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서 "문제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경향 분석

        김용대 ( Yong Dae Kim ),최길수 ( Gil Su Choi ),이종연 ( Jong Yun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5 No.1

        정보 교과는 지식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정보 활용 능력은 물론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함양하기 개설된 교과이다. 그러나 창의적 문제해결요소가 교과서에 어느 정도 포함되었는지를 분석하는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학교 정보 1 교과서 ``문제해결방법 및 절차`` 영역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경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정보 교과서가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 요소를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는지 최길수의 정량적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로 문제해결과정 반영과 문제해결전략 제시의 충실도에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모든 교과서가 활동 요구 지수, 창의적 문제해결력 관련지수, 활동 유형지수가 전체적으로는 바람직한 범위에 있으나 소 영역별로는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난 것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수 값이 균형을 이루지 못한 교과서가 있고 활동 유형이 일부 유형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앞으로 정보 교과서의 개발 및 수정 보완 시 문제해결과정 반영과 문제해결전략의 충실도를 높이고, 교과서의 학습 활동 구성 시 다양한 학습 활동 유형을 활용하고 기본 정신 기능과 고등 정신 기능을 요구하는 활동 비율의 균형을 유지할 것을 제안하였다. Developing middle and high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in thi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s very important and for this reason, the subject of informatics has been established. However, little research on creative problem solving literacy of informatics textbooks has been conduc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whether ``problem-solving methods and procedures`` parts in informat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s present creative problem solving literacy or not and in what degree. Data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the Gil-Su Choi method. The result of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all the textbooks turned out to be correct range in the category of the "composition of various learning activities," but got out of range in some categories such as "problem-solving process reflection` and "problem-solving strategy proposal". Also a few textbooks haven`t satisfied in important indexes and activities. So, we suggest that more ``problem-solving process reflection`` and ``problem-solving strategy proposal`` parts should be included in the informatics textbook and more various forms of learning activities be utilized well as the ratio of activities needed primary and high mental processes be kept the balance.

      • KCI등재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지원하는 실시간 화상학습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최길수,김동호,Choi, Gil-Su,Kim, Dong-Ho 한국정보교육학회 200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지원하는 실시간 화상학습시스템을 설계 구현하고 현장에 적용하였다. 또한 실시간 화상학습시스템 활용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교실환경검사도구인 WIHIC를 투입하여 학생들의 교실 환경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통한 실시간 화상학습시스템의 활용은 교실 환경 8개 영역(학생들의 단결, 교사의 지원, 수업에의 참여, 자율성, 탐구 활동, 과제지향, 협동성, 평등) 에서 학생들의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시스템을 통하여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및 ICT 활용 능력 함양, 소집단 협동 학습에서의 토론 활동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사이버가정학습의 만족도 및 효과성 인식 분석

        최길수,김용대,이종연,Choi, Gil-Su,Kim, Yong-Dae,Lee, Jong-Y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6 No.5

        2005년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은 지역간 교육격차 해소와 사교육비 경감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운영되고 있다. 이에 사이버가정학습이 목적에 맞게 잘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이버가정학습의 교육적 효과성 및 만족도를 평가하는 모델을 제안하고 저소득층 학생을 대상으로 만족도와 효과성을 분석하여 사이버가정학습이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되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세부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사이버가정학습 평가모델을 제안하였다. 둘째,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저소득층 학생들의 만족도와 효과성, 개선사항을 조사하였다. 셋째, 성별, 소속지역, 소속학급, 학급구성방식 등 배경요인별에 따른 만족도와 효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은 저소득층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러닝 효과성과 만족도를 측정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사이버가정학습이 교육기회 균등 및 교육격차 해소라는 본래의 목적을 살리고 보다 나은 교육서비스가 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2005, Cyber home learning systems(CHLS) have been run with the purpose of clearing up the regional disparity and reducing the private education cost.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have the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awareness of the CHL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evaluation model for satisfaction and pedagogical effectiveness of CHLS and to support the management of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awareness of the CHLS for the low-income bracket children. Our major contribu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present an evaluation model of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awareness of the CHLS for the low-income bracket children. Second, we survey the satisfaction, effectiveness awareness and improvement facts from the students who divided according to their sex, residence area and classes and compare with suggesting evaluation models. This paper is to find the measurement of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awareness of the CHLS for the low-income bracket children. Furthermore, we can use this model as a material to balance the education opportunity, which is the purpose of CHLS, and abolish the education differentials.

      • 유비쿼터스 교실 모델 설계를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

        최길수 ( Gil-su Choi ),최종홍 ( Jong-hong Choi ),이종연 ( Jong-yu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2

        본 연구는 최근 정보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학교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유비쿼터스 교실 모델 설계를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논의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u-Learning 개념에 대한 정의 단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교육의 유비쿼스화에 따른 학습 환경에 대한 시나리오적 제시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며, 학교현장에서의 연구도 주로 무선 인터넷 환경과 태블릿 PC, PDA를 기본으로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교실 환경 구축 및 교육적 활용 모델이나 지원 콘텐츠가 없어 당황스러워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교수-학습 활동 상황을 인지하여 학생과 교사에게 맞춤형 자료의 제공하는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u-Learning 환경에 대한 개념적 분석을 통해 교수-학습 활동 상황을 인지하여 학생과 교사에게 맞춤형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u-learning 모델 교실 구축 방안 및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 KCI등재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선택 기준 개발

        최길수 ( Gil Su Choi ),김영주 ( Yeong Ju Kim ),이종연 ( Jong Yun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0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3 No.5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라 새로운 정보 교과서가 2010년부터 중학교 1학년에 적용된 뒤 중등학교로 점차적으로 확대 시행된다. 그러나 정보 교과서 선택을 위한 평가 관련 연구가 미미하며, 특히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대한 선택 기준 개발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 선택 기준의 제안을 연구 목표로 하며, 그 세부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교과서 평가 관련 연구들을 일반 교과서 선택 준거, 탐구성에 대한 교과서 분석법, 기존 중등 정보 교과서를 분석한 선행 연구로 나누어 분석한 뒤, 중학교 정보 교과서를 위한 선택 기준을 제안한다. 둘째, 제안된 정보 교과서 선택 기준과 타 평가준거를 사용하여 중학교 1학년 정보 교과서 5종을 비교 분석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은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대한 선택 기준 제안과 비교 분석을 통해 정보 교과서의 선정에 도움을 주고, 향후 정보 교과서의 평가 연구를 위한 개발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2007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new `informatics` textbooks have been used since 2010 as a textbook for middle school first graders and will eventually be used in other grades. However, only a few studies that have evaluated the `informatics` textbooks, have been performed. What is worse is the fact that none of the evaluating tools even exist. Therefore, we propose the criteria of selecting `informat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Its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paper classifies previous studies on textbook evaluation into general criteria of selecting textbooks, method of textbook analysis based on how inquisitively students can learn and previous studies which analyzed existing secondary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and propose the criteria of selecting `informat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Second, using the proposed selection criteria for `informatics` textbooks and other evaluation criteria, five kinds of informatics textbooks were analyze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we can use the selection criteria as a material to choose the new `Information science` textbooks, and to suggest alternative directions of future studies in the area of evaluating `Information science` textbook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