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교육의 개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박귀선,남상준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ual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understand teachers' idea on such categories as the targets, goals, contents, approach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ituation by Focus Group Interview. The Focus Groups were composed of 2 teacher groups experienc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2 teacher groups in-experienc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Each groups was constituted by 4-5 teachers. Data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was transcriped, coded, and content-analys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two categories of target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viewed teachers were aware are inflows from abroad and inner majority. Second, interviewed teachers awareness of the goal in multi-cultural education could be classified into acceptive attitude, recognizing variety, respecting and accepting other groups and cultures, respecting human beings, cooperative attitude. Third, interviewed teachers were aware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arget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the metho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viewed teachers were grouped into contributions approach, additive approach, transform-the-curriculum approach, social approach, and mixed approach.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다문화교육 경력교사들의 다문화교육 개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후 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적 다문화교육의 대상,목표, 교육내용과 그에 대한 접근방법 등의 범주에 대한 인식양상을 파악하였다. 포커스 그룹은 일반교사 2그룹과 다문화 교육 경력교사 2그룹 씩 총 4그룹으로 구성하였으며,그룹 당 4~5명의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전사한 후 코딩과정을 거쳐 내용분석을 하였으며,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연구문제인 다문화교육 대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크게 외부에서 유입된 구성원과 내부 구성원의 2개 범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인식은 양영자(2008)의 연구에서 다문화교육의 대상을 소수자와 다수자로 분류한 내용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두번째 연구문제인 디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수용적 태도,다양성 인정,타집단 및 타문화에 대한 존중과 수용, 인간존중, 협력적 태도 등 9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세번째 연구문제인 다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첫번째 연구문제인 교육대상에서와 같이 하위범주를 외부유입 구성원과 내부구성원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네번째 연구 문제인 다문화교육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교사개별적 접근방법과 Banks의 접근법,활용시간의 범주로 분류해 보았다,다시 하위범주로 교사개별적 접근 방법은 미디어 활용,관련교과, 이문화교육으로 분류되었고,Banks의 접근법에서는 기여적,부가적,변환적, 사회행동적, 혼합적 접근법 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 외에 활용시간으로는 재량시간이나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교과수업 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시로 교육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중등교사들의 민주시민교육 의미 해석과 실천 전략에 대한 FGI 연구: 서울과 경남을 중심으로

        김영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9 사회과교육연구 Vol.26 No.3

        In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r how teachers understand the concep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how they implement the citizenship education. Focus group interview participants are seven secondary teachers from Seoul, Korea and five secondary teachers from Gyeongnam, Korea. Finding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reveal that teachers from two areas have different idea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eachers from Seoul schools defin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 process of building democratic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y value discussion in building democratic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eachers from Gyeongnam schools conceptualize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 change of classroom management and school decision making from authoritative way to democratic one. In teaching approaches, teachers from Seoul are more active in the discussion of various social and political topics while teachers from Gyeongnam schools tend to relate character education with citizenship education. Teachers from both areas common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chool leadership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y also have agreement in tha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not merely a teaching activity on specific subjects but also a principle of schooling in wider range. Educational approaches for the enhancement of students’ civic efficacy are considered essential by teachers from both areas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inally, this researcher provided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focus group interviews.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중등교사 7명과 경남 지역 중등교사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여 각 지역의 교사들이 민주시민교육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어떤 방식의 실천전략을 선호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초점집단면접 결과 서울지역 교사들은 민주시민교육을 학생과 교사와의 민주적 관계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았지만, 경남 지역의 교사들은 학생 요구를 적극 수용하는 관점에서 바라보았으며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에 있어서 서울지역의 교사들은 토론을 통한 평등한 의사결정을 중시했지만, 경남지역의 교사들은 학생지도 방식의 변화(권위적→민주적)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민주시민교육의 내용에 있어서 서울지역의 교사들은 다양한 사회적·정치적 문제나 쟁점을 적극 활용하는 반면 경남지역의 교사들은 인성교육의 차원에 한정해서 바라보고 있었다. 반면 서울지역 교사들과 경남지역 교사들의 인터뷰 내용에서 공통되는 점도 발견되었는데, 교육주체들의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점, 민주시민교육이 특정한 주제에 대한 학습을 넘어 학교 운영의 원리로 작용한다는 점, 학생의 성취감 또는 효능감이 중요하다고 여기는 점 등이다.

      • KCI등재

        효과적인 서민금융상품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이해당사자 집단심층면접(FGI)을 중심으로

        이숙현,석희정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1 GRI 연구논총 Vol.23 No.4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ffective micro-credit policy and the assetbuilding program. In order to retract a practical solution, this study went over three focus-groupinterviews. The professionals and clients from various micro-credit institutions participated focusgroup interviews in this study. This study adapted the four-step methods of analyzing focusgroup interviews suggested by Krueger(1998). Therefore, this research formed the questionnaire together with professionals and researchers from Kyunggi-welfare-foundation before proceeding each focus-group-interviews. Secondly, we transcribed the interviews and requested additional information if necessary, to the participants of focus-group-interviews. Thirdly, researchers and professional went over the in-group discussion time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focus-group-interviews. Lastly, we analyzed and summarized data using ‘open-coding’ methods suggested by Strauss&Corbin(1998). The research concludes by suggesting effective micro-creditpolicies based on the opinions given by the professionals and clients from micro-credit policy institutions 본 연구는 서민금융정책 개선 방향에 대한 현실적인 논의를 통해 효과적이고 실효성 있는 서민금융정책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현실적인 개입 방안 마련을 위하여 경기도 서민금융복지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실무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총 3회의 표적집단심층면접(FGI)을 진행하였다. FGI는 Krueger(1998)가 제시한 4단계 과정을 통해 도출하였다. 즉, 1단계에서는 선행연구 검토와 전문가 회의를 바탕으로, 사전에 개발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반구조화 면담방식 형태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후 2단계에서는 녹취한 FGI를 전사한 후 서면으로 보완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실무자와 연구진들이FGI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서민금융정책 개발 방안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4단계에서 전사한 FGI 진술 내용을 Strauss와 Corbin(1998)의 개방 코딩 형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서민금융 종사자와 이용자들의 의견을 토대로 한현실적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서민금융사업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설기떡의 조리법 및 관능적 특성에 관한 미국인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

        서한석,조성은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8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4 No.1

        Purpose: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udy were to identify obstacles experienced by U.S. Americans during their preparation of Seolgitteok and determine sensory characteristics that might reduce sensory acceptance of Seolgitteok. Moreov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ow to modify the current recipe of Seolgitteok to be more approachable to Americans from both cooking and sensory standpoints.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different groups: undergraduate student group (n=7), homemaker group (n=7), and culinary professional group (n=5) at the University of Arkansas Sensory Service Center (Fayetteville, AR, USA) in March 2015. Prior to focus group interviews, panelists were asked to cook and taste Seolgitteok samples prepared with either white or brown rice flour according to the currently available recipe. Main contents of collected interview data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into ‘theme’ and ‘sub-theme’ with respect to four aspects: 1) obstacles encountered during cooking, 2) how to overcome such obstacles, 3) sensory characteristics of Seolgitteok, and 4) how to increase consumer acceptance of Seolgitteok. Results: All three groups suggested to shorten the durations of soaking rice grains, to employ an alternative milling process, and to simplify the steaming procedure. Panelists emphasized that using dry rice flour rather than wet rice flour seemed to be easier and more accessible for Americans to cook Seolgitteok. To improve bland taste and flavor attributes, it was suggested to add other flavors and/or ingredients to Seolgitteok using white rice flour. Based on sensory characteristics, while Seolgitteok sample using white rice flour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consumption as a dessert, Seolgitteok using brown rice flour was identified as acceptable in side dishes or bread items.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o modify the current recipe of Seolgitteok to be more friendly and acceptable to people in the U.S.

      • KCI등재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on the Use of Outcome Measures by Korean Physical Therapists Using Focus Group Interview-Based Cognitive Interviewing

        임재현,박세주,박성환,정호진 대한물리치료학회 2023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35 No.5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Korean sentiment questionnaire by adapting an existing English survey using focus group interview (FGI)-based cognitive interview (CI) technique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outcome measures (OMs) among Korean physical thera- pists. Methods: The existing OMs survey questionnaire was adapted by dividing eight physical therapists into two groups: mid-experienced (n = 4) and high-experienced (n = 4). Each group participated in a 120-minute FGI-based CI session.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 researcher transcribed the data immediately after each interview. The data were then organized and categorized into themes using Excel 2021 and verified with the participants. Results: FGI-based CI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Korean physical therapists to revise the English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tailor- ing it to the local context. Four main themes emerged from the interviews: inappropriate items or translations, questionnaire length and organization, questionnaire improvements, and additional items.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based on the feedback obtained during these interviews. Conclusion: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according to the themes derived from the interview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represent the clinical environment of Korean physical therapy accurately by removing elements of the questionnaire unsuitable for the Korean sentiment and incorporating the perspectives of Korean physical therapists.

      • KCI등재

        고등 및 전공과 중도장애 학부모의 학교기반 진로·직업 자조모임 경험과 그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최민식,김원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and understand the realities of the career and vocation self-help group meetings for parents who have high school and college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by examining their experiences and needs. Meth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which allow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needs and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From March to July in 2018, two focus groups were compos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out of 14 parents who voluntarily organized and participated in self-help groups at S Special-Education School to prepare for adulthood transition of thei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objective analysis, the research team and the supervisor team participated in the data analysis. Results and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3 themes, 9 categories, and 24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themes and categories are 1) Adult transition period that is recognized as a problem—Aggravation of parenting, Challenges of transition, Poor environment for adult transition, 2) Process and results of the parent self-help groups—Motive for participation, Difficulty of participation, Meaning of self-help group: Empowerment, Change in parent’s attitude, and 3) Tasks for self-help group hereafter and implications—Need for school-based career and vocational parental self-help groups, Clear purpose of the meeting and operation method.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background data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and needs that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have in transition to adulthood and to develop specific action plans for parental self-help groups in further studies.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학교 고등 및 전공과 진로·직업 자조모임에 참석한 중도장애 학부모들을 중심으로 자조모임 경험과 그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자조모임의 실제를 이해하고, 나아가 이를 기초로 자조모임 실천에 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참여자들의 경험과 이에 대한 해석 및 요구를 단기간에 심층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2018년 3~7월까지 ○○지역 소재 S 특수학교에서 중도장애 자녀들의 성인전환기 준비를 위해 학부모들이 자발적으로 모임을 구성·운영한 자조모임 참석자 총 14명 중 6명을 대상으로 2개의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인터뷰가 진행되었고,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연구팀과 감수팀이 자료분석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그 결과 ‘주제 1) 문제로 인식되는 성인전환기-가중되는 양육의 무게, 열악한 성인전환기 환경, 전환의 과제’, ‘주제 2) 학부모 자조모임의 과정과 결과-참여 동기, 참여의 어려움, 자조모임의 의미: 임파워먼트, 학부모의 태도변화’, ‘주제 3) 향후 자조모임 과제와 시사점-학교기반 진로·직업 학부모 자조모임의 필요성, 명확한 모임목적과 운영방식’이라는 3개의 주제와 9개의 범주, 2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도장애 학생의 성인전환기 어려움과 지원에 관한 사항들을 이해하고 학교를 기반으로 한 학부모 자조모임의 필요와 구체적인 실천방안에 관한 기반자료 및 후속연구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정다운 학교에서 협력교수를 실행한 초등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경험 분석

        전연주,강영심,옥혜숙 한국통합교육학회 2022 통합교육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focus group interview,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examine the co-teaching experiences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Jeongdaun School.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10 teachers, with 5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5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who performed co-teaching for at least a semester at Jeongdaun School, an elementary school in U. On February 9, 2021, the research participants received prior notice about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the interviews were performed from February 9, 2021, to March 11, 2021, by the order of the groups starting with G1 focus group, G2 focus group, and G3 focus group.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s, a total of 3 upper categories and 7 lower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ived that co-teaching betwee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has positive effects for the teachers, non-disabled students, and disabled students. While there are positive sides to co-teaching experiences for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Jeongdaun School, the facts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 parts due to the difficulty of prior consultation between teachers and institutional problems many difficulties were revealed. Lastly, th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Jeongdaun School suggested that it should be built a positive attitude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continuously activate opinions about the activation measures of co-teaching.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explored the environment to establish co-teaching in Jeongdaun School and identified the measures to activate effective co-teaching.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정다운 학교의 초등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협력교수 경험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U 소재의 초등학교 정다운 학교에서 최소 한 학기 이상 협력교수를 실시해온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 각각 5명씩 총 10명이다. 2021년 2월 9일 연구 참여자들에게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대한 사전 안내를 시작으로 2021년 2월 9일부터 3월 11일까지 G1 포커스 그룹, G2 포커스 그룹. G3 포커스 그룹 순으로 차례대로 인터뷰를 하였다. 그리고 인터뷰 자료를 바탕으로 의미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상위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정다운 학교에서 경험한 협력교수는 교사만이 아니라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관점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협력교수 경험은 긍정적인 부분도 있지만, 교사 간 사전 협의의 어려움과 제도적인 문제로 인해 힘든 부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다운 학교에서 협력교수가 지속해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긍정적인 태도와 협력교수 실행에 학교 차원의 제도적인 지원이 절실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다운 학교에서 협력교수를 위해 조성되어야 하는 환경은 무엇이며, 효과적인 협력교수에 대한 방안과 그 활성화를 위한 요소를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Edu Tech)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서향희(HyangHee Seo),박주희(JuHee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Edu Tech)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의 질적 연구방법을 진행하였다. 포커스 그룹인터뷰는 2020년 3월 5일부터 2020년 5월 31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전사 작업, 추가자료 수집과 분석은 2020년 3월 15일부터 2020년 10월 31일까지 진행하였다. 결과 예비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 활용은 실감형 교육으로서 불편한 수업상황의 개선 도구로 인식하였으며,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낮은 인식의 형성은 에듀테크 활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지 않는 학교풍토와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부족, 에듀테크 활용 수업 평가기준의 부재가 에듀테크 활용의 걸림돌로 작용하였음을 말하였다. 학교교육의 목표를 위해 에듀테크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에듀테크 활용과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전담인력으로서 테크매니저 제도가 필요하며 콘텐츠의 질적 전환을 통해 교육과 기술의 융합, 콘텐츠의 다양화, 역량을 함양하는 교육방법과 교육내용의 혁신을 위한 교육적 에듀테크를 지향해야함을 인식하였다. 결론 에듀테크 활용 교육과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의 실제적인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에듀테크 활용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논의와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use of Edu Tech in school setting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focus group interview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use of Edu Tech in school setting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rch 5, 2020 to May 31, 2020, and the company work, addition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from March 15, 2020 to October 31, 2020. Results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use of Edu Tech in the school settings as a tool for improving the uncomfortable classroom situation as a realistic type education, and the formation of teachers low perception of the use of Edu Tech was from the fact that school climate that does not actively encourage the use of Edu Tech, lack of devices that can be used in class, and the absence of evaluation criteria for Edu Tech utilization class acted as a stumbling block for Edu Tech utilization. For the goals of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expertise on the Edu Tech, they perceived that a tech manager system is needed as dedicated manpower that can support the use and management of Edu Tech, and through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contents, they perceived that convergence of education and technology, diversification of contents, educational methods to develop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Edu Tech should be pursued for innov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the actual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concerning education using Edu Tech, and presente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discussion and support for vitalizing education using Edu Tech.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장래희망 설계경험에 대한 탐색연구

        유수복 ( Su Bok You ),김현주 ( Hyun Ju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가정형편이 어려운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을 대상으로 장래희망 설계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곳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10명의 청소년에게 자신의 장래희망에 대한 설계 경험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어릴 적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잠시 꿈꿔봤던 직업과 자신의 재능을 인정해 주는 주변인을 만났을 경우 어릴 적부터 지금까지 변하지 않는 직업으로 장래희망이 형성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장래희망은 내가 갖고 있는 걱정과 내가 해결할 수 없는 걱정 등을 현실에서 경험하였으나, 가족이나 주변사람의 관심과 본인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빈곤 청소년을 대상으로 장래희망 설계경험에 대한 국내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비슷한 배경을 가진 이들의 시각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방식인 질적 연구를 통해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이들 빈곤 청소년을 사회가 돌봐야 하는 약자가 아닌 ‘예비 경제인’으로 바라보는 인식 전환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세 곳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는 한계를 갖고 있어 차후 연구대상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들 빈곤 청소년의 장래희망에 대한 관심 제고의 필요성, 센터의 실제적인 개입 방안과 진로 및 직업개발에 필요한 내용을 제도 및 실천 차원으로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complemented targeted the youth group utilizing the service of community centers in order to profoundly understand the planning for their future. To do this research the experience of future planning of ten young students who are using the services from three community centers was analysed in a way of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ormation of the participants’ dreaming jobs are not only the ones they have been wishing through positive memory and experience made when they were young but also they tend to keep the same dreaming jobs as they used to dream when they meet someone who recognizes and understands their talents. Their dream formed like this has been established even if it might face conflicts due to concerns caused in reality. This result has a meaning in terms that it helped change of recognition that our society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qualitative study that is done by focus group interview even though there is few national former study for future dream targeted young people in poverty and looks these young students in poverty as more of ‘preliminary agents of economic activity rather than as a weak group to be cared by. However,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only three community centers so it is necessary to do further study including comprehensive target group. Lastly, it has been suggested into institutional and practical step that society needs to improve its interest for the dream of poverty youth, the practical way of centers’ involvement, and the contents that needs for future path and job development of general teenagers.

      • KCI등재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통한 유아기 행복의 구성요인과 측정방법 탐색

        이경민 ( Kyung Mi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유아의 행복을 구성하는 요인을 탐색하고 유아기 행복을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의 추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유아의 행복관련 선행연구분석을 토대로 유아기 행복을 구성하는 요인과 내용범주별 개념을 추출하여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긍정정서, 부정정서, 강점, 몰입, 주의집중, 참여, 신체건강, 정서적 안정, 자아실현, 회복탄력성, 관계 등 열 한 가지 요인. 둘째, 유아교육전문가 및 행복연구자 9명을 대상으로 4회의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여 유아기 행복을 구성하는 요인과 측정 요인의 적합성 및 타당성 확인하였다. 그 결과 유아기 행복측정을 위한 탐색요인은 정서, 몰입과 참여, 신체건강, 정신건강, 관계 다섯 가지 요인과 전반적인 유아의 생활만족 요인을 추가한 여섯 가지로 범주로 구성하였으며 각 요인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문항 총 45개를 추출하였다. 또한 유아행복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통해 현장의 적용성과 객관적 타당성이 높은 유아기 행복측정방법으로 생활 영역별 제 3자 평정법임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수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행했기 때문에 대표성의 한계는 있지만 전문가들의 관점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에 기초한 유아기 행복 측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유아기 행복측정 연구의 방안을 모색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insights and data from the exper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happiness studies for exploring constructive components and measurement method of happiness of young children. The research carried out focus group interview,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ubjet of 9 participants based on their career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teacher or professor, presence or participation in training programs for children’s happiness education, an interest in happiness education or exploring youn children’s better lives. The study consists of 2 stages. Firstly the study produced a semi constructed questionnai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on happiness and happiness education of young children. The constructive contents were classified and the appropriate method for measuing happiness of young children were verified through the 2 set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6 participants. Secondly the study explored the valid method and organized the items to measur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through the other 2 sets of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5 componests of the young childrens happiness were found; emotion, engagement and achievements, physical well-being, mental well-being, relations. the third-party observation and assessment methods were found useful to measure children’s happiness and total 45 items were organized to measure children’s 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