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상대적 평등으로서 평등의 의미 ― 헌법재판소의 판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이준일 한국공법학회 2019 공법연구 Vol.48 No.2

        Equality is understood as ‘relative equality’, either as a fundamental right meaning constitutional rights or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as a criterion for assessing constitutional legitimacy. According to this request for relative equality, if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ables and they are the same, they must be treated ‘equally’,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ables and they are different, they should be treated ‘differentially’. Nevertheless, equality is mainly a problem if it is not treated equally according to the equality and treated differentially because equality is still marked by the equal treatment. The examination of equality, which is based on comparisons, involves three steps: ① identify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ables, ② checking whether there is a treatment consistent with that difference, and ③ if there is no treatment that is consistent with the differenc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reasonable basis for i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s long as equality is understood as relative equality, not only equal treatment but also differential treatment are ordered. Therefore, unlike the right to freedom, the principle of proportion, which prohibits excessive restrictions on the preconditions, cannot be applied to right to equality because there is no fixed area of ​​protection. In the examination of equality, examination criteria and examination intensity should be distinguished, and the examination intensity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extent to which freedom of formation of legislators is recognized. For example, in cases where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is a problem, the examination intensity needs to be strengthened. 평등은 헌법적 권리를 의미하는 기본권으로서든 헌법적 정당성을 평가하는 기준인 헌법원칙으로서든 ‘상대적 평등’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상대적 평등의 요청에 따르면 비교대상들 사이에 차이가 없어 그것들이 동일한 대상이면 ‘동등한 대우’를 해야 하고, 비교대상들 사이에 차이가 있어 그것들이 상이한 대상이면 ‘차등적 대우’를 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등은 여전히 동등한 대우에 방점이 찍히다보니 그에 따라 받아야 할 동등한 대우를 받지 못한 채 차등적 대우를 받았을 경우에 주로 문제된다. 비교를 본질로 하는 평등에 관한 심사는 비교대상의 차이 유무를 확인하고, 그러한 차이 유무에 부합하는 대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뒤에 비교대상의 차이 유무에 부합하는 대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그에 대한 합리적 근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3단계로 구성된다. 중요한 것은 평등이 상대적 평등으로 이해되는 한 동등한 대우뿐만 아니라 차등적 대우도 명령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평등권은 자유권과 달리 구성요건(보호영역)이 확정되어 있지 않아 구성요건을 전제로 이에 대한 과도한 제약을 금지하는 비례성원칙이 평등권에는 적용될 수 없다. 평등심사에서 심사기준과 심사강도는 구별되어야 하고, 심사강도는 입법자의 형성의 자유가 인정되는 범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이 문제되는 사안에서는 심사강도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Equality step by step in Korean Constitution

        변해철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외법논집 Vol.35 No.1

        The desire for equal society is expressed in various ways in very different societies. The principle of equality being confirmed by many national Constitutions, the question is how we can overcome the inequality which has been formed in the society for a long time. Nowaday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cept of equality does not mean absolute/formal equality but relative/substantial equality. The concept of relative/substantial equality was not enough to answer to the questions of inequality in some fields where they were raised from the technical, material and/or spiritual problems. Analyzing some cases of Korean Constitutional Court, even it was not clearly determined by itself, we could find a kind of concept which has contributed to complete the concept of relative equality and to answer to the questions concerned. It could be the concept of ‘equality step by step’. The concept of equality step by step could be defined as equality, realized step by step by the policy of the State improving progressively inequality in a particular field, but in accordance with reasonable standards. In reality, this concept contributed to solve the difference between constitutional norm and constitutional reality. However, depending largely on the legislators’ discretion in achieving its goal, it could be a simple instrument of justifying legislative discrimination. In this regard,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to play some important roles in examining the equality in question. If it is concerned with limitation of rights, the concept has not to be applied in principle. And, even though it is concerned with complement of citizens’ rights, it should not result in partial preference, in particular, continuously.

      • KCI등재

        우리는 왜 평등을 추구하는가? - 분배적 정의의 출발선으로서 평등에 대한 고찰 -

        손철성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9 시대와 철학 Vol.30 No.1

        이 논문은 우리가 왜 평등을 추구하는가의 문제에 대해 롤스의 사상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롤스의 사상을 비롯하여 다수의 정의 이론은 평등한 분배 상태를 정의의 출발선으로 전제하고 이로부터 벗어난 불평등 분배가 언제 정당화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불평등하게 대우할이유가 없다면 평등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이유 없는 차별 금지’와 같은 평등의 원리는 정당화되기 어렵다. 그것은 일종의 추정으로서 거기에는 평등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간주하는 특정한 선호가 반영되어 있다. 평등을 불평등에 비해 더 자연스럽거나 더 합리적인 것으로 간주해야 할 타당한 논리적 근거를 찾기는 어렵다. 우리가 왜 평등을 추구하는가의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역사적으로 형성된 인간의 심리적 성향에도 주목해야 한다. 롤스는 상호 무관심적 합리성의 측면에서 이 문제에 접근하고 있지만 그의 차등의 원칙은 약한 의미의 시기심을 함축하고 있다. 행동 경제학, 진화 심리학 등의 연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인간에게는 공평성이나시기심과 같은 심리가 존재하며 그것이 평등 지향의 성향으로 나타나기도한다. Why do we pursue equality? I inquire into the justification of equality principle and the psychological tendency of pursuing equality in relation to the question. Many theories of justice including the idea of J. Rawls presuppose the situation of equal distribution as the baseline of justice and focus on justifying inequal distribution away from it. However, the equality principle such as "no discrimination without reason", i.e. if there is no reason to treat unequally, we should treat equally, is hardly justified. It is a kind of presumption of equality and reflects a specific preference that regards equality as natural. It is difficult to find a reasonable logical basis to consider equality as more natural or more reasonable than inequality. In order to approach the problem of reasons for pursuing equality, we ought to also pay attention to the psychological tendencies of human beings that are formed socially and historically. J. Rawls approaches this problem in terms of mutually disinterested rationality, but his difference principle implies envy in a weak sens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of behavioral economics, human beings have psychology such as fairness or envy, and it appears as a tendency toward equality.

      • KCI등재

        공화적 공존의 전제로서의 평등

        김종철(Jongcheol Kim) 한국헌법학회 2013 憲法學硏究 Vol.19 No.3

        이 연구는 평등이 형식적 평등(formal equality)과 실질적 평등(substantive equality)의 두 차원을 내포하는 이념임을 전제하고, 한국 헌법의 현실은 이러한 평등가치가 형식적 평등을 중심으로 불균형하게 실현되고 있으며, 그러한 평등가치의 불균형 실현은 헌법이 채택하고 있는 평등의 정치철학적 기초 및 그에 토대를 둔 정치공동체의 위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데 그 근본원인이 있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평등의 정치철학적 기초를 규명하여 한국 사회가 당면한 사회적 불평등 구조를 개선하는 헌법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논문은 두 가지 가정을 논증하고 있다. 우선 헌법이 상정하고 있는 평등이 단순한 기회의 평등과 자의적 차별금지라는 형식적 평등의 차원을 넘어 사회적 불평등을 시정하기 위한 국가의 적극적 기능을 요구하는 실질적 평등도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이 두 가지 차원의 평등, 즉 형식적 평등과 실질적 평등의 관계, 이를 기초하고 있는 헌법적 인간상, 평등과 함께 헌법적 인간상의 양대축을 형성하고 있는 자유의 성격 혹은 이 두 가치를 포괄하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의미,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보장할 의무를 가진 국가의 본질과 기능에 대한 논의를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전개시킬 정치철학적 기초를 공화주의적 평등론에서 찾는다. 이 연구에서 공화주의적 평등론은 롤즈나 드워킨의 평등주의적 자유주의의 평등론과 루소식의 평등주의적 평등론을 승화시킨 정치철학적 비전으로 비지배적 자유와 적극적 혹은 능동적 자유에 기초한 공공의 시민적 자발성이 활성화되어 사회적 불평등을 구조화하는 법적 사회적 폐습을 일소할 목적을 가진 국가의 광범위한 형성적 작용을 정당화한다. This paper assumes two arguments. First, the principle of equality should be conceived to cover not only the idea of formal equality but also that of substantive equality. Formal equality centers on the equality of opportunity and non-discrimination which tend to neglect or ignore substantive differences in human conditions and social realities while substantive equality attempts to provide substance to the concept of equality. Second, the unsatisfied reality that equality as formal equality dominates equality discourses in Korea can be attributed to the lack of a comprehensive and basic political philosophic understanding of equality though it is well embedd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This represents a distorted constitutional ideal and practices of the democratic republic. This paper also tries to demonstrate that if egalitarian approach seeing equality as the basic virtue of the democratic republic is equipped with a republican concept of liberty as non-domination and self-help, it can be a stepping stone to reformulate the principle of equality as the basis of a republican co-existence by way of enhancing substantive equality.

      • KCI등재

        Equality step by step in Korean Constitution

        ( Byun Hae-cheol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외법논집 Vol.35 No.1

        The desire for equal society is expressed in various ways in very different societies. The principle of equality being confirmed by many national Constitutions, the question is how we can overcome the inequality which has been formed in the society for a long time. Nowaday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cept of equality does not mean absolute/formal equality but relative/substantial equality. The concept of relative/substantial equality was not enough to answer to the questions of inequality in some fields where they were raised from the technical, material and/or spiritual problems. Analyzing some cases of Korean Constitutional Court, even it was not clearly determined by itself, we could find a kind of concept which has contributed to complete the concept of relative equality and to answer to the questions concerned. It could be the concept of ‘equality step by step’. The concept of equality step by step could be defined as equality, realized step by step by the policy of the State improving progressively inequality in a particular field, but in accordance with reasonable standards. In reality, this concept contributed to solve the difference between constitutional norm and constitutional reality. However, depending largely on the legislators’ discretion in achieving its goal, it could be a simple instrument of justifying legislative discrimination. In this regard,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to play some important roles in examining the equality in question. If it is concerned with limitation of rights, the concept has not to be applied in principle. And, even though it is concerned with complement of citizens’ rights, it should not result in partial preference, in particular, continuously.

      • The actual condition and policy agenda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Korean schooling system

        Kim dong-seok(김동석)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양성평등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정책적 과제와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 있다. 실태 분석은 준거를 설정하여, 초등학교 교과서 내용과 학교운영계획서를 검토하였다. 교과서 내용 분석의 결과는 양성을 균형 있게 다루는 경우, 불평등하게 다루는 경우, 여성에게 적극적 역할을 부여하는 경우, 소극적 역할기대를 하는 경우 등으로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학교운영 계획서 분석 결과는 양성평등교육을 학교경영의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는 경우, 부서의 업무분장으로 추진하는 경우, 진로상담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경우, 인성교육으로 대치하는 경우 등이 있었고, 학교운영계획에 전혀 반영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학교 양성평등교육에 대한 실태분석에 기초하여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양성평등 실현방안은 세 차원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첫째는 국가수준의 거시적 접근 방안들을 설정하였고, 둘째는 사회구성원들의 행동변화 전략을 공식화하여 제시하였다. 셋째는 구체적인 수준에서, 학교 양성평등교육 개선 방안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I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s and explore the policy agenda and improvement measures to realize gender equality. By establishing criteria,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I review the contents of textbooks and school management plan. Analysis results of textbook contents suggest categorization, including a case to treat both genders equally, a case to treat them inequally, a case to give female active roles, and a case to expect passive roles of female. Analysis results of the school management plan show different cases: a case to promote gender equality education as a core of school management, a case to promote it as a division of work within a single department, a case to operate it by connecting to career counseling, a case to substitute it for personality education, and a case not to contain it at all in the school management plan. Based on an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s, I suggest measures to realize gender equality, which can be categorized by three dimensions. First, I set nationwide measures of macro approach. Second, I formulate and suggest strategies to change behaviors of society members. Third, at the concrete level, I suggest measures and agenda to improve the gender equality ducation in schools.

      • 학교양성평등교육의 실태와 정책적 과제

        김동석 韓南大學校 敎育硏究所 2010 교육연구 Vol.18 No.2

        In this study, I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s and explore the policy agenda and improvement measures to realize gender equality. By establishing criteria,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I review the contents of textbooks and school management plan. Analysis results of textbook contents suggest categorization, including a case to treat both genders equally, a case to treat them inequally, a case to give female active roles, and a case to expect passive roles of female. Analysis results of the school management plan show different cases: a case to promote gender equality education as a core of school management, a case to promote it as a division of work within a single department, a case to operate it by connecting to career counseling, a case to substitute it for personality education, and a case not to contain it at all in the school management plan. Based on an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s, I suggest measures to realize gender equality, which can be categorized by three dimensions. First, I set nationwide measures of macro approach. Second, I formulate and suggest strategies to change behaviors of society members. Third, at the concrete level, I suggest measures and agenda to improve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s. 이 연구는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양성평등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정책적 과제와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 있다. 실태 분석은 준거를 설정하여, 초등학교 교과서 내용과 학교운영계획서를 검토하였다. 교과서 내용 분석의 결과는 양성을 균형 있게 다루는 경우, 불평등하게 다루는 경우, 여성에게 적극적 역할을 부여하는 경우, 소극적 역할기대를 하는 경우 등으로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학교운영계획서 분석 결과는 양성평등교육을 학교경영의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는 경우, 부서의 업무분장으로 추진하는 경우, 진로상담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경우, 인성교육으로 대치하는 경우 등이 있었고, 학교운영계획에 전혀 반영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학교 양성평등교육에 대한 실태분석에 기초하여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양성평등 실현방안은 세 차원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첫째는 국가수준의 거시적 접근 방안들을 설정하였고, 둘째는 사회구성원들의 행동변화 전략을 공식화하여 제시하였다. 셋째는 구체적인 수준에서, 학교 양성평등교육 개선 방안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헌법상 성평등의 현대적 이해와 실현방향

        정다영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42 No.1

        Gender equality is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conditions essential tocomplete gender equality. Gender Inequality In order to solve the fundamentalproblem of reality and to realize gender equality, the gender perspective in theconstitutional equality discourse should be reflected and evaluated in legislative andnormative interpre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st legislationactualizing the orders of ‘gender equality’ norms in the Constitution and thetendencies of interpretation on laws and figure out problems internalized in them. Also, this researcher aims to look into the meaning of ‘gender equality’ norms,reexamine its concrete realization in connection to the other principles or norms orvalues found in the Constitution, and discuss the directivity of it. 1. From the point that the ideal of the Constitution is to guarantee all humans’fundamental rights associated with human dignity, realization of value, freedom, orequality, we can make sure of the conceptual categories and indexes of genderequality norms. The pursuit of power inequality correction according to sexdifferences of ‘all individuals’ should be guaranteed by constitution, and specificgroups should not be excluded. 2. Concerning interpretation on the norms of equality, it is absolutely important tounderstand the sameness and difference and also the gap between legal equality andsubstantial equality. To narrow the gap,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omen who arethe objects of inequality in their viewpoint. In fac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have a gender-neutral perspective, and it may even deepen or conceal the aspects ofgender inequality. Meanwhile, if we try to look at how the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and related laws have been established previously as a way of realizing substantial equality, wecan find there are underlying male-dominant nationalism, protectionism, patriarchaltradition, culture, and custom, myth about strong maternal instinct, and ideology fornormal family completed with children. We can point out that the realization ofgender equality norms has been fixed and promoted within the frame actually. Regarding such ideologies mingled within the ideas of equality, we should justify ifthe current Constitution does really correspond to the other values we pursue. Moreover, unless it conforms to the realization of freedom and equality of thesubjects in the Constitution fundamentally, the directivity must be reestablished. 3. In realizing gender equality, the government’s roles and interventions arecrucial. It can be completed only when it is sought and practiced in close relationswith other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for instance, constitutionalism, social/nationalprinciples, or democracy. Particularly,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guarantee the right of the subjects of inequality to participate in politics and havetheir own voice, which means democracy is inseparable from gender equality. 평등에 대한 젠더적 이해는 성평등을 완성하는 필수불가결한 근본조건이다. 성불평등 현실 문제의 근본적 해소와 실질적 성평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젠더적 관점이 입법과 규범해석에 반영되고 평가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헌법의 ‘성평등’ 규범 명령을 구현한 지난 입법과 법해석의 경향을 젠더적 관점을 반영하여 검토하였으며, 이에 근거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리고 ‘성 평등’ 규범의 이해와 실제적 구현의 관철을 위해 평등원칙과 헌법의 다른 가치 규범원리들을연결하여 법이론을 보강하고자 하였으며, 그 실현 방향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1. 헌법의 이상이 ‘모든 개인’의 인간존엄과 가치의 실현, 자유와 평등에 관한 기본권의 보장이라는 점에서 성평등 규범의 해석과 실현도 이와 동일한 이상을 지향하여야 한다. 즉, ‘모든 개인’의 성차에 따른 권력 불평등 시정의 추구가 헌법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며, 여기에 특정집단이 배제되지 않아야 한다. 2. 평등에 대한 규범해석은 동일성과 차이에 대한 이해, 법적평등과 실질적평등과의 간극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간극을 해소하기 위해서는불평등 당사자 관점의 이해가 반영되어야 한다. 성중립적인 관점은 존재하지 않으며, 성불평등을 심화시키거나 실제적 성평등의 구현을 방해하는 기제가 된다. 한편 기존의 헌법규정과 관련 입법에서의 실질적 평등실현 조치들은 여성의 신체적 기능 차이에 집중하여 추진되어 왔다. 그리고 그 기저에는 남성 지배적인 국가주의적 관점, 보호주의, 가부장적 전통문화의 관습, 강력한 모성신화의 내재와 자녀출산과 양육으로 완성되는 정상가족 이데올로기가 발현되고있으며, 성평등 규범의 실현도 실제로 이러한 틀 안에서 구획되고 추진되었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평등이념 속에 혼재된 이 같은 이데올로기들, 성별고정관념들은 제거되어야 하며, 오늘날 성평등의 추진이 헌법이 지향하는 근본적 가치들과 부합하는지 정당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헌법 주체의자유와 평등실현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그 방향성은 재정립되어야 한다. 3. 성불평등 현실의 개선을 위해서는 국가의 역할과 개입이 중요하다. 국가의 성평등실현조치는 궁극적으로 개인의 인간존엄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추구되어야 하며, 법치주의·사회국가원리· 민주주의와 함께 모색되고 실천되는 것으로 지향되어야 한다. 성평등 규범의 가치가 실질적 법치주의와 사회국가원리, 민주주의 이념에도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성평등은 평등원칙과 함께 다른헌법원리들과의 조화로운 실천으로 완성되어질 수 있다. 특히 불평등의 주체가 정치적 주체로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참여를 보장하는 것이 무엇보다중요하다는 점에서 민주주의와 성평등은 분리될 수 없으며, 그 연관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 KCI등재

        월드론의 기본평등론

        김주현 한국법철학회 2019 법철학연구 Vol.22 No.3

        The idea of basic equality regards the basis of human equality as the fundamental problem of egalitarianism. Although every human being is different, the basis of the idea that ‘all humans are fundamentally one another’s equal’ is one of the most discussed topics. Jeremy Waldron, a legal philosopher, argues that while basic equality is prescriptive equality, two kinds of descriptive facts are closely related: one is the fact that is the target of prescriptive equality, and the other the fact that is the reason of prescriptive equality. In turn, he discusses whether there are the properties commonly shared by all human beings as the fact that is the reason of prescriptive equality. He suggests that although the natural properties of human beings – pain and affection, reason, moral capacity, and individual autonomy – have various degrees, these properties can be the factual basis of human equality, expanding John Rawls’s concept of range property and providing the additional religious account. Furthermore, Waldron sets the principle of continuous equality and the principle of distinctive equality to strengthen the principle of basic equality, which dictates that human beings are one another’s equal. The principle of continuous equality states that unjust discrimination based on differences within groups of human beings cannot be justified, since human begins are not fundamentally differentiated from non-human animals. The principle of distinctive equality emphasizes human dignity the uniqueness of human beings by claiming that human beings have exclusive value and status, differentiated from non-human animals. The two principles help to harmonize the principle of basic equality, which dictates that all human beings are equal, and the individuality and diversity of each person by operating horizontally and vertically. Basic equality, however, has been criticized for two main reasons, the triviality of basic equality and the redundancy of basic equality. The triviality of basic equality means that basic equality cannot have the independent significance, compared with detailed rights. According to the redundancy of basic equality, basic equality is a redundant idea in that it also makes impossible to engage in any detailed discussion by overlapping with moral principles. In response, Waldron contends that basic equality reveals what the concept of right cannot capture and it can also be differentiated from moral principles since it makes prominent substantive affairs that people pay special attention to human beings only because they are human beings. 기본 평등(basic equality)은 평등주의의 근원적 문제를 인간 평등의 근거로 본다. 인간 존재의 수많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든 인간은 근본적으로 서로 평등하다’는 생각의 근거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법철학자 제레미 월드론(Jeremy Waldron)은 기본 평등이 규정적 평등(prescriptive equality)이지만, 규정적 평등이 목표로 하는 사실 및 근거로 하는 사실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평등의 근거 사실로서 인간의 공통적 속성이 존재하는지 살펴본다. 그는 인간의 자연적 속성, 즉 고통과 애정 능력, 이성, 도덕적 능력, 개인의 자율성은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롤스의 범위 속성(range property) 개념을 확장하고 종교적 설명을 추가하면 인간 평등의 사실적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연속적 평등과 구별적 평등 원칙을 정립하여 인간은 서로 동등한 존재라는 기본 평등의 원칙을 강화한다. 연속적 평등(continuous equality) 원칙에 의하면 인간 집단 간에는 동물과 구별될 만큼의 근본적인 차이는 없으며, 구별적 평등(distinctive equality) 원칙에 의하면 인간은 동물과 다른 특별한 가치 및 지위를 가진다. 이러한 두 원칙은 모든 인간은 서로 동등한 존재라는 기본 평등과 개인의 개성과 다양성에 대한 존중을 조화시키며, 수평적 수직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기본 평등은 구체적 권리에 비해 독자적인 의미를 갖지 못하며, 도덕 원칙과 중복되어 어떠한 내용에도 관여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대하여 월드론은 기본 평등이 권리가 포착하지 못한 내용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거나 인간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지게 하는 실질적 내용을 부여함으로써 도덕 원칙과 중복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 미디어 내 성평등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전(田)별 ( Jeon Byeol )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2017 아세아여성법학 Vol.20 No.-

        오늘날 우리는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제공받고 여가 선용을 한다. 또한 아이들은 애니메이션과 어린이 프로그램 등을 시청하면서 가치관을 형성하며, 무의식중에 미디어에서 방영되는 모습들이 우리 사회의 보편적인 모습이라고 인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미디어가 우리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미디어에서는 성평등의 관점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내용이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 드라마나 예능프로그램에서는 여성의 모습을 순종적인 모습 내지는 악녀로 양분하거나 남성 출연자의 보조 및 막내의 이미지로 그려내며, 재미를 이유로 성을 희화화하는 모습도 다수 발견하게 된다. 뉴스나 시사프로그램에서는 남성의 과대대표성을 더욱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미디어 내 성별구조를 살펴보면 과연 미디어 내 성평등의 실현이 가능한 것인가에 관한 의문은 더욱 깊어지게 된다. 우리나라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양성평등기본법, 방송법 등의 관련 법률, 방송심의규정, 양성평등 방송 프로그램 제작 안내서 등을 두어 미디어 내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미디어에서 소비되는 여성의 이미지와 질적·양적인 비율은 20여 년 전과 비교해 보아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기에 미디어 내 성평등의 실현은 여전히 달성하기 어려운 과업처럼 느껴지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해외 각국에서도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방송 내지는 성평등 관련 법제에 미디어 내 성평등 실현을 위한 규정을 두어 현업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프랑스에서 평등법을 개정할 당시 미디어 내 성평등에 관한 규정을 당해 개정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으로 두고 이를 중점적으로 연구한 후 성평등에 관한 규정을 개정안에 적극 반영하였던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법률과 별도로 제정된 방송 제작 관련 가이드라인에서도 미디어 내 성평등의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규정을 두어 프로그램 제작 당시 이를 직접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영국 오프콤의 방송규정에서는 유럽인권협정을 근거로 하여 성별을 이유로 한 차별이 인정되지 않음을, BBC의 제작자를 위한 가이드라인에서는 방송에서 성차별적인 언어를 사용하지 않을것, 고정관념이 담긴 언어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에 관한 점 등을 명시하고 있다. 캐나다 방송협회의 평등 묘사규정에서는 성이나 혼인 유무 등에 관하여 모욕적이거나 부당한 차별적 내용을 포함하지 않을 것, 대상의 복잡함을 반영하지 않고 반복적으로 단순하고 하찮게 여기며 상처를 주고 편견을 갖게 하는 스테레오타입화 금지, 성평등에 관한 적절한 용어를 사용할 것 등을 명시하고 있으며, 폭력규정, 텔레비전 및 라디오 프로그램의 성 역할 묘사규정 등에서도 성평등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규정을 두어 이를 실무에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우리의 방송법에 방송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성평등의 실효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규정 및 미디어계 종사자들에 대한 성인지교육 실시에 관한 규정을 통하여 성평등에 관한 인식을 도모함과 동시에 책임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디어 내 종사자들이 프로그램을 제작·편성·심의할 당시 직접적으로 참고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에 성평등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성평등에 관한 관점이 방송 프로그램에 직접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미디어 내 성평등의 실현은 물론 우리 사회의 성평등도 온전히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In the modern era, media constantly inputs information into our minds and leads us to subconsciously believe that its materials are accurate representations of our everyday society. In addition, children are highly influenced by cartoons and programs targeted for the youth as their values and beliefs are molded by such products. Regardless of its grave impact, the media has been constantly reproducing contents that violate gender equality. Although continu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gender inequality depicted by the media, distorted presentations of women yet remain to be rather common. TV series and comedy shows often portray women to be submissive or evil-minded; women often appear as subordinates of men and gender is often ridiculed for the purpose of entertainment. Over-representation of males become more obvious in news shows or those related to current affairs. Ultimately, the gender imbalance in the media makes people question the obtainability of gender equality. As an attempt to promote gender equality in the media, the Korean government has enacted the Gender Equality Act, amended the broadcasting deliberation regulations, and developed protocols regarding the production of programs that adhere to gender equality. However, the female image consumed through the media and the quality and ratio of female appearances have not changed much over the past couple of decades, and gender equality still appears to be an unrealistic dream. The problem of gender inequality in the media is not restricted to Korea. Various countries share similar issues and have included regulations in their gender equality acts in order to improve the status quo. A prime example would be France, which stressed on improving its media regulations regarding gender equality when it amended its equality acts. In addition, multiple organizations have included regulations on gender equality in their guidelines for broadcasting productions and have been striving to solve the issue through its implementation. Rooted in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Ofcom’s broadcasting regulations clearly states that any type of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is prohibited. Similarly, the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s (BBC) regulations ban the use of language that promotes gender discrimination or gender stereotypes. Moreover, the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s (CBC) production regulations state that 1) any contents containing discriminative or insulting information in regards to gender or marital status ought to be excluded 2) stereotyping of gender by oversimplifying or belittling its nature ought to be prohibited, and 3) language promoting gender equality ought to be used. It also includes specific clauses in regards to gender equality in its TV and radio broadcasting policies.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 effort, Korea can consider amending its broadcast act to include regulations that enforce adherence to gender equality and educating those who work in the media to raise their awareness and sense of responsibility. Another adequate solution might be to provide detailed guidelines, which include a straightforward criteria of gender equality, so that media workers can refer to it throughout the entire broadcasting process (e.g., production, scheduling, deliberation etc.). Through such endeavors, we can hope to take a step closer towards gender equality in the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