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TA 체결 전·후 한국 지식집약형 산업의 수출경쟁력 비교 연구 - 한-EU FTA에 대한 중국과 비교를 중심으로 -

        조인택 ( Intaik Cho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8 통상정보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한-EU FTA 체결 전·후에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지식집약형 제품의 수출경쟁력을 중국과 비교·분석하였다. 수출경쟁력을 비교 연구한 결과, EU 내 한·중 경쟁이 심화되는 제품은 광학/의료 측정·검사 정밀기기(90)와 플라스틱과 그 제품(39), 무기화화물(29)로써 한국의 수출 증가로 중국과의 경쟁이 심해지는 형태였으며 일반차량(87)은 중국과 수출 규모와 시장 점유율이 비슷해 경쟁이 심해지는 형태, 선박(89)은 중국의 수출 하락으로 경쟁 우위가 지속되는 형태, 보일러 기계류(84)와 전기기기 TV·VTR(85)은 시장점유율과 수출경쟁력이 동시에 낮아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EU의 FTA 체결이 한국 지식집약형 산업의 수출경쟁력 개선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첫째, EU에 대한 한국의 지식집약형 제품의 수출과 수출경쟁력은 FTA보다 EU의 경제 상황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하고 둘째, 한-EU FTA 효과가 낮기 때문에 경쟁국인 중국과의 수출 경쟁은 더욱 심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한국 정부는 FTA 협상 전략을 수정하고 제품별 협상 전략안을 마련해서 정부 정책의 변화를 바탕으로 FTA를 추진해야 한다. The study analyzed Korea's export competitiveness before and after the conclusion of the Korea-EU FTA by comparing Korea's knowledge-intensive products with China. Since the Korea-EU FTA, Korea has maintained a comparative advantage of H84, H87, H89, and H39. Products that increase competition in exports are H90, H39, and H29. The H87 is expected to become more competitive as it has a similar market share with Korea. Korea's H89 exports are increasing due to its comparative advantage, while H84 and H85 are declining in their export competit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Korea-EU FTA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s export competitiveness of knowledge-intensive industries. This means two things. First, Korea's export and export competitiveness of knowledge-intensive products to the EU means that it is more affected by the EU's economic situation than the FTA. Secondly, the Korea-EU FTA will be less effective, making it even harder to compete with China.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revise its FTA negotiation strategy and devise a product negotiation strategy to pursue the FTA based on changes in government policy.

      • KCI등재

        FTA 체결이 한국 비철금속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재학(Jae-Hak Choi),조용석(Yong-Seok Cho),김우형(Woo-Hyoung Kim) 한국국제상학회 2021 國際商學 Vol.36 No.3

        Purpose :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effect of Korean nonferrous metals on exports by estimating the impact had by Free Trade Agreements (FTA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By focusing on 130 of Korea’s nonferrous metals trading partners, we collected yearly data from 2006 to 2017. The data was divided between countries where an FTA took effect and those countries where an FTA had not taken effect (such as those under negotiation and in preparation). This allowed an estimation of the FTA effect through the double difference (DID) estimation metho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rade conditions on the export of nonferrous metals in Korea, which is expressed as the unit price of imported goods compared to the export unit price across each year. Results : According to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of 130 nations, first, the exports to Korea’s trading partners are not proportional to the partner countries’ real GDP. That is, the greater the GDP, taken as a measure of the scale of economy and market, the greater the decrease in Korean exports among the test group- thus proving no relationship between GDP and trade. Second, when estimating the DID results by explanatory variable between FTA signatories and non-signatories. The results show that exports decreased with a 1% significant negative effect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an FTA, whereas exports increased with a 1%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an FTA. Conclusions :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show a strong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the FTA and Korea’s export of non-ferrous metals, which means promoting Korea’s export of non-ferrous metals by lowering tariffs by relative trading countries through the FTA. This implies that Korea benefits from the promotion effect in terms of nonferrous metal exports due to the FTA implementation. 본 연구는 한국의 FTA 발효에 따른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패널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의 비철금속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130개국 비철금속 교역상대국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7년까지 연도별 자료를 이용하여 FTA 미발효국(협상 및 준비국)과 FTA 발효국으로 구분해 DID(Different in Different: DID)추정법을 통하여 FTA 효과를 추정하였다. 또한 상대교역국의 연도별 수출단가 대비 수입단가로 나타낸 교역국의 교역조건 변화가 한국의 비철금속 수출에 주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30개 국가 모집단 대상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한국의 상대 교역국에 대한 수출량은 상대 교역국의 경제 규모를 나타내는 실질 GDP와 비례하지 않았다. 즉 교역국의 경제 규모 및 시장 규모를 나타내는 GDP가 증가할수록 모집단에서 한국의 수출량은 감소하였으며 GDP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FTA 체결과 미체결국가 간의 설명변수(Explanatory Variable)로 DID 추정결과 FTA 체결 전(FTABefore)은 1% 수준에서 유의미한 부(-)의 효과로 수출이 감소하였지만, FTA 체결 후(FTAAfter)에 따른 DID 추정결과 1% 수준에서 유의미한 양(+)의 효과로 수출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이 결론은 FTA 발효와 한국의 비철금속 수출에 강한 양(+)의 관계를 나타내며, 이는 FTA를 통한 상대교역국의 관세 인하로 한국의 비철금속 수출 증진을 의미한다. 이는 FTA 체결로 인한 한국의 비철금속 수출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 KCI등재

        FTA背景下中国农产品对韩国出口的现状、问题及对策研究

        韩少明,李相万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1 韓中關係硏究 Vol.7 No.1

        동북아 지역에서 한중 양국이 FTA를 체결한 것은 동 지역에서 타국과의 자유무역협 정(FTA)체결에 상징적 역할(예를 들어 협상 중인 한중일 FTA)을 함으로써 동북아 경제 번영에 기여할 수 있다. 한중 FTA 협상 과정에서 농산품 교역은 민감한 이슈였고, 한국 은 상대적으로 농산품 시장을 개방하여 농산품 관세를 크게 낮춰 중국 농산물의 한국 수출에 큰 영향을 주게 되었다. 주요 연구 내용은 한중FTA 하에 (1) 중국 농산품의 대한국 수출 현황, 변화, 비교우 위 등 분석, (2) 미중 농산품의 한국 시장 경쟁력 비교 분석, 한국 시장내 지위 분석, 미중 농업 경쟁력 비교 분석, 한국 시장에서의 미중 농산물 경쟁력 비교 분석, 한미 FTA가 중국 농산물의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3) 한중 FTA를 계기로 중국 농산품의 대한국 수출에 직면한 주요 문제를 귀납적으로 밝히고 중국의 대응책을 제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한중 FTA 체결 이후 (1) 중국 농산품의 한국 농산품 시장에 대한 수출증가율이 상승하고, 중국농산품의 대한국 수출구조가 변화했다는 점, (2) 미국이 한국 농산물 시장에서 중국의 최대 경쟁자이며, 미국 농업이 중국보다 경쟁력이 있으 며, 미국 농산물이 한국시장에서 중국 농산물에 비해 더 경쟁력이 있다는 점, (3) 한미 FTA가 중국농산품의 한국 수출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현재 한중 FTA 발효에 따른 농산품 세금 인하로 중국 농산물의 한국 수출 확대 효과 가 나타나고 있고, 앞으로 한중 FTA 규정에 따라 한국산 농산물 수입관세가 잇달아 철폐되면 중국이 한국에 수출하는 농산품 규모 확대 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China and South Korea are the first and only countries in Northeast Asia to sign a bilateral free trade agreement. This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signing of free trade agreements in other countries in Northeast Asia (such as the China-Japan-Korea FTA under negotiation), which is beneficial to The prosperity and development of Northeast Asia's economy. In the negotiation process of the China-Korea Free Trade Agreement, agricultural trade has always been a sensitive topic. After the China-Korea FTA is signed, South Korea will relatively open its agricultural product market, and the tariffs on agricultural products will be greatly reduced, which may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export of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to South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is. The main research contents of this paper include the following points: (1) Analyze the status quo, changes and comparative advantages of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exports to Korea under the background of China- Korea FTA. (2)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petitiveness of Chinese and American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under the background of China-Korea FTA, including the analysis of the market position of Chinese and American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ino-US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petitiveness of Chinese and American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And the impact of the US-Korea FTA on Chinese agricultural exports to South Korea. (3) Summarized the main problems faced by China’s agricultural exports to South Korea under the background of China- Korea FTA, and proposed China’s countermeasures. The main research conclusions of this paper include the following points : (1) After the signing of the China- Korea FTA, the growth rate of China’s agricultural exports to South Korea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structure of China’s agricultural exports to South Korea has also changed. (2) The United States is China in South Korea. The biggest competitor in the agricultural product market, American agriculture is more competitive than China, and American agricultural products are more competitive than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The US-Korea FTA will also hinder the export of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to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The current tariff cuts on agricultural products caused by the entry into force of the China-Korea FTA have made the effect of the expansion of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export to South Korea effective. In the future, as the import tariffs of South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will be gradually cancell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China-Korea Free Trade Agreement, the scale of China’s agricultural exports to South Korea will expand The effect will be more significant.

      • KCI등재

        한국 FTA의 수출집약도 및 수출다양도에 대한 영향

        김종섭 ( Chong Sup Kim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2 국제통상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FTA의 효과를 수출집약도에 대한 효과와 수출다양도에 대한 효과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한국 사례에 적용하여 한국 FTA의 효과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난 10년간 2900여개의 제조업품목을 대 상으로 98개 교역상대국에 대한 수출집약도와 수출다양도 수준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패널데이타를 구성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FTA별로 FTA 체결 전/후의 수출집약도와 수출다양도를 파악하는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분 석의 정확성을 제고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한국이 체결한 FTA로 한국의 수출집약도가 증가한 반면 수출다 양도는 수출품목 개수가 늘어나 일면 다양해지긴 하였으나 늘어난 상품들이 수입 시장에서 비중이 적은 상품들로 구성되었다. 개별 FTA 분석 결과, 한-칠레 FTA 와 한-ASEAN FTA는 수출집약도와 수출다양도를 모두 확대시켰으나 한-EFTA FTA와 한-싱가포르 FTA는 수출집약도만 확대시키는 효과를 가졌다. 항목별로는 차량/운송기기 항목에 대하여 FTA의 수출집약도 및 수출다양도 확대 효과가 가 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This paper estimated the impact of Korea`s FTAs on its total exports growth and export market share expansion, specifically focusing on their changes in the intensive and extensive export margins.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panel data of Korea`s export to 98 partner countries over the last 10 years(2000~2009). The intensive export margin was calculated in terms of per product export value and Hummels and Klenow(2005) intensive margin while the extensive export margins was calculated in terms of number of products and Hummels and Klenow(2005)extensive margin. The OLS estimator with period fixed effect was applied to estimate the FTA effects on Korea`s intensive and extensive export margin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dings of this paper include that Korea`s FTAs increased its total export and export market shares both in terms of intensive and extensive margins in general. However, the intensive export growth played more important role whereas the extensive export growth was confirmed only in terms of product number. Korea-Chile FTA and Korea-ASEAN FTA increased both intensive and extensive margins whereas Korea-EFTA FTA and Korea-Singapore FTA expanded only the intensive export margins.

      • KCI등재

        FTA활용지원센터가 중소수출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양중,김원년,이민정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support programs by the FTA support center ("the center) influence small- and medium-sized exporting companies. The data used in this paper are the questionnaire survey by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And for analysis,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is used. The results show that: (1) In the case of the companies exporting to Asian and EU markets, support programs by the center raise the utilization at the 5% significance level. (2) In the case of the companies exporting to Asian markets, the participating companies are utilizing the support programs 3 times more than non-participating ones. In the case of the companies exporting EU markets, the utilization of the programs by the participating companies are 4.5 times higher than non-participating ones. (3) In the case of the companies exporting to Asian markets,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raining program for origin investigator' and 'support for overseas marketing utilizing FTA' is, the higher the exports are. However, for companies exporting to EU markets, 'training for business knowledge utilizing FTA' is an important factor, and for the companies exporting to USA market, 'Orientation about FTA markets' is important. These results mean that selective assistances in the light of export regions are required when the center supports export companies. 본 연구는 FTA활용지원센터가 충남 중소수출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시아 및 EU로 수출하는 기업의 경우, FTA활용지원센터의 지원사업이 5% 유의수준에서 기업의 FTA 활용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수출기업의 경우 FTA활용지원센터 사업참여 기업은 비참여 기업에 비해 3.0배 더 FTA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U 수출기업의 경우 FTA활용지원센터 사업참여 기업이 비참여 기업에 비해 4.5배 더 FTA를 활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시아 수출기업의 경우 FTA활용지원센터의 프로그램 중 ‘FTA 원산지 관리사 양성교육’, ‘FTA활용해외마케팅 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데 반해 EU 수출기업의 경우 ‘FTA 활용 실무지식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미국 수출기업의 경우 ‘FTA 시장설명회’, ‘FTA활용 해외마케팅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FTA활용지원센터가 수출기업을 지원함에 있어 수출국을 감안한 선택적 지원이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How the FTA’s Utilization in Contract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of Korea’s Companies Affects Their Export Performance

        Jin-Woo Park,Myong-Sop Pak 한국무역학회 2019 Journal of Korea trade Vol.23 No.4

        Purpose - This paper aims to articulate relationship about factors influencing FTA utilization by dividing them into company’s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and performing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TA utilization and export performance. Design/methodology - This study verified factors influencing FTA utilization by dividing them into company’s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and performing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TA utilization and export performance.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required for FTA utilization as variables. To achieve this,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study, hypothesis was deduced, and statistical program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is. This study performed empirical analysis using statistical program of SPSS 18.0 and AMOS 18.0 for the research model. Findings -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regarding the effect of the FTA utilization on export performance and previous study defined export performance as the company’s increased economy benefits through export and increase in new transactions. Analysis was also performed for factors affecting the FTA utilization by the company and through management and response of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FTA utilization by the company led to increase in the company’s export performance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achieve export performance based on this. Originality/value - Companies seeking to utilize the FTA sign the Contract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and there are many conditions to meet in order to receive trade preferences during the transaction process. Existing trade order and order in the FTA have to be followed. Country of origin can be seen as key in the FTA. The Rule of Origin becomes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standard in applying preferential tariff in the FTA. Such regulations can be seen as external factors which cannot be controlled by the company. Internal factors are capabilities owned before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company. The study sought to test the variables regarding factors centered on such capability. This study verified factors influencing FTA utilization by dividing them into company’s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and performing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TA utilization and export performance.

      • FTA를 활용한 중소벤처기업의 수출성과 향상에 관한 연구

        심재권(Jae Gwon Shim),유왕진(Cheol Gyu Lee),이철규(Wang Jin Yoo) 한국창업학회 2013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3 No.-

        FT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of current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because WTO has its limit in all member countries’ unanimity decision making system. So, many countries are trying to increase their export volume and benefit through the FTA. According to this global trade mood, Korean government also has proceeded FTA with many countries to increase her export volume and GDP. Korean FTA members are 47 countries in the end of June 2013. Especially, Korea took effect FTA with ASEAN in June 1, 2007. It means that Korea has good chance to increase trade volume with the world third sized market. But, FTA relating export performance measures are still in weak situation to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venture enterprises(SMVEs), and also have low rate of FTA utilization because of their lack of faculties in international trade field. Many studies on export performance are focusing direct relations of enterprise determinants to export performance without consideration of FTA factor. In current global FTA trading circumstance, FTA factor should influence the export performances. So, this study made focus on Korea and ASEAN FTA as mediate factor between enterprise resources and export performance to use its result to other FTA. This study tried to search measures of internal resources enterprise competitiveness, effective utilization of FTA, efficient government’s support polic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roduct differentiation, low cost, overseas marketing, overseas market information collect abilities are effective for export performance. So, if Korean SMVEs prepare the knowledge and competitiveness in FTA market, their export performance should be attained. To attain this goal, government s positive and realistic supports are needed. 최근의 국제통상환경은 다자간협정인 WTO의 한계로 인하여 많은 국가들이 자유무역협정(FTA)에 의존하여 자국의 경제발전을 도모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이와 같은 환경 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FTA 체결을 추진하여 2013년 6월말 현재 47개 국과의 협정을 발효시켰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아직까지 양적인 FTA의 체결 증대에 치중하고 있고, 실질적인 FTA를 활용 제고를 위한 대책은 미흡한 편이다. 특히 창업 초기단계에 있거나 영세한 중소벤처기업은 기업역량의 부족으로 FTA를 수출성과 제고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이 기존에 체결한 FTA를 매개로 하였을 때 중소벤처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제품차별화역량과 같은 무형의 내부자원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소벤처기업이 FTA의 활용하여 수출을 증대시킴으로서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산업적으로는 보완관계에 있는 한국-아세안 FTA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동 FTA의 활용현황을 분석해보면 수입활용률에 비하여 수출활용률이 상당히 낮은 실정인데 그 이유는 FTA에 대한 정보 부족과 무관심, 특혜관세 혜택을 받기 위한 선결 요건인 원산지규정이 복잡하고 난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소벤처기업이 FTA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자구적인 노력과 정부의 구체적이고도 적극적인 구체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캐나다 FTA 수출활용률 연구

        염경윤,박기백 한국관세학회 2020 관세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seek policy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of the export utilization rate of Korea-Canada FTA. For strict analysis of export utilization rate of FTA, this study uses the data of Canada government(Department of Finance, Canada) which was obtained through the FTA customs implementation meetings between Korea and Canada when the main author participated in this meeting as a representative of Korea. According to this data, the export utilization rate of Korea-Canada FTA is lower than the figures which were estimated by Korea Customs Service(KCS). The FTA export utilization rate of around 40% products was almost 0% according to this data. This means that there is a room to improve in terms of export utilization of Korea-Canada FTA by policy support. The empirical result of using export FTA utilization rate as an dependent variable shows that the export amount is mainly affecting FTA export utilization rate while the FTA preference margin and rules of origin restrictiveness index don’t affect FTA utilization rate. The empirical result of using log value of FTA export as an dependent variable is similar.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exists fixed cost to utilize FTA like establishment of rules of origin management system and employment of personnel. These results also show the possibility that many firms actually don’t invest in this area even though this investment is a prerequisite for FTA utilization. In particular, small and medium size companies may hesitate to invest in this compared to big companies. In this regard, the policy support for small and medium size companies may be required to enhance overall FTA export utilization. However, further empirical researches on FTA utilization rate by firm size are required to confirm this policy implication because this study is not based on firm level data. 본 연구는 한-캐나다 FTA 수출활용률 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더 정확한 FTA 수출활용률 분석을 위해 제1저자가 2019년 기획재정부 자유무역협정관세이행과장으로 근무시 캐나다 정부로부터 입수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하였다. 캐나다 정부 자료에 의한 한국의 對캐나다 FTA 수출활용률은 관세청 발표치(추정에 의해 산출) 보다 낮았으며, 품목별로 40% 가량의 FTA 수출활용률이 0에 가까운모습을 나타내는 등 한-캐나다 FTA 수출활용률 제고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 주었다. 한-캐나다 FTA 수출활용률을 종속변수로 하는 기본모형을 실증분석한 결과, FTA 특혜마진, 원산지기준 준수비용은 특별한 영향이 없지만, 품목별 캐나다의 對한국 수입액은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결론은 FTA 수입금액 로그값을 종속변수로 하는 변형모형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아울러, 활용률(FTA 활용수입액)이 0보다 큰 자료만을 실증분석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이는 원산지관리시스템 구축, 원산지관리 인력 채용 등 FTA 활용을 위한 고정비 투입이 FTA 활용률 결정의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고정비 투입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FTA 활용을 위한 고정비 투입 부담으로 FTA 활용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을 수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FTA 활용률 제고를 위한 고정비 투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될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기업 단위 자료를 토대로 한 기업 규모별 분석은 아니어서 이러한 정책적 시사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업 규모별 FTA 수출활용률에 대한 실증분석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ㆍEU FTA하의 원산지인증수출자에 관한 검증사례와 실무적용상 유의점에 관한 연구

        권순국 한국무역금융보험학회(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018 무역금융보험연구 Vol.19 No.2

        원산지인증수출자의 자율증명제도하에서 수입자는 송품장 또는 기타 상업서류에 원산지인증수출자가 작성한 원산지신고서의 제출을 통해 세관에 수입물품의 원산지를 증명하여야 한다. 수출국의 관세당국은 수출물품에 대한 원산지증명 능력을 가지고 있는 수출자를 원산지인증수출자로 인증할 수 있다. 원산지인증수출자는 협정에서 정하는 범위에서 해당 물품에 대하여 자율적으로 원산지를 증명할 수 있으며, 원산지증명에 관하여 간소한 절차를 적용받을 수 있다. 본 연구는 한ㆍEU FTA하의 원산지인증수출자와 관련된 검증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동 FTA를 활용하여 특혜관세 혜택을 향유하고자 하는 무역기업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한ㆍEU FTA에서 규정하고 있는 특혜관세의 적용기준에 대한 확인과 원산지신고서의 발행기준을 확인하여야 한다. 그리고 원산지신고서상의 인증수출자번호에 대한 유효성 확인, 협정관세 사후적용 신청기한과 원산지 검증기한을 확인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출국의 간접검증 결과에 대한 해석기준을 확인하여야 한다. Under the origin approved exporter self-certification system, the importer shall verify the customs house the origin of imported goods by submitting an origin declaration made by an origin approved exporter on an invoice or other commercial document. The customs authorities of the exporting country may certify the exporter who has the ability to prove the origin of exported goods as the origin approved exporter. An origin approved exporter may autonomously prove the origin of the relevant goods to the scope stipulated in the relevant agreement and may be eligible for the application of the simplified procedures for proving origins. Among the FTAs in Korea, the KoreaㆍEU FTA, KoreaㆍEFTA FTA and KoreaㆍTurkey FTA are implementing the approved exporter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paper uses the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analysis on the origin approved exporter under the KoreaㆍEU FTA. Through this study, this paper is to provide sever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seeking the benefits of the KoreaㆍEU FTA preferential tariffs. The Korean companies to do the following: confirm the application criterion of preferential tariffs stipulated in the KoreaㆍEU FTA, confirm the issuance criterion of the origin declaration, confirm the validity of customs authorization number under the origin declaration, confirm the deadline for ex post facto of conventional tariffs and origin verification, and confirm the interpretation criterion on the indirect verification results of the customs authorities of the exporting country.

      • KCI등재

        한미 FTA 체결에 따른 중소기업의 영향: 품목별 영향 분석과 향후 대응 방안

        이준호 ( Joon Ho Lee ),최정일 ( Jeong Il Choi ),이옥동 ( Ok Dong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한미 FTA를 앞두고 한국과 미국 사이의 교역구조와 한국 시장에서 미국 상품의 경쟁력 수준을 살펴보았다. 이를 기초로 한미 FTA 체결에 따른 한국 상품의 품목별 영향을 분석하였다. 품목별 영향을 토대로 우리 중소기업의 교역 참여 수준을 감안하여 향후 중소기업의 대미 수출과 수입규모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11개 정부부처 및 국책연구기관에서 발표한 ‘한미 FTA의 경제적 효과 분석’을 비교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았다. 한미 FTA 양허 9,137개 품목을 대상으로 4단계 사전 조정을 통해 나타난 1,305개 품목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품목별 수출과 수입 증가를 모두 추정하여 전체 중소기업의 교역 증가규모를 산출해 보았다. 그 결과 한미 FTA로 국내 중소기업의 수출과 수입은 각각 9,204억 원과 4,354억 원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수출증가액이 수입증가액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950억 원의 순수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순수출 증가액 4,950억 원은 337개 중소기업(고용 2,539명)의 생산액과 같은 수준으로 볼 수 있다. 한미 FTA 체결에 따라 중소기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이후 국내 중소기업이 나가야 할 대응방향을 단기적인 과제와 장기적인 과제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단기적인 과제로는 첫째, 수출 확대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미국의 수입시장 규모는 1조 6천억 달러이고 내수시장 규모는 5조 3천억 달러로서 중소기업에게 한미 FTA의 변화 상황(관세양허안, 법규 등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정확히 전달해 준다면 수출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본다. 둘째, 투자 확대 및 기술협력에 관한 지원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의 대미투자는 매우 저조하여 매년 5건 미만, 건당 120만 달러 투자로 대기업의 1/14수준이다. 해외투자 경험 기업, 수출주력기업 및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대미투자 확대를 도모한다. 중소기업 단독투자보다는 국내 대기업과 투자협력을 통해 투자규모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셋째, 취약 부문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수입급증 또는 수입전환에 따른 피해예상 기업의 지원과 기존 업종의 축소 및 폐지되는 기업에 대해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도모해야 한다. 고용감소 효과가 증대 효과보다 큰 음식료, 기타기계 업종에 대한 사업전환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수입 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출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현재 미국에서 수입하는 중소 제조업의 77.4%가 국내에서 재가공 단계를 거쳐 해외로 다시 수출하고 있다. 한미 양국의 관세가 철폐될 경우 음식료 및 전기기계 등의 원/부자재 수입이 증가할 것이고 이들 업종의 수출 가격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혁신형기업의 중점 육성 및 지원이 필요하다. 벤처기업 및 이노비즈 인증을 받은 기업은 한미 FTA 체결로 매출, 수출입, 고용 등에서 일반 중소 제조업에 비해 긍정적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중소기업의 국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혁신형 중소기업의 수를 증가시키는데 정책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 효율적이다. 중장기적인 과제로는 먼저 중장기적인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 정책 방향을 수립해야 한다. 새로운 관점에서 국가 전체적으로 거대경제권과의 FTA 추진에 따른 대응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손실 최소화에 기초한 방어적인 정책을 지양하고 이익극대화에 기초한 적극적인 정책을 지향해야 한다. 거대 경제권과의 FTA 체결에 따른 중장기적이고 근본적인 중소기업의 3대 정책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산업 고도화를 추진해야 한다. 단기적으로 특정산업에 집중된 요소투입형 지원보다는 국가 전체 산업 차원에서 근본적인 정책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비교우위에 기반하여 산업 내 기업 또는 산업간 구조조정 과정에서 산업고도화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 둘째, 중소기업 국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주체로서 중소기업 육성을 목표로 FTA를 활용한다. 경쟁적 시장구조로 전환을 위한 과제를 개발하고 국제화 추진상의 정책적 장애를 철폐하며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을 위한 정책 과제를 발굴한다. 셋째, 시장경제 활성화와 기업가정신을 강화한다. 정부는 글로벌 경쟁 환경을 조성하고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지도록 감시하고 조정하는 ‘시장의 규율자’ 역할을 강조해야 한다. 국가 차원의 기업가 정신을 배양하고 중소기업 스스로 국제화 추진을 위한 기업가정신을 배양해야 한다. This paper is about KORUS FTA`s impact on Korean goods by items based on research of ‘trade structure between Korea and The U.S.` and ‘competitiveness of American goods in Korean market`. The future scale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exports and imports of Korea has been estimated, considering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participation on trade and impact on items. The validity of this research has been reviewed in comparison with announcement regarding analysis of economic effects of KORUS FTA by 11 government departments and national research organizations. 1,305 items, adjusted from 4-stage of revision from 9,137 concessional items from KORUS FTA, were chosen to be analyzed. It was expected that exports and imports will grow up to 920.4 billion won and 435,4 billion won each for domestic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from estimated exports and imports growth and whole trade. The amount of increase from export seems to exceed the amount of increase from import and 495 billion won of net export equals to total output of 337 numbers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with 2,539 employees. Thereafter, this paper also covers how KORUS FTA effects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and presents strategies categorized as short-term and long-term. In a short term period of time, Firstly, governmental support is necessary to expand export. Distribution of Information such as scale of import and domestic market of the U.S. would enhance competitiveness in exports of Korean enterprises. Secondly, support for investment expansion and technical cooperation is needed. Check the companies that have experiences in foreign market and export-oriented, and set them as targets to expand investments in the U.S. In addition, investment or technical cooperation of American minor enterprises and Korean major enterprises would raise the efficiency. Thirdly, helping vulnerable sector is needed. Sudden increase or changeover of imports may suffer the businesses therefore, security of employment of this sector should be protected and training for business diversion also should be provided. Fourthly, Setting up the plan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exports through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imports is required. In case of tariff removal between Korea and the U.S., imports of some parts would increase, and it is asked to support their export price competitiveness to maintain their export level. Fifthly, intensive promotion and support of innovative enterprises are in demand. To enhance local corporations` competitiveness, it is effective to focus on growing volume of its population number. In a long term, a mid-long term of extended plan should be devised to enhance minor enterprises` global competitiveness. The three policies are: Firstly, push the industries forwards to advance. Secondly, boost up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internationalization. Thirdly, reinforce market economy to vitalize and entrepreneurial spir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