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곡 편(編)계통 악곡의 ‘각(刻)’선율 연구

        김화복 국립국악원 2020 국악원논문집 Vol.41 No.-

        This study has examined how gak (刻 melodic line) is manifested in melodies of pyeon (編) variations of gagok (classical lyrical songs) by looking at geomungo (six stringed plucked zither) scores and has come to understand how variations of gagok, a genre of pungnyubang music of the late Joseon period, were developed and established. Gak melodies in a pyeon are found in Samjukgeumbo, Geumbo (from the Ogura 小倉 collection), Uheon-geumbo, Hyeongeum Oeumtongnon. Melodies within those score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1) Those that can be applied to any text whatever words are added to the text 2) Those that are applied only to words added to particular lyrics specified in the song 3) some of those in 1) that include gak melodies assigned to specific lyrics 4) gak melodies within those of 2). In some cases, the number of gak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score, and respective songs, are older or written according to current practices. For example, in the song Pyeollak, Type 2) is the most common. In Hyeongeum Oeumtongnon, Namudo is notated in two ways: first, with the same number of gak as the current version, but in Suseongjo, it is curtailed to a fewer number of gak. Horarae Pyeollak, Sorarae Pyeollak in Suseongjo and the third section of Sorarae Pyeollak in Bangsan Hanssigeumbo lack one gak compared to the current practice.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three versions adopted their text from the version in Cheongguyeongeon, which has one less gak than the current versions, and the three old versions a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osition of half gak. Type 2) is also the most common type for Eonpyeon as well, as seen in Hyeongeum Oeumtongnon, Hakpogeumbo, and Bangsan Hanssigeumbo, which contain all the three current lyrics. In Hyeongeum Oeumtongnon, however, the third section seems to have been edited out and curtailed as it has three less gak than the current versions. We can thus infer that half gak and words could be placed fairly freely in this era as in the example of Sorarae Pyeollak. As for Pyeonsakdaeyeop, Type 1) is found in all geomungo scores that contain gak melodies derived from pyeon. These gak melodies of pyeon seem to have become simplified over time with the publication of Samjukgeumbo and Bangsan Hanssigeumbo. Type 2) is seen in Hyeongeum Oeumtongnon and Hakpogeumbo, the text of Jingungmyeongsan was also reduced so that it has fewer gak. Incidentally, melodie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version of Eonpyeon existed in variations of Pyeonsakdaeyeop even before the title Eonpyeon appeared. These indicate that The melodies are predecessors of Eonpyeon and that Hansongjeong used to be part of Pyeonsakdaeyeop but became established as the text for Eonpyeon as Eonpyeon derived from Pyeonsakdaeyeop in the 19th century.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he variations of pyeon came into being mostly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at the fast tempi of many of the variations called for a variety of forms.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gak melodies were not only varied within existing songs, but played a part in developing the old songs into new ones. 본 연구는 가곡 중 ‘편’계통 악곡의 ‘각’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각’ 선율이 기보된 금보를 중심으로 그 양상을 살핀 후 ‘편’계통 악곡별 ‘각’ 선율의 특징을 찾아보고, 이를 통해 조선 후기 풍류방 음악인 가곡 선율의 다양화 및 고착 과정을 살펴보았다. ‘편’계통 악곡의 ‘각’ 선율은 처음 19세기 전반 『삼죽금보』에서 볼 수 있다. 이후 『금보(소창본)』ㆍ『우헌금보』ㆍ『현금오음통론』ㆍ『학포금보』ㆍ『방산한씨금보』 등에서 볼 수 있으며, ‘각’ 선율을 몇 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①어느 사설에서라도 늘어난 가사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각 선율’과 ②악곡에 사설이 명시되어 그 사설의 늘어난 가사에 사용되는 ‘각’ 선율을 볼 수 있다. 또한 ③어느 사설에서라도 늘어난 가사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각 선율’ 중에 정해진 사설의 가사에 대한 ‘각’ 선율이 포함된 것, ④악곡에 사설이 명시되어 그 사설의 늘어난 가사에 사용되는 ‘각’ 선율 안에 활용할 수 있는 ‘각 선율’이 포함된 것 등 4개의 유형을 볼 수 있다. 대부분 금보에서 ①과 ②유형을 볼 수 있고, ③유형은 『삼죽금보』에서 ④유형은 『학포금보』와 『방산한씨금보』에서 볼 수 있다. <편락>은 ②유형의 분포도가 가장 많고, 현행 <편락> 6개의 사설 중 ‘목붉은’만 금보에서 볼 수 없다. 『현금오음통론』의 ‘나무도’는 두 종류가 기보되어 있는데, 하나는 현행과 ‘각’ 수가 같고, 다른 하나인 ‘수성조’의 ‘나무도’는 사설의 내용을 편집하고 축소하여 ‘각’ 수를 줄여 연주한 것으로 보인다. 『현금오음통론』 ‘수성조’의 ‘홀아’<편락>ㆍ‘솔아’<편락>과 『방산한씨금보』의 ‘솔아’<편락> 3장은 현행보다 1각 모자라고, 붙임새와 반각의 위치가 각각 다르다. 이는 현행보다 1각 정도의 가사가 없는 『청구영언』의 ‘솔아레’ 사설을 사용했을 것으로 보이고, 반각의 위치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언편>은 ②유형이 가장 많고, 『현금오음통론』ㆍ『학포금보』ㆍ『방산한씨금보』 등에 기보되어 있으며, 현행 3개의 사설이 모두 기보되어 있다. 이 중 『현금오음통론』 ‘한송정’ 3장의 ‘각’ 수는 현행보다 3개 부족하여 사설의 내용을 편집하고 축소하여 연주한 것으로 보인다. 『방산한씨금보』 ‘한송정’의 3장 ‘각’ 수는 현행보다 1개 부족하고, 3장 제4째 ‘각’의 가사 붙임새와 반각 위치가 현행과 다르다. 따라서 ‘솔아래’<편락>의 예처럼 이 시기에는 반각의 위치 변화와 붙임새를 어느 정도 자유롭게 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편삭대엽>에서 ①유형은 ‘편’계통의 ‘각’ 선율이 보이는 모든 금보에서 볼 수 있는데, ‘편’의 ‘각 선율’은 『삼죽금보』에서 『방산한씨금보』까지 시대가 지나올수록 단순화된 듯하다. ②유형은 『현금오음통론』과 『학포금보』에서 볼 수 있고, 이 중 『현금오음통론』의 ‘진국명산’ 3장의 ‘각’ 수가 현행보다 부족하다. 따라서 『현금오음통론』의 ‘진국명산’<편>도 사설의 내용을 편집하고 축소하여 ‘각’ 수를 줄여 연주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언편>의 악곡명이 보이기 이전 금보의 <편삭대엽>에서 현행 <언편>에 해당하는 선율을 볼 수 있다. 『삼죽금보』 <편삭대엽> 7괘 선율과 『금보(소창본)』의 현행 <편삭대엽>에 해당하는 악곡 우측에 ‘7괘 부록선율’ㆍ『우헌금보』 <...

      • KCI등재

        판소리 중머리 장단의 ‘각’의 기능과 운용 연구 -동편제를 중심으로-

        이규호 ( Lee Gyuho ) 판소리학회 2014 판소리연구 Vol.38 No.-

        본고는 판소리 중머리 장단의 각의 기능과 운용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동편제 창자인 송만갑과 이선유의 소리에 한정하여 분석·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각의 기능을 추출하였다.1) 맺는 기능: 선율이 단락을 이루는 곳에서 이루어지는 기능으로, 1음보인 경우 각에 셋째 음절이 놓이며, 선율선은 제10박에서 마무리된다. 이때 소리를 강하게만 부르는 것은 아니다. 각에 마지막 제3·4음절을 붙이고 선율선도 각에서 마무리 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2) 엇붙임 기능: 각을 친 이후에 이루어지는데, 제10박에 붙는 것이 보통이나 제11박에서도 이루어진다.3) 강세 기능: 제7·8박의 음정을 높이면서 강하게 부른 후 각에서 1박을 휴지하고, 제10~12박을 다시 강하게 불러, 각 주위에서 강세를 주는 기능이다. 이때 고수는 각을 힘차게 쳐주어야 한다. 그러면 창자는 이 북소리를 발판 삼아 숨을 가다듬고 힘을 모아 제10~12박에서 다시 힘차게 부를 수 있는 것이다. 이 기능이 효과를 보려면 끝 음절을 짧고 강하게 끊어서 불러야 하는데, 송만갑이 그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4) 여백 기능: 거뜬한 음악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특별한 이유 없이 각을 휴지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기능이다.5) 들고가는 기능: 선율이 종지되거나 하향해야할 대목에서, 느닷없이 음정을 높여 다음 장단으로 소리를 달고나가는 수법인데, 대개 각 이후에 이루어진다. ‘강세 기능’이나 ‘연계 기능’은 기본적으로 소리를 ‘들고가는’ 효과를 갖고 있다.6) 휴지 기능: 한 호흡에 여러 박을 지속하여 가창하여 물리적으로 더 지속이 어려울 때, 각에서 숨을 쉬는 기능이다.7) 연계 기능: 제7 · 8박을 휴지하고 각에 음보의 첫 음절을 붙이면서, 음정을 높이고 힘 있게 불러 휴지 없이 다음 장단으로 연결할 때 발생하는 기능이다. 이럴 때 다음 장단의 선율과 연결성이 강화되어, 다음 장단 선율의 일부로 느껴지기도 한다. ‘들고가는’ 소리의 한 수법으로 활용된다. 각 이전에 최소한 2박 이상을 휴지하고, 각에 음보의 첫 음절을 붙이면서, 휴지 없이 다음 장단으로 연결해야 ‘연계 기능’의 효과가 커진다.8) 이정표 기능: 창자가 한 음절을 가지고 여러 박을 지속하여 소리할 경우, 고수가 각을 쳐주어 장단을 의식케 하는 기능이다. 이때 고수가 각을 내주지 않으면 창자가 장단을 놓칠 염려가 있다.송만갑과 이선유는 각의 운용을 활발히 하고 강약 조절을 분명히 하여서, 거뜬하고 생동감 있는 소리를 추구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또한 각의 ‘강세 기능’과 ‘연계 기능’ 등을 적극 운용하여 소위 ‘들고가는 소리’를 지향했다는 것도 통한다. 동편소리의 대표 주자인 두 사람이 같은 음악 어법을 갖고 있으므로, 조심스레 이런 점을 동편제의 특징으로 거론해 본다. This article studied the Functions of Gak and Usage in Pansori Joongmeori Rhythm. After analyzing and examining only the songs of Song Man-Gap and Lee Sun-Yoo, who are creators of Dongpyeonje, I found functions as following:1) Finishing-Function : This is the function which happens where the rhythm ends. In case of 1-feet, the Gak places at third syllable and melody end at the 10th beat. It is not about only singing hard. Sometimes the melody ends at the Gak with attaching third and fourth syllables to the Gak.2) Utbutchim-Function : This function happens after the Gak. It usually comes at the 10th beat but also comes at the 11th beat.3) Stress-Function : This is the stressing function by elevating the pitch and singing hard at the 7th and 8th beat, resting 1 beat at the Gak, and singing hard again at the 10th, 11th, and 12th beats. The drummer should hit the Gak hard. Then the singer makes stepping-stone of the drum sound and adjusts his breathes, so that he could sing hard at the 10th, 11th, and 12th beats again. To be effective with this function, one should sing the last syllable with short and hard staccato and Song Man-Gap shows the typical model of this function.4) Blanking-Function : This function happens when one rests the Gak without any particular reason for directing fresh air of the music.5) Carrying-Function : This is a technique of sudden elevating pitch and carrying the sound to next rhythm where it's supposed to end or lower the rhythm; and usually comes after the Gak. ‘Stressing-Function’ and ‘Connecting-Function’ basically have effect of ‘carrying’ the sound.6) Resting-Function : This function means a singer could breathe at the Gak when one sings multiple beats in just one breath and it's physically difficult for the singer to continue.7) Connecting-Function : This function happens when one connects to the next rhythm without resting at the last beat by resting at the 7th and 8th beats, attaching the first syllable of the feat to the Gak, elevating pitch and singing hard. When this function happens, rhythm and connectivity is enhanced; and connected part seems like part of the next rhythm. This function is used as a means of ‘carrying’ sound. The effect of ‘Connecting-Function’ would be enhanced when one rests at least 2 beats before the Gak, and connects to the next rhythm with attaching the first syllable of the feet to the Gak without resting at the last beat.8) Guiding-Function : When a singer songs through a few beats continually, a drummer hits the Gak so that the singer can be aware of the rhythm. If the drummer doesn't hit the Gak, the singer might miss the rhythm.What Song Man-Gap and Lee Sun-Yoo both have in common is that they pursues fresh and vivid sound by using the Gak actively and articulating the dynamics. Also they both pursues so called ‘carrying sound’ by using ‘Stressing-Function’ and ‘Connecting-Function’ lively. I carefully bring these points up as features of Dongpyeonje thus both the Song and Lee, the leaders of Dongpyeon-sound, have same musical expressions.

      • KCI등재

        16정6대강보로 읽는 장진주사의 악곡구조분석

        김영덕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1 No.-

        본고의 목적은 장진주사의 악곡 구조 분석이다. 먼저『가곡보속』에 있는 장진주곡을 살펴보면 16정간보로 되어 있다. 또한 장구장단이 다른 곡들에는 1곡에 1개씩 있는 것과 달리 1곡에 3개의 장구장단이 있어 불합리한 것을 볼 수 있다. 『세종실록』에는 ‘柱杖擊地爲節 一夕內定 주장격지위절 일석내정(지팡이를 짚고 땅을 차면서 음악의 절도로 삼았으며 하룻저녁에 정하였다)’이라 하여 명칭을 사용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柱杖擊地’는 ‘柱杖(지팡이를 짚고 )’과 ‘擊地(땅을 차면서)’의 두 동작, 즉 손과 발을 써서 음악의 절도를 셈하며 대강과 정간을 정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세조실록악보』, 「서문」의 기록을 살펴보면, “創作此譜 畫爲十六井 而 作六大綱(이 악보는 16井을 그어 6大綱을 만들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創作此譜’의 ‘作’과 ‘作六大綱’의 ‘作’은 동일한 대상‘此譜’를 가르 키고 있어 ‘此譜’의 내용이 ‘16정’과 ‘6대강’임을 알려주고 있다. 『세종실록』의 ‘柱杖’과 ‘擊地’의 두 동작의 의 미와 『세조실록악보』, 「서문」의 기록인 ‘畫爲十六井(16정을 그었다)’과‘作六大綱(6대강을 만들었다)’의 두 가 지 사실 관계를 밝혀보면 ‘16정’과 ‘6대강’의 두 가지 표기가 ‘柱杖’과 ‘擊地’의 실제 동작으로 나타난 것이다. 혹 시 ‘柱杖’과 ‘擊地’가 바뀔 수도 있지만 ‘16정’과 ‘6대강’의 표기는 바뀌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16정6대강보의 해석을 현행가곡 중 원곡이랄 수 있는 ‘이삭대엽’에 적용하면 ‘전반각(1ㆍ2ㆍ3대강)’ ㆍ‘후반각(4ㆍ5ㆍ6대강)’ㆍ‘1각=16정6대강’이 나타난다. 또한 ‘전반각 생략ㆍ후반각 고정’현상이 나타나는데 ‘언 락’에 1곳, ‘언편’에 2곳이 있다. 그리고 이를‘장진주’에 적용하여 분석하면 ‘6각~16각’까지 11각 전체가‘전반각 생략ㆍ후반각 고정’ 현상이 나타난다. 비록 16정간만으로 기록되었다 하여 1각=16정간의 시각으로만 볼 수 없 고 1각 16정6대강을 합해 보아야만 정확한 실체를 볼 수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 ‘이삭대엽’ㆍ‘언락’ㆍ‘언편’ㆍ‘장진주’4곡에 대하여 16정 6대강보로 해석하고 그 유용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세조실록악보』의 16정 6대강이 변함없이 적용되었다. 현재는 6대강의 인식 없이 16정간만 전해져 내 려 왔던 것이다. 이것은 1948년 악보 명칭을 임의로 ‘정간보’라고 지칭하면서부터 학문적 논의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왔던 것이다. 더더군다나 ‘오선보’로 역보해서 학술적 분석을 할 수 없게 만든 것이었다. 이제 까지 16 정간으로만 연구하던 가곡보에 대해 6대강을 첨가하여 올바르게 분석해낼 수 있는 것이다. 오선보 역보는 그 다 음이다. This study aims at an analysis of Jangjinjusa piece structure. At first, the piece, Jangjinjusa in 『Sequel Song Score』, is composed of 16 jeonggan scores. Other than other pieces having one janggu beat, the pieces in 『Sequel Song Score』have three janggu beats a piece, absurd. 『Sejong True History』 used the words jujanggyeokjiuiseol ilsiknaejeong(lean on sticks and strike the land to get beats on one evening), and didn’t use the terms. Here ‘Jujanggyeokji’ means two motions, ‘jujang (lean on the land)’ and gyeokji (‘strike the land’). With the hands and feet, players confine daegang and jeonggan, counting phrases. 「An introduction」 of 『Sejong True History Score』 described, “This score made 6 daegangs by lining 16 jeongs. ‘作 (‘make’) of 創作此譜 (making creative score)’ and ‘作 (‘make’) of 作六大綱 (making six classification) designate the same object ‘此譜 (this score)’, meaning that the contents of 此譜 (this score)’ is 16 jeongs and 6 daegangs. The relation between the meanings of ‘jujang (lean on the land)’ and introduction record ‘strike the land’as well as ‘lined 16 jeongs and made 6 daegangs’ shows the real motions of ‘lean on the land’ and ‘strike the land’ Though ‘lean on the land’ and ‘strike the land’ may be changed, the writings of ’16 jeongs’ and ‘6 daegangs’ are not changed. As shown above, the application of the analysis of 16 jeong 6 daegang scores to ‘Isakdaeyeop’, the original piece of the current songs, makes it clear that 1 gak means 16 jeongs and 6 daegangs in the first half gak (1st, 2nd, 3rd daegang) and in the second half gak (fifth, sixth, seventh daegang). In one place at ‘Eonrak’ and in two places at ‘Eonpyeon’, the phenomena appear, ‘first half gak omission, second half gak fixation’ The analysis on it to ‘Jangjinjusa’ shows the phenomena of ‘first half gak omission and second half gak fixation’ over all of 11 gaks ‘the sixth gak~the sixteenth gak’ The writing of 16 jeonggak shows the view of 1 gak=16 jeonggak. The general analysis of 1gak 16 jeongs 6 daegangs shows the accurate actuality. This study analyzed and examined the availability by 16 jeongs 6 daegangbos over four pieces, ‘Isakdaeyeop’, ‘Eonrak’, ‘Eonpyeon’, and ‘Jangjinju’. It was found that 16 jeongs and 6 daegangs of 『Sejong True History Score』were applied the same. But the users didn’t recognize 6 daegangs. Since the name of scores was designated to be ‘Jeongganbo’ arbitrarily in 1948, it was used continuously without an academic discussion. Furthermore, the conversion into ‘five-line score’ made it impossible to analyze it academically. Now, this study created a clue to analyze old scores into 16 jeongs 6 daegangs. It is not applied only to the songs but to all over the traditional music. It enables to study newly. The musical world classifies our traditional music with jeongak (regular music) and minsokak(folk music), but it is not classified. It is necessary to correct into ‘song, not ‘sijo’ and to put into a practical position rhythm theory that

      • KCI등재

        脚氣에 대한 考察 : Beriberi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金鍾鉉(Kim Jong-hyun),安鎭熹(Ahn Jinhee)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21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4 No.4

        Objectives :The Korean Medical concept Gak-Gi(脚氣) is understood as being identical to Beriberi and Vitamin B1 deficiency, without the necessary investigation that is required in such ident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compare these two concepts for thorough investigation. Methods :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wo directions. First, the cause, symptoms, treatment principles of Gak-Gi(脚氣) in the medical texts were analyzed. Second, the process of the Beriberi theory development and its identification with Gak-Gi(脚氣), medical information on Beriberi, and the basis of various diseases that have been linked to Gak-Gi(脚氣) were studied. Results of the two directions were used to compare Gak-Gi(脚氣) and Beriberi. Results : Gak-Gi(脚氣) and Beriberi overlap in many aspects. However, unlike Beriberi which is understood as nutrient deficiency essentially, Gak-Gi(脚氣) can be caused by exterior pathogens such as wind toxin, while its different manifestations and treatment principles cannot be fully explained by nutrient deficiency. Conclusions : Gak-Gi(脚氣) could be understood as a type of syndrome in which causes and symptoms are connected, where symptoms start in the legs, moving upwards. It cannot be identified with Beriberi, which has been interpreted as a single disease.

      • KCI등재

        『원각경』의 수행론-性相融會를 중심으로-

        이현중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heory of practice in “Weon-Gakgyeong” by focusing on Songsang-Yunghoe of Hyayan thought. To achieve this aim, Zongmil’s doctrine of Dono Jeomsu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Heosang-Guiseong, and the theory of practice in “Weon-Gakgyeong” was examined by focusing on the theory of Seonggi. Zongmil established his own theoretical structure by accepting and reinterpreting Hyayan thought and Daeseung Gisinnon. He used his theory to integrate the current conflicts between the doctrinal and Seon schools, Buddhist way and non-Buddhist way, and the southern and northern schools in a hierarchy of the fundamental and the subordinate. Zongmil understood “Weon-Gakgyeong” from the perspective of Heosang-Guiseong, that is, all appearances returning to the original nature, and proposed Dono Jeomsu as the doctrine of practice. Here, Dono means Haeo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truth), and the ultimate goal of Dono Jeomsu is Jeungo-Seongbul. However, Bollae-Seongbul has to be premised to attain Jeungo-Seongbul through Dono-Jeomsu.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ono-Jeomsu from the perspective of Bollae-Seongbul. The theory of Seonggi is an attempt to understand reality by focusing on Bollae-Seongbul. The theory of Seonggi discloses reality in the direction from the essence of the universe (Seong) to appearances (Sang). According to the theory of Seonggi, practice, Seongbul (becoming a Buddha), Jedo (deliverance of living beings from the world of delusion), Dono, and Jeomsu are all manifestations of Weon-Gak or Ilsim (singleness of mind). For this reason, in the theory of Seonggi, Bollae-Seongbul and Jeungo-Seongbul, the Buddhist way and non-Buddhist way, the doctrinal and the Seon schools, and the southern and northern schools can be reconciled with each other without difficulty. Songsang-Yunghoe means Weon-Gak or Ilsim. From the perspective of Songsang-Yunghoe, Bollae-Seongbul, Jeungo-Seongbul, life, practice,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are all the manifestations of Weon-Gak and the accommodation of Gak-Seong (Buddhahood). As life, practice, enlightenment, cultivation, and Jedo are common manifestations of Weon-Gak, there is no doing. On the other hand, as long as Gak-Seong is accommodated, there is doing. As life, practice, cultivation, and enlightenment all are doing without doing, there is no use retaining Heosang-Guiseong, the theory of Seonggi, or Songsang-Yunghoe.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things, when an appearance and the essence of universe meet and both are unified with each other perfectly, it is also an appearance (Sang). In addition, not retaining Weon-Gak corresponds to retaining something. Accordingly, from the perspective of events, it is necessary to demonstrate that every retaining is not retaining. The existing practice-centered approach, which attempts to attain Yeolban Jeokjeong (Nirvana) through Jebeopmua, needs to be replaced by considering Jin-gong Myoyu. 『원각경』에서는 무명과 원각 그리고 중도의 세 관점에서 본래성불과 증오성불을 중심으로 수행론을 논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실상을 性과 相으로 구분하여 회상귀성과 性起論 그리고 성상융회의 세 관점에서 중도를 밝히고 있는 화엄교학의 성상융회론을 바탕으로 『원각경』의 수행론을 고찰하였다. 『원각경』을 화엄교학과 선종을 바탕으로 회통적 관점에서 이해한 대표적인 사람은 종밀이다. 그는 상에서 성을 향하는 會相歸性의 관점에서 원각경을 이해하여 돈오점수를 수행론으로 제시하였다. 회상귀성의 관점에서는 증오성불이 중심문제이다. 회상귀성은 성에서 상을 향하는 性起論을 바탕으로 성립된다. 性起論의 관점에서 보면 삶, 수행, 成佛, 濟度, 돈오, 점수는 모두 원각의 顯現이자 一心의 나툼이다. 그렇기 때문에 性起論의 관점에서는 중생의 본래성불을 논한다. 중도의 실상을 나타내는 성상융회의 관점에서 보면 본래성불과 증오성불, 삶과 수행, 깨달음과 닦음이 모두 원각의 顯現인 점에서는 일체이지만 覺性을 隨順함의 측면에서는 구분된다. 본래성불을 바탕으로 증오성불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삶과 수행, 깨달음과 제도가 모두 원각의 현현이므로 그 자리에 맡기고(會相歸性), 그 자리에서 이루어짐을 지켜보면서(性起論), 모든 존재를 하나로 대하는 둘 아닌 나툼(性相融會)이 그대로 삶이자 수행이며, 닦음이자 제도이다. 따라서 삶도, 수행도, 깨달음도, 濟度도 함이 없는 함이다.

      • KCI등재

        영산회상 상영산 4장 후반3각 선율형성 고찰

        임미선 한국국악학회 2019 한국음악연구 Vol.66 No.-

        For this study, efforts were made to understand how the melody for the later three gaks (measures) of Yeongsanghoesang Sangyeongsan was formulated. In addition, efforts were made to newly understand how the melody of the later three gaks - that has been passed down to the present after the era of 『Eoeunbo』- was formed in relation to Jungyeongsan and to comprehend its nature. The contents reviewed and investigated by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elody for the later three gaks of Sangyeongsan first appeared in 『Eoeunbo』. After analyzing the properties of the melody for the later three gak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wo methods for playing Yeongsanghoesang in the era of 『Eoeunbo』. One was to repeatedly play Sangyeongsan and the other was to play Sangyeongsan and Jungyeongsan successively. There was a difference in melodies for the later three gaks while playing Yeongsanghoesang separately and for playing ‘Yeongsanghoesang’ and ‘Yeongsanghoesanggaptan’ successively. Let’s divide the melodies into A1 and A2 for convenience. A1 was a melody with the function of ‘doljang’ linked in order to give a feeling different from the original melody while repeatedly playing Sangyeongsan on the basis of Juiboksi. In comparison, A2 was a melody with the function of ‘doljang’ needed in order to connect Sangyeongsan and then Jungyeongsan. Such a difference did exist. Melodies A1 and A2 separately existed due to differences in performance practices in the era of 『Eoeunbo』. A2 was discontinued and A1 was changed for 『Yuyeji』 and became established as the present melody for the later three gaks. 본고에서는 영산회상 상영산 후반3각(4장 4~6각) 선율의 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어은보』 이후 현행에 이르는 후반3각 선율의 형성 과정을 중영산과 관련하여 새롭게 조망하고, 그 성격을 밝혔다. 본고에서 다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상영산 후반3각 선율은 『어은보』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그 후반3각 선율의 속성을 분석한 결과, 『어은보』 시절 영산회상 연주법에는 두 가지가 존재했음을 알게 되었다. 그 하나는 상영산을 계속 반복 연주하는 것, 다른 하나는 상영산과 중영산 두 곡을 접속 연주하는 것이었다. 영산회상(현 상영산) 만을 따로 반복해서 연주할 때와 ‘영산회상’과 ‘영산회상갑탄(현 중영산)’을 연이어 연주할 때의 연주법에는 차이가 있었다. 『어은보』 4장 후반에 있는 선율을 주이복시를 기준으로 앞 부분을 A1, 뒷 부분을 A2로 구분하여 보면, A1은 주이복시 방법으로 상영산을 반복해서 연주할 때에 맨 처음의 선율과 다른 변화를 주기 위해 연결되는 돌장 기능이 있는 선율이었고, A2는 상영산 다음에 중영산을 연결할 때 필요한 돌장의 기능이 있는 선율이었다. 이처럼 A1과 A2의 선율은 『어은보』 당시 영산회상의 연주관행 차이로 인해 각각 별개로 존재한 것인데, A2는 단절되어 전하지 않고 A1은 『유예지』에서 새로운 선율로 대체되어 현행 후반3각 선율로 정착되었다.

      • KCI등재

        蒼軒 趙宇慤의 <대명복수가> 연구

        김수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0 東洋學 Vol.0 No.81

        This study is about Gasa <Daemyung-boksooga> which Cho woo Gak wrote, have purpose such as reaching Cho woo Gak’s life and creative background, academic reporting of Korean version’s peculiarity. Cho woo Gak was a writer of letters in the Gyeongsang Province who study from Galam Lee Hyoen Il, scholars of Toigye. Lee Hyoen Il wrote 「Sandong- Proklamation」 with wishing resurrection of the Ming Dynasty after Qing Dynasty Convicts China’s hegemony. Cho woo Gak read this work and a couple of hundred years later, wrote <Daemyung-boksooga> venting his anger just like an indignant scholar right after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This have relation with the Toegye school tradition which strengthen one’s argument and justice stretch to Cho woo Gak with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This study research Korean version <Daemyung-boksooga> that is not reported to the academic circles, and figure out the aspect of the writer’s consciousness being realized which never been able to study in existing research. For that, this study search and analyze various data about tracing the author’s thoughts and establish Korean version’s peculiarity by textual bibliography. Especiall it could be guessed <Daemyungboksooga> to be widely enjoyed, from point of view which an exam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were very numerous. By result of a research about transcribed notation, Chinese character’s pronounce was not recorded intact. This is proof that the speech were written down. 본 논문은 趙宇慤이 지은 가사 <대명복수가>에 대한 연구로서, 조우각의 생애, 본 작품의 창작 배경을 밝히고 한글본의 특징을 학계에 보고함을 목적으로 한다. 조우각은 영남의 문인으로 갈암 이현일을 사숙한 퇴계학파의 문인이다. 李玄逸은 병자호란 직후 청나라가 중국에서 패권을 완전히 장악한 이후로 명나라의 부활을 소망하며 「山東檄文」을 지었다. 조우각은 이 글을 접하고 200년이 지난 시대상황에서 <대명복수가>를 지어 마치 병자호란 직후의 분개한 선비처럼 강개한 심정을 쏟아내었다. 이는 퇴계학파의 학풍과도 관계되는 것으로서 주리론을 강화하며 의리를 숭상하는 전통이, 북벌이라는 소재로 조우각에까지 이어진 것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한글본 <대명복수가>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기존의 연구에서는 밝히지 못했던 작가의식이 구현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작가의 사상을 살펴볼 수 있는 여러 자료들을 찾아 분석하였고, 여러 이본과 비교하여 한글본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특히 필사자를 여성으로 추정하면서 한문 고사가 매우 많은 본 작품을 필사하여 향유한 점을 미루어, 매우 광범위하게 향유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필사한 표기법을 연구한 결과 한문의 발음이 온전하게 기록되지 않은 점으로 봐서 구전되는 것을 적었을 것이라 판단할수 있었다.

      • KCI등재

        임진왜란 초기 임진강 일대 주요전투와 관군의 지휘체계 실태: 임진강·해유령 전투를 중심으로

        유동호 육군군사연구소 2023 군사연구 Vol.- No.155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major battles in the Imjin River area in the early days of the Imjin War and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government forces at the time, the process of the fall of the capital city, the development of major battles, the cause of the defeat in the Battle of Imjin River, and the beheading process of Shin-gak were considered. On April 13, 1592, Japanese troops invaded Joseon and occupied the capital city in about 20 days. The Joseon government army that failed to retain its capital built a defense line around the Imjingang River. Kim Myung-won and others built a defense line on Imjinnaru, and Iil and others built a second defense line on Daetan upstream of the Imjin River. And Lee Yang-won and Shingak rearranged their battle lines in Yangju. In the process, the battles between Haeyu-ryeong and Jangsuwon took place. The Battle of Haeyu-ryeong on May 16 was the first battle in which the Joseon government forces won the Japanese regular army on land. And the Battle of Jangsuwon was the battle in which Lee Si-eon's unit won the Japanese regular army at Jangsuwon (now Uijeongbu-jang) on May 17. After the battles of Haeyu-ryeong and Jangsu-won, Shin-gak, Lee Yang-won, and Lee Si-eon joined the Imjin River defense line built by Kim Myeong-won, Han Eung-in, and Lee Il. However, on the night of May 17, the Imjin River defense line collapsed due to the over-interference of the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the day after the defeat in the Battle of the Imjin River, Shin-gak was beheaded. This is because Kim Myeong-won put all the responsibility for not protecting the Han River on Shin-gak. The defeat in the Battle of Imjin River and Shin Gak's death were due to Joseon government's poor judgment and confusing military command system. At that time, the command system was centered on civilian decision-makers, so that commanders with equivalent echelons could not properly grasp the war situation and create a strict hierarchy. As a result, the command system was confus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battlefield was not smooth. In the end, it resulted in defeat in the Battle of Imjin River and beheading of Shin Gak. 임진왜란 초기 주요전투 재조명 및 지휘체계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도성 함락과정, 주요전투의 전개과정, 임진강 전투의 패배원인, 신각의 참형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1592년 4월 13일 조선을 침략한 일본군은 약 20일 만에 도성을 점령하였다. 조선군은 도성에서 물러나 임진강 일대에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도원수 김명원 등은임진나루에 제1방어선을 구축하였으며, 순변사 이일 등은 임진강 상류 대탄에 제2방어선을 구축하였다. 이 과정에서 해유령·장수원 전투가 벌어졌다. 해유령 전투는 5월 16일 조선 관군이 육지에서 일본군에게 처음 승리한 전투이며, 장수원 전투는 5월 17일 이시언부대가 장수원(현 의정부 장)에서 일본군에게 승리한 전투이다. 해유령·장수원 전투 이후 신각, 이양원, 이시언 등은 임진강 방어선에 합류하였다. 그러나 5월 17일 밤 임진강 방어선은 무너졌다. 지나친 조정의 지휘간섭이 큰원인이었다. 한편 임진강 전투에서 패한 다음 날, 해유령 전투를 승리로 이끈 신각이 갑자기 참형 당하였다. 도원수 김명원이 한강전투 패배의 책임을 신각에게 돌렸기 때문이다. 임진강 전투 패배와 신각 참형사건은 혼란한 군령체계와 조정의 성급한 판단의 결과물이었다. 당시 지휘체계는 대개 文臣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名位와 爵秩이 비슷한 지휘관들은 전황을 제대로 파악을 할 수 없었으며, 엄정한 위계질서를 구축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군령체계는 혼란하였고, 조정과 戰場 간 소통은 원활하지 못하였다. 선조와 조정 대신들은 임진강 방어선의 장수들에게 무리한 공격명령을 내려패배를 자초하였고, 김명원의 말만 믿고 신각을 성급하게 처형하였다. 임진강 전투패배와 신각의 참형사건은 임진왜란 초기 관군의 지휘체계 실태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 KCI등재

        Effect of Silicate and Phosphate Solubilizing Rhizobacterium Enterobacter ludwigii GAK2 on Oryza sativa L. under Cadmium Stress

        Arjun Adhikari,이고은,Muhammad Aaqil Khan,강상모,Bishnu Adhikari,Muhammad Imran,JANRAHMATULLAH,김경민,이인중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20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30 No.1

        Silicon and phosphorus are elements that are beneficial for plant growth. Despite the abundant availability of silicate and phosphate in the Earth’s crust, crop nutritional requirements for silicon and phosphorus are normally met through the application of fertilizer. However, fertilizers are one of the major causes of heavy metal pollution. In our study, we aimed to assess silicate and phosphate solubilization by the bacteria Enterobacter ludwigii GAK2,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phosphate [Ca3(PO4)2] or silicate (Mg2O8Si3), to counteract cadmium stress in rice (Oryza sativa L). Our results showed that the GAK2-treated rice plants, grown in soil amended with phosphate [Ca3(PO4)2] or silicate (Mg2O8Si3), had significantly reduced cadmium content, and enhanced plant growth promot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fresh shoot and root weight, plant height, and chlorophyll content. These plants showed significant downregulation of the cadmium transporter gene, OsHMA2, and upregulation of the silicon carrier gene, OsLsi1. Moreover, jasmonic acid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GAK2-inoculated plants, and this was further supported by the downregulation of the jasmonic acid related gene, OsJAZ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nterobacter ludwigii GAK2 can be used as a silicon and phosphorus bio-fertilizer, which solubilizes insoluble silicate and phosphate, and mitigates heavy metal toxicity in crops.

      • KCI등재

        문천각 고문헌 전산화의 성과와 한계

        최식 한국한문교육학회 2006 한문교육논집 Vol.27 No.-

        The Result And Limit Of Computerization Of Moon Cheon Gak's Ancient Documents This study looked into Computerization Of Moon Cheon Gak's Ancient Documents in Gyeongsang university, as the central figure among 13 organizations of Korean History On-line, by dividing computerization between the present state and results a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Computerization Of Moon Cheon Gak's Ancient Documents, as we can make sure from 'The Digital Library Of Nammyeong Study', includes data for history and culture in Gyeongnam areas laying stress on Namkyeong and builds up the plan to try to grow up into the strongpoint offering the information of history and culture in the south Gyeongsang Provinces in the long run. Especially, while 'The Digital Library Of Nammyeong Study' makes up for some problems in the existing computerization, it offers users the greatest convenience as a differential service to access and utilize data easily. But, because the try to complement the existing problems causes some errors in computerization, the way for more detailed review and improvement is needed urgently. The errors are relevant to the important things like the omission and mess of the relevant data's text and images as well as the chinese characters, which is the problems belonging to each organization of Korea History On-line from 'The Digital Library Of Nammyeong Study' in common. Hereafter the computerization of ancient documents, therefore, must be checked over and corrected continually to rectify errors and problems by spending enough money, effort and labor rather than gotten close in economic way by putting first in results. Only so, users will be offered the data and information of good quality smoothly. 본고는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의 13개 기관 가운데 경상대학교 문천각 고문헌 전산화 사업을 중심으로, 전산화의 현황과 성과, 문제점과 개선방안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문천각의 한국학 자료 전산화는 ‘남명학고문헌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남명을 중심으로 경남지역의 역사문화 관련 자료를 망라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경상남도 지역의 역사와 문화 정보제공 거점기관으로 성장하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남명학고문헌시스템’은 기존 전산화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보완하는 한편, 사용자가 자료에 손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그러나 기존의 문제점을 보완하려는 시도가 도리어 전산화의 오류를 초래하는 문제점도 일으키고 있어, 면밀한 검토와 그 개선방안이 시급하게 요구된다. 단순한 한자의 缺落과 입력의 오류뿐만 아니라, 해당 이미지와 텍스트의 錯落 등 중대한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는 문천각의 ‘남명학고문헌시스템’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의 각 기관들이 공통으로 안고 있는 문제일 것이다.그러므로 향후 고문헌 전산화 사업은 성과(업적) 위주의 경제 논리로 접근하기보다는, 충분한 시간과 인력, 비용을 투입하여 전산화의 오류를 최소화하는 한편 끊임없는 검토와 교정을 통해서 오류와 문제점을 바로잡아야 한다. 그래야만 양질의 자료와 정보를 사용자에게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