

        유리제, 도자기제, 법랑 및 옹기류 재질의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의 중금속 이행량 모니터링

        조경철,조예은,박소연,박용춘,박세종,이혜영,Cho, Kyung Chul,Jo, Ye-Eun,Park, So-Yeon,Park, Yongchjun,Park, Se-Jong,Lee, Hye Young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0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5 No.1

        국내에 유통되는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중 4종류(유리제, 도자기제, 법랑 및 옹기류) 의 재질, 총 198건을 수거하여 식품으로 이행 가능성이 있는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및 안티몬)에 대하여 이행량을 ICP-MS 로 조사하였다. 식품유사용매는 4% 초산을 사용하여 25℃를 유지하면서 24시간 방치한 액을 시험용액으로 하였으며, 시험법 검증을 위하여 검량선,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정밀성 및 측정불확도를 산출하였다. 이행량 조사 결과 유리제의 경우 납과 카드뮴은 각각 N.D.-752.21 ㎍/L, N.D.-1.99 ㎍/L 이고, 도자기제는 납, 카드뮴 및 비소가 각각 N.D.-1,955.86 ㎍/L, N.D.-74.06 ㎍/L, N.D.-302.40 ㎍/L 이며, 법랑의 납, 카드뮴 및 안티몬은 각각 N.D.-4.48 ㎍/L, N.D.-7.00 ㎍/L, N.D.-52.00 ㎍/L 이였다. 그리고 옹기류의 납, 카드뮴 및 비소는 각각 N.D.-13.68 ㎍/L, N.D.-0.04 ㎍/L, N.D.-6.71 ㎍/L 수준으로 확인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유리제 등으로부터 식품으로 이행 가능한 중금속의 위해도는 총 섭취량대비 4.83% 이하로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유통중인 유리제 등의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은 모두 국내의 기준·규격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gration levels of lead (Pb), cadmium (Cd), and arsenic (As) from food contact articles (glassware, ceramics, enamelware, and earthenware) into a food stimulant (4% v/v, acetic acid). Migration tests were performed at 25℃ for 24 h and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Inductively-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 The method was validated by linearity of calibration curves,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recovery, precision, and uncertainty. In glassware, the migration concentrations ranged from not-detected (N.D.) to 752.21 ㎍/L and N.D. to 1.99 ㎍/L for Pb and Cd, respectively. In ceramics, the migration concentrations ranged from N.D. to 1,955.86 ㎍/L, N.D. to 74.06 ㎍/L, and N.D. to 302.40 ㎍/L for Pb, Cd, and As, respectively. In enamelware, the migration concentrations ranged from N.D. to 4.48 ㎍/L, N.D. to 7.00 ㎍/L, and N.D. to 52.00 ㎍/L for Pb, Cd, and Sb, respectively. In earthenware, the migration concentrations ranged from N.D. to 13.68 ㎍/L, N.D. to 0.04 ㎍/L, and N.D. to 6.71 ㎍/L for Pb, Cd, and As, respectively. All results were below the migration limits of Korea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food utensils, containers, and packages.

      • KCI등재

        고대 로마의 상표 사례 연구

        윤권순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論集 Vol.28 No.1

        상표 제도의 역사적 기원을 찾기 위해서는 고대 세계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그동안 고대 세계에서도 출처를 나타내는 표시가 있었다는 연구는 있었지만, 상표법적 맥락에서 특정 표시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연구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이 논문에서는 고대 로마의 표시 가운데 토기 용기(amphora), 토기 등잔 및 유리제품에서 발견되는 표시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특히, 암포라와 관련해서는 ‘SES’ 표시, 등잔과 관련해서는 ‘PORTIS’ 표시, 유리제품과 관련해서는 ‘ENNION’ 표시에 초점을 맞추어서 이들 표시가 현대적 상표 개념과 부합한 지를 분석하였다. 고대 로마시대에서 사용된 ‘SES’, ‘PORTIS’, ‘ENNION’ 표시는 각각 암포라, 토기 등잔, 유리 제품이라는 상품의 출처를 표시한다는 점에서 우리 상표법의 표장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같은 종류의 상품에 다른 표시들도 사용되었고 이들은 경쟁 대상이 될 수도 있었다는 점에서 자타상품 식별의 기능을 가진 현대 상표법상 상표 개념에 해당한다. 이들 표시는 ‘문자, 기호, 도형 등으로 구성된 표시’에 해당한다는 점에도 ‘상표’의 정의에 부합하고 있다. 이 논문은 우리 상표법상의 상표의 정의에 해당하는 표시가 최소한 고대 로마의 후기공화정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SES’는 기원전 1세기, ‘PORTIS’, ‘ENNION’의 경우 서기 1세기에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인류의 현대적 상표 사용의 역사적 기원은 이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는 고대 로마의 최대의 영토 확장에 근접한 기간이라는 점에서 상업적 활동이 상업적 표시를 필요로 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PORTIS’와 ‘ENNION’는 뛰어난 기술과 품질을 가진 상품에 기반한 오늘날의 ‘유명 상표’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고대 로마제국에서 서기 1세기에 현대적 ‘상표’ 개념이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고 하겠다. To find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trademark system, it is necessary to look to the ancient world. While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use of provenance marks in the ancient world, specific case studies on specific marks in a trademark context are rare, both at home and abroad. In this paper, we study the marks found on earthenware containers (amphora), earthenware lamps, and glassware in ancient Rome.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SES’ mark on amphorae, the ‘PORTIS’ mark on lamps, and the ‘ENNION’ mark on glassware, and analyze how these marks correspond to modern trademark concepts. We conclude that the marks ‘SES’, ‘PORTIS’ and ‘ENNION’, as used in ancient Rome, qualify as marks under our trademark law in that they indicate the source of the goods: amphorae, earthenware lamps and glassware, respectively. Furthermore, other marks were also used on the same class of goods, and these could have been competing marks, so they fall within the modern concept of trademarks as having the function of identifying goods as distinct from other goods. The marks also meet the definition of a ‘trademark’ in that they are ‘signs consisting of letters, symbols, shapes, etc.’. This paper has shown that marks that meet the definition of a trademark under our trademark law date back to at least the Late Republic period in Ancient Rome. The historical origins of modern trademark use can be traced back to the 1st century BC for ‘SES’ and the 1st century AD for ‘PORTIS’ and ‘ENNION’. It is believed that this period coincided with Ancient Rome’s greatest territorial expansion, and that commercial activities became increasingly dependent on commercial marks. In particular, the modern concept of trademark was firmly established in the first century AD in the ancient Roman Empire, as PORTIS and ENNION were the equivalent of today’s ‘famous trademarks’ based on goods of superior technology and quality.

      • KCI등재

        유리제, 도자기제, 법랑 및 옹기류 재질의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의 중금속 이행량 모니터링

        조경철,조예은,박소연,박용춘,박세종,이혜영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0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5 No.1

        국내에 유통되는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중 4종류(유리제, 도자기제, 법랑 및 옹기류)의 재질, 총 198건을 수거하여 식품으로 이행 가능성이 있는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및 안티몬)에 대하여 이행량을 ICP-MS 로 조사하였다. 식품유사용매는 4% 초산을 사용하여 25oC를 유지하면서 24시간 방치한 액을 시험용액으로 하였으며, 시험법 검증을 위하여 검량선,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정밀성 및 측정불확도를 산출하였다. 이행량 조사 결과 유리제의 경우 납과 카드뮴은 각각 N.D.-752.21 μg/L, N.D.- 1.99 μg/L 이고, 도자기제는 납, 카드뮴 및 비소가 각각 N.D.-1,955.86 μg/L, N.D.-74.06 μg/L, N.D.-302.40 μg/L 이며, 법랑의 납, 카드뮴 및 안티몬은 각각 N.D.-4.48 μg/L, N.D.- 7.00 μg/L, N.D.-52.00 μg/L 이였다. 그리고 옹기류의 납, 카드뮴 및 비소는 각각 N.D.-13.68 μg/L, N.D.-0.04 μg/L, N.D.-6.71 μg/L 수준으로 확인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유리제 등으로부터 식품으로 이행 가능한 중금속의 위해도는 총 섭취량대비 4.83% 이하로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유통중인 유리제 등의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은 모두 국내의 기준·규격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gration levels of lead (Pb), cadmium (Cd), and arsenic (As) from food contact articles (glassware, ceramics, enamelware, and earthenware) into a food stimulant (4% v/v, acetic acid). Migration tests were performed at 25oC for 24 h and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Inductively-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 The method was validated by linearity of calibration curves,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recovery, precision, and uncertainty. In glassware, the migration concentrations ranged from not-detected (N.D.) to 752.21 μg/L and N.D. to 1.99 μg/L for Pb and Cd, respectively. In ceramics, the migration concentrations ranged from N.D. to 1,955.86 μg/L, N.D. to 74.06 μg/L, and N.D. to 302.40 μg/L for Pb, Cd, and As, respectively. In enamelware, the migration concentrations ranged from N.D. to 4.48 μg/L, N.D. to 7.00 μg/L, and N.D. to 52.00 μg/L for Pb, Cd, and Sb, respectively. In earthenware, the migration concentrations ranged from N.D. to 13.68 μg/L, N.D. to 0.04 μg/L, and N.D. to 6.71 μg/L for Pb, Cd, and As, respectively. All results were below the migration limits of Korea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food utensils, containers, and packages.

      • KCI등재

        유리제 등 조리기구 중 중금속 이행에 관한 연구

        최재천,박세종,고혜아,이주연,엄미옥,김미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4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gration level of lead (Pb), cadmium (Cd), antimony(Sb), arsenic (As), hexavalent chromium (Cr6+) and mercury (Hg) from cookwares into food simulants and toevaluate the safety of each heavy metals. The test articles for heavy metals were glassware, ceramics, enamel, earthenware,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cookwares for Pb and Cd, enamel for Sb, earthenware for As, polyethyleneand polypropylene cookwares for Cr6+ and Hg. All the article samples of 391 intended for contact with foods werepurchased in domestic markets. Pb, Cd, Sb and As were analyz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Spectrometry (ICP-OES), Cr6+ by UV visible spectrophotometer and Hg by mercury analyzer. The migration levels ofheavy metals in all the samples were within the migration limits of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As aresult of safety evaluation, our results showed that the estimated daily intakes (EDI, mg/kg bw/day) were 9.12 × 10−6and 8.83 × 10−7 for Pb and Cd from ceramics and 1.19 × 10−5, 1.23 × 10−5 and 7.52 × 10−6 for Pb, Cd and Sb fromenamel. Tolerable daily intakes (TDI, mg/kg bw/day) were established respectively as 0.0036, 0.00081, 0.0021, and0.0006 for Pb, Cd, As and Hg by JECF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as 0.0060 for Sbby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When comparing with TDIs, the EDIs accounted for 0.25% and 0.11% for Pband Cd from ceramics and 0.33%, 1.52% and 0.13% for Pb, Cd and Sb from enamel.

      • 광촉매 코팅 유리의 특성 조사 및 응용

        나경주,김종범,김종호 全南大學校 觸媒硏究所 2003 觸媒硏究 論文集 Vol.24 No.-

        Photocatalyst, which is a kind of semiconductor, generates the strong oxidation on a surface under UV light. Photocatalyst was coated on a glass to form a very thin film by the use of a dip-coater.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could be adjusted in ㎛ order. The physico-chemical state of a TiO_2 film was investigated using nitrogen adsorption, XRD, TEM, SEM and UV-VIS techniques. The glassware coated with TiO_2 photocatalyst exhibited the decomposing activities in the methyleneblue, chloroform and toluene due to the photo-oxidation.

      • KCI등재

        국내 유통 식품용 유리제의 중금속 노출 평가

        김은비,황정분,이정은,최재천,박세종,이종권 한국포장학회 2022 한국포장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는 국내 유통 되는 식품용 유리제 총 110개 제 품을 대상으로 유리제에서 식품으로 이행될 우려가 있는 납, 카드뮴 및 바륨에 대하여 이행량을 조사하고 안전성 평가 를 실시하였다. 납, 카드뮴 및 바륨은 ICP-OES로 측정되었 고, 시험법은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정밀도 및 측정불확도 추정에 의해 검증되었다. 납과 바륨의 이행 량은 각각 불검출 ~ 0.7949 mg/L 및 불검출 ~ 0.1823 mg/L 이었으며, 카드뮴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식이 를 통한 이행물질의 일일추정섭취량 및 위해도를 확인한 결과 국내 유통되는 식품용 유리제는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 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gration level of lead (Pb), cadmium (Cd), and barium (Ba) from glassware into a food simulant and to evaluate the exposure of each element. The test articles were glassware, including tableware, pots, and other containers. Pb, Cd, and Ba were analys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ICP-OES). The analytical performance of the method was validated in terms of its linearity,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recovery, precision, and uncertainty. The monitoring was performed for 110 samples such as glass cups, containers, pots, and bottles. a food simulant. Migration test was conducted at 25? for 24 hours in a dark place using 4% acetic acid as a food simulant. Based on the data; exposure assessmen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estimated daily intake (EDI) to the human safety criteria. The risk levels of Pb and Ba determined in this study were approximately 1.9% and 0.3% of the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 (PTWI) and tolerable daily intake (TDI) value, respectively, thereby indicating a low exposure to the population.

      • KCI등재

        南北朝時代 北朝 고분 출토 西方係 琉璃器

        이송란(Lee, Song-ra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2 No.-

        주지하다시피 신라 고분에서는 20여점이 넘는 유리용기가 발견되었다. 학계에서는 신라의 유리그릇은 서방에서 제작되어 수입된 것으로 보는 의견에 대부분 동의하고 있다.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이 그 제작지로 추정되고 있고, 수용 경로는 초원루트가 유력시 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중국에서 출토된 유리기의 정황으로 보면 신라의 유리그릇의 제작지와 수용지를 달리 고민해야 할 필요성이 제시된다. 남조의 지역이었던 호북성, 강소성에서 출토된 유리의 수입경로는 바닷길이었을 것으로 보는 의견들이 중국학자들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서방계 유리기의 사용 양상이 가장 복잡한 위진남북조시대 북조의 북연과 북위, 북주에서 출토된 서방계 유리기의 유통과정을 분석하여 신라의 서방계 유리그릇 수용 경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북조 고분에서 발견된 서방계 유리기가 유통된 통로로는 먼저 해로가 있다. 로마, 남인도, 인도네시아의 말라카 해협을 거쳐 타일랜드, 베트남, 남중국을 잇는 항로는 한대부터 위진남북조시대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사용되었다. 5세기 초반의 북연의 풍소불묘에서 출토된 유리기중 4점이 로만 유리로 추정되는데 이중 압형유리수주를 제외한 3점이 해로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4세기대 강소성에 위치한 동진 귀족급 묘에서 로마유리기들이 많이 출토된 상황이 주목된다. 풍소불묘의 이 3점의 로마 유리는 남조를 통해 먼저 유입된 다음 다시 북연으로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시사된다. 반면 鴨形水柱는 아프가니스탄 베그람(Begram)의 수주와 비교하여 초원루트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보았다. 북위 太和7년(483년)에 사망하였고 正光2년(521년) 평성에 이장된 封魔奴墓의 網目文(Net pattern) 유리배도 초원로로 유입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北魏山西大同M107號墓의 커트문 유리완과 北周寧夏回族自治區固原縣南郊李賢墓의 고부조의 커트문 유리완은 에프탈인들이 육로를 통해 중국 북조로 유통한 것으로 보았다. 이는 북위 대동에서 활동했던 에프탈인들의 활동과 에프탈이 사산조페르시아를 전쟁으로 굴복시켰던 당시의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새롭게 주목되는 점은 중국에서 에프탈인에 의해 서방계 유리가 제작되는 정황이다. 북위 태화 5년(481년) 효문제의 명으로 세워진 定縣塔기단의 石函에서 출토된 佛鉢을 비롯하여 당시 북위 수도인 大同에서 중국 현지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유리기들이 다수 확인되었다. 중국에서 출토된 서방계 유리를 분석한 결과 신라의 유리기들은 현재 이 20여점의 유리기중 이제까지 살펴본 중국 북조의 것과 비교하여 주목되는 점은 신라에서 출토된 서방계 유리기들이 중국을 거쳐 유입되지 않는 사실이다. 다음으로는 경로의 문제이다. 필자도 기존의 의견과 같이 망목문장식의 배, 반점문배 등 다수의 신라 로마 유리그릇들이 육상루트로 유입된 것으로 본다. 중간과정으로 고구려를 경유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육로 이외에도 해로를 통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았다. 신라계 유이민의 무덤으로 간주되는 일본 신택천총 126호묘에서 동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연리문 구슬이 황남대총 남분에서도 출토되는 점을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라에서 서방계 유리를 자체 제작하기도 한 점을 밝혔다. 황남대총 남분의 감청색 유리완이나 안계리 고분의 감청색 유리완은 신라에서 제작한 것으로 보았다.

      • 한국식공간 Table Top5 요소에 대한 Art Deco의 탐색적 연구

        류무희(Ryu Moo Hee) 한국식공간학회 2014 식공간연구 Vol.9 No.1

        In this study, the Art Deco characteristics in the table top 5 elements of modern Korean dining was explored and analyzed through relevant literature. The Art Deco characteristics in the table top 5 elements of modern Korean dining were classified as "design of simplicity", "boldness of color", "exotic taste" and "functionality." The aim of the study is to support the table top 5 elements of modern Korean dining and to represent the Korean characteristics in the globalization. The Art Deco characteristics in the table top 5 elements of modern Korean dining are as follows: simplification of floral patterns, abstract geometric pattern, strong colors, non-decorative images, the use of gold and silver lacquer, ceramics, etc. in dinnerware; one-piece traditional style, imprinted handle of natural ornate pattern, gold silver spoon with colorful patterns and traditional designs to mix and match in style, and variety of metal material in cutlery; simple shapes, bright color decorated porcelain cup, geometric patterns, and cup attached with a strainer in glassware; simple floral motifs, strong colors, saekdong pattern, and gold thread embroidery in linen; the colorful Korean trinkets, traditional wood carving, and traditional silverware like sinseonro in centerpie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