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탐구기반 지리답사 기획 프로젝트를 통한 지리답사 교수내용지식 함양

        김민성 한국지리학회 2022 한국지리학회지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enefits of an inquiry-based geographic fieldwork design project on the development of geography pre-service teachers’ fieldwork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FPACK). FPACK is defined as the teacher’s capability to design and implement geographic fieldwork effectively, combining geographic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geographic fieldwork. A teacher’s FPACK is a key prerequisite to introduce geographic fieldwork, or a signature pedagogy in geography, effectively into the classroom. This study focuses on a student-centered fieldwork and asked the participating pre-service teachers to design an inquiry-based fieldwor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rticipants’ reflective journals through repeated content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had opportunities to examine the meaning of geographic fieldwork, contemplate the nature of inquiry, and understand geographic concepts at a deep level. Furthermore, they combined these reflections meaningfully, and cultivated and expressed FPACK. The word cloud based on the text of reflective journals also supported the findings. This research merits inclusion to the literature because it is an innovative attempt to examine teacher expertise in the context of geographic fieldwork and analyze the impacts of an inquiry-based geographic fieldwork design project on FPACK empirically.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활동 중심의 탐구적 지리답사 기획 프로젝트가 예비교사들의 지리답사 교수내용지식(Fieldwork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FPACK)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FPACK은 지리학 콘텐츠, 교수학습전략, 지리답사를 건설적으로 결합하여 효과적으로 지리답사를 디자인하고 실행할 수 있는 교사 역량이다. 지리교육의 특징적 교육학인 지리답사를 의미 있게 교육 현장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지리교사들의 FPACK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활동 중심의 답사에 주목하고, 예비교사들이 능동적으로 탐구기반 지리답사를 기획하는 프로젝트를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의 반성적 성찰문을 반복적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지리답사의 의미를 탐색하고, 탐구의 본질에 대해 고민하며, 지리 개념을 깊은 수준에서 이해하는 기회를 가졌다. 나아가 이러한 성찰들을 의미 있게 결합하여 FPACK을 함양하고 발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성적 성찰문을 바탕으로 생성한 워드 클라우드 역시 이러한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본 연구는 지리답사 맥락에서 교사 전문성을 논하고, 탐구적 답사 디자인 활동이 FPACK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시도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기회특집 : 베트남 공장노동자의 저항에 관한 현지연구 성찰해보기

        채수홍 ( Su Hong Chae ) 한국동남아학회 2013 동남아시아연구 Vol.23 No.2

        This Article seeks to reflexively recollect the experience of anthropological fieldwork that I got through for the writing of doctoral dissertation. The main purpose of my fieldwork at that time was to understand how the Vietnamese were dealing with their changing situations led by the reform policy called Doi Moi. More specifically, I attempted to interpret Vietnamese factory workers`` responses and resistances to the capitalist transformation in their working and living place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processes of implementing my fieldwork to fulfill the research purpose as a doctoral student majored in anthropology between 1998 and 2000. The fieldwork processes already began when I planned fieldwork, conducted preliminary short term fieldwork in Vietnam, and wrote a research proposal for research funds based on several hypotheses. Then, I went to the southern Vietnam and searched for reconstructing both the regional history and the history of the factory that I mainly conducted fieldwork. Afterwards, focusing on the labor processes and the social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multinational factory, I attempted, in earnest, to find the secret of the political stability of the factory regime in which I lived with the workers for almost a year. In retrospect, the whole processes were a way of finding the gap between the theoretical hypotheses and empirical data acquired from the fieldwork. In other words, I realized that anthropological fieldwork was essentially a dialectical and repetitive process of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While describing the whole fieldwork experiences, I hope that this article can provide a reflexive guide for the anthropological students planning a fieldwork in the future.

      • KCI등재

        학습자 중심 지리답사를 위한 교사연수와 실천의 변화

        이종원 ( Jongwon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2

        학습자 중심 지리답사를 위한 교사연수의 참여가 참가자들의 지리답사 계획과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교사연수는 학습자 중심 지리답사를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 지리 답사에 대한 이해, 체험, 설계에 초점을 맞춰 구성되었으며, 참가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신들의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워크숍 스타일로 진행되었다. 교사연수 1년 후 총 9명의 참여교사들 중 6명이 지리답사를 실천하였으며, 사전 준비단계의 강조, 탐구질문 및 데이터 수집 활용, 다양한 정리 활동 측면에서 연수 전 지리답사와 차이점을 나타냈다. 연수 참가자들은 학습자 중심 지리답사의 전 과정을 학생의 입장에서 실제로 참여해 본 경험, 학습자 중심 지리답사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획득할 수 있었던 부분, 마지막으로 연수를 통해 지리답사에 대한 인식이 변화된 부분을 연수 참여의 효과로 꼽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교적 단기간의 교사연수를 통해 교사들의 답사 실천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더불어, 학습자 중심 지리답사와 같은 콘텐츠를 중심으로 교사연수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와 접근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해 주고 있다.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eacher training workshop for student-centered geography fieldwork on the participants’ fieldwork planning and practices were investigated. The workshop was structured to focus on understanding, experience, and design of student-centered geography fieldwork so that the participants could plan and practice student-centered geography fieldwork. After one year of the workshop, 6 out of 9 participating teachers practiced the fieldwork, showing differences from the geography fieldwork before the training in terms of emphasis on the preparation stage, inquiry questions and data collection, and various summarizing activities. Participants in the workshop reported the experiencing whole process of the student-centered fieldwork as a student, acquiring various ideas that can be used in the student-centered fieldwork, and changing their perception of the geography fieldwork through the training as key benefits of the worksho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in that they show that teachers can change their geography fieldwork practices through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eacher training. In addition, it provides ideas about factors and approaches to consider when designing teacher training centering on content such as student-centered geography fieldwork.

      • KCI등재

        스마트폰과 지리공간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지리 답사

        이건학 국토지리학회 2014 국토지리학회지 Vol.48 No.2

        지리학에서 야외 답사는 지리학의 이론적, 추상적 개념을 직접 관찰을 통해 구체화하고 지역의 실제 현상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인 연구 방법이다. 최근 급격한 정보기술의 발달과 정보통신 인프라 시설의 확충은 전통적인 답사 방법들에 대한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일상생활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모바일 기반의 지리공간기술들은 여러 지역들을 이동하면서 각종 지리 조사 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지리 답사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최신의 지리공간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지리 답사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지리 답사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지리공간기술들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 답사 단계별 활동에 따른 스마트 지리 답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대학 학부생의 실제 답사에 적용하여 그 효과와 한계에 대해 논의한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스마트 답사 가이드라인을 실제 지리학과 학술 답사에 적용한 결과, 스마트 답사에 폭넓게 사용된 트랙로깅, 지오태링, 지오블로깅, 파노라마 사진 등의 지리공간기술들은 다양한 답사 활동들의 목적에 맞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었고, 답사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A geographic fieldwork is an effective research method to make concrete theoretic and abstract concepts of geography and to facilitate a better understanding of geographic phenomena in regions. More recent advance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expanded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suggest the possibility of new development for the traditional fieldwork method. In particular, geospatial technologies in a mobile environment are likely to be utilized for the geographic fieldwork that requires various field activities by moving around several geographic sit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ddress the possibility of the smart geographic fieldwork by utilizing smartphones and geospatial technologies. To do this, we examine several geospatial technologies available to the geographic fieldwork and suggest the guideline for the smart geographic fieldwork according to the general fieldwork process. Further, we discuss the pros and cons of the smart fieldwork by applying it to the actual college-level fieldwork. The results of empirical application showed that the geospatial technologies such as tracklogging, geotagging, geoblogging, and panorama pictures are helpful to achieve various objectives of research activities and to increase fieldwork participant’s satisfaction.

      • KCI등재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교사들의 연수에 대한 만족도와 야외조사활동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

        이종원,허소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2

        In order to promote inquiry-based fieldwork in schools, an in-service training was designed, planned and implemented for three days to secondary school geography teachers. The in-service training consists of three main components - understanding, experience and design of inquiry-based fieldwork. Surveys were designed to determine the participating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and to assess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fieldwork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Overall,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training and agreed that the training provided them with actual experience necessary to perform fieldwork in schools and enhanced their ability to plan and implement fieldwork, which they perceived as great benefit to them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session provided them a variety of actual examples of fieldwork and opportunities to clarify an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inquiry-based fieldwork. Before the training, the participating teachers aimed to improve the growth of the geographical perspective or to help students identify what they learned in the classroom in the real world, but after training they emphasized the improvement of the inquiry skills. And, prior to the training, the teachers tended to link the themes of fieldwork (eg, regional development, tourism, environment) to students’ career paths, but after the training they thought that inquiry experience through the fieldwork would be helpful regardless of students’ future career paths. 중·고등학교 지리교사들을 대상으로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 교사연수를 설계하고 진행하였다. 교사연수는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에 대한 이해(지식)를 높이고, 학습자의 입장에서 직접 체험하고, 교사의 입장에서 자신만의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해보는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교사들은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전 과정을 체험할 수 있었고, 10편의 구체적인 야외조사활동 사례를 알게 되었으며, 탐구질문 → 안내질문 → 데이터 수집활동으로 연결되는 탐구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교사연수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표시했다. 야외조사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연수 전 참여교사들은 지리답사의 목표를 지리적 안목의성장이나 교실에서 배운 내용을 실세계에서 확인하는 것으로 생각했다면 연수 후에는 탐구능력의 향상을 중요한 목표로 생각하게 되었다. 연수 전 교사들은 지리답사를 통해 다루는 주제(예, 지역개발, 관광, 환경 등)를 학생들의 진로와 연결시키는 경향이 강했지만 연수 후에는 야외조사활동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탐구능력이 전공분야와 상관없이 폭넓게 진로에 유용할 것이라 생각했다.

      • KCI등재

        작업치료(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임상 실습에 관한 연구

        김진경,박소연,이택영,강대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0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1

        목적 : 본 연구는 현재 실시하고 있는 작업치료 임상 실습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인 임상 실습의 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는 2004년 졸업예정자가 있는 11개의 대학(교) 중 2학기에 임상 실습을 실시하는 2개 대학(교)을 제외한 9개의 대학(교)(4년제 2개 학교, 3년제 7개 학교)의 작업치료(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250부 발송하여 213부 회수되었다. 조사기간은 2003년 10월 5일부터 11월 31까지였다. 분석은 회수된 설문 213부 중 202부를 가지고 카이제곱검정을 사용하였다.결과 : 실습기관의 적합성을 포함한 실습환경에 관한 내용에서 응답자의 89.6%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생을 위한 프로그램의 정비와 지도 체계, 실습생 이용 시설과 설비에 대해 응답자의 20 ∼30% 정도가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항목에서 80.3%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85%가 임상 실습을 통해 전문적인 지식을 획득하였으나 51%는 임상 실습 중에 갈등을 느낀 적이 있다고 하였다.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작업 치료학생들의 임상 실습이 좀더 체계화된 구조로 이루어져야 야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작업 치료는 임상학문이므로 임상 실습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향후 임상 실습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blem areas in the current clinical fieldwork of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 which may guide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strategy for managing clinical fieldwork for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Methods : A close-end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nd sent to 9 occupational therapy schools (2 four- year programs and 7 three-year programs) via mail. This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October 5th and November 31st in 2003 and 20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enior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n analyzing data, chi-square test was used for categorical variables.Results : 89.9% of respondents was satisfied with the environment of the fieldwork places. 20-30%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programs and super-vision systems for fieldwork students even though the staff members of other disciplines were supportive in general. 80.3% of the respon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general ex-perience of the fieldwork. Although 85%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were obtain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for their professional carrier through the fieldwork, 51%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negative experiences during the fieldwork.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tructure of the fieldwork education needs to be more systematically organized in order to train the well-pre-pared entry-level occupational therapists. Since occupational therapy is classified as an applied science, the importance of clinical fieldwork cannot be over-emphasized in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on clinical fieldwork be carried out to systematically guide the clinical fieldwork of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전북 마이산 일대의 야외지질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초등 교사들의 반응

        노병섭,양우헌,조규성 한국지구과학회 200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0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for geological fieldwork around the area of Mai Mountain and to analyze the responses of elementary teachers as to the application of fieldwork. The site of geological fieldwork, Mai Mountain area, is located around the Maisan Provincial Park of Jinan-gun, Jeonbuk Province where a large-scale sedimentary succession in the era of Cretaceous is shown. It provides an easy access to distinct outcrops around the provincial park. The sequences reveal different kinds of sedimentary rocks and various sedimentary structures, and provide information of the lacustrine sedimentary environments of the Cretaceous. In addition, metamorphic rocks and structures formed at the margin of the basement and the basinal fault as well as a sedimentary sequence of the Quaternary formed in a modern fluvial stream are observable. A 4-step fieldwork procedure was applied to a group of 13 elementary teachers. Through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a) the geological fieldwork and materials were effective to positively increase science teaching from the participating teachers, and that (b) there is a great need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fieldwork sites and teaching materials that promote active fieldwork for students to have their lived experience and knowledge gain. It is suggested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be able to provide active fieldwork for elementary inservice teachers to properly carry out a geological fieldwork for their students. 본 연구는 마이산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이 개발된 자료를 초등 교사들에게 적용하여 나타난 반응을 분석하였다.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지역은 전북 진안군 마이산 도립공원 주변이며 규모가 큰 백악기 퇴적층이 공원 주변에 노두로 잘 나타나 있어 관찰하기가 용이하다. 이 퇴적층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퇴적암과 퇴적구조를 관찰 할 수 있으며, 백악기의 호수 퇴적환경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기반암과 분지 경계 단층의 형성과정에서 생성된 변성 암 및 변성구조와 현생 하천 주변의 제4기 하천 퇴적층도 관찰할 수 있다. 야외학습은 13명의 초등 교사들에게 4 단계 의 절차로 적용되었다. 질문지와 면담을 통한 연구 결과, (a) 야외지질 학습과 학습자료가 교사들의 과학 수업을 긍정적 으로 증진시키는 데 매우 유용하였다는 반응을 얻었고, (b) 학생들의 인지 발달에 도움이 되는 체험학습이 활발하게 진 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장과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는 반응도 얻었다. 그러므로 교육기관은 초등 교사들이 초등학생 들의 야외지질 체험학습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야외활동과 관련된 연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 KCI등재

        야외 지질 답사 교육에서 나타난 귀추적 탐구 수행 특성 변화

        정찬미,신동희 한국지구과학회 202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1 No.5

        In order to provide explanations of the practice of the abductive inquiry-based outdoor geological fieldwork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performance in geological fieldwork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explicit learning of geologic knowledge and inquiry. To this end, a 21st-class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order of pre-evaluation, initial fieldwork, explicit learning of geologic knowledge and inquiry, and post-evaluation and applied to nine middle school students. As research data, outdoor geological fieldwork class recording data and students’ activity shee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As a result, during the initial fieldwork, students caught clues of low geological importance and used everyday experience and/or general scientific knowledge as a rule when asked to generate hypotheses about the origin of the clues. Also, students evaluated their hypotheses by the scientific accuracy of the rule or their own criterion. Meanwhile, during the final fieldwork, students frequently caught key clues in geologic perspectives and generated geological event hypotheses related to the clues by borrowing geologic knowledge as a rule. Furthermore, students scientifically evaluated their hypotheses based on the consistency of evidence and rules. Combining these results, the effects of learners’ geological knowledge and inquiry (abduction) abilities as a path model were presented in order to help students carry out a proficient abductive inquiry in geological fieldwork. 본 연구는 귀추적 탐구 중심 야외 지질 답사 교육의 실제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명시적 지질학 지식 및 탐구 학습 도입 전·후의 지질 답사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귀추 수행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사전 평가, 초기 답사, 명시적 지질학 지식 및 탐구 학습, 후기 답사, 사후 평가 등의 순서로 진행되는 21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생 9명에게 적용했다. 연구 자료로서 야외 지질 답사 수업 녹화·녹음 자료 및 학생 활동지가 수집되어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초기 답사에서 학생들은 지질학적 중요도가 낮은 단서를 포착했고, 해당 단서의 생성 원인에 대한 가설 생성을 요구받자 일상 경험 및 일반 과학 지식을 규칙으로 활용했으며, 생성된 가설을 규칙의 과학성이나 임의적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한편, 후기 답사에서 학생들은 지질학적 핵심 단서를 포착했고, 자발적으로 해당 단서와관련된 지질학적 사건 가설을 지질학 개념을 규칙으로 차용해 생성했으며, 생성된 가설을 관찰 증거와 규칙의 정합성을 바탕으로 과학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지질 답사에서 능숙한 귀추 수행을 위해 학습자의 지질학 지식과 탐구(귀추) 역량이 미치는 영향을 경로로 제시했다.

      • KCI등재

        장소 중심의 답사를 통한 지역 이해의 가능성 탐색: 강원도 탄광지역 답사 실행 연구

        윤옥경 ( Ok Kyong Yoo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09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지리학의 전통적인 연구방법으로서 뿐 아니라 지리 교육 고유의 학습방법으로 인정되는 답사에 대해 예비교사의 교육과정에서 어떤 전략으로 접근하여야 하는가 라는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실제 다양한 유형의 답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보통 학과 단위의 정기 답사에서 지리적 기능의 향상과 공간적 사고의 확립, 답사 참가자의 관심을 환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한 학과의 정기 답사 과정을 대상으로 한실행연구를 시도하였으며, 형식적으로는 예비교사인 학생들이 직접 고안한 문항의 학습지를 활용하고, 내용적 측면에서는 구체적 장소를 선정하여 경험하고 탐구함으로써 지역을 이해하는 방법의 가능성을 가늠하였다. 실제 답사에서 강원도 탄광지역의 변화라는 주제에 접근하는데 있어, 10명 내외의 조원들이 조별로 선정한 답사 장소를 방문하고 면담과 실제적인 활동을 전개하였다. 하루 동안의 답사를 마친 후 각 조별로 다른 장소에 대한 경험을 서로 나눔으로서 협동학습의 효과도 누릴 수 있었다. 학생들은 이러한 방식의 답사에 대해 강한 인상과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각자 역할을 맡아 수행하는 과정에 참여한 것을 만족스러워 했다. 이러한 방식의 답사는 학과 단위의 답사에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는 한 방안이 되었으며, 앞으로도 예비교사 교육으로서의 답사의 방향에 대한 발전적인 논의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begun from the question what strategy is effective for fieldwork in the college of education curriculum especially in the case of geography department. Fieldwork is thought of traditional research method in geography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original to geographic education. Even if there are diverse types of fieldwork, it is needed to introduce new field trip strategy for students (preliminary teachers) to improve geographic skills, to make them think spatially and participate actively. It was tried to do action research of a regular field trip of one geography department in this study, for the sake of formality workbook was used which is composed of students self designed questions, at the same time, it is intended to explore the potentiality of regional understanding to select the authentic place of experience and inquiry in substance. In practice, it is tried to do group activity of about 10 members to visit place and interview to understand the theme of regional transformation in a mining region in Gangwon province. Students has experienced the process of cooperative learning between groups as well as intragroup. Students has impressed strongly and been interested in this new way of fieldwork. They are contended to play a own role in this field study. This method is a kind of way to manage the limits of spatial and temporal frame in a large scale field trip of geography department. From now on, it is expected to propose fieldwork practice to apply for preliminary teachers training.

      • KCI등재

        지리과 현장체험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정재승 ( Jae Seong Ju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2

        현장체험학습이 고등학생들의 지리수업에서 얼마만큼 심화학습에 도움이 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교실수업이 표면수준의 학습인데 반하여 현장체험 학습은 현상에 대한 분석과 해석에 초점을 둔 심화학습(인지적·정서적 학습과 전이 기능)을 증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야적 분석과 인터뷰, 비참여자의 관찰을 통한 질적 분석 등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장체험학습이 교실수업에 비해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장체험학습은 학업성취도 효과에서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체험학습은 교실수업에 비해 전이 기능의 획득에 더 효과적이었다. 넷째, 현장체험학습은 교실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정서적 학습을 증진하였다. 다섯째, 학생들의 논술 평가에서 현장체험하급은 교실수업에 비해 새로운 상황에서 획득한 지식을 분석, 해석, 적용하는 능력이 더 우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fieldwork on students` deep-level learning. fieldwork is a method designed to promote deep-level learning involved with cognitive affective learning and transferable academic skills through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phenomenon, whereas surface learning takes place mostly in the classroom. In the experimental design, Static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tilized as a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interview as a method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ieldwork was effectiv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ir achievement through fieldwork. Third, fieldwork was more effective for students` acquisition of transferable academic skills than classroom learning. Forth, fieldwork was more effective in promothing affective lerning than classroom leaning. Fifth,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ieldwork were superior to those who participated in classroom learning in terms of the level of analysis,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gained in novel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