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면디지털교과서 사용으로의 과도기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 개발 연구

        김대권(Kim Dae Kwon),이재창(Lee Jae C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This research develop a standard for evaluating digital textbooks in a transitional phase. Current state is inter-compatibly using digital textbooks and book-type textbooks. We intended to more practically diagnose the current state based on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deepening. This study developed standard for evaluating digital textbooks by delphi method research. Delphi method research conducted twice with 10 expertises on digital textbooks from 2019. 8. 1. - 2020. 2. 25.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deducted 43 evaluation criteria including 10 criteria on the contents area, 11 criteria on the learning design area, 9 criteria on the instruction and learning area, 6 criteria on the technique area, 3 criteria on the management area, 4 criteria on the evaluation area. In particular,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criteria first included a variety of key and common elements among the evaluation criteria covered in prior studies, and second, reflected the purpose of smart educ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lan to improve learners’ competency in the 21st century, and third, considered the connection with book-type textbooks, and fourth, tried to develop a criteria that included both the learning content and technical ele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와 서책형교과서의 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필요로 하는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다양한 선행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초안을 도출하였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을 개발하였다. 델파이 조사에는 관련분야 전문가 10명이 참여하였으며 2019년 8월 1일부터 2020년 2월 25일까지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내용영역 10지표, 교수설계영역 11지표, 교수학습영역 9지표, 기술영역 6지표, 관리영역 3지표, 평가영역 4지표 등 총 43개 항목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에 첫째,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진 평가기준 중 핵심적이고 공통된 요소들을 두루 포함하고자 하였다. 둘째, 교육부의 스마트교육 취지와 21세기 학습자 역량 향상 방안에 부합하는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셋째, 현재 디지털교과서를 전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병용단계 또는 보조단계 수준으로 활용하고 있으므로 서책형교과서와의 연계를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교과서의 학습내용 요소와 기술적 요소를 고루 포함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이 현장에서의 양질의 디지털교과서 선정 및 보급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관점에 근거한 실과(기술·가정) 교과서 평가기준 방향 탐색

        권유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5 No.3

        Developing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is as important as textbook development in education. Home economics subject has been involved in textbook evaluation since 1995, at which the first home economics textbook was under the national authorization system in South Korea.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home economics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even though there were more studies using textbook analysi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reason why subject perspectives were reflected on the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spectives presented by national curriculum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developing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So this study was related to analyz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and the meaning of subject perspectives in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to drive perspectives consistently presented by the 2007 revised and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spectives in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and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 for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development.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provides subject perspectives for developing textbook, delivers the core concepts and unique values of our subject, and provides the direction for teach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both national curriculum, the perspectives such as management competency, life competency, practical experience, integrative competency for understanding individual and family, career and life planning, and life problem-solving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would be needed to develop the factors of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based on the perspective presented by national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평가기준에 반영된 교과 관점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현재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관점과 교과서 평가기준과의 관련성과 더불어 향후 교과서 평가기준을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은 실과(기술․가정) 교과서 평가기준을 분석하고, 교과서 평가기준에서의 교과 관점의 의미를 탐색하며, 2007 개정 교육과정 및 2011 개정 교육과정에 지속적으로 제시된 교과 관점을 도출하고, 교육과정과 교과서 평가기준에서 강조하고 있는 관점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향후 교과서 평가기준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교과서 평가기준은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교과 관점을 제공하고, 교과의 주요 개념과 가치를 전달하며,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과 관점들은 관리역량, 생활역량, 실천적 경험, 개인과 가족을 이해하기 위한 통합역량, 생활문제해결, 그리고 진로 및 생애설계이다. 향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과 관점들에 터하여 교과서 평가기준의 항목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 자료 평가기준뿐만 아니라, 교수․학습 방법, 교사 활동 평가 등 다양한 평가 틀에 교과 관점들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음악 교과서의 평가 기준 탐색

        석문주 ( Moon Joo Seog ),승윤희 ( Yun Hee Seu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6 음악교수법연구 Vol.17 No.1

        음악 교과서는 학교음악교육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중요하고 일차적인 교재로 음악교육 활동의 기본 매체와 기초 자료가 되어야 한다. 음악 교과서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교과서 평가는 필수적이다. 그간 음악 교과서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 우리나라와 외국의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고 비교 평가하는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다. 교과서 평가 기준은 나라마다 달라서 절대적인 평가 기준의 제시는 어렵지만, 우리나라와 외국의 음악 교과서를 평가하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객관성, 보편성에 근거한 평가 기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음악 교과서를 평가, 판단하기 위한 음악교과서의 평가 기준 및 항목을 보다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반적의미에서의 교과서 구성 요소와 우리나라, 미국, 캐나다의 교과서 및 음악 교과서의 평가 기준 관련 문헌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음악 교과서를 평가하기 위한 기본 틀에, 6개의 심사 영역, 12개의심사 기준, 35개의 심사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음악 교과서 평가 기준의 공적인 논의는 학교에서 사용될 질 높은 음악 교과서를 선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평가 준거의 공공성을 확보하는 기초 연구로서 기여하게 될 것이다. As music textbooks are the most important and primary teaching material to attain the purpose of school music education, they should be the basic data and basic medium for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order to judge the suitability of a music textbook, evaluating the textbook is inevitable. Until now, studies on analyzing Korean and foreign textbooks and conducting a comparison evaluation between them have been going on continuously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music textbooks.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hat are faced due to the fact that the textbook valuation standard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making it hard to display an absolute valuation criteria. Thus, it became clear that an objective and universal valuation basis for both Korean and foreign textbooks is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valuation criteria and items of music textbooks to evaluate and judge Korean textbooks along with foreign textbooks in a way that is universal and more objective. To do so, this study examined references not only on the components of the textbook based on its general meaning, but also on the Korean, American and Canadian textbook/music textbook valuation basis. According to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presented a basic framework for music textbook evaluation composed of six evaluation sections, twelve evaluation standards, and thirty-five evaluation items. The suggested official discussion on the evaluation of music textbooks will be of help to selecting high quality music textbooks in schools. Additionally, the official discussion will contribute to the basic study of securing the public character of the evaluation standard.

      • KCI등재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선택 기준 개발

        최길수 ( Gil Su Choi ),김영주 ( Yeong Ju Kim ),이종연 ( Jong Yun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0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3 No.5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라 새로운 정보 교과서가 2010년부터 중학교 1학년에 적용된 뒤 중등학교로 점차적으로 확대 시행된다. 그러나 정보 교과서 선택을 위한 평가 관련 연구가 미미하며, 특히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대한 선택 기준 개발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 선택 기준의 제안을 연구 목표로 하며, 그 세부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교과서 평가 관련 연구들을 일반 교과서 선택 준거, 탐구성에 대한 교과서 분석법, 기존 중등 정보 교과서를 분석한 선행 연구로 나누어 분석한 뒤, 중학교 정보 교과서를 위한 선택 기준을 제안한다. 둘째, 제안된 정보 교과서 선택 기준과 타 평가준거를 사용하여 중학교 1학년 정보 교과서 5종을 비교 분석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은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대한 선택 기준 제안과 비교 분석을 통해 정보 교과서의 선정에 도움을 주고, 향후 정보 교과서의 평가 연구를 위한 개발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2007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new `informatics` textbooks have been used since 2010 as a textbook for middle school first graders and will eventually be used in other grades. However, only a few studies that have evaluated the `informatics` textbooks, have been performed. What is worse is the fact that none of the evaluating tools even exist. Therefore, we propose the criteria of selecting `informat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Its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paper classifies previous studies on textbook evaluation into general criteria of selecting textbooks, method of textbook analysis based on how inquisitively students can learn and previous studies which analyzed existing secondary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and propose the criteria of selecting `informat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Second, using the proposed selection criteria for `informatics` textbooks and other evaluation criteria, five kinds of informatics textbooks were analyze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we can use the selection criteria as a material to choose the new `Information science` textbooks, and to suggest alternative directions of future studies in the area of evaluating `Information science` textbooks.

      • KCI등재

        도덕과 교과서 선정 평가기준 연구

        김국현 ( Kuk Hy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8

        본 논문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도덕 교과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과 도덕·윤리 교사의 교과서 평가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교과서는 교실학습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서 활용된다. 따라서 교과서의 질은 교실학습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교실학습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검정심사에 합격하여 저작자나 출판사가 발행한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교과서 선정 평가과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도덕과 교과서 발행이 국정에서 검정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도덕과 교육에서 사용될 도덕과 교과서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도덕과 교육의 중요한 현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본 논문은 도덕과 교과서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교사들이 개발한 타 교과 평가기준 분석, 델파이 조사 결과 도출된 교과서 평가기준, 전문가회의를 거친 평가기준을 기초로 도덕과의 특성을 고려한 교과서 평가기준을 제안한다. 그리고 도덕과 교과서의 적합성, 타당성을 올바로 평가할 수 있는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예비 도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과서 평가교육, 현직 도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과서 평가 연수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moral education textbook evaluation tool with high confidence and universal validity. And o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rograms which improv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moral teacher in textbooks evaluation. Evaluation on Textbook is defined as an action to identify and analy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extbooks, which promotes the quality of textbooks by strengthening the advantages and revising the disadvantages. In order to evaluate textbooks, a textbook evaluation tool should be firstly developed. A textbook evaluation tool is composed of evaluation categories,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scales. Out of the three elements,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were developed not only by analyzing textbook authorization standards in a government level and teacher-developed evaluation standards in a school level, but also by professional consultation. The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include both the internal areas of textbooks, such as compliance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ssessment and the external areas of graphic layout (design and presentation), orthography, and durability.

      • KCI등재

        지리교과서 평가 기준의 개선 방안

        김대훈 ( Dae Hoon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existing geography textbook evaluation criteria thoroughly and search ways to improve them. In this study, the nature of textbook and textbook evaluation are theoretically discussed, and the existing researches of the textbook evaluation criteria are examined. Based on this, after analysing geography textbook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7th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critically, I suggested ways to solve problems found in the process. First, the description of the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concrete than abstract. Second, the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based on exclusivity, not redundancy. Third, to what degree the criteria are reconstructed, not how much they reflect the curriculum, should be considered. Fourth, the validity rather than the accuracy of the content should be emphasized. Fifth, fairness of the content should be geared towards publicness rather than neutrality. Sixth, in the criteria, the specialty of geography needs to emerge, stepping outside of universal evaluation criteria.

      • KCI등재

        初級 學習者用 韓國語 敎材의 分析과 評價

        최은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2 No.3

        本稿는 국내 主要 한국어 교육기관의 初級用 한국어 교재 5종을 敎材 評價論的 觀點에서 분석함으로써 敎材 選定을 위한 기준 및 정보를 제공하고 敎材 開發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目的이 있다. 이를 위해 使用者 適合性, 敎授要目의 意思疏通 適合性을 評價 原理로 하여 評價 領域과 評價 準據를 마련하였다. 평가 영역은 1단계 分析에서는 敎授 學習 狀況과 外的 構成, 巨視的 評價에서는 內的 構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평가 방법은 평가 준거 목록에 따라 교재를 비교하고 總評 記述을 하는 質的 評價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5종의 교재의 외적 구성 및 내적 구성을 중심으로 장단점을 비교하여 제시하였고, 敎材 指針書 개발, 文化 敎授 方法에 대한 연구, 口語와 文語의 균형 학습을 위한 辨別的 구성과 교수 방법 제시, 쓰기 학습에 過程 中心 敎授法 반영, 다양한 교수 학습 상황을 고려한 選擇 活動 제시 등을 앞으로의 교재 개발에서 추구해야 할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standard and information for textbook selection and to suggest enhancements for textbook development by analyzing 5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beginners in major Korean language institutes in the perspective of appraisal. For such objectives, the evaluation area and evaluation criteria were set with the evaluation prin- ciples of user suitability and communicational suitability of outline program of instruction. The evaluation areas were divided to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s and external organization in the 1st stage analysis and internal organization in the macroscopic evaluation. The evaluation method was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comparing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evalu- ation criteria and stating general review. According to the result, the ad- vantages and disadvantages were compared and stated based on the external organization and internal organization of the 5 textbooks, and textbook guideline development, study on the culture teaching method, suggestion of differential organization and teaching method for balanced learning of colloquial and literary languages, reflection of the process oriented teaching method to the learning of writing, and suggestion of selectable activity con- sider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s, etc. were suggested as the direction to be pursued in the future textbook development.

      • KCI등재

        우리나라 자유발행 음악 교과서의 편찬 방향과 기준 개발

        박지현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0 음악교수법연구 Vol.21 No.1

        In order to develop diverse and creative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extbook issuance system and to implement a textbook free issue system.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otes on compiling textbooks and evaluation criteria. Thus, the researcher conducted documentary research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literature on textbook concepts, publication systems, notes on compiling textbooks, evaluation criteria, and examples of foreign textbooks. In addition, FGI and expert council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e issue system should be applied to provide the minimum guidelines for textbook development. Second,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should emphasize the responsibility of the writer rather than control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state. Third, the notes on compiling textbooks and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briefly presented, and the author's self-evaluation document should be established. Fourth, State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support systems that help them write and publish textbooks. 교과서 내용을 다양하고 창의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교과서 발행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자유발행제의 실현을 위한 음악 교과서 편찬 방향과 기준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 개념, 발행 제도, 편찬상의 유의점, 심의기준, 해외 교과서 사례 등에 대한 문헌을 분석 및 해석하는 기록자료 연구를 실시하였고, FGI와 전문가 협의회를 병행하여 자유발행 음악 교과서의 편찬상의 유의점 및 심의기준, 교과서 질 관리 방안을 개발, 제안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소한의 지침을 제공하는 자유발행 체제로 나아가야 한다. 둘째, 심의를 통한 통제보다는 집필자의 책임 중심 질 관리 체제로 나아가야 한다. 셋째, 기존의 검인정 편찬상의 유의점 및 심의기준을 완화하여 간략히 제시하고 집필진의 자체평가서를 신설한다. 넷째, 국가는 교과서 집필에 도움을 주는 정보 제공, 지원 체제 구축에 신경을 써야 한다.

      • KCI등재

        기술 교과서 평가를 위한 준거 영역과 요소의 개발

        최유경,류창열 한국기술교육학회 201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riteria domains and elements for evaluating the technology textbooks. The process of the study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search thereby extracting the criteria domains and elements for evaluating technology education textbooks and designing a conceptual model. Based upon the criteria and model,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the feasibility was validated by professional's deci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The five main views of evaluating the technology textbooks were views of the study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textbooks, construction and system of textbooks, classroom instruction, and analysis of textbooks. Views of the study of technology and classroom instruction were highly agreed and the content validity of professionals were shown also. 89 elements of evaluating the technology textbooks were developed and among those 67 elements were satisfied in the content validity. The specific results are shown as a table.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교과서 평가를 위한 준거 영역과 요소를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실시하여 기술 교과서 평가를 위한준거 영역 및 요소를 추출하고, 개념적 모형을 구안하였다. 추출된 준거와 모형을토대로 전문가 설문지를 개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주된 연구 내용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술교과서 평가의 관점은 기술학의 학문적 관점의 준거, 교과서의 개발 및 선택관점의 준거, 교과서의 구조 및 체제 관점의 준거, 교실수업 관점의 준거, 교과서의분석 관점의 준거로 5개의 관점이었다. 이 중 기술학의 학문적 관점의 준거와 교실수업 관점의 준거가 전문가 위원들의 높은 동의 정도와 내용 타당도를 보였다. 기술교과서 평가의 요소는 총 89개의 요소가 개발되었는데, 이 중 67개의 평가 요소가 내용 타당도를 만족시켰고, 구체적인 내용은 표로써 제시되었다.

      • KCI등재

        일본 대학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 분석 -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교재를 중심으로 -

        박소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어 교육 Vol.22 No.1

        Textbooks are a major element in the education field along with teachers and learners. There are 3,399 volumes of Korean Textbook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and according to a research, 45% of the books were published in Japan. In order to take a look at these various Japanese Korean textbooks, on the basis of the report of Universal Forum of Cultures, this researches analysed 5 textbooks which are used most frequently at the universities in Japan. At first, in chapter 2, this researches reviewed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textbook analysis and set a standard evaluation criterion for textbook analysis. In chapter 3, this researches reviewed the educational goals and curriculum of the textbook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whole units of the textbooks. Also focusing on the first unit of introduction of each textbook, this researches reviewed the construction of the unit and the contents. In chapter 4, this researches pointed out the problems in the analysed textbooks, and then actually constructed a unit as a suggestion. The analysis and study on the textbooks is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textbooks, and furthermore, it will be the foundation for the growt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