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책논문 : 젠더와 대안 경제: 여성주의 경제론과 현실 적용 가능성

        홍태희 ( Tae Hee Ho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1 여성경제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여성주의 경제의 이념을 소개하고 이를 현실에 적응할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현재 활발히 진행되는 대안 경제 운동을 살펴보고 기존의 경제학과 경제운영 방식을 발전시킬 실마리를 마련한다. 연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여성주의 및 경제 대안 경제의 관점을 살펴보고 기존의 경제학과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다음으로, 여성주의 경제의 적용 가능성을 연대경제, 공정무역, 마켓페미니즘, 소액대출제도 등의 대안 경제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대안 경제의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deas of feminist economy and their applicability in the real world. The aim of the study is to find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economy in the feminist economy. The study consists of three parties. First, it analyzes the feminist perspective of the economy. Next, mainstream economy and feminist economy are compare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economy, solidarity economy, fair trade, market feminism, micro credit and social enterprises are the target to investigate. Fi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feminist economy.

      • KCI등재

        여성주의 경제의 비전과 대안적 경제활동 -공정무역, 소액대출,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오정진 ( Jung Jin Oh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07 여성학연구 Vol.17 No.1

        This paper is written for introducing feminist economy. Since capitalistic modernization, the term of economy has been understood so as considering high efficiency and much benefit as the best value and hence being indifferent to or insulated from justice. But feminists argue that like other social systems, the economy is and should be embedded in society and therefore should be served to justice. Seen from such a view, recent alternative economic activities-especially fair trade, micro-credit, and social enterprise- are very impressive and important: those activities are oriented toward more social and ecological justice; than any other economic activities they are occupied by women or targeting women; by means of those activities women`s empowerment, self-esteem and subjectivity are facilitated and the evaluation of women`s labor is improved; and furthermore through alternative economy, the solidarity between women and other minority is strengthened. So we should sustain the feminist economy and in order to do, gender equality and women`s initiatives, alternative perspectives of human and world, and the mainstreaming of care are necessary.

      • KCI등재

        선물경제의 페미니스트 신학적 재구성: 엘렌 식수와 존 밀뱅크의 비판적 종합을 통하여

        고형상 한국대학선교학회 2022 대학과 선교 Vol.53 No.-

        마스셀 모스의  증여론 이 출간된 이후, 선물증여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논쟁적 주제가 되었다. 여성은 선물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중요한 자원이지만, 선물 논쟁에서 여성의 관점은 배제되어왔다. 엘렌 식수는 자크 데리다의 선물 개념을 전유하여 여성을 선물경제의 능동적 주체로 소환한다. 하지만 그녀가 제안하는 순수증여의 개념은 실현가능성이 없는 허무한 담론이 될 수 있다는 위험과, 여성의 무조건적 희생을 정당화할 수 있다는 위험을 내포한다. 존 밀뱅크는 신-인 관계의 관점에서 선물증여를 재해석함으로써, 식수의 여성적 선물 개념의 한계를 보충한다. 그에 따르면 순수증여는 신적 존재와의 관계 속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그는 증여와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초월적 힘 사이의 상호성을 선물경제의 핵심으로 제시한다. 신-인 사이의 상호성은 그들의 무한한 질적 차이를 전제한다는 점에서 즉각적이고 대칭적인 것이 아니라 유보적이고 비대칭적인 것이다. ‘자기증여’와 이를 북돋는 ‘힘’ 사이의 상호적이고 순환적인 이해는 선물경제를 페미니즘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조건이다.

      • KCI등재후보

        코라(chora) 공간으로서의 도시와 여성주의적 도시권의 가능성 - 깁슨-그래함의 『자본주의의 종말』을 중심으로 -

        이현재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2 여성학연구 Vol.22 No.1

        In the understanding of recent urban political economy, city was considered as a space, in which phallogocentric “Capitalism” is dominant. As such, women’s space in the periphery of the city was regarded as a passive space, in which the citizens are being reproduced to be subjected to Capitalism. In contrast to that, I will firstly criticize with Gibson-Graham that this kind of conceptualization of urban space makes not only the variety of social areas and non-capitalist forms of women’s economy powerless, but also women’s agency conceptually impossible. In order to overcome this difficulty, I offer two conceptual strategies: the fluidization of phallogocentric Capitalism and the empowerment of (women’s) space. In other words, I will conceptualize capitalism not as the single dominant economic form of urban space, but as a fluid form that co-exists with the non-capitalist forms of economy. On the other hand, I will transform the concept of (women’s) space as passive and easily raped by phallogocentiric power into that of an active “chora” that has the intrinsic power of chaos and rupture. On the base of this reconceptualization, I finally will make clear that urban space could be understood as “chora” space open to the multiple forms of economy and their unpredictable change, in which women’s agency could be actualized. In this context, to require the right to the city from a feminist perspective means to transform the solid phallogocentric urban space into a fluid “chora” space. 도시의 정치경제학 담론에서 도시는 막강한 힘을 갖는 남근중심적 자본주의 경제가 군림하는 공간으로 이해되어 왔으며 도시의 주변에 배치된 여성 공간은 자본주의에 종속적인 혹은 이에 봉사하는 시민을 만들어 내는 수동적 공간으로 정의되어왔다. 그러나 필자는 깁슨-그래함(Gibson-Graham)과 함께 이런 방식의 개념화가 도시 공간의 다양한 사회 현장 및 비자본주의적 경제영역을 무력한 것으로 만들 뿐 아니라 여성들의 행위주체성 자체를 개념적으로 불가능하게 한다고 본다. 따라서 필자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도시 공간의 지배형식으로 간주되는 남근중심적 자본주의의 힘을 빼고 나아가 공간 및 여성의 몸의 역량을 강화하는 두 가지의 개념적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필자는 우선 도시를 단 하나의 자본주의 경제 형식이나 단단한 남근중심주의에 의해 규율되는 공간이 아니라 변화와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적 경제형식들의 공간, 의미를 초과하는 유동적 공간으로 개념화할 것이다. 나아가 필자는 이러한 여성의 몸과 도시 공간을 자본주의 경제형식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나약한 빈 공간이 아니라 “코라(chora)” 공간으로 개념화하고 이에 내재한 힘과 행위주체성을 강화하는 전략을 제시할 것이다. 이러한 개념적 전략은 결국 여성주의적 도시권의 요구를 가능하게 하는 철학적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친밀과 돌봄의 정치경제학: 충남 홍동 지역 여성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진명숙 한국문화인류학회 2020 韓國文化人類學 Vol.53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tential of women’s community activities in Hongdong–myeon, Hongseong–gun, Chungnam, based on intimacy and care to create productive differences outside the context of patriarchy. Prior studies on women’s care activities in local communities have mainly emphasized that these activities expand women’s scope into the public domain and socialize care, while also contributing to the reproduction of patriarchy as the result of gendering women’s activities in the level of the local communit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paper interprets that women’s care practice can be the basis of feminist resistance that cracks patriarchy and highlight women’s subjectivity as agency in care activities. The main body of this paper consists of four sections. The first section explores the feminist implications of the intimate place–making strategy. The process of creating a place with intimacy for women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activities as an agency that disrupt the dominant patriarchal placeness of the countryside. The second section analyzes the community–based activities of educational care, elderly care, and mutual care and their meaning. These activities do not reproduce the hierarchical care work in the home but form an arena for local living politics and engage men as partners in care, suggesting a counter–discourse that men should also be involved in care activities. The third section highlights women who form an economic community using indigenous knowledge based on cuisine and food. Through these activities, these women disrupt the hierarchical gender norms under the modern capitalist patriarchy and show the possibility of a non–capitalist community economy, free from capitalist methods that favor surplus and monetary values. The last section analyzes the various voices that exist among women. What is needed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se diverse voices is not a categorization of a single female identity, but a democratic politics that recognizes each other’s differences and compromises through discussions. The feminist care ethics must be a political project that removes the patriarchal repressive mechanisms to overlay women’s biological care abilities and lead caregiving practices to a resounding feminist resistance. 본 연구는 충남 홍성군 홍동면 여성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친밀과 돌봄 기반의 공동체적 활동이 가부장제 맥락을 벗어나 생성적 차이를 낼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고찰한 논의이다. 그 동안 지역공동체 내 여성의 돌봄활동에 관한 연구는 돌봄의 공적 영역으로의 확대를 통한 돌봄의 사회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이것이 또 다시 젠더화된 노동을 지 역사회로 확장함으로써 가부장제를 재생산하는 결과를 낳는다는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 이 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돌봄활동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주체적 행위자성을 부각하고, 돌봄실 천이 가부장제에 균열을 가하는 여성주의적 저항의 단초가 될 수 있음을 포착하고자 했다. 본문은 크게 네 영역(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친밀한 장소만들기 전략이 갖는 여 성주의적 함의이다. 여성을 위한 친밀한 장소를 만드는 과정은 농촌의 지배적인 가부장적 장소성에 균열을 가하는 여성의 행위자성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는 교육돌봄, 노인돌봄, 상 호돌봄 기반의 공동체적 활동과 그 의미를 살폈다. 이러한 활동은 가정 내 위계화된 돌봄노 동이 그대로 재현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생활정치의 장을 형성하고, 남성을 돌봄의 파트너 로 참여시켜, 돌봄을 남성도 함께 해야 한다는 대항담론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는 요리와 음 식을 통한 토착지식을 활용해 경제적 커뮤니티를 결성하여 근대 자본주의 가부장제가 기획 한 위계화된 젠더규범에 어떻게 균열을 가하는지, 그리고 잉여와 화폐 가치에 우선한 자본 주의적 방식을 벗어나 어떻게 비자본주의적 공동체 경제를 그리는지를 보았다. 마지막으로 여성들간에 다양한 목소리와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살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여성들 사 이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여성을 단일한 여성정체성을 지닌 존재로 범주화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들간의 차이의 정치를 인정하면서 대화하게 하는 민주주의 정치학을 펼쳐야 한다는 것 이다. 페미니즘 돌봄 윤리는 생물학적 돌봄 능력을 여성에게 덧씌우려는 가부장적 억압 기 제를 걷어내고, 돌봄실천을 여성주의적 저항의 울림으로 이어지게 하는 정치적 기획이 되어 야만 한다.

      • KCI등재

        성장 중심 경제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과 지속 가능한 발전

        윤자영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2 여성학논집 Vol.29 No.1

        성장 중심적인 경제 패러다임은 경제 성장을 경제적 번영 혹은 발전과 동일시하는 사고 체계를 재생산함으로써 시장 생산과 비시장 영역의 갈등이 인간의 생존과 사회 재생산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무시하고 있다. 그러나 무한정 확대되는 물질적 소비를 만족하기 위한 멈추지 않는 경제 성장에 대한 추구와 인간을 돌보는 사회적 능력간에 존재하는 긴장은 계속 팽팽해지고 있다. 그러한 긴장은 다양한 규모와 차원에서 돌봄의 위기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위기를 언급하기 위해서는 경제 체제에 대해 생각하는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 생태주의와 여성주의 경제학은 성장 패러다임이 야기한 인류와 환경과의 불화와 사회재생산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근본적인 성찰과 대안적인 전략을 제시해 왔다. 주류경제학의 기본 가정을 재검토할 것을 주장하며 시장 경제와 비시장 경제 간의 상호의존성과 연결성을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논문은 물질 생산 중심 성장 패러다임에 대한 대안적 패러다임 구성을 위한 개념, 발전 전략, 발전 지표 등을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The growth-based economic paradigm ignores how the conventional thinking of equating economic growth and prosperity/well-being influences human livelihoods and social reproduction in the longrun, only focusing on short-term measures of increasing material output. Counting only what is produced in the market as an indicator of material well-being tends to overestimate the pate at which we are progressing in economic terms. On the other hand, the incessant pursuit of economic growth meeting unlimited wants is increasingly in conflicts with capabilities of caring. Such tensions and conflicts lead to crises of environmental and caring. The first step could be to acknowledge interdependence between the market system and reproductive economy so as to address the crises in a new way of thinking. Ecological and feminist economic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how such crises could be overcome with alternative strategies. In this paper, I discuss the ways in which the interaction between production and reproductio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ket, non-market, and the community could have important but unpredictable implications for prosperity and human well-beings. And I critically review and discuss important contributions made by both ecological and feminist economists to going beyond the materially-driven growth-based economic paradigm.

      • KCI우수등재

        ‘성매매는 성착취’ 구호에 대한 여성주의 비판

        김주희,황유나 한국여성학회 2024 한국여성학 Vol.40 No.1

        이 연구는 2020년대 한국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한 ‘성매매는 성착취’라는 구호를 통해 성매매 문제에 개입하려는 시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여성주의 반성매매 정치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에서 성착취 개념은 크게 2000년대 초반 인신매매와 아동·청소년 대상 성매매, 2010년대 후반 디지털 성폭력 문제에서 여성 및 아동·청소년이 겪은 피해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 과정에서 성착취는 ‘강제 성매매’, ‘여성 노예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성폭력이나 성학대와 구분 없이 여성에 대한 폭력 전반을 포괄하는 용어로 활용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성매매의 본질을 성착취로 의미화하는 정치는 여성들의 경험 차이를 비가시화하여 필연적으로 성인 여성의 일부를 자발적 성판매자로 분류하고 처벌을 정당화하는 논리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이를 넘어서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성매매를 여성에 대한 착취와 수탈이 착종된 현실 자본주의 체제의 문제로 인식하며 현행 ‘성매매처벌법’ 또한 여성을 정치적 보호의 바깥에 위치시키는 수탈의 제도적 장치임을 설득하고자 여성주의 ‘불처벌’의 정치를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attempts to intervene in the issue of prostitution through the slogan “prostitution is sexual exploitation,” which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in South Korea throughout the 2020s. It also explores the possibilities for a feminist approach to anti-prostitution politics. From the early 2000s to the late 2010s, the term ‘sexual exploitation’ was used to characterize the suffering inflicted on women and children as a result of human trafficking, sex traffick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digital sexual violence. Over time, it has become closely associated with ‘forced prostitution’ and ‘female enslavement,’ to describe any form of violence against women, without distinction from sexual assault or sexual abuse. In this context, the politics of sexual exploitation as a characterizing frame of prostitution obscures the diversity of women’s experiences, which in turn leads to a logic that labels certain adult women as voluntary sex sellers and rationalizes their stigmatization. This article proposes a feminist politics of non-punishment to recognize capitalist exploitation and expropriation as the root cause of prostitution and to argue the current ‘act on the punishment of prostitution’ is also an institutional device of expropriation that leaves women outside of political protection.

      • KCI등재

        ‘불능’이 되는 몸: 신체, 기술, 재/생산의 정치경제

        황지성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7 젠더와 문화 Vol.10 No.2

        This article aims to raise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body and re/production politics of feminism to the technologies and operation of power of political economy that constitute the “normal” body. The history of (re)production of “normal” body standards that are constantly updated in accordance with political economic leads to more powerful surveillance and control over the re/producing body and flexibly (re)arrange the subjects in the margins of ab/normal and il/legal. Thus, interrogating the control of the body and re/production is the task of revealing and interrogating the function of intersected as well as complicated power which distinguish individuals and populations by the “normativity”. 이 글은 몸과 재/생산을 둘러싼 페미니즘의 정치학이 ‘정상적’이라 여기는 규범적 몸을 구성하고 배치하는 육체기술과 정치경제의 작동을 총체적으로 문제 삼는 것으로 확장될 필요성을 제기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몸과 인구를 정상/비정상으로 나누고 타자의 몸(의 생산성)을 수탈, 폭력을 가해왔으면서, 오늘날 치료·향상을 추구하는 개인들의 자유주의 우생학에 이르는, 생명정치의 시간의 겹쳐짐을 살펴본다. 이와 같은 역사에서 권력은 언제나 미래 인구의 ‘생산성’, ‘진보’, ‘향상’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재/생산하는 몸들에 대한 더 강력한 감시와 통제를 행사하고, 수많은 타자들을 비/정상과 비/합법 주체의 경계로 유연하게 (재)배치해왔다. 여성의 몸과 재/생산을 둘러싼 페미니즘 정치학은 가부장제 젠더체제 뿐 아니라 남녀 모두와 인구집단을 ‘정상성’에 의해 구분하고, 재/생산을 보장/박탈하기도 하는, 맥락적이고 다층적 권력 작동을 분석하는 작업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독일 여성 협동조합 바이버비르트샤프트 (WeiberWirtschaft, Women’s Economy)의 등장배경과 향후 역할 전망 : 경제활동에서 성불평등과 여성 협동조합의 새로운 함의

        김태근 한독사회과학회 2019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9 No.2

        가부장적인 독일사회에서 성불평등은 해소되기 어려운 구조적 배경을 가진다. 본 논문은 가부장적 사회인 독일에서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가 변화하는 과정을 추적하여 여성들이 그들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하고 어떤 대안을 찾아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68운동은 독일사회가 얼마나 가부장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사회인지를 확인시켜주었다. 그 후 보편교육과 직업활동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성별특유의 분리는 여전히 독일사회를 지배하였다. 교육을 받은 후에도 여성들이 진출할수 있는 영역은 서비스업종이나 관리업종으로 한정되었다. 또한 1980년대 초 신보수주의적 경제정책의 도입과 함께 경쟁이 치열해지고 산업의 구조조정이 이들 영역에서 주로 이루어지면서 여성은 남성과 비교하여 경제적 자립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처지로 내몰리게 되었다. 유독 여성들에게 가혹한 상황은 직업노동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개인사업체를 운영하는 경우에도 적용되었다. 남성에 비해 적은 자본으로 작은 규모의 사업체에서 시작해야만 했던 여성은 남성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가 없었다.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던 여성은 신보수주의적 경제정책이 확대되었던 1980년대 말 자신들의 경제적 자립을 위하여 협동조합 바이버비르트샤프트(WeiberWirtschaft)를 설립하게 된다. 시행착오를 겪은 후 안정적으로 운영되면서 여성 협동조합의 의미는 1990년대 말 정부의 사회정책전환과 결합되면서 단순히 경제영역의 활동에만 한정되지 않게 되었다. 남성이 주도했던 경쟁적 산업자본주의가 아닌 협력적 후기 산업자본주의를 위한 새로운 가치를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독일의 여성 협동조합을 주도했던 지도자들은 지금까지 여성의 불평등을 야기했던 요소인 여성의 특징이 오히려 새로운 변화를 위한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경쟁과 성장위주의 경제에 대한 대안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여성운동 지도자의 주장과 실천들은 더욱 주목을 받게 될 것이다. In patriarchal German society, women's inequality has a historical and structural background that is difficult to solve. Through the 68-movement, women could recognize how much German society is patriarchal and authoritarian. After the 68-movement, general education and professional activities for women could be expanded. However, the areas where women were able to obtain training and work due to gender segregation were limited to the service sector or the management sector. With the introduction of neo-conservative economic policies in the early 1980s, women's economic positions became more difficult. Because competition became more intense and industry restructuring took place mainly in the areas where women were actively employed. This situation has not only been applied to the professional work but also to the areas of the private business. Women had to start with small businesses with less capital than men. They could not outcompete men for investment opportunities. In the late 1980s, the cooperative WeiberWirtschaft (women's economy) was established to help and promote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With the economic success of the Weiberwirtscahft,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s that supported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women was not limited to only activities in the economic arena. It is estimated that they represent new values of cooperative post-industrial capitalism that overcomes male-dominated competitive industrial capitalism. New leaders of the women's movement argu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women that some consider as a cause for women’s inequality can become a driving force for new change. In the face of increasing demands for new alternatives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the claim and practice of the new women's movement will receive even more attention.

      • KCI등재

        여성 ‘몸-증권화’를 통한 한국 성산업의 정치경제적 전환에 대한 연구

        김주희(Kim, Joohee) 비판사회학회 2016 경제와 사회 Vol.- No.111

        본 연구는 2004년 한국에서 단호한 국가적 의지에 의해 「성매매방지법」이 제정되었지만 그것과 전혀 무관하게 성매매 경제의 외연이 축소되지 않는 현실에서 출발한다. 나아가 이러한 배경에 신자유주의 금융화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일저축은행이 만들어낸 강남 ‘유흥업소 특화대출’ 상품이 탄생하고 운용될 수 있었던 정치학을 분석했다. 이 대출 상품은 신자유주의적 축적의 핵심적 특징에 해당하는 ‘증권화’ 기법에 의해 탄생할 수 있었다. 본고는 이에 대한 기술적 분석을 넘어 차용증 채권의 증권화와 연동하여 채무자들의 삶이 저당 잡히는 전 과정을 채무자의 ‘몸-증권화’라고 명명했다. 이와 같은 개념은 동시대 자본주의 경제가 금융적 수탈을 이윤의 원천으로 삼으며 확대되고 있다는 기존의 연구를 계승하며 여성주의적으로 보충하는 함의를 갖는다. ‘몸-증권화’는 성매매 산업이 달성할 막대한 미래 수익에 대한 예측과 이에 대한 신뢰를 경유하면서 젠더화된 효과를 갖게 된다. 동시에 이러한 신뢰는 여성의 몸을 집결시켜 금융 투자 상품으로 만들어내는 성매매 산업과 금융 산업의 구체적인 실천들과 결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2000년대 중반 성매매가 불법화되었음에도 대형 성매매 업소가 탄생하고 호황을 누린 역설적인 현실은 이러한 여성 ‘몸-증권화’의 실천의 조건이자 효과로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이로써 본고는 기존의 신자유주의 금융화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여성들의 경험을 드러내는 동시에 이 시대 자본의 축적 방식이 여성들의 몸을 증권으로 상품화하는 과정과 분리되지 않는다는 이론적 확장을 시도했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Korea’s paradoxical reality that sex industry is flourishing although prostitution is illegal. To reveal the interrelationship of this phenomenon and neoliberal financialization, this paper closely examined the ‘prostitution club specialized loan commodities’ that Cheil Savings Bank launched, and analyzed the politics behind the birth and the operation of the loan. These loans could be developed through ‘securitization’, a key feature of a neoliberal accumulation of wealth. Interlocked with the securitization of the debts, the debtors’ lives are being captured and this study names its entire process ‘body-securitization’, which is beyond the descriptive analysis. This concept follows but also supplements the existing researches that argued the capitalist expansion is caused by the financial expropriation as source of profit. The ‘body-securitization’, however, produces a gendered effect through trust on the high future profit that sex economy will make. At the same time, the trust is combined with the specific practices of making women’s body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As a result, the paradoxical reality of a boom in big prostitution clubs despite the prohibition of prostitutions in mid-2000s should be explained by the condition and the effect of ‘body-securitization’ of women. By revealing the women’s experiences which went unobserved in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 neoliberal financialization, this paper sheds light on finding the direction of feminist politics to solve prostitution issues in this neoliberal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